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49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49A
KR20160103649A KR1020150026213A KR20150026213A KR20160103649A KR 20160103649 A KR20160103649 A KR 20160103649A KR 1020150026213 A KR1020150026213 A KR 1020150026213A KR 20150026213 A KR20150026213 A KR 20150026213A KR 20160103649 A KR20160103649 A KR 2016010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lid
coupled
seat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390B1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filed Critical 이재욱
Priority to KR102015002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는 유모차 본체가 경질로 형성되되, 유모차 본체가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비바람 및 외부충격에도 내부에 탑승한 유아가 안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유모차 본체 및 차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모차 이용 도중 차량에 유아를 탑승 시킬 시 별도의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만을 쉽게 분리하여 카시트로 이용함으로서 유모차의 본연의 기능 외에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는 유모차 본체가 경질로 형성되되, 유모차 본체가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비바람 및 외부충격에도 내부에 탑승한 유아가 안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유모차 본체 및 차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모차 이용 도중 차량에 유아를 탑승시킬 시 별도의 카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만을 쉽게 분리하여 카시트로 이용함으로서 유모차의 본연의 기능 외에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5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여행하거나 외출하는 경우, 유모차는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유아의 안전이 가장 먼저 보장되어야 하고 동행자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모차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한 구성과 동행자의 편리함을 고려한 구성에 있어서 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등받이 판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여러 종류의 유모차가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유아를 차내에 안전하게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 일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유아 카시트를 매개로 유아를 착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모차 및 유아 카시트는 자체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으므로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를 유모차에서 하차시켜 차량의 카시트로 옮겨서 탑승시켜야 하고, 그 이후 유모차는 트렁크 등에 싣고 다녀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카시트의 경우에는 차량에 장착되어 카시트로 사용하는 이외에 별도의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아를 차량에서 하차시켜 유모차를 이용하여 일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유모차를 별도로 구비한 후 트렁크 등에 싣고 다녀야만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유모차의 경우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의 커버를 씌워서 구성하기 때문에 우천 시 비바람 또는 강풍 시 이물질이 유모차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 충격 시 커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사용하지만, 이 또한 상기한 비바람, 강풍 및 외부충격을 완전히 막아주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상변화에 맞춰 보호자가 바람막이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영아의 경우에는 외출을 되도록 삼가야 하는데, 예방접종을 해야할 경우와 같이 부득이한 경우에는 외출을 하되, 외출시 외부의 비바람으로부터 영아에게 완벽하게 보호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종래의 유모차 및 카시트는 이러한 역할을 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961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체적으로는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는 유모차 본체가 경질로 형성되되, 유모차 본체가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비바람 및 외부충격에도 내부에 탑승한 유아가 안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를 유모차에서 하차시켜 차량의 카시트로 옮겨서 탑승시키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유모차 본체만을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카시트로 이용함으로서 유모차의 본연의 기능 외에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본체는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뚜껑과 몸체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이 회동되도록 몸체의 상단부 및 뚜껑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힌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본체는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뚜껑과 몸체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이 회동되도록 몸체의 중간부 및 뚜껑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힌지로 포함하되, 뚜껑 개방 시 뚜껑이 몸체의 내측면 및 시트 사이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 본체 및 차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유모차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유모차 본체와 높이조절부 사이에 상기 유모차 본체와 높이조절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요철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요철부와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 상기 제1 요철부를 감싸되, 상기 제1 요철부과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외측부로 유출되되, 양 끝단에 보호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그 내측부에 유모차 본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축 외측부에 결합되되, 하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제와 치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고정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전륜이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차체; 상기 전륜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후륜이 양 끝단에 결합되되, 힌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 차체; 상기 제1 차체와 제2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차체 및 제2 차체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및 제2 차체 내측 중간부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파지부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보호자가 파지부를 가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가 후방으로 후진되도록 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와 뚜껑 사이에는,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힌지에 결합되되, 복수의 편으로 구성되어 뚜껑 개방 시 각각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단부에 차량의 아이소 픽스(iso fix)에 장착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속고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그 하부에 상기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결합되는 시트 결합구와 결합되되, 상기 시트의 하부 및 시트 결합구 상부를 동시에 결속하도록 'ㄷ'형상의 버튼과, 상기 몸체와 버튼 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의하면, 첫째,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는 유모차 본체가 경질로 형성되되, 유모차 본체가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차례되도록 구성되어 비바람 및 외부충격에도 내부에 탑승한 유아가 안전한 상태로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를 