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616A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5616A KR20160115616A KR1020150043638A KR20150043638A KR20160115616A KR 20160115616 A KR20160115616 A KR 20160115616A KR 1020150043638 A KR1020150043638 A KR 1020150043638A KR 20150043638 A KR20150043638 A KR 20150043638A KR 20160115616 A KR20160115616 A KR 201601156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inder
- mixture
- insulating material
- heat insul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7 bo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2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은 타측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 에너지의 이동을 억제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칭한다. 현재 단열재는 주택이나 건물 등의 외벽이나 내벽면에 설치되는 주거용이나 벽체,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용 등으로 사용되는 패널용, 또는 차량, 선박. 냉동 창고, 가전 제품 등의 보온 및 보냉을 위한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 오염 문제를 낮추기 위해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국가적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건축물의 단열재 사용에 대한 관련 법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단열재에 관해서는 특허등록 10-0750862(건축용 복합 단열재), 특허등록 10-1218238(건축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특허공개 10-2013-0041459(건축용 복합 단열재), 특허공개 10-2014-0087637(페놀 폼 기반의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 등에 소개된 바 있다.
단열재는 크게 무기물 단열재와 유기물 단열재로 구분되고, 그 밖에 무기물 단열재와 유기물 단열재의 복합재로 이루어진 것이 있다. 무기물 단열재는 주로 세라믹, 실리카, 퍼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불연성이 우수한 반면에 단열성이 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기물 단열재는 주로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조가격이 낮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반면에 열에 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기물 단열재로서 높은 단열성과 양호한 불연성을 갖는 글라스울이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글라스울은 제조가격이 매우 높기 때문에 건축용 단열재로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불리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양호한 단열 성능을 갖는 건축물용 단열재를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격이 낮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성이 우수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이 우수하여 건축물이 층간 소음을 낮출 수 있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2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은 타측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됨과 더불어 일 측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과 대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제2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질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은 가압하여 제2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형성 단계 또는 제2 패널 형성 단계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의 일측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은 가압하여 제2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형성 단계와 제2 패널 형성 단계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가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물 바인더는 5~25 중량%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는 열전도율과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단열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1 패널(21)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의 차음 및 흡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1 패널(21)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의 차음 및 흡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건축물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건축하게 된다. 건축물의 건축에 사용되는 재질로서는 철 등의 금속 재료,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석회 등의 몰탈재, 타일, 석재, 판재, 목재, 유리, 자갈 등의 골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방습재, 비닐 계통이나 종이 계통의 벽지, 플라스틱 계통의 바닥재 등 매우 다양하다.
상기한 재질의 열전도율은 철 등의 금속 물질이 대략 50~370(W/mK), 콘크리트/시멘트 등이 대략 1~2.5(W/mK), 벽돌 등이 0.2~1(W/mK), 몰탈재는 0.7~1.5(W/mK), 석재는 대략 1~2.8(W/mK), 목재는 0.13~0.19(W/mK), 유리는 0.76(W/mK), 골재는 대략 2(W/mK) 내외, 방습재는 대략 0.2(W/mK) 내외, 벽지는 0.17~0.27(W/mK), 바닥재는 대략 0.19(W/mK) 내외로서 비교적 높게 측정된다.
따라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냉난방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단열재를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서 사용되는 단열재는 통상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발포한 발포 수지를 주로 채용하고 있다. 이들 발포 수지는 열전도율이 대략 0.04(W/mK) 이하로서 열전도율이 매우 낮고 가벼우며, 제조가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 수지를 이용하는 단열재는 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건축물에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물 전체를 전소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열재는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을 이용한 단열재의 경우에는 열전도율에서 불리함을 갖고 있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발포 수지의 경우에는 난연성에서 불리함이 있게 된다.
주지되어 있는 단열재 중 가장 유효한 것 중의 하나가 공기, 특히 정지상태의 공기층이다. 기존에 유효한 단열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은 그 자체로서는 단열재가 아니다. 이들 유기물 수지가 단열재가 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발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유기물 수지를 발포하게 되면 수지에 다량의 기공층, 즉 정지된 공기층이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공층에 의해 발포 수지는 단열재로서 유효한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한 건축 자재 중 목재의 경우에는 다른 재질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고 있다. 목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톱밥 등의 부산물이 산출된다. 이러한 톱밥을 결합하여 보드를 제조하게 되면 보드에는 본래의 목재 보다 많은 수효의 기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공들의 크기나 수효는 보드를 제조할 때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는 목재를 분말화한 목분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특히 톱밥이나 목분의 경우에는 난연성을 갖는 무기물 바인더와 용이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자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톱밥이나 목분을 무기물 바인더와 결합하여 보드를 제조하게 되면 보드의 열전도율은 0.09(W/mK)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W/mK) 이하로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톱밥이나 목분을 무기물 바인더와 결합하여 보드를 제조하게 되면 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열전도율이 낮다.
2. 발포 유기물 단열재에 비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3. 다수의 기공들이 포함되므로 무게가 매우 가볍다.
4. 난연성을 갖는다.
5. 제조 가격이 저렴하다.
