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923A -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923A
KR20160103923A KR1020160014106A KR20160014106A KR20160103923A KR 20160103923 A KR20160103923 A KR 20160103923A KR 1020160014106 A KR1020160014106 A KR 1020160014106A KR 20160014106 A KR20160014106 A KR 20160014106A KR 20160103923 A KR20160103923 A KR 2016010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flame
galvanized steel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면승
Original Assignee
(주)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공 filed Critical (주)영공
Publication of KR2016010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 내화패널,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심재로서 단열보드를 표면판재인 아연도금 강판과 아연도금 강판 사이에 게재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과 아연도금 강판의 양단에 형성한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 강판을 구성하는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에 난연성 도료층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Flame retardant construction panel structure}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 내화패널,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은 E.P.S 보드(Expanded Polystyren Board)나 유리섬유보드(Glass Wool Board), 발포 우레탄을 내부 단열보드로 사용하고, 상기 내부 단열보드의 외부면에 아연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판재와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은 내부로의 화염전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건축용 패널의 보호는 물론, 열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탄화현상을 방지하여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화재로 인한 건축용 패널의 유해성을 최소화하여 인체나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난연성 패널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난연성 패널을 제공하기 위해 살펴보면, 선행기술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3652호와 같이, 단열보드와; 상기 단열보드를 사이에 두고 양면에서 대면되는 한 쌍의 표면판재와; 상기 단열보드 및 한 쌍의 표면판재 사이로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전 기술에서는 상온에서 단열보드의 표면부에 난연성 도료를 수작업에 의해 도포하거나 분무한 다음 표면판재와 결합하게 하는 것이어서, 난연성 패널 제조공정에 있어 난연성 도료를 도포하는 작업을 더 포함해야 하므로 난연성 패널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화재 발생 시 고온의 화염이 표면판재 내부로 전파되어 상기 난연성 도료층에 전달되게 되므로 상기 난연성 도료층 내측의 단열보드에 악영향을 미쳐 난연성 패널로서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허문헌)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3652호
본 발명은 난연성이 포함된 아연도금 강판을 이용하여 건축용 난연 패널의 제조원가를 줄이고, 화염으로 부터 단열보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심재로서 단열보드를 표면판재인 아연도금 강판과 아연도금 강판 사이에 게재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과 아연도금 강판의 양단에 형성한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 강판을 구성하는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에 난연성 도료층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강판 내측면에 난연성 도료층을 도포한 다음 상기 난연성 도료층을 고온으로 건조시켜 난연성 아연도금 강판을 제공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얻어진 난연성 아연도금 강판을 이용하여 난연성 건축용 패널을 구성하므로, 별도로 단열보드에 난연성 도료를 분무하거나 도포하는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난연성 패널을 제작할 수 있어 난연 패널의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와 외부의 화염에 의한 고온이 아연도금 강판 내측면에 설치된 단열보드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강하게 억제시킬 수 있어 난연효과를 크게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아연도금 강판을 이용한 난연성 건축용 패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아연도금 강판(10)의 제조공정도를 살펴보면, 도 1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된 아연도금 강판(10)을 풀어주는 언 코일러(Un-coiler)단계(S1)와; 이송되는 아연도금 강판(10)을 정지 상태로 연결작업하는 어큐물레이터(Accumlator)단계(S2)와; 아연도금 강판(10)의 표면부를 세척하는 탈지단계(S3)와; 상기 아연도금 강판(10) 상, 하표면에 화학처리하는 전처리 단계(S4)와; 상기 전처리된 아연도금 강판(10) 외측면에 부식방지 프라미머 도색단계(S5)와; 상기 아연도금 강판(10)을 오븐실에서 180℃ ~ 320℃ 온도로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S6)와; 상기 아연도금 강판(10) 외측면에 색상 도료를 도색하는 도색단계(S7)와; 도색된 아연도금 강판(10)을 오븐실에서 180℃ ~ 320℃ 온도로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S8)와; 건조된 아연도금 강판(10)을 냉각실에서 냉각 시키는 냉각단계(S9)와; 냉각된 아연도금 강판(1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시간을 지연시키는 어큐물레이터(Accumlator)단계(S10)와; 코팅 왼료된 아연도금 강판(10)을 필요한 길이로 권취하는 리 코일러(Re-coiler)단계(S11);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색단계(S5)에서 아연도금 강판(10) 내측면에 난연성 도료(20)를 도포하는 난연성 도료 도포단계(S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프라이머 도색단계(S5)와 난연성 도료 도포단계(S5')는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거나, 상기 프라이머 도색단계(S5)와 1차 건조단계(S6) 사이에서 난연성 도료 도포단계(S5')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의해 얻어진 아연도금 강판(10)의 단면도로서, 아연도금 강판(10)은 강판(10') 내, 외측면에 용융 아연도금층(11)(12)이 용융되어 있고, 상기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11)에는 상기 난연성 도료 도포단계(S5')에서 이루어지는 난연성 도료층(13)이 코팅되며, 상기 외측 용융 아연도금층(12)에는 상기 도색단계(S7)에서 이루어지는 색상 도색층(1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아연도금 강판(10)을 이용하여 난연성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시하는 도 3은 난연성 아연도금 강판(10)을 이용한 난연성 건축용 패널(20)의 예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다.
