KR20160105559A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559A
KR20160105559A KR1020150027820A KR20150027820A KR20160105559A KR 20160105559 A KR20160105559 A KR 20160105559A KR 1020150027820 A KR1020150027820 A KR 1020150027820A KR 20150027820 A KR20150027820 A KR 20150027820A KR 20160105559 A KR20160105559 A KR 2016010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water
water tank
flow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한두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559A/ko
Publication of KR2016010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한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수용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정수의 흐름을 기초로 정체 시간 동안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原水)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고, 필터의 여과 속도에 따라 정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탱크는 완벽한 밀봉이 어려우므로 대기와의 접촉을 통해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증식하여 정수의 오염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유입되는 수돗물의 성상에 따라 필터 자체 내에 미생물의 증식을 유발할 수도 있어 증식된 미생물이 정수를 통해 유출될 수도 있다.
특히,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수가 정수탱크에 수용되어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세균 및 미생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의 정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한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수용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정수의 흐름을 기초로 정체 시간 동안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의 회전율을 높여 필터 및 정수탱크내의 세균 및 미생물의 증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필터부(110), 정수탱크(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10)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세디멘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RO 멤브레인 필터(113), 및 후카본 필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세디멘트 필터(111)는 원수 내의 비교적 큰 입자, 이물질 등을 걸러내어 원수를 1차로 필터링한다. 그리고, 세디멘트 필터(111)를 통과한 물은 선카본 필터(112)에서 잔류 염소나 휘발성 유기물의 제거 처리를 받고 RO 멤브레인 필터(113)로 유입된다.
한편, RO(Reverse Osmosis,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113)에서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 이온성 물질, 미생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RO 멤브레인 필터(113)를 통과한 물은 후카본 필터(114)로 들어가서 냄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RO 멤브레인 필터(113)는 상기 RO 멤브레인 필터(113)에서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배수관(151)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110)가 상기한 4가지 필터(111,112,113,114)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다른 필터가 상기한 4가지 필터(111,112,113,114)에 추가되거나 상기한 4가지 필터(111,112,113,114)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필터부(110)를 구성하는 필터의 종류가 전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4가지 필터(111,112,113,114)의 배치순서 또한 변경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탱크(120)로 유입되어 정수탱크(12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120)는 원수를 여과하는 속도가 출수되는 정수의 속도보다 느릴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110)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보관하여 정수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120)는 정수의 유입과 배출을 위해 정수유입구(124), 정수배출구(125), 및 배수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내지 제3 밸브(V1, V2, V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V1)는 상기 필터부(110)에 포함된 최 전단의 필터(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세디멘트 필터(111))에 원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밸브(V1)가 열리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필터부(11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V2)는 상기 정수배출구(125)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출수코크(D)로 공급하는 유로(152)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밸브(V2)가 열리면 상기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가 출수코크(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밸브(V3)는 상기 배수구(126)에서 외부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153)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3 밸브(V3)가 열리면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가 배수구(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정수탱크(120)와 정수를 추출하는 추출코크(D) 사이에 흐르는 정수를 감지(S1)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정수배출구(125)에서 출수코크(D)로 배출되는 정수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60)는 정수탱크(120)로 유입되거나 배수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S2)하여 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정수탱크(120)에는 수용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121,122,12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탱크(12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3개의 수위감지센서(121,122,12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정수탱크(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121)는 만수위를 감지하며, 정수탱크(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123)는 저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감지센서(121,122,123)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수위감지센서(121,122,123)는 정수탱크(1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수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필터부(110)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RO 멤브레인 필터(113)에서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생활용수배수관(151)을 감지(S3)하고, 생활용수의 배출 여부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O 멤브레인 필터(113)는 여과 과정에서 유입된 원수의 일부분이 생활용수로 배출되고 동시에 유입된 원수의 나머지를 여과하므로,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경우 정수의 흐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정수의 흐름을 기초로 정체 시간 동안 상기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30)가 감지한 정수의 흐름(예컨대, S1, S2, S3)을 전달받아 사전에 설정된 정체 시간 동안 상기 정수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3 밸브(V3)를 제어(C1)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된 수위는 정수의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만수위가 아닌 수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정수탱크(120)에 수용된 정수의 정체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의 회전율을 높여 필터부(110) 및 정수탱크(120)내의 세균 및 미생물의 증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는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201).
상기 감지된 정수의 흐름에 따라 제어부(140, 도1)는 정수탱크(120, 도1)에 수용된 정수의 정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2).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3).
이후, 다시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단게로 돌아가 순환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10: 필터부
120: 정수탱크
130: 센서부
140: 제어부

Claims (5)

  1. 원수를 여과한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수용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정수의 흐름을 기초로 정체 시간 동안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정수탱크와 정수를 추출하는 추출코크 사이에 흐르는 정수를 감지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를 감지하는 정수기.
  5. 원수를 여과한 정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정수의 흐름을 기초로 정체 시간 동안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의 정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수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설정된 수위까지 배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KR1020150027820A 2015-02-27 2015-02-27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5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20A KR20160105559A (ko) 2015-02-27 2015-02-27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20A KR20160105559A (ko) 2015-02-27 2015-02-27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59A true KR20160105559A (ko) 2016-09-07

Family

ID=5694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20A KR20160105559A (ko) 2015-02-27 2015-02-27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5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7807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KR20170067579A (ko) 수처리 장치
KR20170079110A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060105329A (ko) 정수기의 멤브레인 필터 자동 플러슁 장치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CN205500859U (zh) 净水系统
CN210528597U (zh) 智能废水再利用净水机
KR20150038777A (ko) 역삼투 멤브레인 트레인별 압력 제어식 삼투 역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KR2016010555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70296975A1 (en) Raw water filtra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device
KR102462653B1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776046B1 (ko) 밸러스트 처리장치 운용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43885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81075B1 (ko) 침지식 연속유동 막여과장치 및 그의 역세척방법
CN210163221U (zh) 生态环保无废水净水机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2059516B1 (ko) 단일펌프를 이용한 분리막의 자동 역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CN101665290B (zh) 一种自动控制的水处理装置
KR20170005264A (ko) 수처리 장치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20180037718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JP2007170993A (ja) 水質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