유모차에서 하차시켜 차량의 카시트로 옮겨서 탑승시키는 불편함을 없애 육아를 하는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영아의 경우에는 외부의 차갑거나 뜨거운 공기와 직접적인 차단을 할 수 있어서, 감기등에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유모차 본체만을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카시트로 이용함으로서 유모차의 본연의 기능 외에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어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를 유모차에서 유아 카시트로, 다시 유아 카시트에서 유모차로의 변형을 매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기능을 갖으면서도 사용성이 매우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뚜껑이 개방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시트 및 시트 결합구 간의 결합관계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b 내지 4d는 본 발명의 후륜축에 구비되는 풋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b는 제2 차체를 부분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측면도이며, 도 4d는 도 4c의 발판이 가압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각도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1의 착탈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유모차 본체와 차체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1의 차체가 회동되어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뚜껑 내측에 방충망이 추가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모차가 자전거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차폐'라 함은 완전히 밀봉된다는 의미가 아니고, 최소한 아이가 숨을 쉴 수 있을 정도로는 외부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일정한 형상'이라 함은 종래의 직물로 만들어진 유모차와 같이 그 형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다소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의 유모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과 같이 단단한 고강도의 재질로 만들어져서 외부에서 재질이 견딜수 있는 한도 내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형태가 변형이 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공기통로'는 단순히 몸체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의한 공기가 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통하기 위한 전용 통로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공기통로의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통로에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와 같은 공기정화수단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는, 캡슐형태로 형성되되, 상부를 덮는 뚜껑(110)과, 상기 뚜껑(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130)가 결합되는 몸체(120)로 구성되는 유모차 본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뚜껑(110)과 몸체(120)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뚜껑(110)이 회동되도록 몸체(120)의 상단부 및 뚜껑(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힌지(14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 본체(100)는 도면에 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계란, 타원구 또는 직육면체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20)는 그 자체로서 차폐된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외부에 비바람이 치더라도 그 내부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특히 영아의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외출한 경우에도 몸체 내부에 들어간 이후에는 외부의 비바람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폐를 위하여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몸체(120)는 종래의 직물로 만든 일반적인 유모차와 달리, 오토바이 헬멧과 같이 고강도의 단단한 재질로 만들며, 예시로서 합성수지, 카본계열의 탄소섬유, 금속 또는 나무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들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료를 부착시켜서 외부 충격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폐가 된 상태에서도 유모차 내의 영아의 생존을 위하여 몸체(120)에는 별도의 공기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0)는, 하단부에 차량의 아이소 픽스(iso fix)에 장착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속고리(1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모차 본체(100)만을 후술할 차체(200)와 분리시켜 차량의 좌석에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고리(121)는 유모차 본체(100) 후방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에도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모차 본체(100)를 카시트로 이용할 시 뒤보기 형태로 위치시킬 경우 아이소 픽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몸체(120)의 내측면에는 식판 거치대(122)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동시 상기 식판 거치대(122)에 식판 또는 그릇을 올려놓아 유아가 식사 또는 간식을 취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130)는, 그 하부에 상기 몸체(120)의 내측 바닥면에 결합되는 시트 결합구(131)와 결합되되, 상기 시트(130)의 하부 및 시트 결합구(131) 상부를 동시에 결속하도록 'ㄷ'형상의 버튼(132)과, 상기 몸체(120)와 버튼(132) 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시트(130)를 분리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하고자 할 시 도 3b의 'A'상태에서 상기 버튼(132)을 가압하게 되면 도 3b의 '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시트(130)의 하부 및 시트 결합구(131) 상부를 동시에 결속하던 버튼(132)의 결속이 해제되고, 이 때 상기 시트(130)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쉽게 시트(13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가시 시트(130)를 결합할 시에는 버튼(132)를 가압한 상태에서 시트(130)의 후단부를 시트 결합구(131)의 후단부에 결합시킨 뒤 전단부를 결합시킨 후 버튼(132)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시트(130)와 시트 결합구(131)를 서로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132)의 하단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시트(130)와 시트 결합구(131)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모차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되는 차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차체(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체(200)는, 크게 상기 전륜(210)이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차체(201)와, 상기 전륜(210)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후륜(220)이 양 끝단에 결합되되, 힌지(203)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 차체(20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서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는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차체(201) 및 제2 차체(202)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가 서로 회동 및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231)를 잡아당겨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의 결속 및 결속의 해제를 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부재(231) 및 제2 차체(202) 내측 중간부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231)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32)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31)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파지부(233)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보호자가 파지부(233)를 가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231)가 후방으로 후진되도록 하는 와이어(234)에 의해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가 