즉, 내부에 심재로서 단열보드(21)를 표면판재인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 사이에 게재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의 양단에 형성한 결합부재(10A)(10B)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 강판(10)을 구성하는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11)에 난연성 도료층(13)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10)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건축용 패널(20)은 내부에 심재로서 단열보드(21)를 표면판재인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 사이에 게재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의 양단에는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10A)(10B)가 형성되어 상기 단열보드(21)를 견고한 상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보드(21)는 E.P.S 보드(Expanded Polystyren Board)나 유리섬유보드(Glass Wool Board), 발포 우레탄 등을 사용하며, 단열보드(21) 내측면과 아연도금 강판(10) 내측면에 코팅된 난연성 도료층(13) 사이에는 난연성 접착제층(30)을 형성하여 상호 접착력에 의해 견고한 상태로 결합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10)은 미도시한 포밍기에 의해 절곡 및 엠보싱 작업을 통해 외적 미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단열보드(21)를 게재한 상태에서 일정 압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난연성 도료층(13)은 에폭시 수지 20~30 중량부, 필러(filler)는 30~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교제(멜라민 수지)는 5~15 중량부, 블록 캐털리스트(blocked catalyst)는 0.1~0.5 중량부, 표면조절제는 1.0~5.0 중량부, 용제는 20~4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난연성 건축용 패널(20)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난연성 패널은 지속적인 열에도 내구성이 우수해야 하고, 특히 금속 및 피접착제에 대하여 접착력이 강한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충족하기 위하여 난연성 도료층(13)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난연성 도료층(13)의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주원료로 제공하여 사용하게 하고, 가교제로 메톡시멜라민과 부톡시멜라민이 단독 또는 혼용으로 첨가하며, 우수한 난연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수 필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도료 도막이 구현하지 못하는 내열성 및 난연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의 첨가제로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블록 캐털리스트와 표면 조절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게한다.
상기에서,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수지 20~3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지의 주요인자는 에폭시 당량이다. 상기 에폭시 당량은 1,000 ~ 2,000이 바람직하고, 1,000 이하가 되면 경화속도가 저하되고, 2,000 이상이면 소재와의 부착력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난연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수 필러는 30~5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부 이하이면 내열 및 난연 특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 이상이면 부착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가교제로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며, 5~1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메톡시멜라민과 부톡시멜라민으로 나누어지나, 단독 또는 혼용 사용 가능하다.
