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557A - 접철식 수납장 - Google Patents

접철식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557A
KR20160101557A KR1020150024347A KR20150024347A KR20160101557A KR 20160101557 A KR20160101557 A KR 20160101557A KR 1020150024347 A KR1020150024347 A KR 1020150024347A KR 20150024347 A KR20150024347 A KR 20150024347A KR 20160101557 A KR20160101557 A KR 2016010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uter frame
coupled
hinge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균
신서희
신서준
Original Assignee
신영균
신서준
신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균, 신서준, 신서희 filed Critical 신영균
Priority to KR102015002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557A/ko
Publication of KR2016010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Abstract

미사용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철식 수납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베이스;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며 베이스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외측 프레임; 일측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에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형 격벽; 및 베이스 또는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편평형 격벽을 포함하는 접철식 수납장이 제공된다. 여기서, 힌지형 격벽의 힌지에 의해 외측 프레임은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 및 원격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철식 수납장{RETRACTABLE CABINET}
본 발명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접철식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마다 보관해야 하는 물건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 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롱, 수납장 등의 수납용 가구는 그 자체가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여 가구를 재배치하거나 다른 거주지로 이사하는 경우 큰 제약 및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보관해야 하는 물건의 수가 줄어든 경우에도 수납용 가구는 여전히 동일한 부피를 차지하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방, 붙박이장 등 고정된 형태의 수납 공간 역시 육중한 가구를 재배치하는 불편이 초래되지는 않지만 보관할 물건이 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여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 활용이 불가능하다다.
종래기술에는 더 융통성 있는 수납 공간의 활용을 위해 조립직 진열장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예를 들면,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30691호), 이러한 조립 및 분해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며 분해된 부품들 또한 별도의 수납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미사용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철식 수납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접철된 상태에서도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접철식 수납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베이스;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며 베이스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외측 프레임; 일측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에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형 격벽; 및 베이스 또는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편평형 격벽을 포함하는 접철식 수납장이 제공된다. 여기서, 힌지형 격벽의 힌지에 의해 외측 프레임은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 및 원격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편평형 격벽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데, 외측 프레임이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편평형 격벽은 힌지형 격벽과 베이스를 가릴 수 있다.
편평형 격벽은 베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외측 프레임이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힌지형 격벽은 편평형 격벽과 베이스를 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여닫이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철식 수납장은 벽체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는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부가 벽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베이스가 가이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베이스는 벽체에 대한 위치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철식 수납장은 편평형 격벽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편평형 격벽은 각각 베이스 또는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하여 외측 프레임이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복수의 편평형 격벽은 모두 베이스에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여 외측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은 벽체에 결합되며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는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부가 벽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베이스가 가이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베이스는 벽체에 대한 위치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은 외측 프레임의 선형 부재들 사이에 삽입되는 편평형 형상의 마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 부재는 외측 프레임이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외측 프레임의 정면에 삽입될 수 있다.
마감 부재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게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접철된 상태에서도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수납장 모듈의 접철 및 확장 형태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의 확장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의 사용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의 확장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베이스(100)와 외측 프레임(200)을 포함하고, 그 사이의 공간을 정의하는 격벽들로서 힌지형 격벽(300) 및 편평형 격벽(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기본적으로 정면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정면 방향에 문을 구비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물론, 정면 방향에 더해 상측 방향 또는 측면 방향이 더 개방될 수도 있다.
베이스(10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이란 수직으로 서 있는 방향을 의미하며, 베이스(100)의 후면을 벽체에 고정하는 경우 또는 베이스(100)가 벽체에 평행하게 서 있는 수납장의 후면을 이루는 경우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할 것이다.
