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973A - 앵커 체인 - Google Patents

앵커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973A
KR20160102973A KR1020167013927A KR20167013927A KR20160102973A KR 20160102973 A KR20160102973 A KR 20160102973A KR 1020167013927 A KR1020167013927 A KR 1020167013927A KR 20167013927 A KR20167013927 A KR 20167013927A KR 20160102973 A KR20160102973 A KR 2016010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s
anchor chain
link member
link
ba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259B1 (ko
Inventor
토마 슈아스네
스테팡 마로벵
Original Assignee
이데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2897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029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올 filed Critical 이데올
Publication of KR2016010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F03D9/0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4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built up from readily-separable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1 링크부재(3)들과, 상기 앵커 체인의 끝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링크부재(4)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들은 적어도 3개가 연속되며,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는 바 직경 및 소재의 탄성한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보다 커서, 제2 링크부재(4)들의 굽힘에 의한 피로를 견딜 수 있는 앵커 체인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 체인(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 체인 {ANCHOR CHAIN}
본 발명은 앵커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 적용되기 위한 앵커 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앵커 체인"이라는 용어는, 기계적인 장력(tension)을 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특히, 고정지점(anchor point)에 부유체(floating body)를 연결하여 상기 부유체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되는 일련의 링크부재들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앵커 체인의 링크부재들은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들은, 납작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스터드 링크부재들일 수 있거나, 스터드가 없는 링크부재들일 수 있다.
앵커 체인이 기계적인 힘, 주로 장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부유체를 고정시키는 그리고 큰 장력이 가해지는 체인들은, 특히, 부유체와 근접한 연결부분에서, 그 끝부에, 큰 굽힘 응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굽힘 응력의 원인은,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의 접촉영역에 있어서의 기하학적 결함과 부유체의 선회 움직임의 조합이다.
상세하게는, 높은 수준의 장력과의 조합시 결함은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방해한다. 따라서 부유체의 움직임은 앵커 체인 상의 측방향 힘을 그리고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전달되는 굽힘 모멘트를 초래한다. 긴 기간에 걸친, 그러한 반복적인 굽힘은, P. Jean, K. Goosens, 그리고 D. L'Hostis의 문헌 "심해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의 굽힘에 의한 체인의 파손" (the 2005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in Houston, Texas, USA)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피로에 의한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그러한 파괴를 회피하기 위해서, 그에 따라 앵커 체인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 체인의 끝부에서의 선회운동을 개선함으로써 또는 링크부재들을 국부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체인의 링크부재들에 가해지는 굽힘 운동을 제한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WO 2010/112603 호 및 WO 98/40306 호에는 부유체와 앵커 체인의 끝부 사이에 유니버설 조인트 커넥터 및 긴 레버 아암을 개재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그러한 커넥터들은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것은 그러한 커넥터들을 결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가격은, 특히 해수와 같이 좋지 않은 환경을 견디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우 비싸다.
또한 국제특허공개 WO 2008/0951106 호에는, 부유체와 앵커 체인의 끝부 사이에, 힌지식 조인트가 아니라, 케이블 단편(segments of cable)을 개재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통상적으로 이것은 부유체를 고정시키기 전에 케이블 단편의 길이를 정확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정확하게 결정된 고정지점의 위치결정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피로파괴 임계점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중인 체인의 단편(segments of chain)을 교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예컨대 프랑스 특허출원 FR 2 601 32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윈치를 이용하여 연결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링크부재들을 교체함으로써 그리고 그러한 단편들을 특정 페어리드(fairlead)나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를 통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그렇지만, 통상적으로 이것은 무겁고 값비싼 장치들이 부유체 상에 설치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며, 또한 교체용 체인 단편을 위한 보관소를 필요로 한다. 나아가서, 교체용 체인 단편의 링크부재들은 상기한 장치들을 통과함으로써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앵커 체인의 끝부에서 링크부재들의 굽힘으로 인한 피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체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목적은, 앵커 체인이 복수의 제1 링크부재들과, 상기 앵커 체인의 끝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링크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들은 적어도 3개가 연속되며,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는 바 직경 및 소재의 탄성한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보다 실질적으로 크다는 사실로 성취된다. 여기서 링크부재의 "바 직경"은 링크부재를 형성하는 바의 단면의 최소 직경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의 접촉영역의 기하학적인 결함은 앵커 체인의 헤드 끝부에서 링크부재들 사이의 굽힘 모멘트를 전달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설치되기 전에 앵커 체인에 대해 수행되는 강도 테스트는 그러한 기하학적인 결함의 중대한 원천을 구성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한 테스트는 링크부재들을 형성하는 바의 용접 품질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통상 수행되며, 또한 앵커 체인은 의도된 수명 동안에 중대한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테스트 동안에, 앵커 체인은 그 파괴 하중의 70%까지 테스트되지만, 어떤 지점에서는 링크부재 소재의 탄성한계를 초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링크부재들 사이의 접촉 영역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고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의 접점에서 평탄화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이 평탄화된 부분은 나중에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굽힘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부유체가 선회 운동을 수행할 때마다,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특히 앵커 체인의 헤드 끝부에서 추가적인 그리고 변화하는 응력을 발생시킨다.
