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58A - 브레이크 디스크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58A
KR20160100758A KR1020150023687A KR20150023687A KR20160100758A KR 20160100758 A KR20160100758 A KR 20160100758A KR 1020150023687 A KR1020150023687 A KR 1020150023687A KR 20150023687 A KR20150023687 A KR 20150023687A KR 20160100758 A KR20160100758 A KR 2016010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ng
friction ring
heat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824B1 (ko
Inventor
방재근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2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16D65/128Discs; Drums for disc brak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04Structure
    • F16D2065/1328Structure internal cavities, e.g. coolin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0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metallic
    • F16D2200/0026Non-ferro
    • F16D2200/003Light metals, e.g. 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한편,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 및 차량 휠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 유로를 구비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양 표면에 결합되는 마찰링과;상기 방열부와 상기 마찰링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심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하여, 그 무게를 종전보다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방열 성능도 개선하여 차량의 운행 안정성 및 주행성 개선에도 기여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디스크{ A Brake Disc}
본 발명은 브레이크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한편,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차량에 필수적인 제동시스템이다.
이러한, 제동시스템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는 마찰부재와의 마찰을 통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방출함으로써 차량의 제동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브레이크 디스크는 마찰부재와의 마찰을 통해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부와 브레이크 디스크가 차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허브(일명, 햇파트(hat part라고도 한다)가 구비되고, 이러한 구성은 한국특허공개 10-2013-0017376에서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서 마찰부와 허브는 주조 접합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마찰부는 철 재질로 구성되고, 허브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 경우, 마찰부 자체 무게로 인하여 차량의 연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었고, 마찰열의 방열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게를 줄임으로써 차량의 연비 개선을 도움을 줄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의 방열 성능을 개선하여 내구성 및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 및 차량 휠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 유로를 구비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양 표면에 결합되는 마찰링과; 상기 방열부와 상기 마찰링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중심부와 상기 발열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마찰링은 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심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방열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열 유로는 상기 방열홈과 연결되고, 상기 방열유로의 폭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유로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 표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되, 상호 이격되는 방열유로 사이에는 상기 방열유로보다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리벳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링에는 상기 리벳의 헤드가 배치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방열부의 표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매칭되며 상기 리벳의 몸체부가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링은 방열부의 양 면에 배치되는 제1마찰링과, 제2마찰링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제1마찰링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 및 제2마찰링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방열부의 타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은 상호 연통되지 않고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유로는 방열부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링과 상기 방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마찰링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상기 방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한 열전달 지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방열 유로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도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도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방열 유로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는 방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심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하여, 그 무게를 종전보다 감소시켰다. 따라서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게다가. 방열부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종래의 철 재질의 방열부보다 개선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아울러 차량 제동 안정성. 승차감 개선, 운동 성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방열부의 양 면에 방열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냉각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유로의 형상이 직선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장착되는 차량의 사양에 따라서 이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택이 다양성을 제공하는 한편, 차량의 특징에 맞게 방열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방열부와 마찰링을 블라인드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그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 리벳이 배치되는 관통공 공간에 의하여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수적인 장점도 있다.
방열부와 마찰링 사이에 열전달 지연 부재를 개재시켜서, 마찰링의 마찰열이 방열부가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켜서 방열부의 열부하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방열부의 열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방열부와 마찰링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1)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는 중심부(110)와, 방열부(120)를 구비하며, 방열부(120)의 양 옆에는 철 재질의 마찰링(200)이 배치된다.
마찰링(200)은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3.0~3.8 wt%, Si : 1.0~2.8 wt%, Mn : 1.0 wt% 이하(0은 불포함), P : 0.2 wt% 이하(0은 불포함), S : 0.15 wt% 이하(0은 불포함) 및 기타 불가결한 불순물로 구성된다.
