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310A - 분할형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분할형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310A
KR20160103310A KR1020150025639A KR20150025639A KR20160103310A KR 20160103310 A KR20160103310 A KR 20160103310A KR 1020150025639 A KR1020150025639 A KR 1020150025639A KR 20150025639 A KR20150025639 A KR 20150025639A KR 20160103310 A KR20160103310 A KR 2016010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shing
detergent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355B1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최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일 filed Critical 최광일
Priority to KR102015002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세척기의 제어부와 세척부를 분할하여 제어부는 수납공간에 수납한 상태로 세척부만을 외부로 노출시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임펠러와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에서 물을 분사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와 분리되며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과 세제액이 저장된 탱크들을 구비한 제어부와, 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제1펌프와, 탱크에 저장된 세제액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제어부와 세척부를 연결하며 물과 세제액을 제어부에서 세척부로 공급하는 배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형 식기세척기{A Divided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세척기의 제어부와 세척부를 분할하여 제어부는 수납공간에 수납한 상태로 세척부만을 외부에 노출시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대형 음식점의 경우 다량의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식기세척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식기세척기의 편리성에 의해 가정용 식기세척기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도면에서, 도 1a는 종래의 식기세척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크게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부(3), 그리고 세척에 필요한 물, 세제, 린스 등을 보관하며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세척부(3)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5)로 구분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 용량에 따라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구분되는데, 기존 식기세척기(1)는 가정용이든 업소용이든 세척부(3)와 제어부(5)가 통합된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업소용 식기세척기는 많은 양의 식기를 한꺼번에 세척함에 따라 세척부(3)의 높이가 작업자의 흉부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기존의 업소용 식기세척기(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를 상하방향으로 밀어 개폐하는 상하 슬라이드 도어를 갖는 식기세척기(1)가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세척부(3)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세척부(3)의 아래에 제어부(5)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업소용 식기세척기(1)는 그 높이가 약 1.5 ~ 2m 정도까지 형성되며, 식기세척기(1)의 평면적 또한 상당하게 큼에 따라 작은 주방을 갖는 소형 음식점에서는 식기세척기(1)를 사용하려고 하여도 배치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식기세척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0836호(2008.06.10)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세척부와 제어부를 분할함과 더불어 세척부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게 설계되어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분할형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내측 상부에 위치한 임펠러와 내측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에서 물을 분사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와 분리되며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과 세제액이 저장된 탱크들을 구비한 제어부와, 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제1펌프와, 탱크에 저장된 세제액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제어부와 세척부를 연결하며 물과 세제액을 제어부에서 세척부로 공급하는 배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부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임펠러가 위치하고, 상부 임펠러와 하부 임펠러의 사이에는 식기가 담긴 랙이 위치하며, 제1펌프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물과 세제액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를 통해 랙이 위치한 방향으로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위치한 한 쌍의 임펠러는 상부 지관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임펠러는 하부 지관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지관과 하부 지관은 주배관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는 상부 지관 또는 하부 지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파이프와, 파이프의 양단에 장착된 노즐들을 포함하며, 파이프의 양단에 장착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형태는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의 일단에 장착된 노즐에서 분사된 물의 분사 형태는 고깔 형태이며, 파이프의 타단에 장착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형태는 선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부의 내부로 분사된 물은 세척부의 바닥에 집수되며, 세척부의 바닥과 주배관을 연결하는 순환배관을 통해 제2펌프로 물을 순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부의 바닥에는 오버플로우관이 장착되어 세척부의 바닥에 집수된 물의 수위를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부의 바닥에는 집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장착되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1펌프가 작동 또는 정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집수탱크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탱크와,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탱크를 구비하며, 집수탱크에서 연장된 급수배관과 세제탱크에서 연장된 세제배관과 린스탱크에서 연장된 린스배관은 주배관에 연결되어 물, 세제 및 린스를 주배관에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세척부로 연장된 급수배관, 세제배관 및 린스배관은 유연관으로서, 세척부와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급수배관, 세제배관 및 린스배관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는 세척부와 제어부가 분리되어 있어 주방의 구조에 따라 세척부와 제어부의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협소한 주방을 갖는 소형 음식점의 경우라도 세척부와 제어부를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의 제한을 덜 받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는 세척과 헹굼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임펠러를 구성함으로써, 세척 임펠러와 헹굼 임펠러가 복층으로 구성하였던 기존 식기세척기에 비해 그 높이를 대폭 낮춰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식기세척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할형 식기세척기의 개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세척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노즐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노즐의 분사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할형 식기세척기의 개통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세척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노즐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노즐의 분사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 식기세척기(100)는 세척부(110)와 제어부(150)로 분할되며, 제어부(150)에서 연장된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은 유연관으로 세척부(1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세척부(110)와 제어부(150)가 유연한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로 연결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어부(150)와 세척부(110)의 위치를 상하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을 통해 제어부(150)에 저장된 물과 세제 및 린스가 세척부(110)로 공급된다.