서로 회동 및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유모차 탑승 후 차량으로 옮겨 탑승할 시 상기 유모차 본체(100)만을 차체(200)에서 분리하여 차량의 좌석에 고정시키고, 차체(200)는 제1 차체(201) 및 제2 차체(202)의 수평을 해제하여 접은 후 트렁크에 싣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륜(220)의 후륜축(221)에는 보호자가 유모차 이동 시 갑작스런 멈춤 또는 정차 시 사용될 수 있는 풋브레이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후륜(220)은, 후륜축(221)에 관통결합되는 제1 패드(222)와, 상기 패드(222)의 위치에 대응되되, 하부면에 상기 패드(222)와 밀착되었을 시 상기 후륜축(221)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 패드(224)가 구비되는 발판(2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판(223)의 일단과 제2 차제(202)가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225) 및 상기 발판(223) 및 제2 차체(202)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유모차 주행 시 갑작스레 주행을 멈출 경우 상기 발판(223)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패드(222, 224)가 서로 밀착함에 의해 후륜축(221)은 회전력에 저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유모차는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222, 224)는 순간적인 제동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밀착되는 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보다 높은 제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동 이후에는 상기 발판(223)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발판은 상기 스프링(226)에 의해 원위치되며, 이러한 구동을 위해 상기 스프링(226)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패드(222, 224)의 내측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주행을 마치고 주차 시를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석에 의해 제1 및 제2 패드(222, 224)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모차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차체(200)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01)를 포함한 프레임(3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프레임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도면에 각기 다른 외경의 파이프가 2단으로 구성되어 서로 인출입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3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3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모차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보호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춰 상기 프레임(300)을 인출입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프레임(300) 및 손잡이(30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단의 프레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모차 본체(100) 및 차체(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유모차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페달(401)을 발로 가압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식 높이조절부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유모차 본체(100) 및 높이조절부(400)는, 그 사이에 상기 유모차 본체(100) 및 높이조절부(40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착탈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착탈부(5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착탈부(50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요철부(501)와, 상기 높이조절부(4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요철부(501)와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502)와, 상기 몸체(12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요철부(501) 및 제2 요철부(502)를 감싸 상기 제1 요철부(501)와 제2 요철부(502)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5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요철부(501)의 상부면과 가이드(503)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04)과, 상기 제1 요철부(501)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몸체(120)의 외측부로 유출되되, 양 끝단에 보호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손잡이(511)가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이어(510)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모차로서 사용될 시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요철부(501, 502)의 치결합에 의해 결속되어 이용되다가 상기 유모차 본체(100)를 분리하여 차량의 좌석에 결합할 경우 상기 손잡이(511)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요철부(501)는 상승하게 되며, 이후 일방향으로 유모차 본체(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00)만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다시 당김을 멈추게 되면 스프링(504)에 의해 제1 요철부(501)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게다가 상기한 착탈부(500)의 경우 유모차 본체(100)를 분리하는 기능 외에 유모차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511)를 당긴 상태에서 제1 요철부(501)를 가이드(503)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격시키지 않고 외측으로 소정각도만 이동시킨 뒤 손잡이(511)를 놓게 되면 제1 및 제2 요철부(501, 502)는 일부분만 치결합되고, 이로 인해 시트(130)에 착석된 유아의 탑승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그 내측부에 유모차 본체(1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6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높이조절부(400)의 축 외측부에 결합되되, 하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회전체(601) 및 상기 회전제(601)와 치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고정체(602)로 구성된다. 상기 각 요철부는 유연한 곡선으로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자가 영유아를 회전시켜 보호자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모차 본체(100)를 파지하여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체(601)의 요철부 및 고정체(602)의 요철부가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각 요철부의 첨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게 되면 유모차 본체(1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601) 및 고정체(602) 간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되어 치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각 단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어 회전체(601) 회전 시 스프링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뚜껑 내측에 방충망이 추가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상기 힌지(140)는, 몸체(120)의 양측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뚜껑(110)은 상기 힌지(140)와 결합되어 뚜껑(110) 개방 시 몸체(120)의 내측면 및 시트(130) 사이로 회동되는 구성이 서로 상이하다.(도 9b 참조)
또한, 추가로 상기 힌지(140)와 뚜껑(110) 사이에는, 상기 힌지(140)에 결합되어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150)을 더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방충망(150)의 경우 봄철의 황사 또는 길거리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모차 본체(1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방충망(150)의 경우 제2 실시예에서만 추가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후술할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구성의 거의 동일하다. 다만, 상기 뚜껑(110)이 상기 힌지(140)에 결합되되, 복수의 편으로 구성되어 뚜껑(110) 개방 시 절첩되도록 하는 구성이 서로 상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의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구성의 거의 동일하다.