또한, 블록 캐털리스트는 0.1~5.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p-TSA, DNNDSA, DDBSA, Mixed Acid Catalyst로 구분되며,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조절제는 1.0~5.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저으로 실리콘계와 비실리콘계로 구분되며, 실리콘계는 피접착제와 부착력이 저하되므로 비실리콘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제는 20~4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화수소계, Alcohol, Ketone, Ether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아연도금 강판(10) 내측면에 난연성 도료층(13)을 도포하여 오븐실에서 180℃ ~ 320℃ 온도로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S6) 및 2차 건조단계(S8)를 거쳐 코팅 처리하게 되므로 아연도금 강판(10) 제조과정에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되고,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아연도금 강판(10)은 난연성 건축용 패널(20)로서 제공할 경우 별도의 난연성 도료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건축용 패널(20)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건축용 패널(20)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특히 화재 발생 시 외부의 화염이 아연도금 강판(10)에 전달될 경우 높은 온도의 고온에 의해 아연도금 강판(10) 내측면에 코팅된 난연성 도료층(13)이 팽창하여 난연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단열보드 내측으로의 화염전파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건축용 패널의 보호는 물론, 열에 의한 건축용 패널의 탄화현상을 배제하여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커 화재로 인한 건축용 패널의 유해성을 최소화 하여 인체나 환경에 피해를 주지않도록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아연도금 강판 10' : 강판
10A, 10B :결합부재 11 :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
12 : 외측 용융 아연도금층 13 : 난연성 도료층
14 : 색상 도색층 20 : 건축용 패널
21 : 단열보드 30 : 난연성 접착제층

Claims (2)

  1. 내부에 심재로서 단열보드(21)를 표면판재인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 사이에 게재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10)과 아연도금 강판(10)의 양단에 형성한 결합부재(10A)(10B)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 강판(10)을 구성하는 내측 용융 아연도금층(11)에 난연성 도료층(13)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10)을 사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난연성 도료층(13)은 에폭시 수지 20~30 중량부, 필러는 30~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교제는 5~15 중량부, 블록 캐털리스트는 0.1~0.5 중량부, 표면조절제는 1.0~5.0 중량부, 용제는 20~40 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도료층(13)과 난연성 접착제층(30)이 상호 접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KR1020160014106A 2015-02-24 2016-02-04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KR201601039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5733 2015-02-24
KR1020150025733 2015-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923A true KR20160103923A (ko) 2016-09-02

Family

ID=5694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06A KR20160103923A (ko) 2015-02-24 2016-02-04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69A (ko) * 2018-12-19 2020-06-29 김건우 건축용 철재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69A (ko) * 2018-12-19 2020-06-29 김건우 건축용 철재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790B2 (en) Multi-layer intumescent fire protection barrier with adhesive surface
US20070059516A1 (en) Fire resistant insulated building panels utilizing intumescent coatings
MXPA06010475A (es) Construccion aislante del calor con termoestabilidad mejorada y mejor comportamiento frente al fuego.
KR20200066785A (ko) 폴리우레아수지가 도포된 샌드위치판넬
WO2016074116A1 (zh) 一种利用防火阻燃涂料漆制作防火门内部材料及使用该内部材料制作防火门的方法
KR102346217B1 (ko) 내화성과 단열성능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02182273A (zh) 复合材料耐火蜂窝板
KR20160103923A (ko) 난연성 건축용 패널 구조
KR20170103235A (ko) 난연 단열필름
KR20160103924A (ko) 난연성 아연도금 강판 제조방법
KR102152771B1 (ko) 성능 향상의 방화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방화문
KR20230066902A (ko) 난연성 건축 패널 구조
CN102912930A (zh) 环保型彩钢夹芯板
CN110216943A (zh) 一种防火复合板及其制备方法
KR100826958B1 (ko) 벌집형 내장재와 이를 구비하는 판넬과 벌집형 내장재제조방법 및 판넬 제조방법
GB2478331A (en)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tile
CN110614818A (zh) 一种防火泡沫复合板材及制作方法
CN208918127U (zh) 一种企口式净化手工彩钢板
KR101142766B1 (ko)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시트가 일체로 구비된 아연 도금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N217197244U (zh) 一种防火保温装饰板
JP2001279843A (ja) 耐火パネル
CN110654077A (zh) 一种防火泡沫复合板材及制作方法
CN220725613U (zh) 一种防火室内装修板
CN204163229U (zh) 一种聚苯板复合浆料外墙外保温系统
CN105506956A (zh) 一种装饰用基材的隔热保温涂层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