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809A - 양방향 선풍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809A
KR20160103809A KR1020150026645A KR20150026645A KR20160103809A KR 20160103809 A KR20160103809 A KR 20160103809A KR 1020150026645 A KR1020150026645 A KR 1020150026645A KR 20150026645 A KR20150026645 A KR 20150026645A KR 20160103809 A KR20160103809 A KR 2016010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upling member
housing
rotary coupl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15002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809A/ko
Publication of KR2016010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 대비 송풍 방향의 다원화, 송풍 효율의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선풍기{Bidirectional Fan}
본 발명은 양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하나의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송풍 팬이 설치되어 한 방향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냉방장치이다.
이러한 선풍기에는 회전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선풍기의 회전 각도에 제한이 있고, 이로 인해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대의 선풍기를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여러 대의 선풍기를 동시에 가동해야 하므로 전력소모량이 크고, 여러 대의 선풍기로 인해 실내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1916호 '양방향 선풍기'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 대비 송풍 방향의 다원화, 송풍 효율의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양방향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구동기가 구비된 하우징의 일측에서 구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결합부재; 하우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결합부재; 및 일단이 제1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되되,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되도록 제1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된 일단과 제2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된 타단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틀려 배치된 수개의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양방향 선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 대비 송풍 방향의 다원화, 송풍 효율의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선풍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작동시 송풍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방향 선풍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의 작동시 송풍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선풍기(100)는, 내측에 구동기가 구비된 하우징(201)의 일측에서 구동기의 회전축(40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결합부재(203); 하우징(201)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결합부재(205); 및 일단(207)이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결합되고 타단(209)이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결합되되,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되도록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결합된 일단(207)과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결합된 타단(209)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틀려 배치된 수개의 날개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기는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기는 일예로 전동모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동기를 감싸는 하우징(201)은 일예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201)에는 구동기에서 발생되는 열이 원활히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방열홀(213)이 구비된다.
한편, 제1회전결합부재(203)는 하우징(201)의 일측에서 구동기의 회전축(401)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제1회전결합부재(203)는 일예로 전방이 막히고 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제1회전결합부재(203)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1결합홀(403)이 형성되어서, 후술할 날개부재(211)의 일단(207)이 제1결합홀(40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1결합홀(403)은 축방향 대비 비틀어진 구조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회전결합부재(203)의 내측 전방에는 구동기의 회전축(401)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가이드바(405)가 구비된다.
이어서, 제2회전결합부재(205)는 하우징(201)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제2회전결합부재(205)는 일예로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에 관통홀(407)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제2회전결합부재(205)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제2결합홀(409)이 형성되어서, 후술할 날개부재(211)의 타단(209)이 제2결합홀(409)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2결합홀(409)은 제1결합홀(403)의 비틀어진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축방향 대비 비틀어진 구조로 구비된다.
이어서, 날개부재(211)는 다수개로 제공되는데, 각각의 날개부재(211)의 일단(207)은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결합되고, 타단(209)은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결합된다.
여기서, 날개부재(211)와 제1회전결합부재(203) 및 제2회전결합부재(205) 사이의 결합방식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날개부재(211)의 일단(207)은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형성된 제1결합홀(403)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되고, 날개부재(211)의 타단(209)은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형성된 제2결합홀(409)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날개부재(211)의 일단(207)이 제1결합홀(403)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되고, 날개부재(211)의 타단(209)이 제2결합홀(409)에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됨으로써, 양방향 선풍기(100)의 작동시 날개부재(211)가 제1회전결합부재(203)와 제2회전결합부재(205)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날개부재(211)는, 양방향 선풍기(100)의 작동시 바람이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되도록,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결합된 일단(207)과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결합된 타단(209)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틀려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날개부재(211)는 제1회전결합부재(203)에 결합된 일단(207)과 제2회전결합부재(205)에 결합된 타단(209)이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으면서, 비틀린 연결몸체(21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날개부재(211)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구동기에 의해 제1회전결합부재(203)가 회전하면, 날개부재(211)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하게 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 대비 송풍 방향의 다원화, 송풍 효율의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전결합부재(205)에는 내측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결합홀(409)을 통과한 날개부재(211) 타단(209)이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결합홀(501)이 형성된 결합가이드부재(503)가 구비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회전결합부재(203) 역시 내측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결합홀(403)을 통과한 날개부재(211)의 일단(207)이 끼워져 결합되며 고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날개부재(211)의 일단(207)과 타단(209)에는, 각각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결착홈(505, 50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착홈(505, 507)은 날개부재(211)의 일단(207)과 타단(209)이 각각 결합홀에 삽입되었을 때, 결합홀의 둘레면이 결착홈(505, 507)에 밀착되어서, 날개부재(211)가 결합가이드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날개부재(211)의 일단(207)과 타단(209)이 각각 결합홀에 삽입될 때에는, 결합홀이 약간의 탄성변형으로 확장되므로, 날개부재(211)의 일단(207)과 타단(209)이 각각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는 약간 확장되었던 결합홀이 다시 수축되어서 결합홀의 둘레면이 결착홈(505, 507)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설명하기 위해 구동기의 회전축(401)이 전방을 향하고, 이 회전축(401)에 제1회전결합부재(203)가 결합되어서, 제1회전결합부재(203)가 하우징(201)의 전방에, 제2회전결합부재(205)가 하우징(201)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구동기의 회전축(401)이 후방을 향하고, 이 회전축(401)에 제1회전결합부재(203)가 결합되어서, 제1회전결합부재(203)가 하우징(201)의 후방에, 제2회전결합부재(205)가 하우징(201)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인 양방향 선풍기(100)는, 하우징(201)을 지지하되, 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우징(201)의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몸체부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 지지몸체부재(101)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몸체부재(101)는 세로로 배치되는 제1지지몸체부재(103); 및 제1지지몸체부재(101)에 결합되되, 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우징(201)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지지몸체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부재(103)는 세로로 세워져 배치되는데, 일예로 제1지지몸체부재(103)는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지지몸체부재(103)의 하단에는 베이스판(107)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몸체부재(105)는 제1지지몸체부재(103)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제2지지몸체부재(105)는 하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제1지지몸체부재(103)에 삽입되고 상측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우징(201)의 후방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제2지지몸체부재(105)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01)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하우징(201)의 중단부에 생성되어, 하우징(20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201)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2지지몸체부재(105)의 상단부와 하우징(201)의 후방 사이에 회동부재(2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회동부재(215)는 일예로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맞닿아 결합된 한쌍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회동부재(215)에는 제2회전결합부재(205)를 관통하여 하우징(201)의 후방에 결합되는 돌출결합부재(301)가 구비된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은 돌출결합부재(301)의 내부를 통해 구동기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인 양방향 선풍기(100)는 구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09)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제어스위치(109)는 일예로 다이얼 방식의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기에 의해 제1회전결합부재가 회전하면, 날개부재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하게 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 대비 송풍 방향의 다원화, 송풍 효율의 향상, 공간 활용도 향상, 에너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양방향 선풍기 101 : 지지몸체부재
103 : 제1지지몸체부재 105 : 제2지지몸체부재
107 : 베이스판 109 : 제어스위치
201 : 하우징 203 : 제1회전결합부재
205 : 제2회전결합부재 207 : 날개부재의 일단
209 : 날개부재의 타단 211 : 날개부재
213 : 방열홀 215 : 회동부재
217 : 연결몸체 301 : 돌출결합부재
401 : 회전축 403 : 제1결합홀
405 : 결합가이드바 407 : 관통홀
409 : 제2결합홀 501 : 결합홀
503 : 결합가이드부재 505, 507 : 결착홈