앵커 체인의 끝부에서의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링크부재들의 소재의 탄성한계 및/또는 바 직경에 있어서의 증가 때문에, 평탄화된 변형을 제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측방향 힘에 가장 크게 노출되는 적어도 3개의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굽힘 모멘트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제2 링크부재의 바 직경은 각각의 제1 링크부재의 바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고, 특히 각각의 제1 링크부재의 바 직경의 적어도 1.2배일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크다"는 표현은 그 차이가 제조공차보다 큰 것을 의미하며, 제조공차는 예를 들어 상기 바 직경의 5% 정도일 수 있다.
나아가서, 강도 테스트 도중에 힘을 퍼트림으로써, 바 직경에 있어서의 이러한 증가는 강도 테스트 도중에 링크부재들의 국부적인 소성 변형을 제한하며, 그에 따라 평탄화된 변형을 감소시킨다. 나아가서, 주어진 굽힘 모멘트에 대하여, 굽힘 응력은 바 직경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레버 아암(lever arm)이, 그리고 그에 따른 굽힘 모멘트가 링크부재의 상기 바 직경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방식으로 증가한다면, 주어진 측방향 힘에 대하여, 응력은 바 직경의 제곱으로 감소될 것이다. 이러한 2가지 효과의 조합의 결과, 제2 링크부재들의 바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은, 앵커 체인이 부유체의 선회 운동에 의해 측방향 힘의 영향을 받을 때마다 굽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보다 큰 직경을 대신하여 또는 그에 추가하여, 각각의 제2 링크부재의 소재의 탄성한계는 각각의 제1 링크부재의 소재의 탄성한계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고, 각각의 제1 링크부재의 소재의 탄성한계의 적어도 1.2배일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크다"는 표현은 그 차이가 제조공차보다 큰 것을 의미하며, 제조공차는 예를 들어 상기 탄성한계의 5% 정도일 수 있다.
탄성한계에 있어서의 이러한 증가는 강도 테스트 도중에 소성 변형이 가해지는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영역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굽힘 모멘트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평탄화된 변형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들과 제2 링크부재들 사이의 점진적인 천이를 얻기 위해서, 앵커 체인은 복수의 상기 제1 링크부재들과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상기 제2 링크부재들과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 링크부재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들과는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 링크부재는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바 직경보다는 실질적으로 크고,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바 직경보다는 작은 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 체인은 상기 제1 링크부재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중간 링크부재와,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상기 제2 링크부재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간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간 링크부재는 제1 중간 링크부재의 바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큰 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앵커 체인의 양쪽 끝부에서 굽힘으로 인한 피로를 회피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들은, 앵커 체인의 제1 끝부에서 적어도 3개가 연속되고, 상기 제1 끝부로부터 대향되는, 앵커 체인의 제2 끝부에서도 적어도 3개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앵커 체인을 가지는 부유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유체(floating body)"라는 용어는, 액체 표면의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것뿐만 아니라, 양의 부력(positive buoyancy force)을 발생시키고 앵커링에 의해 완전히 잠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 부유체는 부유 플랫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플랫폼은 정적인 앵커링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러한 플랫폼의 적어도 하나의 앵커 체인에 굽힘으로 인한 피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특히 적합하다. 그렇지만, 상기 부유체는 예를 들어 선박일 수도 있다.
