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567A - Collet chuck, chuc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Google Patents
Collet chuck, chuc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2567A KR20160102567A KR1020167020689A KR20167020689A KR20160102567A KR 20160102567 A KR20160102567 A KR 20160102567A KR 1020167020689 A KR1020167020689 A KR 1020167020689A KR 20167020689 A KR20167020689 A KR 20167020689A KR 20160102567 A KR20160102567 A KR 201601025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al direction
- collet
- main
- subcollet
- chu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7—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spindle
- B23B31/2072—Axially moving cam, fixed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1—Operating surfaces of collets, i.e. the surface of the collet acted on by the oper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72—Jaws of co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파지 위치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공 부품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저감시킨다.
콜릿 척(10)은, 통형상의 주 콜릿(11)과, 그 주 콜릿(11)의 내주측에 있어서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통 형상의 부 콜릿(12)을 구비하고, 주 콜릿(11)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11a)과, 외주에 마련되어 주 콜릿(11)의 내경을 확축하기 위해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어느 한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11b)과, 내주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주측 경사면(11c)을 가지고,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슬롯, 내주에 마련되어 피파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12b)과,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측 경사면에 접하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부측 경사면(12c)을 가진다.The grip position is prevented from shift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shape accuracy of the machined part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The collet chuck 10 includes a cylindrical main collet 11 and a cylindrical collet 11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11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11 The main collet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11a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pressed to constr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collet 11, (11b) having a tapered or inverted tapered shap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nd a main inclined surface (11c)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constituted by an inverted tapered shape with its axial tip end facing obliquely, and the sub collet (12) A gripping surface 12b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gripping surface 12b for grasping the human body material and a side inclined surface 12c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figured in a reverse tapered shape in contact with the main side inclined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콜릿 척, 척 장치, 및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공 부품의 축선 방향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경우에 적합한 부품 가공시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정밀 부품을 가공할 때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공작 기계에는, 재료나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척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 척 장치에는, 예를 들어, 슬롯(slot)을 구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확축(擴縮)하는 것이 가능한 콜릿 척이 사용된다. 콜릿 척에는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의 피가압면이 마련되고, 이 피가압면에 대응하는 가압면을 구비한 슬리브나 드로바 등의 작용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콜릿 척이 개폐동작하고, 그 파지부에 의해 부품, 공구 등을 파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척 장치는, 특히, 가공 재료를 주축에 파지한 상태에서 각종의 정면 가공을 실시하고, 그런 다음에, 정면 가공후의 반가공품의 선단을 배면 주축에 건네 주어 배면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공 부품의 형상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In general, various machine tools used for machining precision parts require a chuck device for holding a material or a tool. In this chucking apparatus, for example, a collet chuck capable of being radially expanded by having a slot is used. The collet chuck is provided with a pressured surface of a tapered shape or a reverse tapered shape and by driving the operating member such as a sleeve or a draw bar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grip parts, tools, and the like by the gripper. Such a chucking devic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case of carrying out various kinds of frontal machining while grasping a working material on a main shaft and then conducting the backside machining by passing the front end of the half- This is a very important part for securing the shape precision of the parts.
종래의 척 장치로서는, 직경이 다른 가공 재료를 파지하기 위해, 통상의 콜릿 척의 내부에, 슬롯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슬리브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아래의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한, 콜릿 척의 내부에 클램프 암을 수용한 척 구조도 알려져 있다(아래의 특허문헌 3 참조).As a conventional chucking device, it is known that a cylindrical sleeve having slots is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collet chuck in order to grasp a working material having a different diameter (see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척 장치에서는, 가공 재료를 파지한 상태에서, 드릴가공이나 브리치가공(broaching) 등의 축선 방향에 큰 부하가 걸리는 가공을 행한 경우에, 가공 재료가 파지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달아남으로써, 가공 부품의 축선 방향의 가공 정밀도가 악화되거나 가공 부품의 피파지면이 손상을 받거나 함으로써,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배면 가공시에 상기 부하가 걸리면, 정면 가공 부분과 배면 가공 부분의 사이에 축선 방향의 가공 어긋남이 발생한다. 또한, 반가공품의 외면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배면 가공시에 반가공품이 척 장치의 선단측으로 달아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불량이 더욱 발생하기 쉬워진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hucking apparatus, in the case where machining is carried out with a large load in the axial direction, such as drilling, broaching or the like, while grasping the machining material, The machining accurac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chined part is deteriorated or the machined part of the machined part is damaged, so that defects sometimes occur. Particularly, when the load is applied during the backside machining described above, a machining deviation occurs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machined portion and the back machined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half-finished product has an inverted tapered shape with the base end in the axial direction facing obliquely, the half-worked product tends to escape toward the tip end of the chucking device during back processing.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그 과제는, 파지 위치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공 부품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콜릿 척, 척 장치, 및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let chuck, a chuck device, and a chuck device which can prevent the gripping position from shif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duct.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콜릿 척은, 통형상의 주 콜릿과, 그 주 콜릿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통형상의 부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 콜릿의 내경을 확축하기 위해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어느 한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과, 내주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주측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부 콜릿은, 축선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내주에 마련되어 피파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과,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측 경사면에 접하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부측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콜릿 척은, 피파지재의 외경을 파지하는 외경 파지 타입의 콜릿 척이다.In view of such a situation, the collet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main collet and a cylindrical collet which is arranged movab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The main coll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pressurized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pressed toward one side of the axial direction to pressurize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collet in a tapered or inverted tapered shape And a main inclined face which is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y and has an inverted tapered shape with the tip side of the axial direction facing obliquely, the subcollet having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Side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figured in a reverse tapered shape in contact with the main-side inclined surface . That is, this collet chuck is a collet chuck of an outer diameter holding type that grip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nger stock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압면에 대한 가압의 유무에 의해, 주 콜릿의 내경이 확축되고, 이로써, 주 콜릿의 주측 경사면이 이에 접하는 부 콜릿의 부측 경사면을 구동함으로써, 부 콜릿의 내경이 확축되기 때문에, 부 콜릿의 내주에 마련된 파지면에 의해 피파지재를 외측으로부터 파지할 수가 있다. 이 파지 상태에 있어서, 피파지재에 대해 선단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피파지재를 파지하는 부 콜릿이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부측 경사면이 주측 경사면에 접하고 있음으로써 부 콜릿의 내경이 축소되고, 부 콜릿의 파지면에 의한 피파지재에 대한 파지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피파지재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피파지재의 위치 어긋남이 저감됨으로써 피파지재의 파지면과 접하는 표면 부분의 손상의 발생도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primary collet is controll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ssure on the surface to be pressurized, whereby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ary collet is controlled by driving the secondary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ary collet in contact with the primary inclined surface of the primary collet ,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inger stock material from the outside by the grip surface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b collet. In this gripping stat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nger support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tip end side, the sub collet holding the finger support member is moved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The inner diameter of the sub collet is reduced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sub collet against the grip material by the grip surface is increased so that the positional shift of the grip material in the axial direction is less likely to occur.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damage to the surface portion contacting the gripping surface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피파지재의 파지 상태에 있어서, 부 콜릿이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파지력이 증대된 경우에 있어서도, 주 콜릿이 해방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에 부 콜릿이 축선 방향 스프링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부 콜릿이 피파지재를 해방하기 쉬워지며, 또한, 피파지재의 삽입에 의해 부 콜릿이 축선 방향 스프링을 압축하여 주 콜릿의 기단측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피파지재를 파지한 경우라도, 피파지재를 해방하였을 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쉬워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xial direction spring which biases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gripping force is increased as the subcollet receives a force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n the gripping state of the finger gripping member, when the main collet shifts to the release state, The auxiliary collet can be easily released by the spring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auxiliary collet compresses the axial spring by the insertion of the finger stock material and is pushed into the base end side of the main collet It is easy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is relea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파지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피파지재를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파지함으로써, 부 콜릿과 피파지재의 축선 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위치 결정 계지부는, 상기 파지면의 일부(예를 들어, 파지면의 축선 방향의 기단)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파지면으로부터(예를 들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이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뛰어넘기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 파지부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를 상기 계합 파지부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이간시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collet has a positioning lock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personalized paper holding material while being lock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subcollet is in the released state. According to this,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subcollet and the finger stock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ensured by gripping the finger stock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stop. The positioning stopper may be provided at a part of the gripping surface (for example, at the bas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pping surface) 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surface (for example, toward the base end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ubcollet may have an engaging grip port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 enable grippin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lock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hold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절두체 형상의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파지면은, 콜릿 척이 위에서 설명한 외경 파지 타입이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피파지재의 형상에 따라서, 부 콜릿의 파지면이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축선 방향의 가공력이나 충격을 받았을 때에 피파지재가 그 가공력이나 충격의 방향과는 반대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증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해, 그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피파지재의 손상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surface of the subcollet is a frustum-shaped surface with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facing obliquely.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surface is configured in an inverted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st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obliquely directed, if the collet chuck is the outer diameter holding typ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when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ubcollet is configured in an inverted tapered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lementary collar, when the workpiece is subjected to an axial machining force or an impact,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prevented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of avoiding the damage of the paper source material is further remark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안내면을 내주에 구비하고, 상기 부 콜릿은 상기 안내면에 접접하여 축선 방향으로 안내되는 피안내면을 외주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주 콜릿의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면이 축선 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부 콜릿이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부 콜릿의 파지면의 축 어긋남이나 각도 변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피파지재의 공급 위치(주 콜릿에 대한 삽입 깊이)가 흐트러진 경우라도, 피파지재의 가공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llet has a guide surfac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n its inner periphery, and the sub colle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and guid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is, since the inner surface is guid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guide surface of the main collet, when the subcolle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the axis deviation and angle change of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ubcollet are suppressed, Even when the feeding position (insertion depth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s disturb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duction in the machining accuracy of the personal computer.