Claims (4)

  1. 내측에 구동기가 구비된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결합부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결합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되되, 축방향 양측으로 송풍되도록 상기 제1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된 일단과 상기 제2회전결합부재에 결합된 타단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틀려 배치된 수개의 날개부재;
    를 포함하는 양방향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일단과 타단이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으면서, 비틀린 연결몸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몸체부재는, 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선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재는,
    세로로 배치되는 제1지지몸체부재; 및
    상기 제1지지몸체부재에 결합되되, 후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지지몸체부재;
    를 포함하는 양방향 선풍기.
KR1020150026645A 2015-02-25 2015-02-25 양방향 선풍기 KR20160103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45A KR20160103809A (ko) 2015-02-25 2015-02-25 양방향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45A KR20160103809A (ko) 2015-02-25 2015-02-25 양방향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09A true KR20160103809A (ko) 2016-09-02

Family

ID=5694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45A KR20160103809A (ko) 2015-02-25 2015-02-25 양방향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8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16B1 (ko) 2011-09-27 2013-07-31 이동욱 양방향 선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16B1 (ko) 2011-09-27 2013-07-31 이동욱 양방향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989B1 (ko)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CN110685939B (zh) 一种多出风方式的颈挂式风扇
JP2019065839A (ja) 送風機
CN108626867B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7289506A (zh) 一种多出风口的空调内机
US9541297B2 (en) Heating ventilator for bathroom
US20140308887A1 (en) Blad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WO2017041727A1 (zh) 一种空调、鼓形蜗壳风道系统及其风道蜗壳
CN203788308U (zh) 可便捷安装天线的路由器外壳
CN104748225A (zh) 空调器室内机
CN105202735A (zh) 空调导风板及空调
KR20160103809A (ko) 양방향 선풍기
CN106678988B (zh) 空调器及其导风装置
CN108626783B (zh) 用于空调室内机的导风板组件、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4693627U (zh) 立式空调器室内机
CN203744490U (zh) 空调器导风结构及空调器
CN204678642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CN107990440B (zh) 空调设备
KR20130045052A (ko) 선풍기용 풍향 조절장치
CN104713212A (zh) 一种空调器室内机
CN104896592A (zh) 立式空调器室内机
CN207269181U (zh) 带通风结构电机转子轴
KR20210122871A (ko) 송풍기
CN105757791A (zh) 空调室内机
US20120014785A1 (en) Structure of circulation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