마찰링(200)은 주조 또는 프레스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110) 및 방열부(120)의 일체형 구조는 Al을 주성분으로 하고 Cu : 0.1 wt% 이하(0은 불포함), Si : 5.5~8.5 wt%, Mg :0.15~0.5 wt%, Zn : 0.1 wt% 이하(0은 불포함), Fe : 0.3 wt% 이하(0은 불포함), Mn : 0.1 wt% 이하(0은 불포함), Ti : 0.2 wt% 이하(0은 불포함), Sb : 0.15 wt% 이하(0은 불포함) 및 기타 불가결한 불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부(110)와 방열부(120)는 주조 또는 단조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기계 가공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방열부(120)와 마찰링(200)은 체결부재(300)에 의하여 체결되는데, 여기서 체결부재(300)는 리벳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중심부(110)와 방열부(120)는 종래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주조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경우, 주조 공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중심부(110)는 일명 햇부(hat part) 또는 허브라고도 불리우며, 그 중심에는 차축이 통과하는 축 관통공(111)이 마련된다. 축 관통공(111)의 주위에는 체결공(112)이 마련된다.
체결공(112)은 차량의 휠과 브레이크 디스크(1)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체결부재(미도시)는 볼트와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부(110)의 외곽에는 중심부(110)로부터 외곽 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열부(120)가 마련된다.
방열부(120)는 중심부(110)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방열부(120)의 표면은 매끈하게 형성되지 않고 돌출부(121)와 방열유로(122)가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121)는 소정의 폭을 갖는 리브(rib)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유로(122)는 돌출부(121)와 돌출부(121) 사이에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방열유로(122)의 폭은 내부에서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심부(110)의 테두리에는 방열홈(113)이 형성되는데, 방열홈(113)은 방열 유로(122)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방열유로(122)는 방열부(120) 표면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형성되며, 방열홈(113)도 중심부(110)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에 각각 형성된다.
마찰링(200)과 방열부(120)는 체결부재(300)에 의해서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마찰링(200)의 표면과 방열부(120)의 표면에는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마찰링(200)에는 체결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공(211,221)이 형성되고, 방열부(120)의 표면에는 체결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공(125)이 형성된다.
삽입공(125)은 돌출부(12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는 하나의 돌출부(121)에 두 개의 삽입공(125)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125) 간의 간격이 옆에 있는 돌출부와 달라지게 형성된다.
즉, 도2(b)에서 특정한 돌출부(121A로 표시)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공(125) 간의 간격은 그 옆에 있는 돌출부(121B로 표시)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공(125) 간의 간격에 비해서 좁게 형성된다.
한편, 도2(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21A로 표시된 돌출부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공(125)의 간격은 그 옆에 있는 돌출부(121B로 표시)의 타면에 형성된 삽입공 (125)간의 간격에 비해서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돌출부(12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125)간의 간격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도2(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21A로 표시된 돌출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삽입공(125)간의 간격은 그 반대면에 형성된 삽입공(125)간의 간격에 비해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반대면 배치는 도2(b) 참조).
도2(a)의 121A와 121B의 돌출부는 도2(b)의 121A와 121B의 돌출부와 동일한 것인데, 도2(b)는 도2(a)를 뒤집어서 보인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는 리벳으로 구성되는 체결부재(300)가 돌출부(121)의 양면을 향하여 삽입되어야 하고, 일면에 삽입되는 체결부재(300)와 타면에 삽입되는 체결부재(300)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다.
마찰링(200)은 방열부(1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마찰링(210)과, 방열부(12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마찰링(220)을 포함하고, 제1마찰링(210)에는 제1관통공(211)이, 제2마찰링(220)에는 제2관통공(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열부(120)의 일면에는 제1삽입공(125a)이, 방열부(120)의 타면에는 제2삽입공(125b)이 형성된다.
도3은 방열부(120)와 마찰링(200)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체결부재(300)를 리벳으로 하여 서술하겠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마찰링(210,220)에는 제1,2관통공(211,221)이 형성되는데, 제1,2관통공(211,221)에는 리벳(300)의 헤드(310)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211a, 2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열부(120)에 형성되는 제1,2삽입공(125a, 125b)은 리벳(300)의 몸체부(3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125a) 간의 간격과, 타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125b) 간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제1삽입공(125a)과 제2삽입공(125b)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삽입공(125a)에 끼워지는 리벳(300)과, 제2삽입공(125b)에 끼워지는 리벳(300) 간에 간섭되지 않는다.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마찰링(210,220)과 방열부(120)가 면접한 상태에서 리벳(300)을 끼우면 리벳(300)의 몸체부(320)가 제1,2관통공(211, 221)을 지나서 제1,2삽입공(125a, 125b) 내부에 안착되고, 리벳(300)의 헤드부(310)는 걸림턱(221a, 211a)에 걸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벳(300)은 블라인드(Blind) 리벳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조는 헤드부(310)와, 몸체부(320), 그리고, 몸체부(320)와 연결되는 연결핀(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핀(330)과 몸체부(320)는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결핀(330)은 경질 재질로, 몸체부(320)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연질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b)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리벳건(rivet gun)을 이용하여 연결핀(330)을 잡고 잡아당기면, 연결핀(330)이 인출되면서 몸체부(320)를 잡아당기고, 몸체부(330)는 삽입공(125a, 125b) 내부에서 그 길이가 수축하면서 그 직경이 증가한다.
