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19A -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19A
KR20160103719A KR1020150026414A KR20150026414A KR20160103719A KR 20160103719 A KR20160103719 A KR 20160103719A KR 1020150026414 A KR1020150026414 A KR 1020150026414A KR 20150026414 A KR20150026414 A KR 20150026414A KR 20160103719 A KR20160103719 A KR 2016010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oor
request signal
receiver
wireless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968B1 (ko
Inventor
김용륜
Original Assignee
솔라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라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가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무선 송신기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의 설정 성공 여부는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각각에 구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본 발명은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동작을 기반으로 출입문을 무선 개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의 개폐를 위해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의 개폐를 위해 열쇠를 사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통제하는 시스템, 입력 번호 인식, 지문 인식 기반의 전자식 도어-록(door-lock) 장치 등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출입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출입자에 대한 별도의 인증 없이 출입문의 개폐를 위해 터치 또는 스위치 방식의 출입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람이 출입문에 설치된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출입문의 제어부(또는 구동부)로 전달되어 출입문의 개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입문에 무선 터치 스위치가 설치되고 무선 터치 스위치와 무선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수신기(또는 출입문 제어부, 출입문 구동부)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는 1-WAY 방식으로 송신기에 송신 모듈만이 설치되어 생성된 신호의 송신 동작이 수행되었고, 수신기에는 수신 모듈만이 설치되어 송신된 신호의 수신 동작이 수행되었다.
KR 10-2005-0096028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출입문의 무선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은 무선 송신기가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와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의 설정 성공 여부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각각에 구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초기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초기 설정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설정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는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포맷,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구동부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결정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가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되,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차단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은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와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무선 송신기와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송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와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의 설정 성공 여부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각각에 구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초기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초기 설정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여 설정되고,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설정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는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포맷,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구동부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결정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가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어 수행되고,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차단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신호에 대한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한 통신 모듈을 출입문에 설치하여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통제할 수 있다. 출입문 개폐 시스템은 간단한 설정을 통해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및 배터리 절전 절차를 수행하여 보다 편리하고 낮은 전력 소모를 가지는 출입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동작을 위한 출입문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초기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초기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2 WAY 방식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문 개방 여부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의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출입문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1-WAY 방식으로 출입문에 대한 개폐가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출입자가 출입문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를 누르면 출입문 개방 신호가 무선 수신기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는 수신한 출입문 개방 신호를 기반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에서는 무선 송신기로부터 무선 수신기로 전송되는 신호뿐만 아니라 무선 수신기로부터 무선 송신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하는 2-WAY 방식으로 출입문의 무선 개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라는 용어로 표현하나 무선 송신기도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 수신기 역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를 위한 무선 수신기는 출입문의 동작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중 제1 스위치는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제2 스위치는 무선 송신기의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어떠한 무선 송신기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사이에서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출입문 홀딩 설정,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등)이 수행될 경우,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에 구현된 표시부(예를 들어, 램프)를 통해 특정 동작에 대한 설정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동작을 위한 출입문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출입문 개폐 시스템은 무선 송신기(100), 무선 수신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100)는 출입문 개폐를 위한 신호를 무선 수신기(120)로 전송하고, 출입문의 특정 동작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무선 수신기(120)로 송신하고 무선 수신기(120)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은 출입문 홀딩 설정,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등 일 수 있다.