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366A -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366A
KR20160105366A KR1020160107479A KR20160107479A KR20160105366A KR 20160105366 A KR20160105366 A KR 20160105366A KR 1020160107479 A KR1020160107479 A KR 1020160107479A KR 20160107479 A KR20160107479 A KR 20160107479A KR 20160105366 A KR20160105366 A KR 2016010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mization
application
mobile device
rti
class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4358B1 (ko
Inventor
윤찬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0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최적화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저장 공간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OPTIMIZING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의 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속도 지연 현상, 배터리 부족 현상, 배터리 성능 저하, 저장 공간 부족 등과 같이 속도, 배터리, 저장 공간과 관련된 불편함을 겪고 있다.
최근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관리 편의를 위해 배터리 온도, 배터리 잔량이나 남은 시간 등을 표시해주는 기능과, 캐시나 잔여 파일,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등록번호 제10-0643460호(등록일 2006년 10월 31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 장치 및 충전상태 표시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의 복잡한 사용 방법이나 메뉴 구성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일일이 직접 찾아야 하고,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어렵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관리에 있어 불편과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실행 패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이나 파일 크기 등을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어플리케이션이나 파일 포맷 별로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에서 생성된 폴더, 그리고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중간에서 생성된 폴더와 다운로드 된 파일을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모바일 기기와 결합되어 최적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패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가려 모바일 기기의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메모리 공간을 100%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포맷 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정리 대상을 확인할 수 있고 일방적인 삭제 등으로 인한 파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최적화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적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의 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최적화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최적화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최적화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1) 간에 무선 네트워크나 데이터 버스 등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모바일 기기로, 최적화 시스템(100)과 관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최적화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최적화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최적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1)의 성능을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1)의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최적화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1)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고 이러한 분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의 저장 공간은 내장 메모리 형태로 OS 등 기본적인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역할과 함께, 사진, 동영상, 음악, 오디오, 문서, 기타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역할을 병행하는 저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메모리의 용량이 커질수록 사용자 단말(101)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1)의 성능을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공간을 적당히 비워둘 필요가 있다. 이때, 최적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1) 상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적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최적화 제어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분류부(211) 및 최적화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최적화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최적화 제어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최적화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최적화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최적화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최적화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분류부(211) 및 최적화부(212)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분류부(211) 및 최적화부(212)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최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분류부(211) 및 최적화부(212)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사용자 앱'이라 칭함)과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 않았지만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이하, '시스템 앱'이라 칭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제로 모바일 기기의 메모리를 차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앱과 시스템 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기존 대부분의 최적화 방식에서는 사용자 앱과 시스템 앱을 구분하지 않고 우선적으로 모두 종료시킨다. 사용자 앱과 시스템 앱을 일괄로 종료하더라도 종료된 앱들 중 알림을 받아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상 중요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 등은 일정 시간(예컨대, 수 분) 내로 다시 실행되게 되며, 최적화 과정에서 시스템에 중요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이 같이 종료될 경우 오히려 시스템이 더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앱과 시스템 앱을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화 기술을 제안한다.