다만, 유모차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 대신에 영아용 핸드 캐리어(700)가 결합되는 구성이 서로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시트를 타는 유아보다 더 어린 신생아와 같은 영아를 탑승시킬 시 핸드 캐리어(700)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모차를 이용할 나이의 유아 외에도 신생아와 같은 영아들도 본 발명의 유모차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핸드 캐리어(700)도 상기한 제1 실시예의 도 3b와 같이 그 하부에 버튼(132) 및 스프링(133)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버튼(132)의 가압에 의해 시트 결합구(131)와의 결속 및 결속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핸드 캐리어(700) 및 시트 결합구(131) 간의 결속은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같은 유모차는 결속용 도구(801)를 이용하여 자전거(800)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후륜축의 양 단부와 몸체(120)의 하부 간을 결속용 도구(801)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보호자가 자전거 운행 시 유모차도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를 유모차에서 하차시켜 차량의 카시트로 옮겨서 탑승시키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유모차 본체(100)만을 차체로(200)부터 쉽게 분리하여 카시트로 이용함으로서 유모차의 본연의 기능 외에 카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어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모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유모차 본체 110 : 뚜껑
120 : 몸체 121 : 결속고리
122 : 식판 거치대 130 : 시트
131 : 시트 결합구 132 : 버튼
133 : 스프링 140 : 힌지
150 : 방충망 200 : 차체
201 : 제1 차체 202 : 제2 차체
203 : 힌지 210 : 전륜
220 : 후륜 231 : 고정부재
232 : 스프링 233 : 파지부
234 : 와이어 210 : 전륜
220 : 후륜 300 : 프레임
301 : 손잡이 400 : 높이조절부
401 : 페달 500 : 착탈부
501 : 제1 요철부 502 : 제2 요철부
503 : 가이드 504 : 스프링
501 : 와이어 511 : 손잡이
600 : 각도조절부 601 : 회전체
602 : 고정체 700 : 핸드 캐리어
800 : 자전거 801 : 결속용 도구

Claims (11)

  1.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내부에 영유아가 탑승하며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항상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폐될 수 있는 캡슐형태의 유모차본체(100);
    상기 유모차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되는 차체(200);
    상기 차체(200)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01)를 구비한 프레임(300);을 포함하며,
    상기 유모차본체(100)는 상부를 덮는 뚜껑(110)과, 상기 뚜껑(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130)가 결합되는 몸체(120)와, 상기 뚜껑(110)과 몸체(120)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110)이 회동되도록 몸체(120)및 뚜껑에 구비되는 힌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본체(100)는 상부를 덮는 뚜껑(110)과, 상기 뚜껑(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130)가 결합되는 몸체(120)와, 상기 뚜껑(110)과 몸체(120)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110)이 회동되도록 몸체(120)의 상단부 및 뚜껑(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힌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본체(100)는 상부를 덮는 뚜껑(110)과, 상기 뚜껑(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에 시트(130)가 결합되는 몸체(120)와, 상기 뚜껑(110)과 몸체(120)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110)이 회동되도록 몸체(120)의 중간부 및 뚜껑(110)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힌지(140)로 포함하되, 뚜껑(110) 개방 시 뚜껑(110)이 몸체(120)의 내측면 및 시트(130) 사이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 본체(100) 및 차체(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유모차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0); 및
    유모차 본체(100)와 높이조절부(400) 사이에 상기 유모차 본체(100)와 높이조절부(40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착탈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500)는,
    몸체(12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요철부(501);
    상기 높이조절부(4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요철부(501)와 치결합되는 제2 요철부(502);
    상기 몸체(12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요철부(501) 및 제2 요철부(502)를 감싸 상기 제1 요철부(501)와 제2 요철부(502)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503);
    상기 제1 요철부(501)의 상부면과 가이드(503)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04); 및
    상기 제1 요철부(501)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몸체(120)의 외측부로 유출되되, 양 끝단에 보호자가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손잡이(511)가 구비되는 한 쌍의 와이어(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그 내측부에 유모차 본체(1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높이조절부(400)의 축 외측부에 결합되되, 하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회전체(601); 및
    상기 회전제(601)와 치결합되도록 상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고정체(6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200)는,