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선 송신기(100)는 표시부(110)를 포함하고 표시부(110)는 무선 송신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light emitted diode) 램프가 표시부(110)로 사용되고, 램프의 색상 및/또는 점멸 여부가 무선 송신기(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로 사용되는 램프가 녹색 지속등(지속적으로 발광되는 등)으로 2~3초간 점등되는 경우, 무선 송신기(100)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이 정상적으로 동작함 또는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10)로 사용되는 램프가 녹색 점멸등(주기적으로 점멸되는 등)으로 2~3초 간 점멸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100)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함 또는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지시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130)에도 마찬가지로 표시부(1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의 동작은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한 색깔의 불빛 및 다양한 색깔의 불빛의 점등, 점멸 여부를 기반으로 무선 송신기(100) 또는 무선 수신기(12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 완료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120)는 출입문 개폐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출입문의 특정 동작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무선 송신기(100)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120)의 표시부(130)는 무선 수신기(12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출입문의 특정 동작 설정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기(120)는 출입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120)는 출입문의 개방 명령을 출입문을 실제적으로 구동시키기는 출입문 구동부(140)로 전송하여 출입문에 대한 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기(120)는 출입문 홀딩 설정 명령을 출입문 구동부(140)로 전송하여 출입문의 개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무선 수신기(120)는 출입문 구동부(140)로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출입문을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로 운영할 수도 있다. 무선 송신기(100)와 무선 수신기(120)는 이중 ID(identifier)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100)와 무선 수신기(120)는 통신용 ID/내부용 ID를 구분하여 운용되어 출입문의 개폐 오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기(100)는 출입문에 설치되고 출입자의 무선 송신기(1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스위치(출입문 개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는 무선 송신기(100)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출입문을 열 수 있다. 무선 수신기(120)는 무선 송신기(100)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기(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구체적인 출입문 개폐 동작이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초기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위해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설치하고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에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각각에서는 상호 간에 등록을 수행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각각에 구현된 상호 간의 등록 및 무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스위치는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또는 초기 설정 스위치)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송신기(200) 및 무선 수신기(210) 각각에 구현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를 일정 기간(예를 들어, 5초간) 동시에 누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사이에서 초기 설정 절차가 진행되고 상호 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송신기(200)에 구현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를 일정 기간(예를 들어, 5초간) 동시에 누르는 경우, 무선 송신기(200)에서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가 생성되어 무선 수신기(210)로 전송될 수 있다.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는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200)의 식별 정보,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210)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210)는 무선 송신기(200)로부터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를 수신하고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네트워크 설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210)는 무선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초기 설정 요청 신호(220)의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지 여부, 무선 송신기(200)의 식별 정보가 올바른 포맷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네트워크 설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무선 송신기(200)의 식별 정보(ID)를 등록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210)는 무선 송신기(200)로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전송를 포함하는 초기 설정 응답 신호(230)를 전송할 수 있다. 초기 설정 응답 신호(230)는 초기 설정 응답 신호(230)를 전송한 무선 수신기의 식별 정보, 초기 설정 응답 신호를 수신할 초기 무선 송신기(200)의 식별 정보, 초기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200)는 무선 수신기(210)로부터 수신한 초기 설정 응답 신호(230)를 기반으로 초기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200)의 표시부는 초기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200)의 LED 표시부가 점멸하는 경우(무선 송신기(200)의 LED 표시부가 점멸등인 경우),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간의 초기 설정 절차의 성공이 지시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200)의 LED 표시부가 계속적으로 켜져있는 경우(무선 송신기(200)의 LED 표시부가 지속등인 경우),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간의 초기 설정 절차의 실패가 지시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는 소리 정보로 초기 설정 절차의 성공을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200)가 무선 수신기(210)에 등록되는 경우, 무선 수신기(210)는 특정한 소리(예를 들어, 찰칵하는 소리)를 기반으로 무선 송신기(200)의 무선 수신기(210)의 등록에 대해 알릴 수 있다.