세척부(110)와 제어부(150)를 배치함에 있어서, 도 2에 보이듯이 세척부(110)는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어부(150)는 싱크대(10)의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세척부(110)를 작업자의 흉부에 위치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방식 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대차를 구비한 상태에서 대차의 상부에 세척부(110)를 위치하고 대차의 하부에 제어부(15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부(110)와 제어부(150)를 분할하고 제어부(150)에서 세척부(110)로 공급되는 물, 세제, 린스를 각각 급수배관(141), 세제배관(147), 린스배관(146)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부(110)와 제어부(150)의 위치가 기존 일체형 식기세척기에 비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10)는 정면에 도어(112)가 장착된 제1케이스(111)를 구비하며,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상부에 2개의 임펠러(120)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고, 하부에도 2개의 임펠러(120)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부 임펠러(120)와 마주하게 위치한다.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각 임펠러(120)에는 노즐(121, 122)들이 장착되며 상부에 위치한 임펠러(120)에서는 하향으로 물을 분사하며,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120)는 상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또한, 상부 임펠러(120)는 세척부(11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지관(145H)의 양단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하부 임펠러(120) 또한 세척부(11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지관(145L)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은 수직하게 위치하는 주배관(142)의 양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주배관(142)의 길이 중간으로 공급된 물은 주배관(142)을 따라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으로 유동하며, 상부 지관(145H)으로 유동한 물은 상부 임펠러(120)를 통해 하향으로 분사되고, 하부 지관(145L)으로 유동한 물은 하부 임펠러(120)를 통해 상향으로 분사된다.
여기에서 상부 임펠러(120)와 하부 임펠러(120)는 양단 노즐(121, 122)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한다.
한편, 제1케이스(111)의 내부 바닥에는 상부 임펠러(120)와 하부 임펠러(120)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된다. 제1케이스(111)의 바닥에 집수된 물은 세척 모드 시에 재순환시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1케이스(111)의 바닥과 주배관(142)을 연결하는 순환배관(143)이 장착되며, 순환배관(143)에는 제2펌프(132)가 장착된다.
또한 제1케이스(111)의 바닥에는 수위를 제한하는 오버플로우관(148)이 장착된다. 따라서 바닥에 집수된 물의 수위가 오버플로우관(148)의 상단 높이 이상이 될 경우 오버플로우관(148)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제1케이스(111)의 바닥에는 상부 수위센서(117A)와 하부 수위센서(117B)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부 수위센서(117A)는 오버플로우관(148)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며 하부 수위센서(117B)는 상부 수위센서(117A)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부 수위센서(117A)는 차후에 설명하는 세척수의 수위를 제어하는 센서이며, 다량의 헹굼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집수된 물의 수위가 상부 수위센서(117A)를 넘어 오버플로우관(148)의 상단에 도달하여 세척부(110)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척부(110)의 구조에 있어서, 주배관(142)에는 제어부(150)에서 연장된 급수배관(141)과 순환배관(143)이 주배관(14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급수배관(141)과 순환배관(143)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 체크밸브(C)가 장착된다.