    상기 전륜(210)이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1 차체(201);
    상기 전륜(210)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후륜(220)이 양 끝단에 결합되되, 힌지(203)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 차체(202);
    상기 제1 차체(201)와 제2 차체(20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차체(201) 및 제2 차체(202)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231);
    상기 고정부재(231) 및 제2 차체(202) 내측 중간부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231)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32);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31)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파지부(233)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보호자가 파지부(233)를 가압하였을 시 상기 고정부재(231)가 후방으로 후진되도록 하는 와이어(2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40)와 뚜껑(110) 사이에는, 상기 힌지(140)에 결합되어 모기 또는 파리와 같은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10)은,
    상기 힌지(140)에 결합되되, 복수의 편으로 구성되어 뚜껑(110) 개방 시 각각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는,
    하단부에 차량의 아이소 픽스(iso fix)에 장착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속고리(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30)는,
    그 하부에 상기 몸체(120)의 내측 바닥면에 결합되는 시트 결합구(131)와 결합되되, 상기 시트(130)의 하부 및 시트 결합구(131) 상부를 동시에 결속하도록 'ㄷ'형상의 버튼(132)과, 상기 몸체(120)와 버튼(132) 간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50026213A 2015-02-25 2015-02-25 유모차 KR10170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13A KR101709390B1 (ko) 2015-02-25 2015-02-25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13A KR101709390B1 (ko) 2015-02-25 2015-02-25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49A true KR20160103649A (ko) 2016-09-02
KR101709390B1 KR101709390B1 (ko) 2017-02-22

Family

ID=5694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213A KR101709390B1 (ko) 2015-02-25 2015-02-25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9956A (zh) * 2018-10-24 2019-01-01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婴儿车
CN109910984A (zh) * 2017-12-12 2019-06-21 宁波市宸琰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安全防护装置的孩童便捷运输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872U (ko) * 1981-05-08 1982-11-10
JPS60124375U (ja) * 1984-01-31 1985-08-22 伊藤 正喜 夏、冬兼用乳母車
KR20120030621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KR20120096168A (ko) 2011-02-22 2012-08-30 채민석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KR101502406B1 (ko) * 2014-01-13 2015-03-24 이재욱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872U (ko) * 1981-05-08 1982-11-10
JPS60124375U (ja) * 1984-01-31 1985-08-22 伊藤 正喜 夏、冬兼用乳母車
KR20120030621A (ko) * 2010-09-20 2012-03-29 김현동 유모차
KR20120096168A (ko) 2011-02-22 2012-08-30 채민석 유모차 겸용 유아 카시트
KR101502406B1 (ko) * 2014-01-13 2015-03-24 이재욱 유모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0984A (zh) * 2017-12-12 2019-06-21 宁波市宸琰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安全防护装置的孩童便捷运输装置
CN109109956A (zh) * 2018-10-24 2019-01-01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婴儿车
CN109109956B (zh) * 2018-10-24 2024-04-30 嘉兴东晗智能设备有限公司 婴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390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406B1 (ko) 유모차
CN105189251B (zh) 可转化成自行车拖车的用于儿童的手推童车
KR101629385B1 (ko) 카트 및 이에 적용되는 바퀴 제어 시스템
US20120139304A1 (en) Vehicle seat with oxygen tank storage
KR101709390B1 (ko) 유모차
JP3196748U (ja) 自転車用幼児座席のカバー
US6976685B1 (en) Wheeled car seat
US20100219617A1 (en) Adjustable adult mobility device
JP3571681B2 (ja) 収納式シート
JP5688560B2 (ja) 自転車の子乗せ装置用シートカバー
JP6182107B2 (ja) 自転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レインカバー
US4470610A (en) Children's safety pull toy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JP5829813B2 (ja) 車軸で連結された脱着自在の主車輪を有する車椅子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160081282A (ko) 유모차
KR20150084644A (ko) 유모차
US20230211820A1 (en) Motorized Riding Stroller
CN208658436U (zh) 一种婴儿学步车摇马装置
US20110057484A1 (en) Ride-on children's toy
US20220227407A1 (en) Vehicle combination
CN205589379U (zh) 防侧翻儿童三轮车
CN212592876U (zh) 一种新生儿外出检查车
EP1674384A2 (en) Seat for carrying children on bicycles or the like
KR101859530B1 (ko) 유모차 장착형 2인용 보조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