반대로 무선 송신기(200)와 무선 수신기(210) 상호 간에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210)에 구현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기간(예를 들어, 10초간) 동안 눌릴 수 있다. 무선 수신기(210)에 구현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기간(예를 들어, 10초간) 동안 눌리는 경우, 무선 수신기(210)와 무선 송신기(200) 사이에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가 해제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210)는 무선 네트워크의 해제를 알리기 위한 소리 정보(예를 들어, ‘뚝’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표시부가 지속등에서 점멸등으로 전환하면서 무선 송신기(200)의 ID의 삭제를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초기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위해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를 설치하고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상호 간에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된다. 도 3에서는 특히, 모든 무선 송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출입문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된다.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의 식별 정보의 등록 없이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수신기(310)에 구현된 초기 설정 스위치가 특정 모드(예를 들어,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되고, 무선 송신기(300)와 무선 수신기(310) 간의 ID 등록 없이(또는 무선 수신기(310)에 무선 송신기(300)에 대한 식별 정보 등록 없이) 어떠한 무선 송신기(300)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출입문 개폐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의 무선 수신기(310)는 무선 송신기(300)로부터 출입문 개폐를 위한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320)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300)의 식별 정보(ID)를 확인하지 않고,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자가 무선 송신기(3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300)에서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320)가 생성되어 무선 수신기(310)로 전송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320)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9320)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300)의 식별 정보,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320)를 수신할 무선 송신기(3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310)의 초기 설정 스위치가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무선 수신기(310)는 무선 송신기(300)의 식별 정보(ID)의 등록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무선 송신기(300)로부터 전송된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320)에 응답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상호 간에 생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가 개시된다.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는 출입문의 열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개방 유지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출입문은 개방 후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닫히는 디폴트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출입문은 디폴트 상태에서 개방 유지 상태로 전환되고 출입문은 개방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수신기(410)에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를 위한 스위치가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무선 수신기(410)에 구현된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를 위한 스위치는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410)에 구현된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를 턴-온하고, 무선 송신기(4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터치 스위치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동안 누를 수 있다. 무선 송신기(4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터치 스위치(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동안 눌리는 경우, 무선 송신기(400)에서 홀딩 설정 요청 신호(420)가 전송될 수 있다. 홀딩 설정 요청 신호(420)는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로서 무선 송신기(400)의 식별 정보, 무선 수신기(410)의 식별 정보 및 출입문의 홀딩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410)는 홀딩 설정 요청 신호(420)를 수신하고 무선 송신기(400) 및 무선 수신기(410) 각각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홀딩 설정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무선 수신기(410)는 출입문의 홀딩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410)는 출입문 구동부로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무선 송신기(400)와 무선 수신기(410)의 표시부는 점등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가 성공한 경우, 무선 송신기(400)의 표시부는 지속등 상태에서 점멸등 상태로 변경되고, 무선 수신기(410)의 표시부는 지속등 상태에서 점멸등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기(400) 및/또는 무선 수신기(410)는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의 성공 여부를 특정한 소리 신호(예를 들어, 찰칵 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를 통한 출입문 개방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선 송신기(400)를 사용하여 출입문 개방 유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출입문 개폐 스위치를 1회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출입문 개폐 스위치를 1회 누르는 경우, 출입문 개방 유지 상태가 해제되고, 출입문의 개방 후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닫히는 디폴트 상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무선 송신기(500)와 무선 수신기(500) 상호 간에 생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가 개시된다.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는 출입문 구동을 위한 전력의 절약을 위해 출입문을 파워 세이브 모드로 운영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출입문 구동부, 무선 송신기(500), 무선 수신기(510)와 같은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각 구성부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액티브 모드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출입문 개폐 시스템이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문 구동부는 출입자가 없는 시간 대에서 무선 수신기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명령의 전송 여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무선 송신기(500) 및 무선 수신기(510)도 출입자가 없는 시간 대에서 계속적으로 무선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RF 부(radio frequency unit)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는 액티브 모드뿐만 아니라 전력 절약을 위한 파워 세이브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문 개폐 시스템을 파워 세이브 모드로 설정하여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5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터치 스위치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이상)(예를 들어,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500)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요청 신호(520)가 전송되고, 무선 송신기(500) 및 무선 수신기(510) 각각이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출입문 개폐 시스템이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무선 송신기(500)의 표시부가 점멸등 상태에 소등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 무선 송신기(500)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문 개폐 동작을 위한 전체 모듈 중 다수의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세이브 상태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는 이후 다시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듈만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500)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다시 눌리는 경우,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재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파워 세이브 모드 구동 방법은 출입문의 개방 시에도 수행될 수 있다. 