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089A - 송수신기에 대한 빔포밍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송수신기에 대한 빔포밍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1089A KR20160101089A KR1020167019367A KR20167019367A KR20160101089A KR 20160101089 A KR20160101089 A KR 20160101089A KR 1020167019367 A KR1020167019367 A KR 1020167019367A KR 20167019367 A KR20167019367 A KR 20167019367A KR 20160101089 A KR20160101089 A KR 20160101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ceiver
- beam pattern
- quality
- operable
- control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송수신기에 대한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도 2는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및 디지털 BF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및 디지털 BF와 2개의 송수신기의 공간 다중화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및 디지털 BF와 2개의 송수신기의 공간 다중화를 이용하여 실시예에서의 빔 패턴을 설명한다;
도 5는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및 디지털 BF와 2개의 송수신기의 공간 다중화를 이용하여 실시예에서의 추가적 빔 패턴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은 송수신기에 대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Claims (14)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송수신기(100)에서 작동가능한 장치(10)로서, 상기 장치(10)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15)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15)을 복수의 서브그룹들로 세분하고, 하나의 서브그룹의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를 형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송수신기 모듈(12); 및
제어 모듈(14)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무선 링크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로부터의 2개 이상의 빔 패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제1 빔 패턴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함 -;
상기 제2 빔 패턴(18)과 상기 송수신기 모듈(12)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적어도 제3 송수신기(300) 사이의 무선 링크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빔 패턴(16)들의 제1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 패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송수신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제3 빔 패턴(19)을 결정하고 - 상기 제3 빔 패턴(19)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제1 빔 패턴들은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기반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3 송수신기(3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과 관련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함 -,
상기 제3 빔 패턴(19)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송수신기(300)와 그리고 상기 제2 빔 패턴(18)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동시에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빔 패턴(18; 19)들을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수의 제1 빔 패턴을 사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빔 패턴(19)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빔 패턴(18; 19)들의 메인 로브들이 상이한 방향들을 가리키도록 상기 제2 빔 패턴(18)에 적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빔 패턴(18; 19)들이 사실상 직교인,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이 제1의 낮은 품질을 나타낼 때 제1의 높은 빔포밍 이득을 갖는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이 제2의 높은 품질을 나타낼 때 제2의 낮은 빔포밍 이득을 갖는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100)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빔 패턴(16)들의 제1 세트를 형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모듈(14)은 디지털 빔포밍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상이한 경로들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제2 빔 패턴(18a)은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2개 이상의 경로들로부터의 한 경로의 품질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제2 빔 패턴(18a)은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2개 이상의 경로들 중 상기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는데 사용됨 -,
상기 2개 이상의 경로들 중 또 다른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추가적 빔 패턴(18b)을 결정하고 -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제1 빔 패턴들은 상기 제2 빔 패턴(18a)을 기반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2개 이상의 경로들 중 상기 또 다른 경로의 상기 품질과 관련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함 -,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2개 이상의 경로들을 따라 상기 제2 빔 패턴(18a)과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2 빔 패턴(18a)과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을 이용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동시에 상기 제2 송수신기(200)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2 빔 패턴(18a)과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을 이용하여 공간-시간 인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송수신기(200)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은 상기 추가적 및 상기 제2 빔 패턴(18b; 18a)의 메인 로브들이 상이한 방향들을 가리키도록 상기 제2 빔 패턴(18a)에 적응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빔 패턴(18a) 및 상기 추가적 빔 패턴(18b)이 사실상 직교인,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이 느리게 이동하는 제1 또는 제2 송수신기(100; 200)를 나타낼 때 제1의 높은 빔포밍 이득을 갖는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이 빠르게 이동하는 제1 또는 제2 송수신기(100; 200)를 나타낼 때 제2의 낮은 빔포밍 이득을 갖는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의 섹터를 커버하는 개별적 빔 패턴을 사용하며, 상기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는 상기 섹터의 서브섹터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14)은 상기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로부터의 하나의 빔 패턴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제어 모듈(14)은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상기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 중 하나 이상의 빔 패턴들의 상이한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10).