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의 슬롯 및 상기 부 콜릿의 슬롯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신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주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피안내면은, 상기 부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주 콜릿의 슬롯과 부 콜릿의 슬롯은, 모두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됨으로써 축선 방향의 선단측의 영역이 확축되는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 안내면이 주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마련되며, 또한, 피안내면이 부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주 콜릿 및 부 콜릿이 개폐 동작할 때에 있어서의 안내면 및 피안내면의 변형이 저감되기 때문에, 주 콜릿에 대한 부 콜릿의 축선 방향의 안내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slot of the main collet and the slot of the subcollet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tip end edge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base end side, and the guide surface includes a region disposed on the bas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And the inside surface is formed in a region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oth the slots of the primary collet and the slots of the secondary collet are formed from the leading edge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area on the leading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constricted. On the other ha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nion is provided in a region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sid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guide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nion when the main collet and the sub collet are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terioration in the guide accurac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b collet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의 내주에는 주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 콜릿의 외주에는 상기 주측 단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계합하는 부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측 단부가 상기 주측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상기 부 콜릿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빠짐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주측 단부와 부측 단부의 계합 구조에 의해 부 콜릿이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빠짐 방지되어 있음으로써, 특히 피파지재의 꺼냄시(예를 들어, 녹 아웃 핀 등에 의한 피파지재의 배출시)에 있어서, 부 콜릿이 주 콜릿 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축선 방향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파지재의 해방시에 있어서 부 콜릿이 축선 방향 스프링에 의해 빠짐 방지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피파지재의 삽입 전에는, 주 콜릿에 대해 부 콜릿을 항상 초기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콜릿에 대한 부 콜릿의 빠짐 방지 구조는, 상기 주측 단부와 부측 단부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척 장치나 공작 기계에 있어서 콜릿 척과는 별개로 마련되는 부재에 의해, 결과적으로, 부 콜릿이 주 콜릿 내에 유지되는 구조이더라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llet is provided at its inner periphery with a main side end,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 collet is provided with a sub side end portion which axially engages with the main side end portion. When the sub side collet abuts against the main side end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collet is prevented from falling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According to this, since the sub collet is prevented from slipping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due to the engag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end portion and the sub side end portion, particularly when pulling out the cushioning materi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collet from falling out of the main collet. In addition, when the axial spring is provided, the sub collet returns to the disengagement prevention position by the axial spring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finger fastener. Therefore, before insertion of the fastener element, It can be set to the initial position.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ubcollet from coming off from the main colle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having the main end and the side end, but may be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llet chuck in the chucking device or machine tool, Or may be a structure retained in the main collet.
본 발명에 있어서, 주 콜릿의 주측 경사면과 부 콜릿의 부측 경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축선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홈을 마련함으로써 생기는 한 쪽의 경사면의 모서리부가 다른쪽의 경사면에 달라붙기 때문에, 파지 상태에 있어서의 주 콜릿과 부 콜릿 사이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collet and the sub side surface of the sub colle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Since the corner portion of one of the inclined surfaces formed by forming this groove is attached to the other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itional shift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main collet and the subcollect in the gripping sta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척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콜릿 척과,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주 콜릿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반경 방향으로 확축(내주의 축경을 생기도록)시키는 작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작용 부재가 주 콜릿의 피가압면을 가압함으로써, 주 콜릿이 동작하고, 서로 접하는 주측 경사면과 부측 경사면의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를 개재시켜 부 콜릿도 동작한다. 예를 들어, 작용 부재의 가압에 의해 주 콜릿이 축경하고, 이로써 부 콜릿이 축경하여 피파지재를 파지한다. 이때, 상기 주 콜릿의 상기 피가압면은, 내경을 확축하기 위해 상기 작용 부재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가압되는 면으로써, 축선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됨으로써 상기 주 콜릿 내에 유지되고,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hu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collet chuck and an operation member which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at presses the main collet in the axial direction to constrain in the radial direction . According to this, the working member presses the surface to be pressed of the main collet, the main collet operates, and the sub collet also operates through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inverse tapered shape of the main side inclined surface and the sub side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primary collet is reduced in diameter by the urging of the operating member, whereby the secondary collet is shrunk to grip the personal computer. In this case, the surface to be pressurized of the main collet is a surface which is press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operating member to constrict the inner diameter, and is tapered or inverted tapered toward at least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do. In this case, the subcollet is retained in the main collet by being prevented from dropping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hu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rovide them.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공제품의 제조방법은, 척 장치에 의해 피가공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여 가공 제품을 형성하는 가공제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척 장치는, 상기의 콜릿 척과,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주 콜릿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반경 방향으로 확축(예를 들어, 내주의 축경을 생기도록)시키는 작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용 부재를 해방 구동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해방 상태로 하여, 상기 피가공재를 상기 부 콜릿의 내주측에 장착하고, 그 다음, 상기 작용 부재를 파지 구동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파지 상태로 하여,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process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rocessed product by processing the processed material in a state that the processed material is held by a chuck device, (For example, an inner diametric diameter is gene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pressing the main colle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to the release drive position , The main collet and the subcollet are put in a released state to mount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ubcollet and then the operating member is placed at the gripping driving position, And the workpiece is machi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됨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유지되고,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부 콜릿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빠짐 방지되는 동시에, 축선 방향 스프링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되어 있음으로써, 피가공재의 해방시에 있어서 부 콜릿이 축선 방향 스프링에 의해 빠짐 방지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피가공재의 삽입 전에는, 주 콜릿에 대해 부 콜릿을 항상 초기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재의 도입시에 있어서 피가공재의 부 콜릿에 대한 축선 방향의 도입 위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공재의 꺼냄시(예를 들어, 녹 아웃 핀 등에 의한 피파지재의 배출시)에 있어서 부 콜릿이 주 콜릿 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주 콜릿에 대한 부 콜릿의 빠짐 방지 구조는, 상기와 같이 주 콜릿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척 장치나 공작 기계에 있어서 콜릿 척과는 별개로 마련되는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ollet is reta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by being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hu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above. According to this, since the subcollet is prevented from dropping toward the tip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biased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axial direction spring, the subcollet is released to the dropout preventing position The subcollet can always be set at the ini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before the work piece is inserted. Therefore, at the time of introducing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the accuracy of the introduction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collet of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can be enhanced, and as a result, the processing accuracy can be improv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subcollet from falling out of the main collet when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taken out (for example,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paper stock material by a knockout pin or the like). The subcollet withdrawal preventing structure for the main coll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collet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huck and the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llet chuck in the machine tool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가공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예를 들어, 상기 파지면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가지고, 상기 피가공재는, 상기 부 콜릿의 내주측에 장착될 때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부 콜릿에 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피가공재가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부 콜릿에 파지됨으로써, 부 콜릿에 대한 피가공재의 축선 방향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재를 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제품의 축선 방향의 치수의 흐트러짐을 저감하고, 그 제품의 축선 방향의 형상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ollet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stopper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orkpiece to be fix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for example, on the bas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pper surface ), And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held by the subcollet in a state in which it is abutted against the positioning locking portion when the working material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ubcollet. According to this, since the work piece is grasped by the sub-colle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lock portion, the position of the work piec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 collet can be made constant, And the shape accuracy of the product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increased.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피가공재는, 상기 부 콜릿에 장착될 때에 상기 피가공재가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지는 동시에 상기 축선 방향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부 콜릿에 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축선 방향 스프링이 부 콜릿을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고 있기 때문에, 피가공재를 부 콜릿의 선단측으로부터 장착하여 축선 방향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피가공재가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 콜릿에 파지되었을 때의 피가공재의 위치 결정 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어, 부 콜릿에 대한 피가공재의 축선 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u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xial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and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when mounted on the subcollet, Is held by the sub-collet in a state in which the axial spring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lock portion and the axial spring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is, since the axial spring biases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nly by mounting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from the tip end side of the subcollector and compressing the axial spring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obtain the positioning state of the workpiece when the workpiece is gripped by the subcollect, and to further improv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workpiec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collect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재를 주축에 장착하여 정면 가공을 수행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정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재를, 상기 척 장치를 구비한 배면 주축으로 건네 주어, 그 배면 주축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를 파지하는 제2공정과, 상기 배면 주축에 장착된 상기 피가공재에 배면 가공을 수행하는 제3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배면 가공에 있어서 피가공재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가공력이 가해졌을 때라도, 그 가공력에 의해 피가공재가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부 콜릿과 주 콜릿 사이의 부측 경사면과 주측 경사면과의 접접(摺接) 구조에 의해 피가공재에 대한 파지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가공재의 축선방향의 기단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피가공재의 축선 방향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피가공재를 부 콜릿의 파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면 가공시에 있어서의 피가공재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후의 제품에 있어서의 정면 가공 부분과 배면 가공 부분 사이의 축선 방향의 가공 어긋남도 저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ep of performing the front surface machining by mounting the material to be machined on the main shaft, and the above-mentioned material to be processed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front surface machining are passed to the back main shaft provided with the chuck device, A second step of grasping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by the chucking device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back surface processing on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mounted on the back spindle. According to this, even when the machin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in the backside machining, when the workpiece tries to move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machining force, The gripp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increased by the sliding contact structure with the main side inclined surface. As a result, positional shift to the bas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can be avoi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chining accurac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and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etween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and the holding surface of the collet.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positional deviation of the workpiece in the axial direction during backside machining, the machining deviation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machined portion and the back machined portion in the machined product can be reduced.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콜릿 척은, 통형상의 주 콜릿과, 그 주 콜릿의 외주측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통형상의 부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내주에 마련되어 외경을 확축하기 위해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어느 한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과, 외주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주측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외주에 마련되어 피파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과, 내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측 경사면에 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부측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콜릿 척은, 피파지재의 내경을 파지하는 내경 파지 타입의 콜릿 척이다.The other collet chuck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ylindrical main collet and a cylindrical subcollet movably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A surface to be pressed which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which is pressed to constrain the outer diameter and which is formed into a tapered shape or a reverse tapered shape toward ei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ubcollet has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to grip the gripp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lot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has a side inclined surfac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contact therewith. That is, this collet chuck is a collet chuck of an inner diameter holding type which grips the inside diameter of the finger stock material.
