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23A -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23A
KR20160100723A KR1020150023586A KR20150023586A KR20160100723A KR 20160100723 A KR20160100723 A KR 20160100723A KR 1020150023586 A KR1020150023586 A KR 1020150023586A KR 20150023586 A KR20150023586 A KR 20150023586A KR 20160100723 A KR20160100723 A KR 2016010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mining
image
interest
reg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호
정재륜
서민석
이창용
최재섭
강윤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723A/ko
Publication of KR2016010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은 영상 파일로부터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관심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된 객체에 대하여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CCTV IMAGE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본 발명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영상 분석 장치(image analysis device)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CCTV 영상을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CCTV의 도입 및 컴퓨터 성능의 발전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영상 분석기능의 도입이 용이하게 되었고, 매우 많은 수의 CCTV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다.
현재 제조 분야에서도 작업 구역에 CCTV를 설치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 판단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감시대상이 되는 공간의 넓이 및 CCTV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니터링 인력의 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인력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 정확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으며, 연구에 의하면 육안에 의한 감시 정확도는 매우 낮으며, 전문가의 경우에도 2대 이상의 CCTV를 20분 이상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관리자의 육안 실시간 모니터링 한계로 위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CCTV 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은 영상 파일로부터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된 객체에 대하여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보호구의 착용 대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만약 상기 객체가 상기 보호구의 착용 대상이면, 상기 보호구의 착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 양상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인된 움직임 양상에 따라 상기 객체의 속도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서있는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쓰러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상기 쓰러지는 패턴이 유사한 경우, 상기 객체가 일정 시간 동안 쓰러져 있는가는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가 쓰러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로부터 위험물을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가 상기 위험물을 기울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로부터 작업자와 작업 대상에 대한 움직임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작업 대상만이 이동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하여 작업복 착용 준수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에 대하여 이중 복장으로 동시 작업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CCTV 그리고 상기 CCTV를 통하여 녹화된 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영상 소스; 그리고 상기 영상 파일을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며, 상기 영상 소스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며,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는 영상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장치는 상기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이미지 패치부;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 상기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는 관심 영역 제어부; 상기 필터링된 관심 영역에 대하여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를 관제 요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이벤트 디스패치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작업자가 보호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상기 작업자가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지, 상기 작업자가 쓰러진 상태인지, 상기 작업자가 위험물을 기울여서 이동시키는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위험물을 밀어서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는지, 그리고 작업 공간 내 이종의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들이 있는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영상 파일로부터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관제 요원에게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무인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영상 분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방독명을 착용하지 않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image)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일정 시간 쓰러진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기울여서 운반하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움직일 때,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지 않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a는 감시 구역에서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작업자(A)와 흰색 가운을 착용한 작업자(B)가 영상 내 함께 있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디스패치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영상 분석 서버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영상 분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CCTV(11-13) 그리고 영상 분석기(video analyzer, VA; 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CCTV(11-13) 각각은 각각의 감시 구역에 설치된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영상 분석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20)는 제1 내지 제3 CCTV(11-13)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분석기(20)는 제1 내지 제3 CCTV(11-13)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며, 상기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기(20)는 영상 내 작업자가 움직이는 지를 분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10)는 3개의 CCTV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관제 요원(31)은 제1 내지 제3 CCTV(11-13) 각각을 통하여 녹화된 영상을 상기 영상 분석기(20)을 통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관제 요원(32)은 제1 내지 제3 CCTV(11-13) 각각을 통하여 녹화된 영상을 상기 영상 분석기(20)을 통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CCTV(11-13) 중 어느 하나가 감시 구역에 설치된 경우, 제1 관제 요원(31) 또는 제2 관제 요원(32)은 감시 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정 규정을 준수하는 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제 요원(31) 또는 제2 관제 요원(32)은 감시 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정 규정을 준수하는 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기 위하여, 제1 관제 요원(31) 또는 제2 관제 요원(32)은 항상 모니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100)는 영상 소스(110),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120), 그리고 영상 분석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소스(110)는 CCTV(111), 영상 관리기(112), 그리고 영상 파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CCTV(111)는 감시 구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관리기(112)는 CCTV(111)로부터 감시 구역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녹화할 수 있다. 영상 관리기(112)는 영상 파일(113)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기(112)는 영상 파일(113)을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영상 분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소스(110)와 영상 분석 장치(130)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분석 장치(130)는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120)를 통하여 영상 파일(113)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분석 장치(130)는 영상 파일(113)을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TV가 설치된 작업 구역에서 작업자가 위험 행동을 하는 경우, 영상 분석 장치(130)는 위험 행동을 판단하여 관제 요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영상 분석 장치(130)는 이미지 패치부(131),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추출부(132), 관심 영역 제어부(133), 이벤트 검출부(134), 그리고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패치부(131)는 영상 파일(113)을 수신한다. 