나아가서, 부유체는 예를 들어 윈드 터빈과 같이 전기를 발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기를 발전하기 위한 여러 타입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해양 터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적용예, 특히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현장에의 적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를 나타내는 2개의 실시형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고 그 장점들은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앵커 체인의 단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2b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의 제1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본 도면들;
도 3a 내지 3b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의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본 도면들;
도 4a 내지 4b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의 제3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본 도면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체인의 끝부에 굽힘 모멘트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 체인 단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 체인 단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윈드 터빈을 지지하며 앵커 체인들에 의해 복수의 고정지점들에 연결되는 부유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복수의 고정지점들에 연결되는 앵커 체인들에 의해 해수면 아래에 잠수된 채로 유지되는, 양(positive)의 부력을 갖는 해양 터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미국 석유검정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의 API Spec 2F 기준을 따르는 종래기술의 앵커 체인(101)을 나타낸다. 이러한 앵커 체인(101)은, 그 끝부가 앵커 섀클(102)에 연결되며, 복수의 연속하는 공통 링크부재(103)를 포함하며, 공통 링크부재(103)와 앵커 섀클(102) 사이에는 표준 확장 링크부재(104) 및 말단 링크부재(105)가 포함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통 링크부재(103)는, 바 직경(bar diameter)이 d, 폭은 d의 3.35배, 그리고 길이는 3의 6배를 나타낸다. 표준 확장 링크부재(104)는, 앵커 체인(101) 내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상기 공통 링크부재(103)와 인접하며,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링크부재(103)의 바 직경(d)의 1.1배인 바 직경(d1)을 가지며, 폭은 d1의 3.35배, 그리고 길이는 d1의 6배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말단 링크부재(105)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확장 링크부재(104)와 앵커 섀클(102) 사이에 개재되며, 바 직경은 d의 1.2배, 폭은 d의 4배, 그리고 길이는 d의 6.75배를 나타낸다.
비록 표준 확장 링크부재(104) 및 말단 링크부재(105)가 공통 링크부재(10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는 하지만, 공통 링크부재(103)들 중 몇몇은 앵커 체인(101)의 끝부에 충분히 가까워서 앵커 섀클(102)에 체결되는 부유체의 측방향 움직임에 응답하여 굽힘 모멘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5는, 앵커 섀클(102)에 의해 말단 링크부재(105)에 전달되는 힘(F)이 앵커 체인(101)의 메인 방향(X)으로 정렬되지 않았을 때, 그리고 말단 링크부재와 표준 확장 링크부재(105, 104)의 표면 결함 및 그들 사이의 장력이 서로에 대한 자유로운 선회를 방해할 때,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MF)를 나타낸다. 힘(F)은, 앵커 체인(101)의 메인 방향(X)으로 정렬되는 장력(FX)과, 메인 방향에 수직인 측방향 힘(FY)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이 측방향 힘은 말단 링크부재(105)에 있어서 표준 확장 링크부재(104)를 향하여 증가하는 굽힘 모멘트(MF)를 발생시킨다. 말단 링크부재(104)에 있어서, 이러한 굽힘 모멘트(MF)는 말단 링크부재(104)의 단면에 수직인 추가 응력(σXX)을 야기시킨다. 발명의 내용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기간에 걸친, 이러한 추가 응력은, 가변될 수 있으며, 피로에 의한 파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앵커 체인(1)은, 앵커 섀클(2)에 연결되는 2개의 끝부 사이에서, 다수의 연속하는 공통 링크부재(3)들과 다수의 확장된 제2 말단 링크부재(4)들을 포함하며, 앵커 체인(1)의 각각의 끝부에는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말단 링크부재(4)들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말단 링크부재(4)들은 앵커 체인(1)의 각각의 끝부에서 4개의 말단 링크부재(4)들을 포함한다. 공통 링크부재(3)들과 말단 링크부재(4)들 사이에서의 점진적인 천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앵커 체인(1)은, 각각의 끝부에서, 공통 링크부재(3)들에 인접하는 제1 중간 링크부재(5)와, 말단 링크부재(4)들에 인접하는 제2 중간 링크부재(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앵커 체인(1)에 있어서, 각각의 공통 링크부재(3)의 바 직경이 D일 때, 제1 중간 링크부재(5)는 공통 링크부재(3)의 바 직경(D)보다 실질적으로 큰, 예컨대 D의 1.1배인 바 직경을 나타내고, 제2 중간 링크부재(6)는 제1 중간 링크부재(5)의 바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큰, 예컨대 D의 1.2배인 바 직경을 나타내고, 각각의 말단 링크부재(4)들은 제2 중간 링크부재(6)의 바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큰, 예컨대 D의 1.3배인 바 직경(Dend)을 나타낸다.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든 링크부재(3, 4, 5, 및 6)들은 1 : 3.35 : 6의 동일한 직경/폭/길이의 비를 갖는다.