여기서,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 콜릿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파지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예를 들어, 상기 파지면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절두체 형상의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파지면은, 내경 파지 타입의 경우에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안내면을 외주에 구비하고, 상기 부 콜릿은, 상기 안내면에 접접하여 축선 방향으로 안내되는 피안내면을 내주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주 콜릿의 슬롯 및 상기 부 콜릿의 슬롯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신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주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피안내면은, 상기 부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 콜릿의 외주에는 주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 콜릿의 내주에는 상기 주측 단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계합하는 부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측 단부가 상기 주측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상기 부 콜릿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빠짐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뛰어넘기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 파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를 상기 계합 파지부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이간시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 콜릿의 주측 경사면과 부 콜릿의 부측 경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축선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xial direction spring that biases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Further, the subcollet has a positioning engagement portion (for example,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pping surface) for positioning the picked-up stock material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t is in the released state desirabl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surface of the subcollet is a frustum-shaped surface with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facing obliquely. That is, in the case of the inner diameter holding typ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surface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obliquely dir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llet has a guide surfac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subcollet has an inn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and guided in the axial direction. Further, in this case, the slot of the primary collet and the slot of the subcollet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tip end edge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base end side, and the guide surface is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inclined surface And the inside surface of the top surface is formed in a region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inclined surface. The main collet is provided with a main en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b collet is provided with a side end portion which is axially engaged with the main end portion. The side end portion abuts against the main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collet is prevented from slipping toward the tip end in the axial direc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surface of the subcollet has a radially protruding engaging and gripping portion capable of gripping the jump.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ing locking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holding por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groove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main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collet and the sub-inclined surface of the subcolle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이 다른 콜릿 척은, 상기 척 장치에 있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작용 부재 대신,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주 콜릿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반경 방향으로 확축(외주의 확경(擴徑)을 생기도록)시키는 작용 부재와 함께 사용된다. 이때, 상기 주 콜릿의 상기 피가압면은, 외경을 확축하기 위해 상기 작용 부재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 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됨으로써 상기 주 콜릿 내에 유지되고,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e other collet chucks can be used in the chucking device. That is, in plac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member,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used together with an operation member that presses the main collet in the axial direction to constrain the radial direction (to produce a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y). In this case, the surface to be pressurized of the main collet is a surface which is press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member to constrict the outer diameter, and is tapered or inverted tapered toward at least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bcollet is retained in the main collet by being prevented from dropping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hu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rovide them.
또한, 상기의 다른 콜릿 척을 사용한 척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가공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되고, 상기 작용 부재를 해방 구동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해방 상태로 하여, 상기 피가공재를 상기 부 콜릿의 외주측에 장착하고, 그 다음, 상기 작용 부재를 파지 구동 위치에 배치해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파지 상태로 하여,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됨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유지되고,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가공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예를 들어, 상기 파지면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가지고, 상기 피가공재는, 상기 부 콜릿의 외주측에 장착될 때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부 콜릿에 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피가공재는, 상기 부 콜릿에 장착될 때에 상기 피가공재가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지는 동시에 상기 축선 방향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부 콜릿에 파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피가공재를 주축에 장착하여 정면 가공을 수행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정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재를, 상기 척 장치를 구비한 배면 주축으로 건네 주어, 그 배면 주축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에 의해 상기 피가공재를 파지하는 제2공정과, 상기 배면 주축에 장착된 상기 피가공재에 배면 가공을 수행하는 제3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uck device using the other collet chuck is used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cess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collet and the sub collet are set in the released state by disposing the operation member at the release driving position, The work piece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ub-collet, and then the operation member is placed at the gripping drive position to put the main collet and the sub-collet in the grip state, thereby processing the work material. In this case, the subcollet is retained against the main collet by being prevented from falling off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hucking device includes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above.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ubcollet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stopper portion for positioning the workpiece to be engaged with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ximal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pper surface And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held in the subcollet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lock portion when it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ubcollet. At this time, the chu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and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s fixed to the subcollet,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is held by the subcollet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biased against the positioning lock and the axial spring is compressed.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이라 함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하여 끝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역 테이퍼 형상이라 함은,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끝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통형상이라 함은, 전형적으로는 원통형상인데, 타원 통형상, 장원 통형상, 각 통형상 등의 임의의 통형상을 포함한다. 더욱이, 절두대 형상의 면이라 함은, 절두대의 측면의 형상을 가지는 면을 말하고, 전형적으로는 원추대 형상인데, 타원추대 형상, 장원추대 형상, 각추대형상 등의 임의의 절두대 형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apered shape" means that the shape of the tapered shape is narrowed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he term "reverse tapered shape" means a shape having a shape of narrowing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 The tubular shape is typically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ny tubular shape such as an elliptical cylindrical shape, a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shape. Furthermore, the term " two-sided surface " refers to a surface having a shape of two sides, and is typically a shape of a truncated cone, including any two-sided shape such as an elliptical shape, a rectangular shape, .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 위치가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공 부품의 형상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콜릿 척, 척 장치, 및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llet chuck, a chuck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rocessed product that can prevent the gripping position from shift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shape accuracy of the machined part and reducing the defective rate. Lt; / RTI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콜릿 척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a), 종단면도(b) 및, 이 콜릿 척에 대응하는 피가공물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c)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주 콜릿의 정면도(a) 및 종단면도(b)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부 콜릿의 정면도(a), B-B 종단면도(b) 및 측면도(c)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콜릿 척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척 장치의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척 장치의 내부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척 장치의 해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a) 및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b)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공정도 (a)~(e) 및 피가공물의 구조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f)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콜릿 척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a), 해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b), 파지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c) 및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d)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콜릿 척을 가지는 척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해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a) 및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b)이다.Fig. 1 is a front view (a),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and a cross-sectional view (c) showing an example of a workpiece corresponding to the collet chuck,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llet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a)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of the main collet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a), a BB longitudinal sectio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subcollect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chu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ollet chuck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hucking apparatus.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 showing the released state of the chucking device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showing the gripping state.
Fig. 7 is a process diagram (a) to (e)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cess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workpiece.