외측 프레임(200)은 직교하는 각도로 서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선형 부재로 구성된 프레임이다. 외측 프레임(200)과 베이스(100)는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즉, 외측 프레임(200)과 베이스(100)는 수납 공간의 정면과 후면을 규정하며, 그 수납 공간의 상하면 및 측면을 규정하는 격벽들이 결합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들이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예로서 외측 프레임(200)이 가운데가 빈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측 프레임(200)이 온전한 사각형을 이루지 않을 수도 있고, "ㄴ"자 형상, "ㄷ"자 형상, "U"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100)도 반드시 편평한 표면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100) 역시 외측 프레임(200)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들이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외측 프레임(200)에 대응하는 개수의 선형 부재를 갖는, 외측 프레임(2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힌지형 격벽(300)은 일측이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고, 그 중간에 힌지(350)를 포함하여 외측 프레임(200)이 베이스(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힌지형 격벽(300)은 일측이 힌지(310)에 의해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힌지(320)에 의해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형 격벽(300)는 가운데에는 홀수 개의 힌지(350)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힌지"라는 용어는 두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며, 어느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형 격벽(300)으로 인해 외측 프레임(200)은 베이스(100)에 근접한 위치와 원격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접철식 수납장(1000)은 접철된 상태와 확장된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철식 수납장(1000)을 확장 상태에서 접철 상태로 밀어 넣는 경우, 힌지형 격벽(300)의 힌지(310, 320, 350)들이 회전하고, 중간의 힌지(350)는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힌지형 격벽(300)이 접철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힌지형 격벽(300)이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형성되고 좌측 힌지형 격벽(301)과 우측 힌지형 격벽(302)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힌지형 격벽(300)이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좌측 힌지형 격벽(301)과 우측 힌지형 격벽(302)이 접철될 때 서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각 힌지형 격벽(300)의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대칭 구조의 힌지형 격벽(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힌지형 격벽(300)이 동일한 치수들을 가지되 베이스(100) 및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처럼 힌지형 격벽(300)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 힌지형 격벽(300)에서 베이스측 힌지(310)로부터 중간 힌지(350)까지의 거리 및 프레임측 힌지(320)로부터 중간 힌지(350)까지의 거리가 외측 프레임(200)의 너비의 반 이하로 설정되어야 하지만, 힌지형 격벽(300)들의 결합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힌지형 격벽(300)의 너비를 더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편평형 격벽(400)은 전체적으로 편평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100) 또는 외측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편평형 격벽(400)이 하나는 베이스(100)에, 하나는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있다.
도 2의 경우, 수납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편평형 격벽(400)은 일단이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100)의 하부에 걸쳐질 수 있다. 수납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편평형 격벽(400)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편평형 격벽(400)이 베이스(100)에 걸쳐지는 부분 및 외측 프레임(200)에 힌지결합되는 부분에서 큰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간격에 삽입하거나 덧대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수납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편평형 격벽(400)은 일단이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외측 프레임(200)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프레임(200)에는 해당 편평형 격벽(40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미도시) 등이 형성되거나 이러한 걸림편을 삽입하기 위한 홈 등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형 격벽(400)의 너비 및 높이는 베이스(100) 또는 외측 프레임(200)의 대응하는 치수의 한도 내에서 그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철식 수납장(1000)을 확장 상태에서 접철 상태로 밀어 넣는 경우, 베이스(100)에 결합된 편평형 격벽(400)은 베이스(100)에 맞대어 위치하도록 접철되고 마찬가지로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된 편평형 격벽(400)은 외측 프레임(200)에 맞대어 위치하여 외측 프레임(200)의 개방된 공간을 가리도록 접철될 수 있다.
편평형 격벽(400)이 베이스(100) 및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위치는, 편평형 격벽(400)이 접철된 상태에서 힌지형 격벽(300)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0)에 결합된 편평형 격벽(400)은 접철된 상태에서 힌지형 격벽(300)의 베이스측 힌지(3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접철식 수납장(1000)을 확장 상태에서 접철 상태로 밀어 넣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수납 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편평형 격벽(400)을 수평 상태로 고정하고 있는 수단을 해제하여 해당 편평형 격벽(400)을 베이스(100)에 맞닿도록 접철하고, 수납 공간의 하면을 이루는 편평형 격벽(400)을 외측 프레임(200)에 맞닿도록 접철한 후, 힌지형 격벽(300)를 각 힌지에서 절곡되게 하면서 외측 프레임(200)을 베이스(100) 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힌지형 격벽(300)들이 수납 공간의 측면 격벽을 이루고 편평형 격벽(400)들이 수납 공간의 상면 및 하면 격벽을 이루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형 격벽(300)들이 수납 공간의 상면 및 하면 격벽을 이루고 편평형 격벽(400)들이 수납 공간의 측면 격벽들을 이룰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의 확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반면, 도 3은 접철식 수납장(1000)의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접철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의 깊이가 현저히 좁아질 수 있다.