또한, 말단 링크부재(4)들은 다른 링크부재(3, 5, 및 6)들의 바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큰 바 직경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통 링크부재(3)의 신장시 탄성한계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예컨대 20% 높은 신장시 탄성한계를 나타내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 큰 직경 그리고 더욱 높은 신장시 탄성한계 때문에, 말단 링크부재(4)는 공통 링크부재(3)들보다 측방향 힘에 대해 실질적으로 덜 민감하다. 주어진 측방향 힘에 대하여, 2개의 말단 링크부재(4) 사이에서 전달되는 굽힘 모멘트(Mextrem)는 다음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Mextrem = Mcourant·Kmat·Kdiam·Dextrem/D
여기서, Mcourant는 말단 링크부재(4)들을 대신하여 공통 링크부재(3)들과 동일한 치수 및 재료의 2개의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전달되는 굽힘 모멘트에 상응하고, Kmat은 탄성한계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한 개선 계수(improvement coefficient)에 상응하고, Kdiam는 바 직경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한 개선 계수에 상응한다. 비율 D/Dextrem는 바 직경에 있어서의 증가 및 링크부재의 다른 치수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한 레버 아암(lever arm)에 있어서의 증가에 상응한다.
앵커 체인(1) 내에서 가장 약한 링크부재, 즉 공통 링크부재(3)의 파괴 하중의 70%에 상응하는, 앵커 체인(1)이 시험될 테스트 하중에 대한 말단 링크부재(4)들의 재료의 탄성 범위에 있어서의 20%의 증가는, 강도 테스트에 의해 영향받게 되는 접촉 영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응력집중계수(stress concentration factor)(SCF)에 있어서의 감소, 즉 공통 링크부재(3)들의 탄성한계를 갖는 링크부재에 대한 SCFcourant = 1.25에서, 말단 링크부재(4)들에 대한 SCFextrem = 1.06으로의 감소를 초래한다. 계수 Kmat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Kmat = 1 - SCFextrem/SCFcourant
여기서, 전술한 값들을 가지고 계산하면, Kmat = 0.85이다.
나아가서, 말단 링크부재(4)들의 더욱 큰 직경은, 하중 테스트에 의해 손상을 입은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의 감소를 야기시키기도 하며, 이러한 감소는 계수 Kdiam에 있어서 보여지고, 이것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0.95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인접한 링크부재들 사이에서 전달되는 주어진 굽힘 모멘트에 대하여, 굽힘 응력은 링크부재들의 바 직경의 세제곱(cube)에 반비례한다.
결론적으로, σXX,extrem이 말단 링크부재(4)에 있어서의 굽힘 모멘트 Mextrem에 의해 유도되는 응력을 나타낸다면, 그리고 σXX,courant가 공통 링크부재(3)에 있어서의 굽힘 모멘트 Mcourant에 의해 유도되는 응력을 나타낸다면, 이들 2개의 응력 사이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σXX,extrem = σXX,courant·Kmat·Kdiam·(D/Dextrem)2
여기서, 전술한 값들을 가지고 계산하면,
σXX,extrem = 0.48·σXX,courant이다.
이 값들을 가지고 계산되는, 앵커 체인의 헤드 끝부(head end)에서의 굽힘에 의해 유도되는 응력은 절반 이상 감소되며, 이것은 앵커 체인(1)의 수명이 (1/0.48)3 = 9.04 의 비율만큼 증대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크부재(3, 4, 5, 및 6)들은 스터드 링크부재가 아니지만, 동일한 원리가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의 앵커 체인에 있어서의 링크부재들과 같은 스터드 링크부재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링크부재들에 있어서 횡단하는 스터드(7)들 이외에는, 모든 요소들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앵커 체인의 요소들과 동등하며, 그에 따라 이 요소들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나아가서, 도시된 모든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앵커 체인은 말단 링크부재들과 앵커 체인의 양쪽 끝부에서의 확장된 중간 링크부재들을 구비하고 있지만, 앵커 체인의 단지 하나의 끝부에서만 이것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피로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능 때문에, 앵커 체인은 특히 부유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발전을 위한 윈드 터빈을 지지하는 부유식 플랫폼(8)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수식 해양 터빈(9)의 장기간 정박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 및 변형들이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편적 범위를 넘지 않고도 이들 실시형태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개별적인 특징들은 부가적인 실시형태들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앵커 체인으로서,
    복수의 제1 링크부재(3)들과, 상기 앵커 체인의 끝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링크부재(4)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들은 적어도 3개가 연속되며,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는 바 직경 및 소재의 탄성한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보다 큰, 앵커 체인(1).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4)의 바 직경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의 바 직경보다 큰, 앵커 체인(1).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4)의 바 직경은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의 바 직경의 적어도 1.2배인, 앵커 체인(1).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4)의 소재의 탄성한계는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의 소재의 탄성한계보다 큰, 앵커 체인(1).