Fig. 8 is a front view (a)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llet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showing a release state, a vertical sectional view (c) showing a state during transition to the gripping state, (D).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 showing a release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hucking apparatus having another collet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b) showing the gripped state.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초로, 콜릿 척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콜릿 척(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상(도시 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주 콜릿(11)과, 이 주 콜릿(11)의 내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 부분에 수용되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상(도시 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부 콜릿(12)과, 상기 주 콜릿(11)의 내부에 있어서,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 수용된 축선 방향 스프링(13)과, 상기 주 콜릿(11)의 축선 방향의 기단에 부착되어, 상기 축선 방향 스프링(13)을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스프링 받이(14)를 가진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a first embodiment of a collet chu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주 콜릿(11)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도시 우측)으로 신장되고, 중간 위치까지의 범위에 형성되고, 축선 둘레에 복수 개(도시 예에서는 3 개) 마련된 슬롯(11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롯(11a)의 축선 방향의 기단부는 큰 원 형상(장원형상이나 타원형상이어도 좋음)의 개구부로 되고, 이 개구부보다도 축선 방향의 선단측(도시 좌측)에 있는 부분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슬릿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롯(11a)의 축선 방향의 형성 영역 내에 있는 외주 부분에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11b)이 형성된다. 이 피가압면(11b)의 선단측에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한 단차면으로서, 축선과 직교하는 수직면에 형성된 외주 단부(11p)가 형성되어 있다.The
주 콜릿(11)은, 상기 피가압면(11b)에 있어서 후술하는 척 슬리브(작용 부재)에 의해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축선 방향의 선단측 부분에 있는 주측 경사면(11c)의 내경이 확축되도록 구성된다. 이 주측 경사면(11c)은, 주 콜릿(11)의 가장 선단측에 있는 부분의 내주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측 경사면(11c)은, 축선 방향을 따른 소정의 테이퍼 각을 가지는 원추대 형상의 면이고, 주 콜릿(11)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대하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주측 경사면(11c)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과 직교하는 환형상의 홈(11q1, 11q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측 경사면(11c)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주측 단부(11e)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면(11r)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면(11r)은, 주측 경사면(11c)의 축선 방향의 기단 가장자리에 있는 최소 지름의 부분과 같은 내경을 구비한다.The
주 콜릿(11)의 내주에는, 상기 주측 경사면(11c)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있는 영역에,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내경을 구비한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면(11d)이 형성된다. 또한, 이 안내면(11d)과, 상기 주측 경사면(11c)과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향한 단차면을 구비한 주측 단부(11e)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 예의 경우, 상기 안내면(11d) 및 상기 주측 단부(11e)는, 외주에 상기 피가압면(11b)이 마련된 축선 방향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 영역은, 주 콜릿(11)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있는 부분보다도 더한 두께로 구성된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측 단부(11e)의 단차면은,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향하는 동시에, 내주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원추대 형상의 테이퍼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과, 이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의 외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축선과 직교하는 수직 단차면(11e2)을 가진다.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은 상기 원통면(11r)과 접하고, 수직 단차면(11e2)은 상기 안내면(11d)과 접하고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으로 각각 신장되는, 축선 둘레에 복수 개(도시 예에서는 3 개)의 슬롯(12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롯(12a)의 축선 방향의 기단부는 큰 원형상(장원형상이나 타원형상이어도 좋음)의 개구부로 되고, 이 개구부보다도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있는 부분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슬릿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 콜릿(12)의 내주에는, 슬롯(12a)이 형성된 축선 방향의 영역 내에 있어서, 도시 예에서는 축선 방향의 가장 선단측에, 피파지재나 피가공재(이하, 간단하게 “피가공물(W)"이라고 함)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면(12b)은, 부 콜릿(12)의 내경의 축소에 의해 피가공물(W)의 외경을 파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일반적으로는, 축선 방향에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도시 예에서는, 파지면(12b)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확경된 역 테이퍼 형상의 내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파지면(12b)의 내면 형상은 피가공물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역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구비한 피가공물(W)을 파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파지면(12b)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는,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해방 상태에 있어도, 피가공물(W)이 부 콜릿(12)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선단에 맞닿아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고,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된다.The
부 콜릿(12)의 외주 부분에는, 상기의 주 콜릿(11)에 마련된 주측 경사면(11c)과 접하는 부측 경사면(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측 경사면(12c)은, 도시 예에서는, 부 콜릿(12)의 가장 선단측에 있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측 경사면(12c)은, 축선 방향을 따른 테이퍼 각을 가지는 원추대 형상의 면에 형성되고,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증대하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부측 경사면(12c)은, 피가공물(W)을 파지한 상태에서, 주측 경사면(11c)과 밀착하고, 딱 맞게 감합할 수 있도록, 주측 경사면(11c)과 거의 같은 테이퍼각이 되도록 형성된다.Side inclined
부 콜릿(12)의 내주에는, 상기 부측 경사면(12c)이 형성된 영역보다도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일정한 내경을 구비한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피안내면(12d)이 형성된다. 또한, 이 피안내면(12d)과, 상기 부측 경사면(12c)과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향한 단차면을 구비한 부측 단부(12e)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측 단부(12e)는, 도시 예에서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동시에 외주측으로 경사진 원추대 형상(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 예의 경우, 피안내면(12d)은 상기 안내면(11d)에 접접하고, 이로써 부 콜릿(12)은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부측 단부(12e)는 상기 주측 단부(11e)와 감합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측 단부(11e)와 부측 단부(12e)가 감합되었을 때, 부측 단부(12e)는 주측 단부(11e)의 상기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과 밀접하되, 상기 수직 단차면(11e2)은 부측 단차면(12e)의 표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이 주측 단부(11e)와 부측 단부(12e)의 계합 구조에 의해, 부 콜릿(12)은, 주 콜릿(1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되어 있다.The inner periphery of the
부 콜릿(12)의 상기 파지면(12b)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구비한 도 1(c)에 나타내는 피가공물(W)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외주 포락(包絡) 형상(Wo)(도시 일점 쇄선)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외주 포락 형상(Wo)을 구성하는 외주면 형상의 예로서는, 축선 둘레에 형성된 숫나사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콜릿 척의 축선 방향의 기단에는,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감합하는 소경단(Wp)이 형성된다. 더욱이, 축선 방향의 선단에 있는 개구단에 개구하는 축 구멍(Wi)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축 구멍(Wi)의 예로서는, 렌치 등의 공구를 감합시키는 육각 구멍을 들 수 있다.The workpiece W shown in Fig. 1 (c) having an outer surf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holding
콜릿 척(10)에서는, 주 콜릿(11)의 피가압면(11b)에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주측 경사면(11c)의 내경이 축소되고, 이것이 부 콜릿(12)의 부측 경사면(12c)의 외경을 축소시킴으로써, 파지면(12b)의 내경이 축소된다. 따라서, 부 콜릿(12)의 내부에 있어서 피가공물(W)을 파지할 수가 있다. 또한, 부 콜릿(12)과 스프링 받이(14)와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 스프링(13)이 압축 상태에서 주 콜릿(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축선 방향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주 콜릿(11)이 부 콜릿(12)을 체결하고 있지 않은 해방 상태에서는, 부 콜릿(12)은, 그 피안내면(12d)이 주 콜릿(11)의 안내면(11d)에 안내됨으로써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부측 단부(12e)가 주측 단부(11e)에 맞닿(감합)는 초기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된다.In the
여기서, 상기 주측 경사면(11c)에 마련된 홈(11q1, 11q2)은, 상기 파지 상태에 있어서 홈(11q1, 11q2)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는 환형상의 모서리부가 부측 경사면(12c)에 달라붙음으로써, 상기 주측 경사면(11c)과 상기 주측 경사면(11c)과 상기 부측 경사면(12c)과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한다. 단, 이들의 홈(11q, 11q2)은 상기 해방 상태에 있어서는,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축선 방향의 접동을 막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홈(11q1, 11q2)은 주측 경사면(11c)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대신에 부측 경사면(12c)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또한,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쌍방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의 달라붙는 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홈은 축선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The grooves 11q1 and 11q2 provided on the main side inclined
또한, 주측 단부(11e)와 부측 단부(12e)의 맞닿는 구조에 있어서는, 주측 단부(11e)의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에 부측 단부(12e)가 밀접하게 구성되고, 수직 단차면(11e2)과 부측 단부(12)와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측 단부(11e)의 내주측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을 부측 단부(12e)에 맞닿고, 부 콜릿(12)을 축선 방향에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외주측에 형성된 수직 단차면(11e2)이 부측 단부(12e)로부터 떨어진 구조로 함으로써, 주 콜릿(11)의 내부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의 면 정밀도도 높아지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의 선단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확축되었을 때의 변형에 기인하는, 부 콜릿(12)의 주 콜릿(11)에 대한 축선 방향의 빠짐 방지 위치의 변동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퍼 형상 단차면(11e1)은 반드시 테이퍼 형상일 필요는 없고, 부측 단부(12e)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부측 단부(12e)와의 사이에서 서로 밀착할 수 있는 단차면이면 좋다. 또한, 수직 단차면(11e2)도 반드시 수직면일 필요는 없고, 부측 단부(12e)로부터 떨어진(접촉하지 않는) 면이면 좋다.The tapered stepped surface 11e1 of the main
도 4 및 도 5에는, 상기의 콜릿 척(10)을 사용한 척 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낸다. 단, 이 콜릿 척(1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상기 콜릿 척(10)과 약간 달라, 상기 홈(11q1, 11q2)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주측 단부(11e)의 단차면은, 전체가 부측 단부(12e)에 밀접하는 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기본적인 작용 효과는 상기와 같다. 그러나, 설명의 형편상,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콜릿 척이나 이에 포함되는 각 부재에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4 and 5 show the structure of th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장치(20)는, 콜릿 척(10)이 공작기계의 주축(배면 주축)(32)에 장착된 척 슬리브(21) 내에 수용되고, 축선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척 슬리브(21)에 부착되는 캡 너트(22)에 의해 축선방향의 선단측에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축선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코일 스프링 등의 유지 스프링(23)에 의해 선단측을 향하여 부세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 받이(24)는, 척 슬리브(21)에 장착되어 유지 스프링(23)의 기단측을 지지하는 스토퍼이다. 그리고 도 5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녹 아웃 핀(25)은, 축선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주 콜릿(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녹 아웃 핀(25)은, 상시는 축선방향의 기단측에 대기하고, 피가공물(W)을 배출할 때에, 다른 기구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축선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피가공물(W)을 부 콜릿(12) 내로부터 축선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하여 배출한다.5, the chucking
