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582A -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4582A KR20160104582A KR1020160023172A KR20160023172A KR20160104582A KR 20160104582 A KR20160104582 A KR 20160104582A KR 1020160023172 A KR1020160023172 A KR 1020160023172A KR 20160023172 A KR20160023172 A KR 20160023172A KR 20160104582 A KR20160104582 A KR 20160104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od
- mixture
- heat insulating
- binder
- insula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232 water-soluble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27 polystyre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396 Polyurea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FMKFCLXZSUVPI-UHFFFAOYSA-N ethyl but-3-e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 BFMKFCLXZSU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compound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DTBXPJZTBHREO-UHFFFAOYSA-N bromine Substances BrBr GDTBXPJZTBHR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4 b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6 inorganic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53 inorganic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3 pyrophy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제1 및 제2 목질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목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목질 부재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됨과 더불어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에너지의 이동을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칭한다. 현재 단열재는 주택이나 건물 등의 외벽면이나 내벽면에 설치되는 주거용이나 벽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용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용, 또는 차량, 선박. 냉동 창고, 가전 제품 등의 보온 및 보냉을 위한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 오염 문제를 낮추기 위해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국가적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건축물의 단열재 사용에 대한 관련 법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단열재에 관해서는 특허등록 10-0750862(건축용 복합 단열재), 특허등록 10-1218238(건축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특허공개 10-2013-0041459(건축용 복합 단열재), 특허공개 10-2014-0087637(페놀 폼 기반의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 등에 소개된 바 있다.
단열재는 크게 무기물 단열재와 유기물 단열재로 구분되고, 그 밖에 무기물 단열재와 유기물 단열재의 복합재로 이루어진 것이 있다. 무기물 단열재는 주로 세라믹, 실리카, 퍼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난연성이 우수한 반면에 단열성이 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기물 단열재는 주로 스티로폼,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조가격이 낮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반면에 열에 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양호한 단열 성능을 갖는 건축물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격이 낮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성이 우수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낮출 수 있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보드 형상으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와, 상기 단열 부재의 일 측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제1 목질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목질 부재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제2 목질 부재가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목질 부재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은 목질 부재의 크기가 300mm×300mm×10mm인 경우에 650g~1Kg의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수용성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다공성 광물질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난연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내화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 부재는 한 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목질 부재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단열재의 외측에 마감재가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보드 형상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목질 부재와, 상기 목질 부재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단열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제1 목질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 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1 목질 보드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목질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상기 제2 목질 보드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단열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열 부재의 일측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하여 제1 목질 부재를 위한 제1 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 부재와 혼합물층을 가압하면서 바인더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단계 이전에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하여 제2 목질 부재를 위한 제2 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질 부재의 크기가 300mm×300mm×10mm인 경우에 650g~1Kg의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난연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내화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 형성 단계 이전에 나무 분쇄물에 난연제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단열재의 외측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 부재에 1개 이상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는 장점과 강도 측면에서 불리함을 갖는 제1 단열 부재와, 열전도율이 비교적 양호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제2 단열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열전도율과 기계적 강도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단열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나무나 목재의 제재 과정에서 발생되는 나무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그 제조 가격이 저렴하게 되고, 또한 단열재에 구비되는 다량의 다양한 기공에 의해 차음 및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는 지붕을 통해 20~40%, 벽체를 통해 20~30%, 바닥을 통해 10~15%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건축물의 내벽면이나 외벽면을 위한 단열재와 바닥재 및 천정재로 채용되어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고,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음에 대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목질 보드(10)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목질 보드(10)의 방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복합 단열재에 채용되는 삽입 부재(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목질 보드(10)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목질 보드(10)의 방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복합 단열재에 채용되는 삽입 부재(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건축물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건축하게 된다. 건축물의 건축에 사용되는 재질로서는 철 등의 금속 재료,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석회 등의 몰탈재, 타일, 석재, 판재, 목재, 유리, 자갈 등의 골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방습재, 비닐 계통이나 종이 계통의 벽지, 플라스틱 계통의 바닥재 등 매우 다양하다.
상기한 재질의 열전도율은 철 등의 금속 물질이 대략 50~370(W/mK), 콘크리트/시멘트 등이 대략 1~2.5(W/mK), 벽돌 등이 0.2~1(W/mK), 몰탈재는 0.7~1.5(W/mK), 석재는 대략 1~2.8(W/mK), 목재는 0.13~0.19(W/mK), 유리는 0.76(W/mK), 골재는 대략 2(W/mK) 내외, 방습재는 대략 0.2(W/mK) 내외, 벽지는 0.17~0.27(W/mK), 바닥재는 대략 0.19(W/mK) 내외로서 비교적 높게 측정된다.