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4)의 소재의 탄성한계는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의 소재의 탄성한계의 적어도 1.2배인, 앵커 체인(1).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링크부재(3)들과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상기 제2 링크부재(4)들과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링크부재(5, 6)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 링크부재(5, 6)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 4)들과는 상이한, 앵커 체인(1).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 링크부재(5, 6)는 각각의 상기 제1 링크부재(3)의 바 직경보다는 크고, 각각의 상기 제2 링크부재(4)의 바 직경보다는 작은 바 직경을 가지는, 앵커 체인(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3)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중간 링크부재(5)와, 적어도 3개의 연속하는 상기 제2 링크부재(4)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간 링크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간 링크부재(6)는 제1 중간 링크부재(5)의 바 직경보다 큰 바 직경을 가지는, 앵커 체인(1).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링크부재(4)는 상기 앵커 체인(1)의 제1 끝부에서 적어도 3개가 연속되고, 상기 제1 끝부로부터 대향되는, 상기 앵커 체인(1)의 제2 끝부에서도 적어도 3개가 연속되는, 앵커 체인(1).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앵커 체인(1)을 가지는, 부유체(8, 9).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부유 플랫폼의 형태를 가지는, 부유체(8, 9).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전기 발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지지하는, 부유체(8, 9).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전기 발전을 위한 상기 장치는 윈드 터빈인, 부유체(8, 9).
KR1020167013927A 2013-10-25 2014-10-21 앵커 체인 KR102225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0453 2013-10-25
FR1360453A FR3012409B1 (fr) 2013-10-25 2013-10-25 Chaine d'ancrage
PCT/FR2014/052668 WO2015059396A1 (fr) 2013-10-25 2014-10-21 Chaine d'anc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73A true KR20160102973A (ko) 2016-08-31
KR102225259B1 KR102225259B1 (ko) 2021-03-09

Family

ID=5028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927A KR102225259B1 (ko) 2013-10-25 2014-10-21 앵커 체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863499B2 (ko)
EP (1) EP3060464B1 (ko)
JP (1) JP6434011B2 (ko)
KR (1) KR102225259B1 (ko)
CN (1) CN105992729B (ko)
ES (1) ES2643831T3 (ko)
FR (1) FR3012409B1 (ko)
PT (1) PT3060464T (ko)
WO (1) WO2015059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436A1 (it) * 2016-04-08 2017-10-08 Soilmec Spa Apparato di supporto e guida per linee di alimentazione per dispositivi di scavo.
CN108528633A (zh) * 2018-04-05 2018-09-14 武汉理工大学 一种新型大抓力锚链
USD886661S1 (en) * 2018-07-27 2020-06-09 National Chain Company Wearable chain
USD886660S1 (en) * 2018-07-27 2020-06-09 National Chain Company Wearable chain
USD896688S1 (en) * 2018-07-27 2020-09-22 National Chain Company Wearable chain
USD934140S1 (en) * 2020-03-30 2021-10-26 William A. Collins Chain steering wheel cover
ES2944111T3 (es) 2021-01-21 2023-06-19 Tecnologica Leioa Aie Cadena de anclaje marina
CN113718754A (zh) * 2021-06-18 2021-11-30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设于立管底部的张力平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093A (en) * 1975-04-30 1976-10-12 Armco Steel Corporation Chain-wire rope anchoring systems and anchoring systems and connectors therefor
JPS57124492U (ko) * 1981-01-29 1982-08-03
JP2010539378A (ja) * 2007-09-13 2010-12-16 フローティング ウィンドファーム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海上用垂直軸風力タービン並びにそれと関連した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24269A (ko) * 2010-09-06 2012-03-14 김사현 해양 복합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6878A (en) * 1959-08-21 1961-01-03 Campbell Chain Co Overload indicator for sling chain and the like
GB1372354A (en) * 1970-10-20 1974-10-30 P Bruce Chain cable
CH593433A5 (ko) 1973-08-28 1977-11-30 Meyer Roth Pastor Maschf
US4068467A (en) * 1976-07-29 1978-01-17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Forged master link for sling chain devices
FR2601322B1 (fr) 1986-07-08 1990-04-20 Emh Dispositif d'arret de chaine de liaison