척 슬리브(21)는, 주축(32)에 대해 콜릿 척(10)과 동축에 부착되어 있다. 척 슬리브(21)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의 외주부분에는 세로홈(21a)이 형성되고, 이 세로홈(21a)은 주축(32)에 감합하고, 척 장치(20)가 주축(32)과 일체로 축선 둘레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척 슬리브(21)는, 콜릿 척(10)의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을 반경 방향으로 확축시키기 위한 작용 부재로서 기능한다. 통형상의 척 슬리브(21)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의 내주 부분에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여 열리도록 형성된 원추대 형상(역 테이퍼 형상)의 가압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척 슬리브(21)는 주지의 구동 기구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척 슬리브(21)가 도 6(a)에 나타내는 위치(해방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의 선단 부분은 외주측으로 넓어진 해방 상태에 있다. 한편, 척 슬리브(21)가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위치(파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가압면(21b)이 상기 피가압면(11b)을 가압하고,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을 축경시켜, 파지 상태로 할 수 있다.The
캡 너트(22)는,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선단부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22a)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개구부(22a)의 개구내 가장자리에 있는 위치 결정면(22b)이 주 콜릿(11)의 외주 단부(11p)에 맞닿아 있다. 캡 너트(22)의 기단부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해 주축(32)에 고정된다. 콜릿 척(10)은, 캡 너트(22)의 위치 결정면(22b)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의 유지 스프링(23)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부세됨으로서, 축선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콜릿 척(10)은, 주축(32)에 대해 척 슬리브(21)가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콜릿 척(10)이 개폐 동작할 때에 있어서도, 주축(32)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 상태로 된다.The
그리고 해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6(a)에서는,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이 확경된 상태를 강조하기 위해, 실제보다도 슬롯(11a)과 (12a)가 열린 양태로 그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 상태로 되고, 도시하지 않은 피가공물(W)에 대해 파지력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구성된다. 단, 이 해방상태에 있어서도,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콜릿(11)의 상기 피가압면(11b)이 척 슬리브(21)의 가압면(21b)에 맞닿거나, 주 콜릿(11)의 선단부의 외주가 캡 너트(22)의 개구부(22a)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거나 한 상태로 됨으로써, 콜릿 척(10)의 축 어긋남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부 콜릿(12)의 부측 경사면(12c)이 주 콜릿(11)의 주측 경사면(11c)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으면, 결과적으로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의 축 어긋남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피가공물(W)을 척 장치(20)에 대해 삽입할 때의 불편, 즉, 피가공물(W)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의 선단 개구에 정합되지 않아, 피가공물(W)을 부 콜릿(12)의 내부에 삽입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가져온다.6 (a) showing the release state, the
한편,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 6(b)에서는, 피가공물(W)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도시의 좌측)으로부터 부 콜릿(12)의 내부에 삽입되고, 척 슬리브(21)의 가압력에 의해 주 콜릿(11)을 개재시켜 축경된 부 콜릿(12)의 파지면(12a)이 피가공물(W)을 파지한다. 해방 상태로부터 파지 상태로 이행되는 과정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해방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이 부 콜릿(12)에 삽입되었을 때, 피가공물(W)이 파지면(12a)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마련된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대어지면,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 스프링(13)을 압축하여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때, 부 콜릿(12)의 피안내면(12d)이 주 콜릿(11)의 안내면(11d)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부 콜릿(12)의 축 어긋남은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 다음,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슬리브(21)의 이동에 의해 피가공물(W)은 파지면(12b)에 의해 파지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1q1, 11q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사이에서 홈(11q1, 11q2)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달라붙음에 의해, 해방 상태에서 파지 상태로 이행될 때의 부 콜릿(12)의 주 콜릿(11)에 대한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저감된다. 그리고 홈을 부측 경사면(12c)에 마련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6 (b) showing the gripping state, the workpiece W is inserted into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가공물(W)은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이동하기 쉬운 상황에 있다. 따라서, 만약 도 6(b)에 나타내는 파지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드릴가공이나 브로치가공 등이 행해짐으로써, 피가공물(W)에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하는 가공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가공력의 변동에 수반되는 충격과 역 테이퍼 형상의 파지면으로부터 부여되는 파지력의 작용에 의해, 피가공물(W)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황과는 다르지만, 피가공물(W)이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의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파지면(12b)이나 피가공물(W)이 역 테이퍼 형상이거나, 테이퍼 형상이거나, 원통형상인가에 관계없이, 상기 가공력이 가해짐으로써, 피가공물(W)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orkpiece W is configured in an inverted tapered shape in which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obliquely directed, the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 콜릿(12)의 부측 경사면(12c)이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 콜릿(11)의 역 테이퍼 형상의 주측 경사면(11c)과 접하고 있는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상기 가공력이 가해져 피가공물(W)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부 콜릿(12)도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상기의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에 의해, 파지면(12b)에 의해 피가공물(W)에 가해지는 파지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피가공물(W)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특히, 파지면(12b)이나 피가공물(W)의 역 테이퍼 형상에 의한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1q1, 11q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1c)의 사이에서 홈(11q1, 11q2)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달라붙음에 의해, 상기 가공력에 기인하는 부 콜릿(12)의 주 콜릿(11)에 대한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더욱 저감된다. 그리고 홈을 부측 경사면(12c)에 마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ub-collet 12 has the inverted tapered shape in which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파지면(12b)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척 장치(20)의 해방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이 부 콜릿(12)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피가공물(W)이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댐으로써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위치 결정되고, 이 위치 결정 상태에서 피가공물(W)이 부 콜릿(12)에 파지되기 때문에, 부 콜릿(12)에 대한 피가공물(W)의 축선 방향의 위치 정밀도 및 그 재현성을 높일 수가 있다. 특히, 축선 방향 스프링(13)이 부 콜릿(12)을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고 있음으로써, 피가공물(W)과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는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피가공물(W)의 가공 기준을 부 콜릿(12)으로 함으로써, 피가공물(W)의 축선 방향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켜, 가공 형상의 재현성을 높일 수가 있다.When the
도 7(a) 내지 (e)는,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콜릿 척(10) 혹은 상기 척 장치(20)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가공물(W)의 가공 방법, 혹은, 피가공물(W)의 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주축대(1)는 주축(2)을 탑재하고, 주축(2)의 선단에 마련된 척 장치(3)에 의해 피가공물(W)의 원재료(W0)가 파지된다. 원재료(W0)는 예를 들어 환봉재이고, 미리 피가공물(W)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재료이어도 좋고, 혹은, 주축 이동형 자동선반(스위스형 자동 선반) 등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장척 재료이어도 좋다. 이때, 가공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가이드 부시 장치(4)(도시 점선)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상기 장척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합하다.7A to 7E show a processing method of a workpiece W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상기 원재료(W0)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2)에 유지된 상태에서, 적절한 공구(5)에 의해 가공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원재료(W0)의 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하고, 필요에 따라, 나사 가공 등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품으로서 치과용 임플란트재(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치과용 임플란트어버트먼트 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제품 외면의 개형(槪形)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외표면의 상세 구조, 예를 들어, 외면 나사 구조(댐핑 나사 등) 등을 성형한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품 피가공물(W2)의 단면 형상은 도 7(f)에 나타내고 있되, 상세는 후술한다. 대부분의 경우, 치과용 임플란트재의 외면의 개형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물(W)의 외표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한다.The raw material W0 is processed by an appropriate tool 5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여기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주축대(31)에 탑재된 주축(32)을, 상기 주축(2)과 동축선상에 배치하여, 상기 척 장치(20)를 원재료(W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주축(32)을 포함하는 배면 주축 기구는, 주지한 바와 같이 공작 기계 내에 주축(2)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가 담보된다면, 주축(2)을 가지는 장치와는 별도 장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7 (b), the
다음으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주축대(31)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주축(2)에 파지되어 있는 원재료(W0)의 선단 부분을, 도 6(a)에 나타내는 해방 상태의 척 장치(20)의 상기 부 콜릿(12) 내에 삽입한다. 여기서, 배면 주축대(31)가 아닌, 주축대(1)를 이동시켜도 좋고, 배면 주축대(31)와 주축대(1)를 모두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재료(W0)의 선단 부분이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닿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콜릿(12)이 약간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때,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 스프링(13)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원재료(W0)의 선단 부분은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Next, as shown in Fig. 7 (c), the