몸체부(320)의 직경이 증가하면, 삽입공(125a, 125b)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삽입공(125a, 125b) 내면을 약간 소성변형시키고, 이에 의하여 몸체부(320)가 삽입공(125a, 125b) 내부에 걸리게 됨게 동시에, 헤드부(310)는 걸림턱(221a, 211a)을 돌출부(121A, 121B)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구조에 의하여 마찰링(200)과 방열부(120) 간에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헤드부(310)는 관통공(211, 221)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링(200) 표면 바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리벳(300)의 헤드(320)는 마찰링(200)과 브레이크 패드(미도시) 간의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전혀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관통공(211, 221)에 의하여 마찰링(200) 표면에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의한 방열효과 또는 냉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제1관통공(211)과 제1삽입공(125a)에 끼워진 리벳(300)은 제2관통공(221)과 제2삽입공(125b)에 끼워지는 리벳(300)과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각각 제1마찰링(210)과 제2마찰링(220)이 방열부(120)에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서 방열유로(122)는 제1실시예와 같이 직선 형태가 아니라 곡선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유로(122)가 형성하는 곡선은 중심부(110)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 그 향하는 방향은 브레이크 디스크가 회전하는 방향(D)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열 유로(122)에 있는 뜨거운 공기가 보다 수월하게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 경우, 빠져나가는 공기는 E 방향을 따라서 빠져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유로(122)가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와 제1,2실시예가 다른 점은 방열부(120)의 일면의 특정 영역에 방열유로(1220)가 발생한 경우, 그 반대면에는 돌출부(1210)가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즉, 제1,2실시예에서는 방열부(120)의 일면 특정 영역에 방열유로(122)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도 방열유로(122)가 형성되었다. 또한, 방열부(120) 일면의 특정 영역에 돌출부(121)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도 돌출부(121)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방열부(120)의 두께를 보면 반복적으로 두꺼워졌다가(돌출부 영역에서) 얇아졌다가(방열유로 영역에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제3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10)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방열유로(12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부(120)의 두께는 일정하지만, 그 단면 형상은 'ㄹ' 형상을 옆으로 눕혀서 이것이 반복되는 패턴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 의한 제3실시예에서 돌출부(1210)에 형성된 삽입공(125a)은 그 반대편에 형성된 방열 유로(1220)까지 연장될 수 있고, 아니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가공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중심부(110)에 형성되는 방열홈(113)은 방열유로(1220)와 연통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방열유로(1220)는 중심부(110)에 외곽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그 폭은 중심부(110)에서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 볼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방열유로(1220)가 중심부(110)에서 외곽 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제2실시예 처럼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방향(D)과 반대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실시예처럼, 이는 방열 유로(1220)에 있는 뜨거운 공기가 보다 수월하게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 경우, 빠져나가는 공기는 E 방향을 따라서 빠져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공(125a, 125b)의 배치 관계나 위치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며, 마찰링(200; 210, 220)과 방열부(120)간에 리벳(300)에 의한 결합 구조는 제1,2실시예를 차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실시예에서는 마찰링(200)과 방열부(120)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시켰다. 이는 마찰링(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부(120)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켜서 방열부(120)의 열부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 별도의 부재를 열전달 지연 부재(400)라고 정의하자.
열전달 지연 부재(400)는 환형 형태가 되는 와셔 또는 심(shim)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열전도율이 방열부보다 낮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 지연부재(400)는 그 중앙에 형성되어 중앙부(110)에 끼워지는 홀(411, 421)과, 방열부 및 마찰링 사이에 배치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테두리부에는 리벳(3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12,422)이 형성된다.
