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647A -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647A
KR20160102647A KR1020150024964A KR20150024964A KR20160102647A KR 20160102647 A KR20160102647 A KR 20160102647A KR 1020150024964 A KR1020150024964 A KR 1020150024964A KR 20150024964 A KR20150024964 A KR 20150024964A KR 20160102647 A KR20160102647 A KR 2016010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unit
boar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882B1 (ko
Inventor
김정현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김대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5002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17/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장기, 수술용 로봇과 같이 인체내에 삽입되는 체내 의료기기에 대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이 가능한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장기, 수술용 로봇과 같이 인체내에 삽입되는 체내 의료기기에 대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이 가능한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달에 따라 심장, 신장 등 장기의 손상이 심한 경우 장기를 이식하지 않고 실제 장기를 대체하는 인공 장기로 대체하여 이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혈관 수술과 같이 각종 정교하고 정밀성을 요구하는 수술에 의사의 컨트롤에 따라 의사의 행동을 모사하여 외과 수술을 수행하는 의료형 마이크로 로봇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인공 장기와 마이크로 로봇은 전기로 구동되는 기기로서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기기의 동작이 멈추게 되므로 배터리 체크와 주기적인 충전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체내 의료기기용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위해서 체외에 설치된 배터리를 체내의 인공 장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하므로 전력 공급을 위해 전선이 체외에서 체내로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가 한 곳에 정지해 있어야 하므로 충전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장기, 수술용 로봇과 같이 인체내에 삽입되는 체내 의료기기에 대한 배터리를 무선 충전이 가능한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는 체내 의료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충전장치로서; 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체내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를 구비한 수전기와 상기 수전기의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전기는 송전 코일부와 송전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전기는 수전 코일부와 충전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기와 수전기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송전기의 송전 배터리부의 전력을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부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전기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와 상기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을 충전하는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와 상기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송전 코일부와 수전과 송전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전과 송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와 송전 코일부 중 하나의 코일부에만 전기가 공급되도록 선택하고 수전을 선택할 경우 송전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이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를 통해 공급되어 충전되고, 송전을 선택할 경우 반대로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이 송전 코일부로 공급되어 자기장에 의해 수전기로 전력을 공급하여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전기는 수전과 송전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부와 상기 선택 스위치부의 선택에 따라 수전 동작 또는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보드부와 상기 보드부의 동작에 따라 수전 또는 송전 동작을 수행하는 통합 코일부와 송전 동작에 의해 충전되는 송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수전 동작을 제어하는 수전 보드와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전 보드와 송전 보드는 정류 및 증폭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송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송전 보드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송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송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수전 코일로 동작하여 송전 배터리의 전력을 수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수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수전보다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수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수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송전 코일로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송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기는 손목 피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전기가 위치한 피부 외측에 상기 송전기를 접촉시켜 전자기 유도를 발생시켜 상기 수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송전기는 손목에 차는 밴드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는 항상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하므로 체내 의료기기용 배터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자가 휴대하면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수전 및 송전 코일이 동심원 배열 방식을 따라서 다수 개의 층으로 제작되어 체내 의료기기의 수전 코일과 대향이 쉬운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송전기가 손목 밴드형으로 구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가 하나로 구성되어 송전과 수전 기능을 가지는 송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무선 충전장치는 체내에 설치되고 체내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한 수전기(20)와 상기 수전기의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전기(20)는 체내 의료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체내 의료기기는 심장, 간, 신장과 같이 장기를 대체하여 이식된 인공 장기, 혈관과 같은 정밀 수술을 위해 투입된 마이크로 수술 로봇, 인체에 투입되어 건강 상태를 체크 및 모니터링하는 마이크로 탐사 로봇 등 전기를 구동원으로 인체에 삽입되는 모든 의료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상기 체내 의료기기는 전기를 구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환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충전되어야 하므로 충전 관리가 필수적이다.
상기 수전기(20)는 상기 체내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상기 송전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기(10)는 송전 코일부(110)와 배터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수전기는 수전 코일부(210)와 충전 배터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기(10)와 수전기(2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송전기의 전력을 수전기의 배터리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전기의 배터리(120)가 전력을 공급하여 송전 코일부(110)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를 수전기의 수전 코일부(210)에 전기가 유도되어 충전 배터리부(220)에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되는 원리가 적용된다.
즉, 송전 코일부(110)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수전기의 수전 코일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전압과 전류가 발생되고 이것을 변환하여 전력이 충전 배터리부(220)에 충전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송전기의 송전 코일부(110)와 수전기의 수전 코일부(1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야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전기(20)가 손과 같은 피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전기가 위치한 피부 외측에 상기 송전기를 접촉시켜 전자기 유도를 발생시켜 상기 수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전기(10)는 도 3과 같이 손목에 차는 밴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전 코일부(110)와 수전 코일부(120)는 자기장 유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슬림한 형태의 판형 코일이 동심원 형상으로 감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부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공진을 위해 공진용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전용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고, 부하를 통해 체내 의료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송전기는 송전 배터리와 공진용 커패시터 및 송전 코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수전기의 충전을 위해 송전기의 배터리가 턴온되면 발생된 전류, 전압에 의해 송전 코일부(1차 코일)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이 이와 접촉된 수전 코일부(2차 코일)에 전달되어 전기를 유도하여 충전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기는 송전과 수전을 겸용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수전기로 전력을 송전만 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지만, 도 4와 같이 수전 뿐만 아니라, 송전 기능을 구비하여 송전기의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송전기에 대한 배터리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전기(10)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131)와 상기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을 충전하는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140)와 상기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송전 코일부(132)와 수전과 송전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150)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와 송전 코일부 중 하나의 코일부에만 전기가 공급되도록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수전을 선택할 경우 송전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이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를 통해 공급되어 충전된다.
그리고 송전을 선택할 경우 반대로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이 송전 코일부로 공급되어 자기장에 의해 수전기로 전력을 공급하여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된다.
즉, 수전은 송전기 자체가 충전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송전은 수전기 충전을 위해 전력을 송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가 하나로 구성되어 송전과 수전 기능을 가지는 송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송전과 수전을 위해 2개의 코일부가 적용되는 구조이지만, 도 5의 실시예는 송전과 수전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단일의 코일부가 적용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수전과 송전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부(160)와 상기 선택 스위치부의 선택에 따라 수전 동작 또는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보드부(150)와 상기 보드부의 동작에 따라 수전 또는 송전 동작을 수행하는 통합 코일부(133)와 송전 동작에 의해 충전되는 송전 배터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150)는 수전 동작을 제어하는 수전 보드(151)와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보드(1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전 보드와 송전 보드는 정류 및 증폭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송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송전 보드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송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송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수전 코일로 동작하여 송전 배터리의 전력을 수전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수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수전보다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수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수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송전 코일로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송전 배터리에 충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과 수전에 사용되는 코일부는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층(바람직하게는, 3개)이 중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기 유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송전기 20 : 수전기

