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342A - 허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허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342A
KR20160104342A KR1020150027214A KR20150027214A KR20160104342A KR 20160104342 A KR20160104342 A KR 20160104342A KR 1020150027214 A KR1020150027214 A KR 1020150027214A KR 20150027214 A KR20150027214 A KR 20150027214A KR 20160104342 A KR20160104342 A KR 2016010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rror
virtual image
pentaprism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342A/ko
Priority to PCT/KR2016/001922 priority patent/WO2016137274A1/ko
Priority to US15/553,924 priority patent/US10684428B2/en
Publication of KR2016010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7Viewing apparatus comprising magnifying means
    • G02B27/24
    • G02B27/2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Abstract

허상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펜타 프리즘; 및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관찰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확대 허상을 제공하는 광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상 표시 장치{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허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허상 표시 장치는 눈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상광을 정밀한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 가상의 대형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초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확대된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허상 표시 장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aly, HMD)나 현미경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특히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소형화가 비약적으로 진행되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몸에 착용하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등장함에 따라, 현재는 항공우주, 비디오 게임, 실습 및 레저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허상 표시 장치는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생성되는 영상을 확대 영상으로 제공하는데 배율은 약 100~110배 정도가 일반적인 수준이다.
한편, 배율은 상거리와 말체 거리의 비율에 따라 정해지는데 허상의 위치가 결정이 되면 물체의 위치도 정해지게 된다. 이때 대화면 구현을 위해서는 허상 위치를 멀게 위치 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물체 거리도 길어지고 광학계의 초점 거리 및 후초점 거리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화면을 구현하고자 하면 소형화가 어렵게 되고, 소형화를 구현하고자 하면 대화면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화면을 구현하면서도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한 허상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펜타 프리즘; 및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관찰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확대 허상을 제공하는 광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펜타 프리즘의 입사면과 출사면에는 렌즈가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모으는 집광 렌즈; 및 상기 집광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집광 렌즈를 투과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반사 미러는 반사되는 빛이 상기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면이 관찰자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에서 출사되는 빛을 모으는 집광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반사 미러는 반사되는 빛이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면이 관찰자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편광 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미러; 및 상기 편광 미러에서 투과된 빛을 다시 편광 미러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상기 편광 미러는 상기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펜타 프리즘을 사용함으로써 대화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학 장치의 소형화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펜타 프리즘(12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상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된 펜타 프리즘(12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허상 광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소자(110), 펜타 프리즘(120), 및 광학소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10)는 영상(Image)을 표시하는 소자로 LCD 패널이나 다른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소자(110)는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on Silicon : LCoS),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Digital Light Processing :DLP), 광원이 결합된 마이크로 LCD 소자 또는 자체발광하는 마이크로 OLED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크기는 1인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이크로 반사형인 실리콘 액정 표시소자, 디지털 광원 표시소자, 마이크로 LCD 소자는 자체 발광이 아니므로 외부에서 광원이 결합되어야 한다. 즉, 백라이트를 사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LCD 패널 또는 프론트 라이트(Frontlight)를 사용한 반사형 마이크로 LCD 패널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OLED 패널은 자체 발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으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소자(110)로 입사되도록 광경로를 조절하는 광학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펜타 프리즘(120)은 도 2에 도시된 바과 같이 다섯면을 갖는 반사 프리즘이며, 입사된 빛을 90°로 굴절시켜 출사시키다.
상기 펜타 프리즘(120)의 입사면과 출사면에는 각각 렌즈(126, 1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26, 128)가 없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렌즈(126, 128)을 부착함으로서 해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펜타 프리즘(120)은 다섯 면을 가진 펜타 프리즘으로서, "제1면"(121)은 펜타 프리즘(120)에서 90°로 굴절시켜 출사하기 위해 입사되는 빛의 투과면을 말하고, "제2면"(122)은 제1면(121)에서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첫 번째 면을 말하며, "제3면"(123)은 제2면(122)에서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하는 두 번째 면을 말하며, "제4면"(124)은 제3면(123)에서 반사된 빛이 펜타 프리즘(120) 밖으로 출사하기 위해 투과하는 면을 말하며, "제5면"(125)은 펜타 프리즘(120)에 입하되는 빛을 90°로 굴절시키기 위해 광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면으로서, 제2면(122)과 제3면(123) 사이에 구비된 면을 말한다.
상기 제1면(121)부터 제5면(125)까지 구비된 펜타프리즘(120)은 피사체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1면(121)을 투과하고, 제2면(122) 및 제3면(123)에 순차적으로 반사되며, 마지막으로 제4면(124)을 투과함으로써, 90°로 굴절된 상을 맺게 된다.
도 2에서 살펴본 펜타 프리즘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3 및 도4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광학 소자(130)는 펜타 프리즘(120)에서 출사되는 빛을 관찰자의 눈으로 반사시켜 관찰자가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학 소자(130)는 집광렌즈(132)와 반사미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132)는 펜타 프리즘(120)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출사된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광 렌즈(132)란 광원으로부터 어떤 입체각 내에 발산하는 광선속(빛다발)을 이보다작은 입체각 내에 모아서 높은 조도를 얻기 위한 렌즈로서 결상 렌즈만큼 정밀도를 요하지 않고 집광하는 입체각은 가급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점 거리에 비해서 구경이 크다. 집광 렌즈(132)는 적어도 하나의 구면렌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렌즈 중 선택된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미러(134)는 집광 렌즈(132)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는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반사 미러(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된 빛이 관찰자의 눈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대략 45°)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소자(110)에서 출사된 빛은 펜타 프리즘(120)을 거쳐 90도 굴절되어 광학 소자로 입사된 후 반사미러(134)에서 최종적으로 반사되어 출사된다. 이러한 광경로를 통해 관찰자는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확대 허상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는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200) 역시 디스플레이 소자(210), 펜타 프리즘(220), 반사미러(234) 및 광학 소자(230)를 포함하고 있어 도 1에서 살펴본 허상 광학 장치(100)와 거의 유사한 구성을 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집광렌즈(232)를 광학 소자(220)의 출사면에 형성된 점만 상이하고 동일한 광경로를 형성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의 실시예는 차단형(see-closed) 광학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투과형(see-through) 광학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상 광학 장치(300) 역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소자(310), 펜타 프리즘(320), 및 광학소자(33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광학소자(330)는 편광 미러(332)와 반사미러(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편광 미러(332)는 입사되는 빛을 선평광된 빛으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반사 미러(334)는 입사되는 빛을 모두 반사시킨다. 즉, 펜타 프리즘(320)에서 출사된 빛은 편광 미러(332)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하게 되는데, 통과된 빛은 반사미러(334)에서 다시 반사되어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때 편광 미러는 빛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방향(대략 45°)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편광 미러(332)는 빛을 편광 성분에 따라 분리하기 때문에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로 불려지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펜타 프리즘(320)의 입사면 및 출사면에 렌즈를 도시 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디스플레이 소자 120, 220, 320: 펜타 프리즘
130, 230, 330: 광학소자 132, 232: 렌즈
134, 234: 반사미러 332 : 편광미러
334: 반사미러