결론적으로 톱밥이나 목분을 무기물 바인더로 결합하여 생상된 재질은 기존의 발포 수지에 비해 열전도율이 다소 높다는 단점 이외에 건축 자재로서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건축자재로서 우수한 특징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종래의 단열재와 동등의 열전도율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난연성을 갖는 단열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건축용 단열재는 제1 및 제2 패널(21, 22)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21, 2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톱밥이나 목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다. 제1 및 제2 패널(21, 22)은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바인더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패널(21, 22)은 난연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유기물 바인더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21, 22)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기에 넣어 잘 혼합하게 된다. 이때 바인더는 톱밥 또는 바인더에 대해 대략 5~25 중량%를 혼합한다. 그리고 이 혼합물을 압출 로울러로 이송하여 압출하거나, 예컨대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법을 통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보드로 제작하게 된다. 물론, 단열재의 크기나 형상 등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패널(21, 22)을 제조한 후에는 이를 접합제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단열재를 완성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열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상기 제1 패널(21)의 상면, 즉 제1 패널(21)에서 제2 패널(22)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다수의 홈(211)이 구비된다. 도 3은 제1 패널(21)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홈(211)은 예컨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홈(211)은 제1 패널(21)과 제2 패널(22)을 결합시킨 경우에 단열재 내부에 기공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211)의 형상 및 크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홈(211)의 개수도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제1 패널(21)의 일 측면에 홈(211)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패널(22)의 일 측면, 즉 제2 패널(22)과 제1 패널(21)을 결합하는 경우에 제2 패널(22)에서 제1 패널(21)과 대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홈(221)을 형성하는 것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는 톱밥 또는 목분과 무기물 바인더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단열재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기공의 수효나 크기는 혼합물의 압축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열재는 중간 부분에 대용량의 기공(211, 221)들이 구비된다. 이 기공(211, 221)들은 특히 제1 패널(21)과 제2 패널(22) 사이의 열전도를 억제함으로써 단열재의 전체적인 열전도율을 대폭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21, 22)에 구비되는 비교적 미세한 기공과, 제1 및 제2 패널(21, 22)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대용량의 기공(211, 221)들은 상호 작용을 하여 단열재의 차음 및 흡음 능력을 제고하게 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어떠한 물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흡음 및 차음 기능이 향상된다. 도 5는 이러한 흡음 및 차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는 200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질 물질이다. 이 다공질 물질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 기공(210)과 직경이 작은 제2 기공(220)이 존재한다고 할 때, 외부에서 음파(A)가 인입되면 이 음파(A)는 매질(200)과 제1 및 제2 기공(210, 220)을 통해서 전파되게 된다. 그런데 제1 기공(210)을 통과한 음파(A)가 제2 기공(220)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a 및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음파(A)가 반사하거나 굴절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제2 기공(220)을 통과한 음파(b)가 제1 기공(210)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차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통과시키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되고, 흡음 기능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음파를 어느 정도 흡수하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물질은 외부의 음파에 자극을 받으면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에 영향을 준 주파수음은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통해 흡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떠한 매질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기공을 형성하게 되면 음파가 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음파의 직진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즉 차음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음파가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통과하면서 공진된다. 즉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파 에너지가 기공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흡음 기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는 제1 패널(21)과 제2 패널(2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기공(211, 221)에 의해 단열재의 열전도율과 더불어 차음 및 흡음 능력이 제고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는 장점과 난연성과 강도 측면에서 유효한 특성을 가짐과 더불어 차음 및 흡음 능력이 우수한 단열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제1 패널(21) 또는 제2 패널(22)에 선택적으로 홈(211, 221)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널(21)과 제2 패널(22)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모두 홈(211, 222)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제1 패널(21)과 제2 패널(22)을 형성할 때 톱밥 또는 목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톱밥 또는 목분에 바람직하게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다공성 광물질로서는 바람직하게 질석이나 세라믹이 채용될 수 있다. 이들 광물질에 존재하는 기공의 경우에는 크기가 수십 nm 정도로서 미세하다. 다공성 광물질에 구비되는 기공들은 단열재의 열전도율을 낮추는 기능 이외에 건축물의 층간소음, 특히 저주파 대역이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21 : 제1 패널, 22 : 제2 패널.
211, 221 : 홈.
211, 221 : 홈.
Claims (22)
-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제2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은 타측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질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됨과 더불어 일 측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의 일 측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과 대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홈이 구비되는 제2 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이 다공성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질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질은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은 가압하여 제2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형성 단계 또는 제2 패널 형성 단계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의 일측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바인더는 5~25 중량%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톱밥 또는 목분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제1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은 가압하여 제2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 형성 단계와 제2 패널 형성 단계는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무기물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바인더는 5~25 중량%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다공성 광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3638A KR20160115616A (ko) | 2015-03-27 | 2015-03-27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3638A KR20160115616A (ko) | 2015-03-27 | 2015-03-27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616A true KR20160115616A (ko) | 2016-10-06 |
Family
ID=5716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3638A KR20160115616A (ko) | 2015-03-27 | 2015-03-27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15616A (ko) |
-
2015
- 2015-03-27 KR KR1020150043638A patent/KR20160115616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704818U (zh) | 一种新型高强高保温高隔音复合墙板 | |
CN101617090A (zh) | 隔热轻型墙壁建筑原料 | |
CN102276202B (zh) | 三组分保温防火隔音材料及其制备方法 | |
CN201125464Y (zh) | 预制保温隔音复合墙板 | |
KR20170114930A (ko) | 건축용 심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127492A (ko) |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04581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CN202347725U (zh) | 一种新型保温隔音复合墙板 | |
KR20160115616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CN201695560U (zh) | 泡沫混凝土夹心自保温砌块 | |
KR101630530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20160115618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101326A (ko) |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 |
KR20160109850A (ko) | 건축용 단열재 | |
KR20160104503A (ko) | 건축용 단열재 | |
KR20160115617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25544B1 (ko) | 난연성 세라믹 패널 | |
CN202181621U (zh) | 具有保温隔音阻燃性能的强力发泡轻质板材 | |
KR20160115615A (ko) | 난방 배관용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09854A (ko) | 건축용 단열재 | |
KR20170074119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96737B1 (ko) | 난방 배관용 흡음판 | |
KR20160116450A (ko) |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16455A (ko) |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09851A (ko) | 단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