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송수신기(100)에 대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15)을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세분하는 단계(30);
하나의 서브그룹의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를 형성하는 단계(32);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무선 링크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34);
상기 제1 빔 패턴(16)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는 단계(36) -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제1 빔 패턴들은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2 송수신기(2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과 관련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함 -;
상기 제2 빔 패턴(18)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통신하는 단계(38);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적어도 제3 송수신기(300) 사이의 무선 링크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빔 패턴(16)들의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 패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송수신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제3 빔 패턴(19)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 패턴(19)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제1 빔 패턴들은 상기 제2 빔 패턴(18)을 기반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100)와 상기 제3 송수신기(300) 사이의 상기 무선 링크의 상기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함 -,
상기 제3 빔 패턴(19)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송수신기(300)와 그리고 상기 제2 빔 패턴(18)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송수신기(200)와 동시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제13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3306763.7 | 2013-12-18 | ||
EP13306763.7A EP2887560A1 (en) | 2013-12-18 | 2013-12-18 | Beamform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Transceiver |
PCT/EP2014/075104 WO2015090828A1 (en) | 2013-12-18 | 2014-11-20 | Beamform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transcei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1089A true KR20160101089A (ko) | 2016-08-24 |
Family
ID=4995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9367A Ceased KR20160101089A (ko) | 2013-12-18 | 2014-11-20 | 송수신기에 대한 빔포밍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315680A1 (ko) |
EP (1) | EP2887560A1 (ko) |
JP (1) | JP2017506021A (ko) |
KR (1) | KR20160101089A (ko) |
CN (1) | CN105830358A (ko) |
WO (1) | WO201509082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150A (ko) * | 2018-06-07 | 2019-12-17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다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하기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85609B2 (ja) * | 2014-07-17 | 2018-02-28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ランク支援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ビームフォーミング方法及び装置 |
WO2016157727A1 (ja) * | 2015-03-27 | 2016-10-0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
WO2016190451A1 (ko) * | 2015-05-22 | 2016-12-01 | 주식회사 쏠리드 | 신호 처리 장치 |
EP3806379A1 (en) | 2015-07-08 | 2021-04-14 | Apple Inc. |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
WO2017062050A1 (en) * | 2015-10-07 | 2017-04-13 | Intel IP Corporation | Dynamically beamformed control channel for beamformed cells |
US10595322B2 (en) * | 2015-11-23 | 2020-03-17 | Qualcomm Incorporated | Beamforming and user equipment grouping |
CA3010228C (en) * | 2015-12-31 | 2023-10-3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Beamforming method, receiver, transmitter, and system |
CN107277831B (zh) | 2016-04-08 | 2020-07-07 | 华为技术有限公司 | 无线通信系统中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
CN107370587B (zh) | 2016-05-12 | 2021-08-20 | 华为技术有限公司 | 同步信号的发送、接收方法、基站及用户设备 |
CN107659349B (zh) | 2016-07-25 | 2021-01-26 |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无线传输中的方法和装置 |
CN107819501A (zh) * | 2016-09-13 | 2018-03-20 |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调度的方法及装置 |
AU2017352917A1 (en) | 2016-11-04 | 2019-04-1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8108020A1 (en) * | 2016-12-14 | 2018-06-2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mission with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8366377A (zh) * | 2017-01-26 | 2018-08-03 | 索尼公司 | 电子设备、通信方法以及介质 |