외측 프레임(200)의 정면 방향 깊이가 크지 않고 외측 프레임(200)의 개방된 면을 통해 노출되는 편평형 격벽(400)이 외측 프레임(200)에 맞닿으며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면, 그 정면의 모습이 도 3의 (b)와 같이 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외측 프레임(200)과 편평한 형상의 편평형 격벽(402)만이 정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접철식 수납장(1000)이 접철된 상태에서도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 여러 개가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 더욱 다양한 조합의 디자인 연출이 잠재적으로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 프레임(200)의 선형 부재들 사이에(즉, 개방된 정면에) 노출되는 편평형 격벽(402)의 표면에는 그림, 문양, 사진 등의 디자인이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프레임(200)의 일종의 액자 역할을 하면서 편평형 격벽(402) 상의 디자인을 전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철식 수납장(1000)이 접철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프레임(200)의 선형 부재들 사이에(즉, 개방된 정면에) 삽입되는 마감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 부재는 외측 프레임(200)의 선형 부재들 사이의 공간에 정확히 맞는 치수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감 부재에도 그림, 문양, 사진 등의 디자인이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감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측 프레임(200) 또는 편평형 격벽(402) 상에 마감 부재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프레임(200)에는 작은 크기의 걸림쇠(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마감 부재를 외측 프레임(200)에 장착할 때에는 마감 부재를 삽입한 후 걸림쇠를 회전시켜 마감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마감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외측 프레임(200), 편평형 격벽(402) 및 마감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감 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마감 부재를 외측 프레임(200)에 장착하기에 앞서 마감 부재와 편평형 격벽(402)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마감 부재는 외측 프레임(200)과 함께 일종의 액자 역할을 하여 사진 및 그림을 전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확장된 상태 또는 접철된 상태를 취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확장된 상태에서는 내부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 및/또는 전시할 수 있으며, 접철된 상태에서는 현저히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깔끔하고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접철식 수납장(1000)을 여러 개 사용할 때 그 자체적으로 디자인적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편평형 격벽(401, 402)이 모두 베이스(100) 또는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조하면, 수납 공간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형성하는 편평형 격벽(401, 402)이 힌지형 격벽(300)의 베이스측 힌지(310) 후방에서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편평형 격벽(401, 402) 중 뒤쪽에 있는 것이 외측 프레임(200)으로부터 더 멀리 있으므로 앞쪽에 있는 것에 비해 더 길어야 할 수도 있다.
각 편평형 격벽(401, 402)은 베이스(100) 또는 외측 프레임(200)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로써 편평형 격벽(401, 402)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간격이 최소화되어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평형 격벽(401, 402)을 모두 베이스(100)에 결합하면 외측 프레임(200)의 구조는 더 단순해지므로 제조 공정이 더 간편해질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외측 프레임(200)의 선형 부재들 사이로 편평형 격벽(402)이 노출되었지만, 도 5의 (b)에서와 같이 힌지형 격벽(301, 302)들이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철식 수납장(1000)이 접철될 때 양측의 힌지형 격벽(301, 302)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도록 하여 후방에 있는 편평형 격벽(401, 402) 및 베이스(100)를 가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양측의 힌지형 격벽(301, 302) 상에 그림, 문양, 사진 등의 디자인이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편평형 격벽(400)들이 모두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의 정면 방향의 모습이 도 3의 (b)와 동일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접철식 수납장의 접철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여닫이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닫이문(500)은 외측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여닫이문(500)과 외측 프레임(200)을 결합시키는 힌지(미도시)가 비노출형 힌지(concealed hinge)의 형태로 구현되고, 여닫이문(500)이 열리거나 닫힐 때 여닫이문(500)에서 힌지와 결합된 일측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여닫이문(500)이 회전하여 다른 수납장이 인접하여 있더라도 그 다른 수납장에 의해 개폐가 방해 받지 않는 힌지일 수 있다.