따라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냉난방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단열재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열재에 있어서는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을 이용한 단열재의 경우에는 열전도율에 불리함이 있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발포 수지의 경우에는 난연성에 있어서 불리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건축 자재 중 목재를 단열재로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무나 목재는 열전도율이 0.13~0.19(W/mK)로서 단열재로서 활용하기에는 다소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목재는 상기한 건축 자재 중 다른 재질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고 있다. 특히 목재는 섬유조직으로 구성되면서 내부에 수관이 형성되어 있고, 섬유조직에는 다수의 기공층이 형성되어 있다.
주지되어 있는 단열재 중 가장 유효한 것 중의 하나가 기공, 특히 정지상태의 공기층이다. 기존에 유효한 단열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은 그 자체로서는 단열재가 아니다. 이들 유기물 수지가 단열재가 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발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유기물 수지를 발포하게 되면 수지에 다량의 기공, 즉 정지된 공기층이 생성되게 된다. 물론 이들 기공에는 발포 가스가 잔존하게 되고, 그 가스의 열전도율에 따라 발포 수지의 전체적인 열전도율이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포 수지에 구비되는 다량의 기공, 즉 정지된 공기층에 의해 발포 수지는 단열재로서 유효한 효과를 갖게 된다.
나무나 목재를 잘게 분쇄한 후 이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결합한다면, 나무 분쇄물을 이용하여 유용한 단열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나무나 목재는 제재 등의 작업과정에서 다량의 톱밥이 생성된다. 이러한 톱밥은 나무나 목재와 달리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현재 목재나 나무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제품으로서 목모 보드와 합성목재가 있다. 목모 보드는 나무를 가공하여 머리카락 형상의 목모를 형성하고, 이를 바인더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보드를 형성한 것이다. 목모 보드는 흡음재로서 개발된 것이다. 목모보드는 목모 사이의 단차와 기공을 이용하여 음파를 흡수또는 반사함으로써 방음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목모 보드는 보드에 형성되는 다량의 기공에 의해 일반적인 목재에 비해 양호한 대략 0.06~0.09(W/mK)의 열전도율을 나타낸다. 목보 모드의 열전도율은 여전히 단열재로서 활용하기에는 다소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반적인 나무나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하게 되는 목모는 그 생산 가격이 다소 높기 때문에 보드의 제조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합성목재는 목모 보드와 달리 톱밥 또는 이를 미세하게 분쇄한 목분을 이용한다. 합성목재는 톱밥 또는 목분을 바인더와 혼합하고, 이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 성형하여 형성하게 된다. 합성 목재는 무게가 무겁고 높은 강도를 갖추고 있으며, 주로 목재의 대용으로서 저가용 가구재나 건축자재의 용도로서 활용된다. 이들 합성 목재의 열전도율은 목재와 동등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값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목재는 기본적으로 열전도율이 일반적으로 단열재에서 요구되는 값보다 다소 높다. 또한 목재나 목모 또는 합성목재로 구성되는 판재는 발포 수지에 비해 무게가 매우 무겁고 가격 또한 고가이다. 이러한 이유로 목재는 단열재로서 활용되거나 그러한 용도로서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톱밥이나 목분을 결합하여 판재를 형성할 때 판재에 다량의 정지된 공기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유효한 목질 보드를 구성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유효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목질 보드(1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목질 보드(10)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판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주된 재질은 톱밥이나 목분 등의 나무 분쇄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나무나 목재를 제재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톱밥이라 칭하는 다양한 입자 크기의 나무 분쇄물이 형성되고, 필요한 경우 이들 톱밥이나 나무 또는 목재를 분쇄하여 목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나무나 목재를 분쇄하여 균일한 크기의 나무 분쇄물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톱밥이나 목분 또는 나무나 목재의 부산물을 나무 분쇄물로서 총칭하기로 한다.