한편, 부 콜릿(12)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축(2)과 주축(32)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부 콜릿(12)에 대한 원재료(W0)의 삽입 깊이를 설정한다. 이때, 원재료(W0)의 선단 부분의 파지면(12b) 내의 축선 방향의 위치는, 해방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 스프링(13)에 의해 위치 결정된 부 콜릿(12)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주축(2)과 주축(32)의 축선 방향의 상대적 간격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파지면(12b)이 피가공물(W)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제외한 외형 부분에 대응하는 역 테이퍼 형상의 내경을 가지고 있되, 피가공물(W)의 소경단(Wp)의 형상을 반영한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W)의 전체가 역 테이퍼 형상이 아니고, 적어도 축선 방향의 일부 영역에 원통 형상의 부분을 가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그 원통 형상의 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원통면 상의 파지면(12b)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와 같이 하여, 원재료(W0)가 삽입되고, 상기 어느 한 방법으로 위치 결정된 후에, 척 장치(20)는 파지 상태로 이행한다. 즉, 척 슬리브(21)가 축선 방향으로 구동되고,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이 축경되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재료(W0)의 선단 부분을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2) 및 배면 주축(32)을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절단 바이트 등의 공구(6)를 사용하는 등에 의해, 원재료(W0)로부터 주면 가공이 수행된 선단 부분을 잘라낸다. 이 선단부분은, 주면 가공을 필한 중간 피가공물(W1)이다. 도 7(d)는, 배면 주축(32)의 척 장치(20)가 중간 피가공물(W1)을 파지한 상태에서, 배면 주축대(32)를 주축대(1)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After the raw material W0 is inserted and positioned by any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the chucking
그 다음,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주축(32)의 척 장치(20)에 파지된 중간 피가공물(W1)에 대해 배면 가공을 수행한다. 이 배면 가공의 종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7)로서 나타내는 드릴이나 브로치 등에 의해, 중간 피가공물(W1)의 절리면에 천공 가공을 수행하거나, 육각 구멍 등의 공구 계합 구조를 형성하거나 하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한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단,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피가공물(W1)에 대해 척 장치(20)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직접적으로 가공력이 가해지는 양태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절삭 바이트 등에 의한 외주면(척 장치(20)로부터 튀어 나온 부분)의 선삭 가공에 있어서도, 피가공물(W1)에 대해 공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보내는 양태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간접적으로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한 가공력이 피가공물(W1)에 가해지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7 (e), the back surface machining is performed on the intermediate workpiece W1 gripped by the
상기와 같이 중간 피가공물(W1)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가공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부 콜릿(12)에도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하는 힘이 미치되, 그 힘에 의해 부 콜릿(12)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에 의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이 더욱 축경되어, 중간 피가공물(W1)의 파지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간 피가공물(W1)의 부 콜릿(12)에 대한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나, 부 콜릿(12) 자체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억제된다. 또한, 중간 피가공물(W1)의 상기 파지면(12b)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외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효과는 슬롯(11a) 및 (12a)가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가공력에 기인하여 생기는 주 콜릿(11) 및 부 콜릿(12)의 축경 작용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 부분보다도 선단측 부분에 있어서 보다 강해짐으로써, 더욱 높아진다.When a machining force is applied to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workpiece W1 as described above, a force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also applied to the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중간 피가공물(W1)의 외주 포락 형상(Wo)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파지면(12b)에 위치 결정 계지부(12s)를 마련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본래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에 의한 중간 피가공물(W1)의 파지 상태는 불안정하고, 파지력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성분에 의해, 충격을 받았을 때에 중간 피가공물(W1)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을 받았을 때라도 상기 이유에 의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에 의한 중간 피가공물(W1)에 미치는 파지력이 증대하고, 또한, 상기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의 체결력도 증대하기 때문에, 상기의 중간 피가공물(W1)이나 부 콜릿(12)의 위치 어긋남을 회피할 수가 있다. 물론, 파지면(12b)에 위치결정 계지부(12s)를 마련하지 않고, 중간 피가공물(W1)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envelope shape Wo of the intermediate workpiece W1 is formed in an inverted tapered shape which is obliquely directed toward the proximal end in the ax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is, 12b are obliquely directed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fore, even when the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콜릿 척(10)을 사용한 경우에는, 주측 경사면(11c)의 홈(11q1, 11q2)에 의해, 파지 상태에서는, 그 홈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대향하는 부측 경사면(12c)에 대해 달라붙기 때문에, 주 콜릿(11)에 대한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더욱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상기 홈을 부측 경사면(12c)에 마련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한 녹 아웃 핀(25) 등을 사용하여, 배면 가공이 종료된 제품 피가공물(W2)을 척(20)으로부터 배출한다. 이 제품 피가공물(W2)의 예로서는, 도 6(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제품 피가공물(W2)은, 축선 방향에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외주 포락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 태핑 스크류 등을 구성하는 외주 나사 구조(W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선 방향의 기단에는, 볼록 곡면형상의 소경단(Wp)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외주 포락 형상, 외주 나사 구조(Ws) 및 소경단(Wp)은, 상기 주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품 피가공물(W2)의 축선 방향의 길이는, 상기의 주축(2)으로부터 배면 주축(32)에 대한 주고 받을 때의 절단 가공에 의해 결정된다. 이 절단 가공을, 배면 주축(32)의 척 장치(20)에 파지된 상태에서, 그 척 장치(20)의 부 콜릿(12)을 기준으로 행함으로써, 상기 축선 방향의 길이를 고정밀도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배면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축 구멍(Wi))과의 정합성을 높일 수가 있다. 더욱이, 제품 피가공물(W2)에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의 개구단에 개구하는 축 구멍(Wi)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Wi)은, 상기 배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Finally, the workpiece W2 having been subjected to the backside machining is discharged from the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콜릿 척(10)과는 다른 별도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콜릿 척(1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주 콜릿(11'), 축선 방향 스프링(13'), 스프링 받이(14')를 갖되, 주 콜릿(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 콜릿(12') 등의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부 콜릿(12')은, 주 콜릿(11')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마련된 주측 경사면(11c')과 밀접한 부측 경사면(12c')을 구비하는 점은 상기와 같되,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는, 상기의 파지면(12b)에 상당하는 부분으로서,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계합 파지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 파지부(12b')는,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의 내주면보다도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큰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Ws')가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형성된 형상의 피가공물(W')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이른바 뛰어넘기 파악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즉, 이 부 콜릿(12')에서는, 피가공물(W')이 계합 파지부(12b')의 내주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계합 파지부(12b')가 대경부(Ws')를 넘어서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있는 피가공물(W')의 부분을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Next, a second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 콜릿(12')의 상기 계합 파지부(12b')보다도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계지 부재(12t')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계지 부재(12t')는, 도시 예에서는, 부 콜릿(12')의 기단부에 대해 나사 조임 등에 의해 고정된다. 계지 부재(12t')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는, 피가공물(W')에 맞닿고, 축선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계지부(12s')는, 피가공물(W')의 상기 대경부(Ws')를 수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계합 파지부(12b')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12t 'is fixedly attached to the base end side of the auxiliary collet 12'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주 콜릿(11')의 내부에는,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있어서 통형상의 안내 부재(11d')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11d')의 내부에는, 상기 부 콜릿(12')의 기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피안내면(12d')이 축선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부 콜릿(12')은, 안내 부재(11d')의 내부에 수용되고, 주 콜릿(11')의 축선 방향의 기단에 부착된 스프링 받이(14')에 지지된 축선 방향 스프링(13')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부세되어 있다. 부 콜릿(12')의 기단부에는 위치 결정 핀(12e')이 부착되고, 이 위치 결정 핀(12e')은 상기 안내 부재(11d')에 마련된 위치 결정 구멍(11e')에 삽입되어 있다. 도 8(b)에 나타내는 콜릿 척(10')의 해방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핀(12e')이 위치 결정 구멍(11e')의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 결정되고, 빠짐 방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Inside the main collet 11 ', a
도 8(b)에 나타내는 상기 해방 상태의 콜릿 척(10')에 피가공물(W')을 삽입하고, 피가공물(W')이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닿은 상태에서 피가공물(W')을 더 압입하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 스프링(13')이 압축되면서 부 콜릿(12')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부 콜릿(12')의 부측 경사면(12c')이 주 콜릿(11')의 주측 경사면(11c')에 안내됨으로써, 부 콜릿(12')은 축경되고, 상기 계합 파지부(12b')는, 피가공물(W')의 대경부(Ws')보다도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있는 외형이 작은 피 파지 부분의 외면에 가까이 간다. 또한, 피가공물(W')의 압입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핀(12e')은 위치 결정 구멍(11e')의 축선 방향의 기단 테두리에 맞닿아,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된다. 그 다음,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작용 부재에 의해 주 콜릿(11')의 피가압면(11b')이 가압되면, 주 콜릿(11')이 축경하고, 주측 경사면(11c')이 부측 경사면(12c')을 체결하기 때문에,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콜릿(12')의 계합 파지부(12b')가 피가공물(W')을 파지한다.The workpiece W 'is inserted into the collet chuck 10' in the released state shown in Fig. 8 (b), and the workpiece W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d)에 나타내는 파지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향하는 가공력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역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에 의해, 파지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피가공물(W')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위치 어긋남에 의한 피가공물(W')의 손상도 회피할 수 있다. 