JPH0813399B2 (ja) * 1992-09-07 1996-02-14 黒木製鎖株式会社 鍛造スタッドリンクチェー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RU2110166C1 (ru) 1997-02-28 1998-05-10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орошаемого земледелия Глубокорыхлитель
US5845893A (en) 1997-03-14 1998-12-08 Bardex Engineering, Inc. Underwater self-aligning fairlead latch device for mooring a structure at sea
GB0614515D0 (en) 2006-07-21 2006-08-30 Ibm A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consumption
WO2008095106A2 (en) 2007-01-31 2008-08-07 Sofec, Inc. Mooring arrangement with bearing isolation ring
US8683935B2 (en) 2009-04-02 2014-04-01 Single Buoy Moorings, Inc. Disconnectable chain connector
CN201461858U (zh) * 2009-05-06 2010-05-12 杭州顺峰链业有限公司 高速升降机链条
WO2013001121A1 (es) 2011-06-29 2013-01-03 Jose Antonio Amoraga Rodriguez Conjunto de suportación flotante para generadores de energía eólicos
KR101291133B1 (ko) * 2011-10-25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 장치
CN102434630A (zh) * 2011-12-03 2012-05-02 江苏欧玛机械有限公司 一种重型吊装用圆环链
US9127747B2 (en) 2012-05-11 2015-09-08 Bardex Corporation Mooring chain connecting li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093A (en) * 1975-04-30 1976-10-12 Armco Steel Corporation Chain-wire rope anchoring systems and anchoring systems and connectors therefor
JPS57124492U (ko) * 1981-01-29 1982-08-03
JP2010539378A (ja) * 2007-09-13 2010-12-16 フローティング ウィンドファーム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海上用垂直軸風力タービン並びにそれと関連した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24269A (ko) * 2010-09-06 2012-03-14 김사현 해양 복합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0464A1 (fr) 2016-08-31
JP2016537569A (ja) 2016-12-01
CN105992729B (zh) 2018-03-30
US20170363175A1 (en) 2017-12-21
CN105992729A (zh) 2016-10-05
PT3060464T (pt) 2017-10-27
WO2015059396A1 (fr) 2015-04-30
US9863499B2 (en) 2018-01-09
KR102225259B1 (ko) 2021-03-09
US10132385B2 (en) 2018-11-20
FR3012409A1 (fr) 2015-05-01
ES2643831T3 (es) 2017-11-24
JP6434011B2 (ja) 2018-12-05
EP3060464B1 (fr) 2017-07-19
US20160258510A1 (en) 2016-09-08
FR3012409B1 (fr)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973A (ko) 앵커 체인
KR102155228B1 (ko) 앵커링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페어리드
Lévesque et al. Experimental study of dynamic bending stiffness of ACSR overhead conductors
Davies et al. A review of synthetic fiber moorings for marine energy applications
AU2013257102B2 (en) Mooring line extension system
US20070220858A1 (en) Anchoring System for Installing in a Surface Moved According to High-Frequency Movements
Ridge et al. Effects of twist on chain strength and fatigue performance: small scale test results
Izadparast et al. Guidance for assessing out-of-plane bending fatigue on chain used in permanent mooring systems
US20040266287A1 (en) Safety boom
Raoof et al. The riddle of free-bending fatigue at end terminations to spiral strands
Weller et al. Guidance on the use of synthetic fibre ropes for marine energy devices
De Pellegrin Manmade fiber ropes in deepwater mooring applications
Varney et al. Evaluation of wire-lay nylon mooring lines in a wave energy device field trial
JP2023528164A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所との間及びその内部における電力ケーブルへの損傷を回避するためのシステム
Snell et al. Reliability of mooring systems: application to polyester moorings
Denney Chain Failure by Bending on Deepwater Mooring Systems
JP2016016808A (ja) 浮体係留装置
Vlasblom et al. Designing HMPE fiber ropes on durability
CN204489111U (zh) 一种浮标用弹性系留装置
US20070231078A1 (en) Composite tendon
EP4033119A1 (en) Marine anchor chain
Nasutio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atigue performance of a 300 mm2 copper power conductor
SALAMA Materials for Mooring Systems
Jayasinghe et al. Investigations into observed high frequency mooring line dynamic behaviours
Yiyong et al. Mooring System Integrity Challenges and Repair Experience of South China Sea Floating Production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