나무 분쇄물을 사용하여 목질 보드(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 즉 성형 재료를 형성한 후, 이 성형 재료를 압연 또는 압출 성형하게 된다. 이때 바인더로서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 계열의 유기물 바인더를 바람직하게 채용한다. 상기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ABS수지, 우레탄 등이나 예컨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수지가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바인더에는 바람직하게 브롬계, 염소계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나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예컨대 무기수산화물계 등의 무기계 난연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에는 활석, 납석 등의 내열성, 내화성 물질이나, 안료, 무기물 등의 충전제, 또는 분산제가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의 양은 바인더의 종류나 나무 분쇄물의 종류에 따라 대략 25~50중량%로 한다. 또한 판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하여 성형 재료의 양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단위 부피당 성형 재료의 양을 너무 많게 설정하게 되면 판재의 밀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열전도율이 크게 저하되고, 성형 재료의 양을 너무 적게 설정하게 되면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판재의 크기를 예컨대 300mm×300mm×10mm로 하는 경우 성형재료의 양은 대략 650g~1Kg의 양으로 설정한다. 또한 성형 온도는 9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90~185도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바인더로서 예컨대 수용성 우레탄 등의 수용성 바인더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수용성 바인더는 나무 분쇄물을 압연 또는 압축 성형할 때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판재에 다량의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목질 보드(10)의 열전도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기 전에 나무 분쇄물에 난연재를 흡착시킴으로써 목질 보드(10)의 난연성을 높이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질 보드(10)의 변형 예로서,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 즉 성형 재료에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질석 등의 다공성 물질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떠한 매질이 갖고 있는 단열 및 방음 능력은 그 매질이 갖고 있는 기공에 의해 유효하게 결정된다. 특히 방음 능력은 기공의 수효와 더불어 기공의 크기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기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저주파 대역의 음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나무 분쇄물을 이용하여 목질 보드를 형성하는 경우, 단열재에 형성되는 기공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목질 보드를 성형할 때 가압력을 높임으로써 그 밀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목질 보드의 밀도를 높이게 되면 내부의 기공 양이 축소됨으로써 단열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목질 보드에는 미세한 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결과적으로 저주파 대역의 음파에 대한 방음 효과를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다공성 물질, 즉 다공질 세라믹의 경우에는 세라믹 입자에 수십 ~ 수백 nm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공성 물질을 성형 재료에 혼합하게 되면 단열재에 의한 차음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어떠한 물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흡음 및 차음 기능이 향상된다. 도 2는 이러한 흡음 및 차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는 20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매질이다. 이 매질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 기공(21)과 직경이 작은 제2 기공(22)이 존재한다고 할 때, 외부에서 음파(A)가 인입되면 이 음파(A)는 매질(20)과 제1 및 제2 기공(21, 22)을 통해서 전파되게 된다. 그런데 제1 기공(21)을 통과한 음파(A)가 제2 기공(22)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a 및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음파(A)가 반사하거나 굴절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제2 기공(22)을 통과한 음파(b)가 제1 기공(21)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된다. 이는 기공의 크기에 따라 기공의 공진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차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통과시키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되고, 흡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흡수하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떠한 매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음파가 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음파의 직진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즉 차음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음파가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통과하면서 공진된다. 즉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에너지가 기공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흡음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목질 보드(10)의 다른 변형 예로서 나무 분쇄물과 혼합되는 유기 바인더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목질 보드(10)를 성형할 때 유기 바인더를 발포시키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목질 보드(1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열전도율이 낮다.
상기한 목질 보드(10)는 나무 분쇄물 사이에 다량의 안정적인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비교적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내게 된다.
2. 발포 유기물에 비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일반적인 발포 유기물은 외부로부터의 작은 물리적 충격에 의해서는 부러지거나 부서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목질 보드(10)는 외부 충격에 대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3. 다수의 기공들이 포함되므로 무게가 매우 가볍다.
상기한 목질 보드(10)는 나무 분쇄물 사이에 다량의 안정적인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기존의 합성목재에 비하여 매우 가볍다는 특성을 나타낸다.
4. 난연성을 갖는다.
상기한 목질 보드(10)는 바인더에 난연성 물질을 혼합하거나 나무 분쇄물에 난연성 물질을 흡착시키는 방법을 통해 난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5. 제조 가격이 저렴하다.
통상 톱밥 등의 나무 분쇄물은 나무나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이므로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6. 방음효과를 제공한다.
나무 분쇄물에는 목재 본래의 기공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나무 분쇄물을 압축성형하게 되면 그 압축 강도에 따라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공들은 단열재의 열전도율을 낮춤은 물론이고 단열재를 통과하는 음파를 반사하거 굴절시킴으로써 단열재의 방음 효과를 제고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제1 부재, 즉 도 1의 목질 보드(10)의 일 측에 제2 부재(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2 부재(30)로서는 단열재 보드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부재(10)는 목질 부재, 제2 부재(30)는 단열 부재로서도 지칭될 것이다.