도시 예에서는, 파지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11e')의 축선 방향의 기단 가장자리에 위치 결정 핀(12e')에 맞닿아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상기 가공력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부 콜릿(12')에 축선 방향의 이동이 거의 생기지 않아도 파지력은 일시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단, 파지 상태에 있어서도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위치 결정 핀(12e')과 위치 결정 구멍(11e')의 축선 방향의 기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극간이 있게 구성하거나, 혹은, 위치 결정 구멍(11e')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개구 가장자리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machining force or impact directed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workpiece W 'in the grip state shown in Fig. 8 (d), the sub collet 12' The gripping force is increased by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reverse tapered shape of the main side inclined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9는, 또 다른 콜릿 척의 제3 실시 형태를 구비한 척 장치(20")의 해방 상태(a)와 파지 상태(b)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콜릿 척은, 피가공물의 내경을 내측으로부터 파지하는 내경 파지 타입의 콜릿 척이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콜릿 척(10)과는 내주측과 외주측의 관계가 역전된 구조를 가진다. 주 콜릿(11")은, 축선 둘레에 복수 개의 슬롯(11a")을 구비한 통형상(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주에 역 테이퍼 형상 및 테이퍼 형상의 피가압면(11b")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가압면(11b")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된 역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선단측 피가압면 부분과,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기단측 피가압면 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후술하는 작용 부재의 가압면(21a", 22a")에 의해 각각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주 콜릿(11')의 외주에는,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주측 경사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예의 콜릿 척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어 기단측으로 신장되는 슬롯(11a")과, 축선 방향의 기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어 선단측으로 신장되는 슬롯(11a")(도시 생략)이 축선 둘레에서 보아 번갈아 형성된 양 분할 콜릿 구조를 가지되,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어 기단측으로 신장되는 슬롯만을 가지는 편분할 콜릿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leasing state (a) and a holding state (b) of the
본 실시 형태의 척 장치(20")에서는, 상기 주 콜릿(11")을 구동하기 위한 작용 부재로서, 축선 방향의 기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가압면(21a")을 구비하는 동시에,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신장되는 접동 축부(21b")를 가지는 제1 작용 부재(21")와, 이 제1 작용 부재(21")의 접동 축부(21b")가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통형상(원통형상)이 부재로서,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가압면(21a")을 구비하는 동시에,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같은 지름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면(22b")을 가지는 제2 작용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작용 부재(22")는 도시하지 않은 주축에 고정되고, 제1 작용 부재(2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축선 방향의 위치를 전후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주 콜릿(11")의 외주측에 통형상(원통형상)의 부 콜릿(12")이 배치된다. 이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어 기단측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12a")을 축선 둘레에 가진다. 또한, 부 콜릿(12")의 내주에는, 상기 주 콜릿(11")의 외주에 마련된 주측 경사면(11c")에 밀접하는 부측 경사면(12c")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는, 상기 슬롯(12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통형상으로 신장되는 기단부가 형성되고, 그 기단부의 내면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작용 부재(22")의 안내면(22b")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면(12d")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 콜릿(12")의 상기 기단부에는, 주 콜릿(11")의 축선 방향의 기단에 마련된 단면(11e")에 계합하는 단차면(12e")이 마련되고, 단면(11e")과 단차면(12e")과의 맞닿음에 의해,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 결정되고, 빠짐 방지된다. 또한, 부 콜릿(12")은,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축선 방향 스프링(13")에 의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 cylindrical collet 12 ''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11 ''. Th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 콜릿(12")의 외주에 마련된 파지면(12b")은, 피가공물(W")의 내경 부분의 형상에 맞춰 형성된다. 도시 예에서는, 파지면(12b")은 단순한 원통면으로서 그려져 있다. 단, 피가공물(W")의 내주의 형상에 따라서, 예를 들어, 파지면(12b")을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원추대 형상)의 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파지면(12b)을 가지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파지면(12b")의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는, 파지면(12b")보다 외주측으로 튀어 나온 단차면으로서 형성된 위치 결정 계지부(12s")가 마련된다. 이 위치 결정 계지부(12s")는, 피가공물(W")을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부 콜릿(12")의 외주측에 장착하였을 때, 피가공물(W")의 단 가장자리에 맞닿아, 피가공물(W")을 축선 방향에 위치 결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해방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을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부 콜릿(12")의 외주에 장착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피가공물(W")을 위치 결정 계지부(12s")에 맞닿게 하되, 그때에, 부 콜릿(12")을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 스프링(13")을 압축하여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그 다음, 제1 작용 부재(21")를 제2 작용 부재(22")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주 콜릿(11")의 피가압면(11b")이 가압면(21a") 및 (22a")에 가압되기 때문에, 주 콜릿(11")은 확경되고, 주 콜릿(11")의 주측 경사면(11c")이 부측 경사면(12c")을 밀어서 넓힘으로써, 부 콜릿(12")도 확경된다. 이로써,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이 피가공물(W") 의 내경을 내측으로부터 파지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piece W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척 장치(20")의 파지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물(W")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가공력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주측 경사면(11c")과 부측 경사면(12c")의 테이퍼 형상의 감합 구조에 의해 부 콜릿(12")의 파지면(12b")의 피가공물(W")에 대한 파지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피가공물(W")이나 부 콜릿(12")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고, 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피가공물(W")의 손상도 억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machining force or an impact is applied to the workpiece W "from the tip en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holding state of the
그리고 도 9(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콜릿(11")에 있어서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 신장되는 통 형상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의 외주면을 안내면(11d")으로 하고, 이 안내면(11d")을 따라 부 콜릿(12")의 피안내면(12d")이 축선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연장부의 기단면을 주측 단부(11e")로 하고, 이 주측 단부(11e")가 부 콜릿(12")의 부측 단부(12e")에 맞닿음으로써, 부 콜릿(12")이 주 콜릿(11")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빠짐 방지되도록 하여도 좋다.As shown by the chain double-dashed line in Fig. 9 (b), a cylindrical extens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s formed in the
본 발명의 콜릿 척, 척 장치 및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도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홈(11q1, 11q2)의 미끄럼 방지 구조나 주측 단부(11e)와 부측 단부(12e)의 빠짐 방지 구조를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를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 사용하여도 좋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llet chuck, the chuck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lip prevention structure of the grooves 11q1 and 11q2 shown in Figs. 1 to 3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lip prevention structure of the main
10: 콜릿 척
11: 주 콜릿
11a: 슬롯
11b: 피가압면
11c: 주측 경사면
11d: 안내면
11e: 주측 단부
12: 부 콜릿
12a: 슬롯
12b: 파지면
12c: 부측 경사면
12d: 피안내면
12e: 부측 단부
13: 축선 방향 스프링
14: 스프링 받이
20: 척 장치
21: 슬리브
21b: 가압면
22: 캡 너트
23: 유지 스프링
24: 스프링 받이
31: (배면) 주축대
32: (배면) 주축
W: 피가공물10: Collet Chuck
11: Primary collet
11a: Slot
11b: Pressurized surface
11c: main inclined surface
11d: guide surface
11e: main end
12: Subcollet
12a: Slot
12b:
12c: negative side inclined surface
12d:
12e:
13: Axial spring
14: spring receiver
20: Chuck device
21: Sleeve
21b: pressure face
22: Cap nut
23: Retention spring
24: spring receiver
31: (Back) Headstock
32: (Back surface) Spindle
W: Workpiece
Claims (13)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slot)과,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 콜릿의 내경을 확축하기 위해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어느 한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과, 내주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주측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내주에 마련되어 파지 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과,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측 경사면에 접하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부측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A cylindrical main collet and a cylindrical subcollet movably disposed in an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The main collet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pressed to constr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collet. The main collet is tapered or reversely tapered toward one side of the axial direction A pressure-receiving surface, and a main-side inclined surface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y and configured in an inverted tapered shape with the apical side of the axial direction facing obliquely,
Wherein the subcollet has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to grip the gripping member, and a side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figured in a reverse tapered shape in contact with the main inclined surface. chuck.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내주에 마련되어 외경을 확축하기 위해 가압되는 면으로서, 축선 방향의 어느 한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 혹은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피가압면과, 외주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주측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의 슬롯과, 외주에 마련되어 피파지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면과, 내주에 마련되어 상기 주측 경사면에 접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부측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A cylindrical main collet and a cylindrical subcollet movably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in collet,
The main collet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pressed surfac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pressurized to constrain the outer diameter, the pressed surface being tapered or reverse tapered toward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main inclined surfac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obliquely oriented,
Wherein said subcollet has a plurality of slo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gripping the gripper material, and a side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configured in a tapered shape in contact with said main side inclined surface. .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xial direction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상기 부 콜릿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파지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aid subcollet has a positioning engagement portion for positioning said personalized paper holding material in a state of being lock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n the released state.