그리고 린스배관(146)은 순환배관(143)에 연결되며, 세제배관(147)은 급수배관(141)에 연결되는데, 린스배관(146)은 순환배관(143)이 주배관(142)에 연결된 지점과 체크밸브(C)의 사이에 연결되고, 세제배관(147)은 급수배관(141)이 주배관(142)에 연결된 지점과 체크밸브(C)의 사이에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은 유연관으로서 제어부(150)와 세척부(110) 사이의 간격 및 위치가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식기세척기는 제어부(150)와 세척부(110)의 간격을 고려하여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의 길이를 설계함으로써,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세척부(110)와 제어부(150)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그 외형을 구성하는 제2케이스(151)와, 제2케이스(151)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집수탱크(153)와, 세척 시에 공급하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탱크(155)와, 헹굼 시에 공급하는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탱크(157)를 포함하며, 린스배관(146)에는 린스공급부(162)가 장착되고 세제배관(147)에는 세제공급부(161)가 장착된다. 따라서 세제공급부(161)의 작동에 의해 세제탱크(155)에 저장된 세제가 주배관(142)으로 공급되고, 린스공급부(162)의 작동에 의해 린스탱크(157)에 저장된 린스가 주배관(14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세척부(110)에는 제1펌프(131)가 위치하며 제1펌프(131)의 작동에 의해 집수탱크(153)의 물이 급수배관(141)을 통해 주배관(142)으로 공급되고, 집수탱크(153)에는 급수관(149)이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또한 집수탱크(153)에는 수위센서(117C)가 내장되며 수위센서(117C)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149S)가 급수관(149)에 장착된다. 따라서 집수탱크(153)에는 수위센서(117C)의 높이까지 항상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제1펌프(131), 세제공급부(161) 및 린스공급부(162)는 설계에 따라 세척부(110) 또는 제어부(15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부(110)의 제1케이스(111) 정면 하단에는 제어패널(113)이 장착되어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에 있어서,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10)의 정면에는 도어(112)가 장착되며, 도어(112)는 여닫이 방식으로 하향 선회하여 열리고 상향 선회하여 닫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향 선회하여 열리는 도어(112)의 형태를 갖게 됨에 따라 식기를 받쳐주는 랙(115)을 넣거나 빼낼 때에 물이 떨어지더라도 개방된 도어(112)에 떨어지고 도어(112)를 닫게 됨에 따라 도어(112)에 떨어진 낙수는 세척부(110)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부(110)의 주변에 낙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임펠러(120)와 하부 임펠러(120)의 사이에는 식기를 보관하는 랙(115)이 위치하며, 랙(115)은 식기세척기(100)의 내부에 정면에서 배면으로 양 측면에 고정된 랙 가이드(115G)를 따라 진입 또는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11)의 정면 상부에는 도어 센서(112S)가 장착되어 도어(112)의 개폐를 감지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4개의 임펠러(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임펠러(120)는 파이프(123)의 양단에 노즐(121, 122)이 장착된 구조로서, 각 지관(145H, 145L)을 통해 유동한 물이 임펠러(120)의 파이프(12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양단의 노즐(121, 122)을 통해 분사된다.
노즐(121, 122)들은 물의 분사 형태에 따라 세척용과 헹굼용으로 구분되는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23)의 어느 한 쪽에는 고깔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121)이 장착되고, 다른 한 쪽에는 선형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122)이 장착된다.
또한 노즐(121, 122)에서 물을 분사하는 압력에 의해 임펠러(120)가 회전하도록 제1노즐(121)과 제2노즐(122)은 편심으로 파이프(123)의 양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10)와 제어부(150)를 연결하는 유연관, 즉 급수배관(141), 린스배관(146), 세제배관(147)들의 변형에 따라 세척부(110)와 제어부(150)를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분할형 식기세척기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집수탱크(153)에는 급수관(149)을 통해 공급된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집수탱크(153)에 물이 감소하면 수위센서(117C)에서 발생한 신호에 따라 급수관(149)의 솔레노이드밸브(149S)가 개방되어 물이 집수탱크(153)에 채워진다.
이와 같이 집수탱크(153)에는 물이 채워진 상태이며, 세제탱크(155)에는 세제가 그리고 린스탱크(157)에는 린스가 채워진 대기 상태에서 식기 세척이 진행된다.