상기 제2 부재(30)는 예컨대 PVC,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수성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유기물에 발포제를 혼합한 후 발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부재(30)로서는 바람직하게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페놀 수지 발포 폼 등이 채용된다. 제2 부재(30)를 위한 단열재로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각각 형성한 후, 이들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다음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우선,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기 전에 나무 분쇄물을 건조하는 과정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혼합물을 적층하여 목질 부재(10)를 위한 제1 층을 형성하고, 이 제1 층의 상측에 제2 부재(30)를 적층한 후, 이들 적층물에 전체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복합 단열재를 제조한다. 물론, 본 제조 방법에서 제1 층으로서 제2 부재(30)를 배치한 후, 이 제1 층 위에 상기 혼합물로 목질 부재(10)를 위한 제2 층을 적층하여 가압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2 부재(30), 즉 단열부재가 건축물의 내벽면 또는 외측 벽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외측에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목질 부재(10)가 설치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목질 부재(10)에 가해지게 되면 목질 부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신축성을 갖는 단열 부재(10)로 분산 및 흡수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부적절한 충격 등에 의해 단열 부재가 손상되는 일이 방지된다. 즉, 목질 부재(10)와 단열 부재(30)에 의한 상승 효과에 복합 단열재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목질 부재(10)가 난연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단열 부재가 부적절하게 손상되는 일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목질 부재(10)를 통해 목재의 질감을 제공하고, 특히 목질 부재(10)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거나 목질 부재(10)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열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실내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도 1 및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합 단열재는 단열 부재(30)의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목질 부재(10, 4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샌드위치 판넬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목질 부재(10, 40)는 도 1의 목질 보드(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복합 단열재는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복합 단열재는 단열 부재(30)의 양측에 접착제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목질 부재(10, 40)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복합 단열재는 바람직하게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적층하여 제1 목질 부재(10)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층을 적층하고, 제1 층의 상측에 단열 부재(30)를 배치하며, 다시 단열 부재(30)의 상측에 제2 목질 부재(40)를 위한 혼합물의 제2 층을 적층한 후, 이들 적층물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성형을 실행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사무실, 병원, 학교 등의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데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 등의 경량 벽체나 천정재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합 단열재는 제1 및 제2 목질 부재(10, 40)의 사이에 제1 삽입 부재(5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 삽입 부재(50)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페놀 수지 발포 폼 등의 발포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 부재(50)에는 다수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된다. 관통구멍(51)의 크기와 형상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구멍(51)은 제1 삽입 부재(50)의 양측에 제1 및 제2 목질 부재(10, 40)를 결합했을 때 제1 및 제2 목질부재(10, 40)의 중간에 안정적으로 기공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상태의 공기층, 즉 기공은 매우 유효한 단열재이다. 공기의 열도전도율은 0.025(W/mK)로서 일반적인 발포 수지나 글라스울(0,035W/mK) 보다도 낮은 열전도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제1 목질부재(10)와 제2 목질 부재(40)의 사이에 안정적인 다수의 기공층(51)들이 형성된다. 이때 기공층(51)의 크기와 수효는 제1 삽입 부재(5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51)의 크기와 수효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공층(51)들은 제1 목질 부재(10)와 제2 목질 부재(40)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복합 단열재의 연전도율을 더욱 낮추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요부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목질 부재(10)의 내부에 예컨대 발포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삽입 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삽입 부재(6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 삽입 부재(60)는 예컨대 발포 수지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됨과 더불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보드로 구성된다. 특히 제2 삽입 부재(60)에는 다수의 결합공(61)이 구비된다. 상기 발포 수지로서는 바람직하게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페놀 수지 발포 폼 등이 채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이 채용된다.