단계(301)에서 분류부(211)는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앱과 시스템 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분류부(211)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실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된 시스템 앱을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아울러, 분류부(211)는 모바일 기기 내에서 사용자가 일정 기간(예컨대, 30일) 이상 실행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일정 크기(예컨대, 10Mb) 이상의 파일 등을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분류부(211)는 캐시 파일과 같은 임시 파일,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컨텐츠(예컨대, 사진, 동영상, 음악, 오디오, 문서 등), 저장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 오래된 컨텐츠 등을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최적화부(212)는 단계(301)에서 추출된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시스템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부(213)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 않았으나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 시스템 앱을 종료 또는 삭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적화부(213)는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 예컨대, 모바일 기기의 통신사나 제조사에서 기본적으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정리 대상으로 가려내어 최적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적화부(213)는 강제 종료 후에도 자동으로 재실행되는 앱들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 상태에 오래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모바일 기기가 근본적으로 쾌적해질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고 있는 정리 대상, 예컨대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실행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 등을 삭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 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한 사전 설정에 의하여 화이트리스트로 처리될 수 있으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된 시스템 앱은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으로 선정되더라도 최적화 과정에서 종료 또는 삭제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된 사용자 앱과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된 시스템 앱을 구분하여 시스템 앱을 중심으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위한 최적화 서비스 화면(4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적화 앱은 사용자로부터 최적화 요청이 입력되거나 혹은 시스템 상황에 따라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 최적화 서비스 화면(4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적화 서비스 화면(400)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위해 분류된 정리 대상, 즉 시스템 앱,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앱, 불필요하게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대용량 파일 등을 삭제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 서비스 화면(400)에는 정리 대상 전체를 한번에 삭제할 수 있는 '한번에 지우기' 기능(401)과, 정리 대상을 종류 별로 구분한 목록(410)을 제공하여 목록(4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정리 대상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기능(40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목록(410)에는 항목 별로 각 항목에 포함된 정리 대상을 확인하는 기능과 삭제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항목에는 항목 내 정리 대상을 일괄 삭제하거나 개별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적화 서비스 화면(400)을 통해 시스템 앱에 해당되는 앱,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앱, 불필요하게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대용량 파일 등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정리 대상 전체 혹은 하나 이상의 항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리 대상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고, 최적화 앱은 사용자의 동의나 선택에 따라 정리 대상을 삭제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530)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목록(530)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목록화 하여 보여주는 모든 시스템 환경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목록(530)에는 목록에 포함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기능(503)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편집' 기능(503) 선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편집 화면(54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 화면(540)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최적화 정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화이트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화이트리스트 등록'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목록(53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편집 화면(540)을 통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적화 과정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분류부(211) 및 최적화부(212)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601)에서 분류부(211)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폴더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인스톨 시에 구성된 폴더, 그리고 사용 중간에 구성된 폴더와 다운로드 된 파일 등을 분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별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때 폴더 구성에 공통적인 저장 패턴이 있다. 예를 들어, 게임 또는 일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설치 폴더가 구성된 후 해당 폴더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들이 저장되는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사용 중에 다운로드를 하게 되면 파일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 별도의 폴더가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류부(211)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시 구성된 폴더,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중에 구성된 폴더와 다운로드 된 파일 등에 대한 정보(예컨대, 폴더명, 파일명, 저장 위치 등)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최적화부(212)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폴더와 파일을 중심으로 시스템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적화부(212)는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바탕으로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폴더와 파일 등을 모두 삭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차지하고 있던 저장 공간을 최적화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때 인스톨 시 생성된 설치 폴더만 삭제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생성된 폴더의 경우 설치 폴더와 다른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기 때문에 삭제되지 않고 잔존하여 불필요하게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삭제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에 따라 인스톨 과정에서 생성된 폴더는 물론, 사용 도중 생성된 폴더까지 모두 삭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차지하고 있던 전체 메모리 공간을 100%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화부(212)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시 삭제 대상이 되는 폴더 내의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파일을 삭제하거나 또는 활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운로드 된 파일 중 일부는 실제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삭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부(212)는 삭제 대상이 되는 폴더에 포함된 파일을 포맷 별로, 예컨대 동영상, 사진, 음악, 문서,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각 파일이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중에 다운로드 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삭제 대상이 된 파일들을 포맷 별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파일 전체 또는 일부를 삭제하거나 혹은 삭제 대상에서 제외시켜 저장 공간이 남겨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 폴더의 공통적인 패턴을 분석하여 설치된 앱의 종류를 분류하고 이러한 분류에 기반하여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최적화부(212)는 특정 앱의 실행 시 해당 앱의 실행에 앞서 자동으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최적화는 실행 중인 다른 앱을 종료하거나, 캐시 파일 등 임시 파일,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앱,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 