관통공(412, 422)의 배치는 마찰링(200)의 관통공(211, 221) 및 방열부(120)의 삽입공(125a, 125b)의 배치를 따른다.
열전달 지연부재(400)는 방열부(1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열전달 지연부재(410)와, 방열부(12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열전달 지연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전달 지연부재(400)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어느 것에도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0: 중심부 120: 방열부
121, 1210: 돌출부 122, 1220: 방열유로
125a, 125b: 삽입공 200; 210, 220: 마찰링
300: 체결부재(리벳) 400: 열전달 지연부재

Claims (10)

  1. 차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 및 차량 휠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 유로를 구비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양 표면에 결합되는 마찰링과;
    상기 방열부와 상기 마찰링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와 상기 발열부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마찰링은 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중심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방열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열 유로는 상기 방열홈과 연결되고, 상기 방열유로의 폭은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 표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되, 상호 이격되는 방열유로 사이에는 상기 방열유로보다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리벳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링에는 상기 리벳의 헤드가 배치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방열부의 표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매칭되며 상기 리벳의 몸체부가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은 방열부의 양 면에 배치되는 제1마찰링과, 제2마찰링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제1마찰링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 및 제2마찰링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방열부의 타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는 제2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은 상호 연통되지 않고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는 방열부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과 상기 방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마찰링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상기 방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하기 위한 열전달 지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방열 유로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도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도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10. 제4항에 있어서,
    따라서,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방열 유로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부의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그 반대면에는 방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KR1020150023687A 2015-02-16 2015-02-16 브레이크 디스크 KR10166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87A KR101669824B1 (ko) 2015-02-16 2015-02-16 브레이크 디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87A KR101669824B1 (ko) 2015-02-16 2015-02-16 브레이크 디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58A true KR20160100758A (ko) 2016-08-24
KR101669824B1 KR101669824B1 (ko) 2016-11-09

Family

ID=568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687A KR101669824B1 (ko) 2015-02-16 2015-02-16 브레이크 디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0952A (zh) * 2017-11-01 2018-01-26 天津百恩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风道式制动盘以及轮式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25B1 (ko) * 2017-06-08 2019-04-01 서한산업(주) 브레이크 디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136B2 (ja) * 1989-04-27 1997-11-12 株式会社曙ブレーキ中央技術研究所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359241B1 (ko) * 2012-08-20 2014-02-07 김성민 자동차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
KR20140052616A (ko) * 2012-10-25 2014-05-07 유형래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KR20140084734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 재질을 이용한 경량형 디스크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136B2 (ja) * 1989-04-27 1997-11-12 株式会社曙ブレーキ中央技術研究所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359241B1 (ko) * 2012-08-20 2014-02-07 김성민 자동차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
KR20140052616A (ko) * 2012-10-25 2014-05-07 유형래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KR20140084734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 재질을 이용한 경량형 디스크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0952A (zh) * 2017-11-01 2018-01-26 天津百恩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风道式制动盘以及轮式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824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564B1 (en) Vented disc brake rotor
US8522931B2 (en) Disk brake rotor
TWI780447B (zh) 自行車碟剎轉子
KR101964125B1 (ko) 브레이크 디스크
JP5924413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
CA2769431A1 (en) Segmented brake rotor with externally vented carrier
US20200408267A1 (en) Bicycle disc brake rotors
TWI714795B (zh) 自行車碟煞盤
US10626936B2 (en) Disc brake rotor
KR20140052616A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US9488238B2 (en) Composite rotor
US10451129B2 (en) Bicycle disc brake rotor
KR101669824B1 (ko) 브레이크 디스크
CN212225833U (zh) 制动盘
JP2009179074A (ja) 車輪構造体
TWI464332B (zh) 煞車碟盤
KR101359241B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
TWI668380B (zh) 煞車碟盤
JP596751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ロータ
JP4585008B2 (ja) ドラムブレーキ用装飾プレート
TWI603014B (zh) 煞車碟盤
JP7181109B2 (ja) ブレーキディスク
TWM529781U (zh) 煞車碟盤
CN110792705A (zh) 刹车碟盘
GB2343721A (en) Friction disc for a clutch or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