상기 부 콜릿의 상기 파지면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을 비스듬히 향한 절두대 형상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ubcollet is a two-sided shape having an obliquely directed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주 콜릿은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부 콜릿은 상기 안내면에 접접하여 축선 방향으로 안내되는 피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ain collet has a guide surface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the subcollet has a guide surface which is guided in an axi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상기 주 콜릿의 상기 슬롯 및 상기 부 콜릿의 상기 슬롯은 축선 방향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신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주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피안내면은, 상기 부측 경사면에 대해 축선 방향의 기단측에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ot of the main collet and the slot of the subcollet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leading edge of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and the guide surface is formed in a region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inclined surface , And the inside surface is formed in an area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inclined surface.
상기 주 콜릿에는 주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 콜릿에는 상기 주측 단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계합하는 부측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측 단부가 상기 주측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상기 부 콜릿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빠짐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main collet is provided with a main side end portion and the subcollet is provided with a side end portion which is axially engaged with the main side end portion and the sub side collet abuts against the main side end portion,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toward the dist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주 콜릿의 상기 주측 경사면과 상기 부 콜릿의 상기 부측 경사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축선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main inclined face of the main collet and the sub side inclined face of the sub collet.
상기 척 장치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콜릿 척과,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주 콜릿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반경 방향으로 확축시키는 작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용 부재를 해방 구동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해방 상태로 하여, 상기 피가공재를 상기 부 콜릿에 장착하고, 그 다음, 상기 작용 부재를 파지 구동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주 콜릿 및 상기 부 콜릿을 파지 상태로 하고, 상기 피가공재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processed product by machining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in a state of holding the material to be processed by a chucking device,
The chucking apparatus includes the collet chu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n operation member tha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esses the main collet in the axial direction to constrain the main colle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main collet and the subcollet are put in a released state by disposing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member at the release drive position, the work material is mounted to the subcollet, and then the above- And a step of bringing said subcollet into a gripping state and processing said material to be processed.
상기 부 콜릿은 축선 방향의 선단측에 빠짐 방지됨으로써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유지되고, 상기 척 장치는, 상기 부 콜릿을 상기 주 콜릿에 대해 축선 방향의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축선 방향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bcollet is retained on the main collet by being prevented from falling off toward the tip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huck device further includes an axial spring for biasing the subcollet toward the tip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llet ≪ / RTI >
상기 부 콜릿은, 해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피가공재를 축선 방향의 기단측으로부터 계지하여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피가공재는, 상기 부 콜릿에 장착될 때에 상기 위치 결정 계지부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부 콜릿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제품의 제조 방법.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said subcollet has a positioning locking portion for positioning said workpiece to be lock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said subcollet is in the released state, And wherein the workpiece is gripped by the subcollet in a state in which it is abut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4/060139 WO2015155827A1 (en) | 2014-04-08 | 2014-04-08 | Collet chuck, chuc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2567A true KR20160102567A (en) | 2016-08-30 |
KR101801502B1 KR101801502B1 (en) | 2017-11-24 |
Family
ID=542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0689A KR101801502B1 (en) | 2014-04-08 | 2014-04-08 | Collet chuck, chuc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208851B2 (en) |
KR (1) | KR101801502B1 (en) |
TW (1) | TWI574773B (en) |
WO (1) | WO201515582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39726B2 (en) | 2016-06-14 | 2020-05-05 | Schaublin Sa | Flexible coupling for attaching a collet to a draw ba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64518A (en) * | 2015-11-28 | 2016-03-02 | 重庆华洋单向器制造有限公司 | Transmission shaft clamping device |
CN109922911B (en) * | 2016-12-05 | 2021-03-09 | 日锻汽门株式会社 | Machining device, method for using machining device, and chuck device |
TWI635926B (en) * | 2017-03-17 | 2018-09-21 |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 Workholding device |
TWI639415B (en) * | 2017-06-12 | 2018-11-01 | 千鐿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 Dental clamp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421516B1 (en) * | 2018-06-18 | 2022-07-14 | 가부시키카이샤 다이아 세이키 세이사쿠죠 | handling device |
KR102038329B1 (en) * | 2018-06-25 | 2019-10-30 | 최외철 | Automatic lathe having apparatus fixing goods by chuck |
KR102139243B1 (en) | 2018-11-20 | 2020-07-29 | (주)코멕스카본 | Jig for adjusting chuck height |
EP3851233A1 (en) * | 2020-01-16 | 2021-07-21 | Schaublin SA | Flexible collet assembly with limited radial stiffness |
CN113385958B (en) * | 2021-06-10 | 2022-11-04 | 青海高等职业技术学院(海东市中等职业技术学校) | High-precision centering fixtur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CN114043382A (en) * | 2021-10-12 | 2022-02-15 | 广州群创数控机床有限公司 | Work fix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9899A (en) | 1974-09-30 | 1976-04-03 | Mutsuo Wada | SUICHOKURICHAKURIKUHIKOKI |
JPS577448A (en) | 1980-06-16 | 1982-01-14 | Seiko Epson Corp | Liquid crystal ester and its production |
JP2007152509A (en) | 2005-12-06 | 2007-06-21 | Denso Corp | Collet chuck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74688A (en) * | 1974-04-04 | 1975-04-01 | Norman E Schiller | Collet adapter |
JPS5394369U (en) * | 1976-12-29 | 1978-08-01 | ||
JPS60161506U (en) * | 1984-04-03 | 1985-10-26 | 斉藤鉄工有限会社 | Dust cover for collect chuck |
JPS6229206U (en) * | 1985-08-05 | 1987-02-21 | ||
JPH01132312U (en) * | 1988-03-03 | 1989-09-08 | ||
US4867463A (en) * | 1988-09-02 | 1989-09-19 | Eaton Leonard Technologies, Inc. | Quick release collet |
JP2000158216A (en) * | 1998-11-20 | 2000-06-13 | Tsugami Tool:Kk | Collet chuck and chuck device |
CN2650930Y (en) * | 2003-11-08 | 2004-10-27 | 漳州升源机械工业有限公司 | Improved collet structure |
JP2007268623A (en) * | 2006-03-30 | 2007-10-18 | Citizen Holdings Co Ltd | Collet chuck attitude holding structure and machine tool including the structure |
DE102007029449A1 (en) * | 2007-06-21 | 2008-12-24 | Fischer AG Präzisionsspindeln | Centrifugal assisted tool clamping system |
JP4990693B2 (en) * | 2007-06-22 | 2012-08-01 | 有限会社大谷鉄工所 | Split groove structure of collet for chuck |
TWM435968U (en) * | 2012-04-13 | 2012-08-21 | Best Power Tools Co Ltd | Clamping device for processing machine |
-
2014
- 2014-04-08 JP JP2016512505A patent/JP6208851B2/en active Active
- 2014-04-08 KR KR1020167020689A patent/KR10180150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04-08 WO PCT/JP2014/060139 patent/WO20151558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
- 2015-01-15 TW TW104101297A patent/TWI574773B/en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9899A (en) | 1974-09-30 | 1976-04-03 | Mutsuo Wada | SUICHOKURICHAKURIKUHIKOKI |
JPS577448A (en) | 1980-06-16 | 1982-01-14 | Seiko Epson Corp | Liquid crystal ester and its production |
JP2007152509A (en) | 2005-12-06 | 2007-06-21 | Denso Corp | Collet chuc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39726B2 (en) | 2016-06-14 | 2020-05-05 | Schaublin Sa | Flexible coupling for attaching a collet to a draw 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55827A1 (en) | 2015-10-15 |
JP6208851B2 (en) | 2017-10-04 |
TW201538270A (en) | 2015-10-16 |
KR101801502B1 (en) | 2017-11-24 |
TWI574773B (en) | 2017-03-21 |
JPWO2015155827A1 (en)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1502B1 (en) | Collet chuck, chuc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
US447164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tressing fastener holes | |
US4524600A (en) | Apparatus for prestressing fastener holes | |
JP6177640B2 (en) | Chuck device with pull-in mechanism | |
EP1477255A1 (en) | Cemented carbide broach and broaching machine | |
US10391562B2 (en) | Machine spindle with ejecting means | |
WO2006089117B1 (en) | Self-centering drill bit chuck | |
KR20160106416A (en) |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machine workpiece | |
US7137632B2 (en) | Force limiting workpiece holding device | |
US20050280216A1 (en) | Machine tool arbor fitted for tool-less chucking | |
US20040143950A1 (en) | Slide hammer | |
WO2018212107A1 (en) | Tool holder | |
JP5375987B2 (en) | Sheet surface processing method | |
JP5148908B2 (en) | Chuck device | |
JP2011255460A (en) | Machine tool | |
CN203817885U (en) | Main shaft tool changing mechanism centering inspection tool | |
JP2006305668A (en) | Collet chuck device | |
JPH03202244A (en) | Clamping device for workpiece | |
JP2007268623A (en) | Collet chuck attitude holding structure and machine tool including the structure | |
JP2019084635A (en) | Chuck device | |
JP2009083071A (en) | Sheet surface machining tool and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or using the same sheet surface machining tool | |
JP7214811B1 (en) | tap holder | |
JP2007125668A (en) | Collet chuck device | |
JP4609789B2 (en) | Internal broaching method | |
US20140178140A1 (en) | Cutt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