사용자가 도어(112)를 열고 랙(115)을 꺼낸 상태에서 랙(115)에 식기를 올리고 다시 랙 가이드(115G)를 통해 세척부(110)의 안쪽으로 랙(115)을 밀어 넣는다.
그리고 도어(112)를 닫게 되면, 도어(112)가 닫힘을 도어센서(112S)에서 감지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단계로 진행된다.
제1펌프(131)가 작동하면서 집수탱크(153)의 물은 급수배관(141), 주배관(142),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 임펠러(120)의 파이프(123) 및 노즐(121, 122)들을 통해 세척부(110)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세제공급부(161) 또한 함께 작동하면서 세제탱크(155)의 세제가 주배관(142)에서 물과 만나 세척부(110)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세제가 혼합되어 분사되는 물을 아래에서는 '세척수'라 한다.
노즐(121, 122)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임펠러(120)들은 회전하고, 랙(115)에 담긴 식기를 세척수로 세척한다.
한편, 식기를 세척한 후 세척부(110) 바닥으로 집수된 세척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상부 수위센서(117A)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면 제1펌프(131)의 작동은 정지하고, 제2펌프(132)가 작동한다.
제2펌프(132)의 작동에 의해 세척수 바닥에 집수된 세척수는 순환배관(143)을 통해 주배관(142),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 임펠러(120)의 파이프(123) 및 노즐(121, 122)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수에는 세제가 함유된 상태로, 세척수를 재순환하면서 식기를 세척한다.
세척수의 재순환이 설정된 시간 및 회수만큼 진행된 후에는 제2펌프(132)가 정지되고, 헹굼 단계를 진입한다.
헹굼단계는 제1펌프(131)와 린스공급부(162)의 작동으로 진행된다. 제1펌프(131)가 작동함에 따라 집수탱크(153)의 물은 급수배관(141)을 따라 주배관(142)으로 유입되고, 린스공급부(162)의 작동에 따라 린스는 린스배관(146)을 따라 주배관(142)으로 유입된다.
여기에서 린스가 혼합된 물을 '헹굼수'라 한다.
헹굼수는 결국 노즐(121, 122)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랙(115)에 담긴 식기를 헹굼한다. 이후 헹굼수는 세척부(110)의 바닥에 집수되며, 기존 바닥에 존재하는 세척수에 헹굼수가 유입되면 수위는 높아지게 된다. 이때 상부 수위센서(117A)에서 감지된 신호는 헹굼단계에서는 무시되며, 공급되는 헹굼수에 의해 높아진 수위는 오버플로우관(148)의 상단까지 제한되면서 오버플로우관(148)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설정된 시간만큼의 헹굼단계가 진행된 후 제1펌프(131)와 린스공급부(162)의 작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패널(113)을 통해 린스공급부(162)의 작동 없이 제1펌프(131)만을 작동시켜 린스가 함유되지 않은 물만으로 헹굼을 진행할 수 있으며, 무린스 헹굼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어패널(113)로 세팅하여 헹굼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집수탱크(153)에는 히터(171)와 온도센서(172)가 내장되어 집수탱크(15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세척과 헹굼 기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100 : 식기세척기
110 : 세척부
117A, 117B, 117C : 수위센서
120 : 임펠러
121, 122 : 노즐
131, 132 : 펌프
150 : 제어부
153 : 집수탱크
155 : 세제탱크
157 : 린스탱크
161 : 세제공급부
162 : 린스공급부

Claims (10)

  1.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내측 상부에 위치한 임펠러(120)와 내측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120)에서 물을 분사하는 세척부(110)와,
    상기 세척부(110)와 분리되며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과 세제액이 저장된 탱크(153, 155, 157)들을 구비한 제어부(150)와,
    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제1펌프(131)와,
    탱크에 저장된 세제액을 세척부로 공급하는 공급부(161, 162)와,
    제어부(150)와 세척부(110)를 연결하며 물과 세제액을 제어부(150)에서 세척부(110)로 공급하는 배관(141, 146, 147)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세척부(110)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임펠러(120)가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한 임펠러(120)와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120)의 사이에는 식기가 담긴 랙(115)이 위치하며,
    제1펌프(131)와 공급부(161, 162)를 통해 공급된 물과 세제액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임펠러(120)를 통해 랙(115)이 위치한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한 쌍의 임펠러(120)는 상부 지관(145H)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임펠러(120)는 하부 지관(145L)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지관(145H)과 하부 지관(145L)은 주배관(1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임펠러(120)는 상부 지관(145H) 또는 하부 지관(145L)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파이프(123)와, 파이프(123)의 양단에 장착된 노즐(121, 122)들을 포함하며, 파이프(123)의 양단에 장착된 노즐(121, 122)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형태는 상호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파이프(123)의 일단에 장착된 노즐(121)에서 분사된 물의 분사 형태는 고깔 형태이며, 파이프(123)의 타단에 장착된 노즐(122)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형태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세척부(110)의 내부로 분사된 물은 세척부(110)의 바닥에 집수되며, 세척부(110)의 바닥과 주배관(142)을 연결하는 순환배관(143)을 통해 제2펌프(132)로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7. 제3항에 있어서,