외측 프레임(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여닫이문(500)을 구비하면, 접철식 수납장(1000)은 더욱 간단하고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접철된 상태에서 접철식 수납장(1000)은 정면 방향에서 볼 때 여닫이문(500)만이 보이게 된다. 접철식 수납장(1000)은 확장된 상태 및 접철된 상태에서 모두 동일한 외관을 갖게 되고, 이와 같이 보다 단순해진 외관은 디자인적 요소로 이용함에 있어 유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의 사용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 일부는 확장된 상태를 취하게 하고 일부는 접철된 상태를 취하게 함으로써 수납장(1000) 자체가 해당 공간 내에서 디자인적 요소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접철식 수납장(1000)의 베이스(100)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가벽(假壁)을 포함할 수 있다. 가벽에는 예를 들어 다수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한 위치에 베이스(100)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도 8에서와 같이 벽체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고, 베이스(100)가 독립적으로 서 있도록 베이스(100)를 지지하는 받침대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1000)은 하부에는 통상적인 수납장 등을 구비하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이러한 하중 전달 부재에 베이스(100)가 형성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접철식 수납장(1000)이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예를 들어 벽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접철식 수납장(1000)이 가이드부를 따라 벽체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는 벽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rail)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베이스(100)는 해당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라 함은 집 또는 사무소 등의 공간의 내벽을 지칭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독립적으로 서 있도록 베이스(100)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경우, 상하 방향으로 배향되어 베이스(100)가 장착되는 수직 표면 또한 "벽체"에 포함됨을 이해할 것이다.
베이스(100)는 예컨대 롤러 등에 의해 레일에 지지될 수 있고, 롤러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100)의 가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하나의 수납장 유닛의 베이스(100)를 소정 위치에서 가이드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나의 가이드부에는 복수의 베이스(100)가 결합될 수 있고, 하나의 벽체에 복수의 가이드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이드부는 벽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프(rope) 또는 케이블(cabl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베이스(100)는 해당 케이블에 고정될 수 있다. 벽체에는 케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도르래 등이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베이스(100)의 세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수납장이 설치되는 벽체의 미관을 위해 실제로 베이스(100)에 연결되지 않은 다수의 다른 케이블이 장식으로 벽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를 사용하여 베이스(100)의 위치를 변경시키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접철식 수납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공간 활용 측면에서 높은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베이스 200: 외측 프레임
300: 힌지형 격벽 350: 힌지
400: 편평형 격벽 500: 여닫이문

Claims (9)

  1. 상하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베이스;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외측 프레임;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에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형 격벽;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편평형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형 격벽의 힌지에 의해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 및 원격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형 격벽은 상기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편평형 격벽은 상기 힌지형 격벽과 상기 베이스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형 격벽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형 격벽은 상기 편평형 격벽과 상기 베이스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여닫이문을 더 포함하는 접철식 수납장.
  5. 제 1 항에 있어서,
    벽체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벽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벽체에 대한 위치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수납장은 상기 편평형 격벽을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편평형 격벽은 각각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편평형 격벽은 모두 상기 베이스에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직교하는 각도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선형 부재들 사이에 삽입되는 편평형 형상의 마감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측 프레임의 정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수납장.
KR1020150024347A 2015-02-17 2015-02-17 접철식 수납장 KR2016010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347A KR20160101557A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347A KR20160101557A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57A true KR20160101557A (ko) 2016-08-25

Family

ID=5688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347A KR20160101557A (ko) 2015-02-17 2015-02-17 접철식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5305A (zh) * 2018-11-11 2019-04-12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有限公司 一种核电厂房工作区域运维检修可折叠工具柜及其收放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5305A (zh) * 2018-11-11 2019-04-12 上海航天设备制造总厂有限公司 一种核电厂房工作区域运维检修可折叠工具柜及其收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813B2 (en) Floating time bar
US3446546A (en) Cabine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20130004659U (ko) 디스플레이 수납장
KR20160101557A (ko) 접철식 수납장
KR20120113681A (ko)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가구
US5662398A (en) Corner cabinet drawer assembly
KR101091184B1 (ko) 슬라이딩 개방 또는 회전 개방, 슬라이딩 개방 및 회전 개방이 가능한 분전함용 도어
KR101412360B1 (ko) 텔레비젼 수납형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가구
JP2012225092A (ja) 可動間仕切り装置
KR20120025296A (ko)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KR20090043287A (ko) 수납기능을 갖는 화상수신장치
KR20120007199U (ko) 슬라이드 도어 개폐형 텔레비젼 수납 책장
JP5276296B2 (ja) 収納棚
KR200345520Y1 (ko) 진열장
US11185160B2 (en) Corner-cabinet arrangement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KR102578190B1 (ko) 조립식 모듈형 창고
JP2020110722A (ja) 可動収納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KR101422412B1 (ko) 벽면형 가구
EP2676586A1 (en) Shower box with associated additional elements
KR200192826Y1 (ko) 다용도 장
JP4359358B2 (ja) 収納家具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JP6757687B2 (ja) 可動収納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JP3478422B2 (ja) 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