본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적층하여 1층 재료층을 형성하고, 이 위에 제2 삽입 부재(60)를 배치한다. 그리고 다시 제2 삽입 부재(60)의 상측에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적층하여 2층 재료층을 형성함으로써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 내측에 삽입 부재(60)를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적층물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압하면서 바인더를 경화시킴으로써 단열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의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제2 삽입 부재(60)의 결합공(61)을 통해 삽입 부재(60)의 상하측 혼합물이 연통되어 경화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부재(60)는 목질 보드(10) 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목질 부재(10)를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목질 부재(10) 내에 발포 수지 등의 삽입 부재(6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므로 목질 부재(10)와 단열 부재를 추가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목질 부재(10)와 삽입 부재가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난연성과 강도 측면에서 불리함을 갖는 제1 부재와, 열전도율이 비교적 양호하면서도 우수한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제2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열전도율과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단열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부재, 즉 목질 부재(10)와 제2 부재, 즉 단열 부재(30, 50) 또는 삽입 부재(60)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밀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접합하게 되면 그 접합면에서 음파 에너지가 굴절 및 분산됨으로써 양호한 흡음 또는 차음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는 건축물에 채용되어 층간 소음 등을 낮추는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목질 부재(10, 40)는 다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각 층은 서로 다른 바인더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표면 밀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실시 예에서 제1 목질 부재(10)와 제2 목질 부재(40)는 나무 부산물을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 이외에 다른 성분, 특 바인더의 종류, 성형 밀도, 난연제나 충진제 등의 첨가제 등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복합 단열재의 외측에 예컨대 불포화 수지 등을 마감재로서 도포하고, 또한 이때 불포화 수지에 난연제나 내화제, 안료 등을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40 : 목질 부재 20 : 매질
21, 22 : 기공 30 : 단열 부재
50, 60 : 삽입부재 51 : 관통구멍
61 : 결합공
21, 22 : 기공 30 : 단열 부재
50, 60 : 삽입부재 51 : 관통구멍
61 : 결합공
Claims (26)
-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보드 형상으로 구성되는 단열 부재와,
상기 단열 부재의 일 측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제1 목질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목질 부재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제2 목질 부재가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목질 부재는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은 목질 부재의 크기가 300mm×300mm×10mm인 경우에 650g~1Kg의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수용성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다공성 광물질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난연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혼합물에 내화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한 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목질 부재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열재의 외측에 마감재가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보드 형상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목질 부재와,
상기 목질 부재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나무 분쇄물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단열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제1 목질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 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1 목질 보드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목질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상기 제2 목질 보드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질 부재의 크기가 300mm×300mm×10mm인 경우에 650g~1Kg의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난연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내화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형성 단계 이전에 나무 분쇄물에 난연제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단열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 부재의 일측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하여 제1 목질 부재를 위한 제1 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 부재와 혼합물층을 가압하면서 바인더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 이전에 상기 단열 부재의 타측에 상기 혼합물을 적층하여 제2 목질 부재를 위한 제2 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질 부재의 크기가 300mm×300mm×10mm인 경우에 650g~1Kg의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난연제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내화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형성 단계 이전에 나무 분쇄물에 난연제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열재의 외측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에 1개 이상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유기 바인더이고, 상기 바인더에 발포제가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27648 | 2015-02-26 | ||
KR1020150027648 | 2015-02-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4582A true KR20160104582A (ko) | 2016-09-05 |
Family
ID=5693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3172A KR20160104582A (ko) | 2015-02-26 | 2016-02-26 |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04582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862B1 (ko) | 2006-11-09 | 2007-08-27 | 김샘 | 건축용 복합 단열재 |
KR101218238B1 (ko) | 2011-04-11 | 2013-01-03 | 최진철 | 건축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30041459A (ko) | 2011-10-17 | 2013-04-25 | 영보화학 주식회사 | 건축용 복합 단열재 |
KR20140087637A (ko) | 2012-12-31 | 2014-07-09 | 캐스켐텍(주) | 페놀 폼 기반의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 벽재 |
-
2016
- 2016-02-26 KR KR1020160023172A patent/KR2016010458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0862B1 (ko) | 2006-11-09 | 2007-08-27 | 김샘 | 건축용 복합 단열재 |
KR101218238B1 (ko) | 2011-04-11 | 2013-01-03 | 최진철 | 건축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30041459A (ko) | 2011-10-17 | 2013-04-25 | 영보화학 주식회사 | 건축용 복합 단열재 |
KR20140087637A (ko) | 2012-12-31 | 2014-07-09 | 캐스켐텍(주) | 페놀 폼 기반의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 벽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47950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insulation | |
KR20160104581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127492A (ko) |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 |
WO2016137269A2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07360B1 (ko) | 소음 방지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60104582A (ko) |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23219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 |
KR101750182B1 (ko) | 난방 배관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101326A (ko) |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 |
KR200382999Y1 (ko) | 소음 방지재 | |
KR101630530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200431428Y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 |
KR20170074119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25544B1 (ko) | 난연성 세라믹 패널 | |
KR102066672B1 (ko) | 건축물 외벽 패널 | |
KR20160115615A (ko) | 난방 배관용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15618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75245A (ko) | 건축용 방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120065A (ko) | 샌드위치 판넬 | |
KR20170003866U (ko) | 샌드위치 판넬 | |
KR101458667B1 (ko) |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수지를 이용한 하니콤보드 | |
KR20160115616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30514B1 (ko) | 소음방지재 | |
KR100700640B1 (ko) | 소음 방지재 | |
KR20160115617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