등을 삭제하여 메모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부(212)는 게임 앱, 메신저 앱, SNS(social network service) 앱 등 특정 앱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해당 앱을 로딩하는 동안 시스템 최적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앱은 최적화 앱 내에서 특정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최적화 앱이 설치될 때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앱 중 특정 종류의 앱을 스캔하여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가 자동으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특정 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앱의 실행 시 자동으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 최적화부(212)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이 꺼지는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자동으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최적화는 마찬가지로 실행 중인 다른 앱을 종료하거나, 캐시 파일 등 임시 파일,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앱,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 등을 삭제하여 메모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부(212)는 모바일 기기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5초)이 경과하면 시스템 최적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최적화부(212)는 최적화 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되면 모바일 기기의 상태 표시줄과 바탕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최적화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730)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목록(730)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목록화 하여 보여주는 모든 시스템 환경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목록(730)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삭제' 기능(704)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삭제' 기능(704) 선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적화 화면(750)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부(212)는 '삭제' 기능(704)이 선택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폴더와 파일을 삭제하는 최적화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최적화 화면(750)을 통해 정리 대상(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폴더와 파일)이 삭제됨에 따른 최적화 과정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목록(830)에서 '삭제' 기능(804) 선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최적화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최적화 서비스 화면(86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적화 서비스 화면(86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화 서비스 화면(86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폴더와 파일을 한번에 삭제할 수 있는 '한번에 지우기' 기능(801)과, 어플리케이션의 폴더에 저장된 파일을 포맷 별로 구분한 파일 목록(861)을 제공하여 파일 목록(861)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의 파일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기능(80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파일 목록(861)에는 각 항목의 포맷 별로 해당 포맷의 파일을 확인하는 기능과 삭제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항목에는 해당 포맷의 파일을 일괄 삭제하거나 개별로 선택하여 삭제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최적화 시나리오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최적화 앱은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905)이 특정 앱, 예컨대 게임 앱에 해당하는 경우 게임 앱을 로딩하는 동안 시스템 최적화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게임 앱의 로딩 화면(970) 상에 최적화와 관련된 메시지(971)를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최적화 앱은 앱 내에서 결정된 특정 앱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앱을 대상으로 앱 실행 시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최적화 앱은 모바일 기기가 슬립 모드(1080)로 전환되면 시스템 최적화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후 웨이크업 모드(1090)로 다시 전환되면 최적화 상태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러 개의 앱이 실행됨에 따라 시스템 속도가 매우 느려진 상황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껐다가 켜면 자동 최적화로 메모리 및 백그라운 앱들이 정리되면서 시스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때, 모바일 기기가 슬립 모드(1080)에서 웨이크업 모드(1090)로 전환되면 화면이 켜지면서 최적화 완료 여부에 따라 최적화 과정이 진행 중에 있거나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1006)을 상태바에 일정 시간(예컨대, 10초) 동안 노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서비스 화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화면들이며, 화면의 구성이나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 메모리(memory)(11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 전력 회로(1150) 및 통신 회로(11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1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 및 메모리(1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1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1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1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1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최적화 앱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최적화 앱이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실행 패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가려 모바일 기기의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원칙적으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생성된 모든 구성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메모리 공간을 100% 회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포맷 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정리 대상을 확인할 수 있고 일방적인 삭제 등으로 인한 파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최적화 시스템
211: 분류부
212: 최적화부

Claims (13)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또는 삭제하여 상기 메모리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최적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일정 기간 이상 실행 이력이 없는 어플리케이션,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진 파일, 임시 파일, 일정 기간 이상 이용 이력이 없는 컨텐츠, 일정 기간 이상의 저장 기간을 가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정리 대상으로 추가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화이트리스트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정리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5. 컴퓨터로 구현되는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에서 생성된 폴더, 그리고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중간에서 생성된 폴더와 다운로드 된 파일을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폴더와 파일을 삭제하여 상기 메모리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파일을 포맷 별로 구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파일 전체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동안 상기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추가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최적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추가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종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목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슬립 모드 시 상기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추가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최적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상태 표시줄과 바탕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최적화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최적화 방법.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모바일 기기와 결합되어 최적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를 위한 정리 대상을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정리 대상을 중심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최적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상기 정리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시스템.