DK3469730T3 (da) * | 2017-05-30 | 2021-05-03 | Ericsson Telefon Ab L M | Strålevalg for en radiotransceiverindretning |
KR102365184B1 (ko) | 2017-08-25 | 2022-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10660048B2 (en) * | 2017-10-02 | 2020-05-19 | Lenovo (Singapore) Pte Ltd | Uplink power control |
EP3696993B1 (en) * | 2017-11-22 | 2023-03-0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Beam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
CN108183738B (zh) * | 2017-12-28 | 2020-05-08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 基于有源天线阵的太赫兹通信空分和时分混合多址方法 |
EP3609088A1 (en) * | 2018-08-06 | 2020-02-12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analog beamforming |
TWI693743B (zh) * | 2018-11-23 | 2020-05-11 | 耀登科技股份有限公司 | 高頻天線裝置 |
TWI698052B (zh) * | 2018-11-23 | 2020-07-01 | 耀登科技股份有限公司 | 高頻天線裝置及其天線陣列 |
GB2586645A (en) * | 2019-08-30 | 2021-03-03 | Bluwireless Tech Ltd | Wireless communication to a vehicle |
WO2021121567A1 (en) * | 2019-12-17 | 2021-06-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Control of transmission from an antenna panel |
US11558758B2 (en) | 2019-12-20 | 2023-01-17 | Apple Inc. | Smart mechanism to manage thermal impact in 5G NR |
US12278682B2 (en) * | 2021-03-26 | 2025-04-15 |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Spatial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2065A (ja) * | 1998-09-24 | 2000-04-07 | Toshiba Corp | 無線通信基地局装置 |
US20040152415A1 (en) * | 2003-02-01 | 2004-08-05 | Themi Anagnos | Active antenna method and system with variable directivity and gain |
JP4633644B2 (ja) * | 2006-02-10 | 2011-02-16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無線通信方法 |
DE602008003976D1 (de) * | 2008-05-20 | 2011-01-27 | Ntt Docomo Inc | Räumliche Unterkanalauswahl und Vorcodiervorrichtung |
WO2010002734A2 (en) * | 2008-06-30 | 2010-01-07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single user (su) and multiuser (mu) beamforming with antenna array groups |
US9414371B2 (en) * | 2012-04-16 | 2016-08-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ierarchical channel soun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massive MIMO systems |
KR20130127347A (ko) * | 2012-05-10 | 2013-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통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
2013
- 2013-12-18 EP EP13306763.7A patent/EP2887560A1/en not_active Ceased
-
2014
- 2014-11-20 KR KR1020167019367A patent/KR20160101089A/ko not_active Ceased
- 2014-11-20 WO PCT/EP2014/075104 patent/WO201509082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1-20 JP JP2016541148A patent/JP2017506021A/ja active Pending
- 2014-11-20 US US15/106,009 patent/US2016031568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11-20 CN CN201480068807.7A patent/CN105830358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9150A (ko) * | 2018-06-07 | 2019-12-17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다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하기 위한 차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87560A1 (en) | 2015-06-24 |
CN105830358A (zh) | 2016-08-03 |
JP2017506021A (ja) | 2017-02-23 |
WO2015090828A1 (en) | 2015-06-25 |
US20160315680A1 (en) | 2016-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01089A (ko) | 송수신기에 대한 빔포밍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TW201534062A (zh) | 用於收發器之波束形成裝置,方法及電腦程式 | |
TWI653847B (zh) | 支援移動性之方法以及使用者設備 | |
US9516563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of a beamformed link | |
US10135583B2 (en) |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a mobile transceiver | |
US10680685B2 (en) | Method and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US20140162655A1 (en) |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using the same | |
CN107408954B (zh) | 收发机、车辆、用于收发机的方法和数字存储介质 | |
EP3226437B1 (en) |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a mobile transceiver | |
US9306714B2 (en) | Method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channel | |
KR102034674B1 (ko) |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 |
EP2925040A1 (en) | A method for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and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a user terminal therefor | |
CN113455036A (zh) | 选择工作模式 | |
Gao et al. | Efficient uplink multi-beam initial access scheme for inactive users in mmWave networks | |
CN119111092A (zh) | 用于用户设备的增强测量报告 | |
Enescu et al. | LTE Macro Cell Evolution | |
HK1195696A (en) | A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serving node | |
HK1195696B (en) | A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serving n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