    세척부(110)의 바닥에는 오버플로우관(148)이 장착되어 세척부(110)의 바닥에 집수된 물의 수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세척부(110)의 바닥에는 집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17A, 117B)들이 장착되며, 센서(117A, 117B)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1펌프(131)가 작동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9.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150)에는 물을 저장하는 집수탱크(153)와,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탱크(155)와, 린스를 저장하는 린스탱크(157)를 구비하며,
    집수탱크(153)에서 연장된 급수배관(141)과 세제탱크(155)에서 연장된 세제배관(147)과 린스탱크(157)에서 연장된 린스배관(146)은 주배관(142)에 연결되어 물, 세제 및 린스를 주배관(142)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제어부(150)에서 세척부(110)로 연장된 급수배관(141), 세제배관(147) 및 린스배관(146)은 유연관으로서, 세척부(110)와 제어부(150) 사이의 거리가 급수배관(141), 세제배관(147) 및 린스배관(146)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식기세척기.
KR1020150025639A 2015-02-24 2015-02-24 분할형 식기세척기 KR10166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39A KR101665355B1 (ko) 2015-02-24 2015-02-24 분할형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39A KR101665355B1 (ko) 2015-02-24 2015-02-24 분할형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10A true KR20160103310A (ko) 2016-09-01
KR101665355B1 KR101665355B1 (ko) 2016-10-12

Family

ID=5694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639A KR101665355B1 (ko) 2015-02-24 2015-02-24 분할형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367A (ja) * 1994-12-21 1996-07-09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00302914B1 (ko) * 1994-12-30 2001-12-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스프레이아암
KR20040086260A (ko) * 2002-01-08 2004-10-08 존슨디버세이, 인크. 웨어와셔용 자동 세정제 분배 시스템
KR20080050836A (ko) 2006-12-04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367A (ja) * 1994-12-21 1996-07-09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00302914B1 (ko) * 1994-12-30 2001-12-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스프레이아암
KR20040086260A (ko) * 2002-01-08 2004-10-08 존슨디버세이, 인크. 웨어와셔용 자동 세정제 분배 시스템
KR20080050836A (ko) 2006-12-04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355B1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375B2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9326657B2 (en) Dual direction, double tier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9265398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US9119523B2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KR2008008812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24286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JP6437418B2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US20080135067A1 (en) Wash fluid distribution and filtration assembly and method
US10945580B2 (en) Spray nozzle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160360945A1 (en) Diverter for selective fluid flow in a dishwashing appliance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JP2006288924A (ja) 食器洗い機
KR101665355B1 (ko) 분할형 식기세척기
KR20090014510A (ko) 식기세척기
KR100535771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탱크
KR20080050836A (ko) 식기세척기
CN111050624A (zh) 洗碗机
KR20220011896A (ko) 식기 세척기
US10123678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US11445884B2 (en) Dishwasher appliance main conduit with pressure relief hole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US8337631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JP4952343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