Claims (8)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소자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펜타 프리즘; 및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여 관찰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확대 허상을 제공하는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 프리즘의 입사면과 출사면에는 렌즈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모으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집광 렌즈를 투과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허상 광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반사되는 빛이 상기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면이 관찰자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 및
    상기 하프 미러에서 출사되는 빛을 모으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반사되는 빛이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면이 관찰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펜타 프리즘에서 출사되는 빛을 편광 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미러; 및
    상기 편광 미러에서 투과된 빛을 다시 편광 미러로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미러는 상기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관찰자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상 광학 장치.

KR1020150027214A 2015-02-26 2015-02-26 허상 표시 장치 KR20160104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14A KR20160104342A (ko) 2015-02-26 2015-02-26 허상 표시 장치
PCT/KR2016/001922 WO2016137274A1 (ko) 2015-02-26 2016-02-26 프론트 라이트 유닛 및 영상 표시 장치
US15/553,924 US10684428B2 (en) 2015-02-26 2016-02-26 Front light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14A KR20160104342A (ko) 2015-02-26 2015-02-26 허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42A true KR20160104342A (ko) 2016-09-05

Family

ID=5693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14A KR20160104342A (ko) 2015-02-26 2015-02-26 허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3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0385A (zh) * 2017-02-28 2019-04-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视频眼镜头箍和视频眼镜
CN110161685A (zh) * 2018-02-12 2019-08-23 杭州太若科技有限公司 Ar显示装置和穿戴式ar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0385A (zh) * 2017-02-28 2019-04-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视频眼镜头箍和视频眼镜
CN110161685A (zh) * 2018-02-12 2019-08-23 杭州太若科技有限公司 Ar显示装置和穿戴式ar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0030B2 (ja) 小型ヘッドマウント式表示システム
US10386563B2 (en) Illuminator for a wearable display
US8471967B2 (en) Eyepiece for near-to-eye display with multi-reflectors
CN108713159B (zh) 场曲校正显示器
US8786686B1 (en) Head mounted display eyepiece with integrated depth sensing
US20190391408A1 (en) Compact collimating optical device and system
US20180157057A1 (en) Optical system with compact collimating image projector
CN110554500B (zh) 头戴式显示装置
US11275234B2 (en) Projection objective and waveguide display device
KR20160032656A (ko) 증강현실을 위한 광학장치
CN110678801B (zh) 用非远心成像防止重影图像的显示设备系统
CN110058410B (zh) 波导组件和近眼显示设备
US20160377867A1 (en) Birefringent Ocular for Augmented Reality Imaging
JP4194218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11682104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laterally shifting image
KR20160104342A (ko) 허상 표시 장치
JP2000241751A (ja) 映像表示装置
US767568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9031708A (ja) コンバイナ光学系、装着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眼鏡
JP201911723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7264029A (ja) ファインダ光学系及びこれを搭載する光学機器
KR101815732B1 (ko) 애너모픽 렌즈를 이용한 광학 장치
JPWO2019171449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1343607A (ja) 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導光素子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4045787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