KR1020160107479A 2014-07-01 2016-08-2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694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77 2014-07-01
KR20140081977 2014-07-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944A Division KR101652743B1 (ko) 2014-07-01 2015-01-16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66A true KR20160105366A (ko) 2016-09-06
KR101694358B1 KR101694358B1 (ko) 2017-01-09

Family

ID=5516966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276A KR101611548B1 (ko) 2014-07-01 2014-11-28 모바일 기기의 상태에 따른 최적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50007944A KR101652743B1 (ko) 2014-07-01 2015-01-16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50007945A KR101647137B1 (ko) 2014-07-01 2015-01-16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60041512A KR101722672B1 (ko) 2014-07-01 2016-04-05 모바일 기기의 상태에 따른 최적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60107479A KR101694358B1 (ko) 2014-07-01 2016-08-2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276A KR101611548B1 (ko) 2014-07-01 2014-11-28 모바일 기기의 상태에 따른 최적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50007944A KR101652743B1 (ko) 2014-07-01 2015-01-16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50007945A KR101647137B1 (ko) 2014-07-01 2015-01-16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160041512A KR101722672B1 (ko) 2014-07-01 2016-04-05 모바일 기기의 상태에 따른 최적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611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905A1 (en) * 2019-10-18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optim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18B1 (ko) * 2017-11-28 2019-05-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20101967A (ko) * 2021-01-12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KR20220139684A (ko) * 2021-04-08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862A (ko) * 2011-07-04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1772B2 (ja) * 2002-09-13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情報端末
KR101168889B1 (ko) * 2010-06-04 2012-08-03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95936B1 (ko) * 2011-06-29 2016-02-19 네이버 주식회사 백신과 컴퓨터 최적화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최적화 방법, 최적화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24139A (ko) * 2012-11-21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101368441B1 (ko) 2012-08-21 2014-03-0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의 공간 재사용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862A (ko) * 2011-07-04 2013-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곰도라, 스마트폰 정리 최적화 어플 - 클린마스터 사용법, http://blog.naver.com/gdora/150186281280, 2014.3.4.. *
시스템어플 삭제부터 최적화까지 - 펌, http://intothesea-textcube.blogspot.kr/2012/01/blog-post_9626.html, 2012.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905A1 (en) * 2019-10-18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optim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449318B2 (en) 2019-10-18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optim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44A (ko) 2016-01-11
KR101647137B1 (ko) 2016-08-23
KR101652743B1 (ko) 2016-09-09
KR101611548B1 (ko) 2016-04-14
KR20160003537A (ko) 2016-01-11
KR101722672B1 (ko) 2017-04-03
KR20160003543A (ko) 2016-01-11
KR101694358B1 (ko) 2017-01-09
KR20160041891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358B1 (ko)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패턴 또는 저장 패턴을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9760244B2 (en) Application equivalence map for synchronized positioning of application icons across device platforms
CN106662969B (zh) 处理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4049968A (zh) 普及环境中的元数据驱动版本管理服务的方法和系统
CN103106024A (zh) 触摸屏终端中的文本输入方法及其装置
CN103823813A (zh) 电子终端历史操作记录处理方法及装置
US107158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internet cartoon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55600A (ko) 전자책 문서 처리방법, 단말기, 전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1968735A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70057288A (ko)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EP3244347A1 (en) Object recognition in an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CN103975311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KR101684828B1 (ko) 특정 조건에 의해 제어되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3365535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JPWO2005103909A1 (ja) セキュリティ保全方法およびデータ蓄積装置、セキュリティ保全サーバ、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524119B2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optimizing of mobile device
KR101699059B1 (ko) 대기 화면에서 퀵 메뉴 및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160283052A1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orting objects in a messenger platform
KR101784057B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EP28139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file system using virtual block device
CN106126534A (zh) 格式化方法及装置
CN104424006B (zh) 装置及控制方法
US20170316083A1 (en)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gram
KR101586482B1 (ko) 사용자 상태에 맞춘 검색결과 변환 방법 및 시스템
KR101948437B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