Claims (7)

  1. 체내 의료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충전장치로서;
    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체내 의료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를 구비한 수전기와;
    상기 수전기의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송전기는 송전 코일부와 송전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수전기는 수전 코일부와 충전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기와 수전기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송전기의 송전 배터리부의 전력을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부에 공급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기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와;
    상기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을 충전하는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와;
    상기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는 송전 코일부와;
    수전과 송전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전과 송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와 송전 코일부 중 하나의 코일부에만 전기가 공급되도록 선택하고 수전을 선택할 경우 송전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를 통해 유도된 전력이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를 통해 공급되어 충전되고;
    송전을 선택할 경우 반대로 송전기용 수전 코일부로 공급되는 라인이 차단되고, 송전기용 충전 배터리부의 전력이 송전 코일부로 공급되어 자기장에 의해 수전기로 전력을 공급하여 수전기의 충전 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기는
    수전과 송전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부와;
    상기 선택 스위치부의 선택에 따라 수전 동작 또는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보드부와;
    상기 보드부의 동작에 따라 수전 또는 송전 동작을 수행하는 통합 코일부와 송전 동작에 의해 충전되는 송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수전 동작을 제어하는 수전 보드와 송전 동작을 제어하는 송전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전 보드와 송전 보드는 정류 및 증폭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송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송전 보드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송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송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수전 코일로 동작하여 송전 배터리의 전력을 수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수전이 선택되면, 상기 보드부의 수전보다가 동작하도록 스위칭되고, 수전 보드는 통합 코일부가 수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통합 코일부가 송전 코일로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송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기는
    손목 피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전기가 위치한 피부 외측에 상기 송전기를 접촉시켜 전자기 유도를 발생시켜 상기 수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송전기는 손목에 차는 밴드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KR1020150024964A 2015-02-23 2015-02-23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KR10176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64A KR101763882B1 (ko) 2015-02-23 2015-02-23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64A KR101763882B1 (ko) 2015-02-23 2015-02-23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47A true KR20160102647A (ko) 2016-08-31
KR101763882B1 KR101763882B1 (ko) 2017-08-01

Family

ID=5687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64A KR101763882B1 (ko) 2015-02-23 2015-02-23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055A (ja) * 2006-08-28 2008-03-06 Hiroshima Univ 非接触電力供給装置
US20090157113A1 (en) * 2007-12-18 2009-06-18 Ethicon Endo-Surgery, Inc. Wearable elements for implantable restriction systems
JP5460022B2 (ja) * 2008-11-06 2014-04-02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82B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773B2 (en)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systems
US11351360B2 (en)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systems
CN101352596B (zh) 体外供电式植入医疗仪器
EP3875143B1 (en) System for supplying energy to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101185112B1 (ko) 무선 충전용 의료기기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102013964B1 (ko) 삽입형 디바이스에서의 비접촉 전력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S2330225T3 (es) Dispositivo portatil de electroterapia para enfermedades en la articulacion de la rodilla.
US20110282415A1 (en) Wearab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18207103A4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UMORS, ESPECIALLY INTRACRANIAL TUMORS
US8427014B2 (en) System including wearable power receiver and wearable power-output device
KR20070119500A (ko) 외과용 트레이 상의 공구 유도 충전 전기 장치 및 유도충전 방법
CN107405497A (zh) 具有用于对可植入医疗设备进行充电的同轴音频连接器的组件
TW201818993A (zh) 用於體內的無線耦合系統
CN106924878A (zh) 可使用磁场和电场充电的植入式医疗设备
EP2654880A1 (en) A system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US20110278942A1 (en) Wearable power source carryable by a health care provider
KR100869229B1 (ko) 내시경용 마이크로캡슐의 무선 전력전달 시스템 및 무선전력전달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내시경용마이크로캡슐
KR101763882B1 (ko) 체내 의료기기용 무선 충전장치
JP2014136017A (ja) 手術用処置具及び手術システム
KR101630928B1 (ko) 인체 이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 및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받는 인체 이식 장치 및 인체 이식 장치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방법
KR101991625B1 (ko) 체내 이식형 기기를 위한 에너지 송신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EP3193960B1 (en) Implanted device with wireless energy transfer and external alignment feature
CN117977745A (zh) 一种安全的植入式人工器官无线供电系统及方法
US20210370074A1 (en) System for neuromodulation
KR20200126193A (ko) 체내 식립형 의료기기 및 시술정보에 대한 추적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