출입문이 개방 상태일 경우, 무선 송신기(500) 및 무선 수신기(510)의 일부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을 절약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출입문이 열리고 닫히는 시간 동안에는 무선 송신기(500)와 무선 수신기(510) 사이의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 출입문 개방 응답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무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 출입문이 개방되고, 출입문이 다시 닫히는 기간 동안에는 무선 송신기(500) 및 무선 수신기(510)의 일부 RF 모듈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서 무선 송신기(500) 또는 무선 수신기(510)의 배터리 방전, 고장시 또는 이상 동작시 표시부는 배터리 방전, 고장시 또는 이상 동작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상 동작이 수행될 경우, 표시부가 점멸등(1초에 3회 점멸)으로 동작하거나, LED 점등 상태가 희미해질 수 있다. 또는 표시부의 LED의 색깔이 붉은 색일 경우, 배터리 방전, 고장시 또는 이상 동작이 지시되고, 표시부의 LED의 색깔이 녹색일 경우, 정상 동작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기(510)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무선 송신기(500)의 터치 스위치를 눌러도 무선 송신기(500)의 표시부의 LED가 점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은 -10~50 도의 온도에서 오동작 없이 동작할 수 있으며, 송신 주파수는 2.4GHz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사이에서는 FM(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NRZ(non return to zero))를 기반으로 변조된 신호가 전송되어 기존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과 비교하여 에러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기는 조정 포인트 없이 주파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의 소비 전류는 15mA로 기존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보다 낮은 소비 전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2 WAY 방식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2 WAY 방식의 무선 송신기(600)와 무선 수신기(610) 사이의 통신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2 WAY 방식의 무선 송신기(600)와 무선 수신기(610)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무선 송신기(600)도 무선 신호의 송신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수신기(610)도 무선 신호의 수신뿐만 아니라 무선 신호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600)와 무선 수신기(610) 사이에 등록 절차가 수행되어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된 이후, 출입자가 무선 송신기(600)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터치되는 경우, 무선 송신기(600)에서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가 생성되어 무선 수신기(610)로 전송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600)의 식별 정보,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를 수신할 무선 수신기(6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600)는 무선 수신기(610)로부터 출입문 개방 응답 신호(640)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응답 신호(640)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ACK(acknowledgement)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송신기(600)는 출입문 개방 응답 신호(640)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무선 송신기(600)는 일정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를 무선 수신기(6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상의 혼잡으로 인해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620)가 전달되지 못하여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 출입자에 의한 계속적인 무선 송신기(60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스위치의 터치로 인한 스위치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문 개방 여부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인증 받은 출입자에 대해서만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출입문의 개방이 출입자의 무선 송신기(710)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터치 스위치의 누름만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특정 장소의 경우,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통해서만 사용자의 출입이 허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700)을 기반으로 출입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출입문(이하, 인증 요청 출입문)에 구현된 무선 송신기(710)는 무선 송신기(710)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의 누름이 발생되는 경우, 인증 요청 신호(730)를 브로드캐스트를 기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요청 신호(730)는 인증 요청 신호(730)를 전송할 무선 송신기(710)의 식별자, 인증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폰(700)은 인증 요청 신호(730)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700)은 수신한 인증 요청 신호(730)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응답 신호(740)를 무선 송신기(71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응답 신호(740)는 인증 응답 신호(740)를 수신할 무선 송신기(710)의 식별자, 스마트 폰(700)의 식별 정보 및 출입문의 개방의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710)에는 미리 출입이 가능한 스마트 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송신기(710)는 인증 응답 신호(740)를 수신하고 스마트 폰(7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폰(700)의 식별 정보가 무선 송신기(710)에 등록된 경우, 무선 송신기(720)는 출입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수신기(720)로 전송하고 출입문은 개방될 수 있다. 스마트 폰(700)의 식별 정보가 무선 송신기(71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무선 송신기(710)는 출입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수신기(720)로 전송하지 않고 출입문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송신기(710)는 출입자의 출입문 개폐를 위한 터치 스위치의 누름 없이도, 주기적으로 인증 요청 신호(730)를 인접한 반경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요청 신호(730)의 전송 커버리지 및 인증 요청 신호(730)의 전송 주기는 스마트 폰(700)과 통신 및 출입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인증 가능한 출입자가 별도의 딜레이 없이 바로 출입문을 통해 출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인증 요청 신호(730)를 수신한 출입자의 스마트 폰(700)은 전술한 동작과 같이 인증 응답 신호(740)를 전송하여 출입문의 통과를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의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복수의 주변 출입문 개폐 시스템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특정 출입문 개폐 시스템의 동작 무선 자원을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이 설치되고 서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이 겹치는 경우, 무선 신호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섭이 발생하는 무선 자원을 고려하여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 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기(800)와 무선 수신기(810)가 초기 설정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800)는 가용한 전체 주파수 자원(채널1~채널10) 각각을 통해 초기 설정 요청 신호(820)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810)는 가용한 전체 주파수 자원 중 가장 채널 상태가 좋은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채널5)을 무선 송신기(800)와 무선 수신기(810) 간의 통신을 위한 동작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810)는 결정된 동작 채널을 통해 초기 설정 응답 신호(830)를 전송하거나, 초기 설정 응답 신호(830)에 이후 통신을 위해 사용할 무선 자원(동작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수신기(810)는 결정된 동작 채널에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다른 채널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810)는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간섭이 발생한 경우(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의 세기가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 동작 채널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송신기(8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800)는 동작 채널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가용한 전체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채널 1~채널10) 각각을 통해 동작 채널 설정 요청 신호를 무선 수신기(81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810)는 동작 채널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주파수 자원 상에서 다시 동작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810)는 동작 채널을 포함하는 동작 채널 설정 응답 신호를 무선 송신기(8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시스템은 동작 채널을 스위칭하여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출입문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에 있어서,
    무선 송신기가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와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의 설정 성공 여부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각각에 구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에 의해 표시되는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초기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초기 설정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설정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는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포맷,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구동부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결정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가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기반으로 수행되되,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차단되는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6.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은,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수신기와 출입문 개방 절차,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를 통해 무선 송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기와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네트워크 설정 절차, 상기 출입문 개방 절차,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 또는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의 설정 성공 여부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 각각에 구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 변화에 의해 표시되는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초기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무선 네트워크 설정 스위치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초기 설정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로 전송하여 설정되고,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설정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가능 여부는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포맷, 상기 초기 설정 요청 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무선 송신기의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식별 정보 미확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출입문 개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홀딩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가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입문 홀딩 설정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상기 홀딩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수신기가 출입문 구동부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절전 상태 설정 절차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상기 출입문 개폐 스위치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결정된 파워 세이브 모드 전환 시간 동안 눌리는 경우,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가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어 수행되고,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는 상기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차단되는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무선 개폐 시스템.
KR1020150026414A 2015-02-25 2015-02-25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KR10174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14A KR101743968B1 (ko) 2015-02-25 2015-02-25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14A KR101743968B1 (ko) 2015-02-25 2015-02-25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19A true KR20160103719A (ko) 2016-09-02
KR101743968B1 KR101743968B1 (ko) 2017-06-07

Family

ID=5694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14A KR101743968B1 (ko) 2015-02-25 2015-02-25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9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028A (ko) 2004-03-29 2005-10-05 이기성 골절환자용 깁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940A (ja) * 1999-08-02 2001-02-13 Ykk Corp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4112554A (ja) * 2002-09-20 2004-04-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装置
KR100791395B1 (ko) * 2006-06-27 2008-01-07 임병재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JP2008008082A (ja) * 2006-06-30 2008-01-17 Nabtesco Corp 自動ドア及び自動ドア用リモコ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028A (ko) 2004-03-29 2005-10-05 이기성 골절환자용 깁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968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497B2 (en) System and method of gesture detection for a remote device
US10055917B2 (en) User proximity detection for activating vehicle convenience functions
US118773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bluetooth operation switching based on beacon broadcast
US8552843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ler having home automation function
US20100056054A1 (en) Method of setting wireless lin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20090291637A1 (en) Secure wireless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06979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50382434A1 (en) Techniques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a Photocontrol Device
CN104967221A (zh) 在感应耦合系统中保持连续充电
JP201012689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EP1977398A1 (en) Door system for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
KR102376860B1 (ko) 지하철의 요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9489833B2 (en) Remote contro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remote control
KR101743968B1 (ko) 출입문의 무선 개폐 방법 및 장치
KR102601172B1 (ko)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스마트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516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master identity device and slave identity device
JP5350760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070002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993755A (zh) 用于借助于移动通信终端来远程控制机动车辆的安全功能的方法和器件
JP7219300B2 (ja) バックグラウンド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たユーザデバイスの継続的な短距離ワイヤレス通信検出
US20140324250A1 (en) Vehicle portable key
TW201525946A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KR102039780B1 (ko) 경로 단절 및 손실 검증 기능을 갖는 가시광 무선통신 시스템
CN104853318A (zh)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KR20150129543A (ko) 잠금 장치, 이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이들의 제어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