관심 영역 추출부(132)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제어부(133)는 관심 영역에 대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 제어부(133)는 조명에 의하여 흰색으로 변환된 부분을 관심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감시 구역에 대한 영상 파일(113)으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방독면을 착용하지 않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일정 시간 쓰러진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기울여서 운반하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세로로 움직이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작업자가 드럼통을 직접 운반하지 않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감시 구역에서 노란색 전신복 착용자와 흰색 가운 착용자가 단위 영상 내 함께 있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134)는 검출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검출부(134)는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검출부(134)는 도 3a 부터 도 8b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는 이벤트 검출부(134)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는 이벤트 정보를 VMS UI(Video management system user interface; 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는 도 9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제조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기존의 설치되어 있는 CCTV의 영상을 활용함으로써 추가 비용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위험물 상시 취급구역 내의 작업자와 위험물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 등의 형식으로 저장되어있는 안전규정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안전규정과 다른 패턴을 가진 피사체를 탐지할 수 있는 자동화된 알람 시스템이다. 즉,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알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CCTV가 설치된 복잡하고 넓은 공간의 안전 모니터링을 무인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는 영상 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험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장에서 사고는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작업 공간에 대한 관제 요원은 CCTV 영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화학물 취급 등 직접 사람이 감시할 수 없는 위험 작업공간에 대해서 영상 감지를 통해 신속하게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CCTV 영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면, 감지 시스템 관리 인력 투입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인프라 활용을 통해 추가 설치 비용이 크지 않다. 2차적으로 제조업에서 사고 발생으로 인한 생산 중단 피해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부(134)는 다양한 안전 규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8b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검출부(134)는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방독명을 착용하지 않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image)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보안 규정은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노란색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는 반드시 방독면을 착용해야 하는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란색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지 않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a_1), 관심 영역 검출부(134a_2), 객체 판단부(134a_3), 보호구 착용 대상 검출부(134a_4), 그리고 보호구 착용 위치 검출부(134a_5)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a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a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a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a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가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a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가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a_3)는 작업자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객체 판단부(134a_3)는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는 노란색 작업자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 흰색 작업자를 구별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대상 검출부(134a_4)는 작업자가 보호구 착용 대상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작업자가 보호구 착용 대상이면, 보호구 착용 위치 검출부(134a_5)는 작업자가 보호구를 착용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는 노란색 작업자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보호구 착용 위치 검출부(134a_5)는 작업자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다는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보안 규정은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가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b_1), 관심 영역 검출부(134b_2), 객체 판단부(134b_3), 보호구 착용 대상 검출부(134b_4), 그리고 보호구 착용 위치 검출부(134b_5)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b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b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b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b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가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b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가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b_3)는 작업자를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 양상 확인부(134b_4)는 작업자의 움직임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 양상 확인부(134b_4)는 상체만 움직이는 양상인지 상하체를 동시에 움직이는 양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속도 판정부(134b_5)는 상기 확인된 움직임 양상에 따라 작업자의 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의 이동 속도가 7 Km/h 이면, 속도 판정부(134b_5)는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일정 시간 쓰러진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가 일정 시간 동안 쓰러져 있을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c_1), 관심 영역 검출부(134c_2), 객체 판단부(134c_3), 서있는 패턴 확인부(134c_4), 쓰러지는 패턴 확인부(134c_5), 쓰러짐 유지 확인부(134c_6), 그리고 쓰러짐 판단부(134c_7)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c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c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c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c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가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c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가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c_3)는 작업자를 판단할 수 있다.
서있는 패턴 확인부(134c_4)는 객체(즉,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있는 패턴 확인부(134c_4)는 객체에 대한 패턴과 서있는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패턴이 유사하면, 객체는 서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쓰러지는 패턴 확인부(134c_5)는 객체가 쓰러져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쓰러지는 패턴 확인부(134c_5)는 객체에 대한 패턴과 쓰러져 있는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패턴이 유사하면, 객체는 쓰러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쓰러짐 유지 확인부(134c_6)는 만약 객체가 쓰러져 있는 상태이면, 상기 객체가 일정 시간 동안 쓰러져 있는 상태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쓰러짐 판단부(134c_7)는 객체가 쓰러져 있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5분 이상 쓰러져 있는 상태가 확인되면,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기울여서 운반하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안 규정은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가 드럼통을 기울여서 운반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가 드럼통을 기울여서 운반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d_1), 관심 영역 검출부(134d_2), 객체 판단부(134d_3), 객체 분리부(134d_4), 그리고 위험물 기울임 판단부(134d_5)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d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d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d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d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 및 드럼통이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 및 드럼통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d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 및 드럼통이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d_3)는 작업자 및 드럼통을 판단할 수 있다.
객체 분리부(134d_4)는 작업자 및 드럼통 각각을 분리할 수 있다. 위험물 기울임 판단부(134d_5)는 위험물 (즉, 드럼통)의 기울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물 기울임 판단부(134d_5)는 위험물의 기울임이 15도 이상이면,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a는 작업자가 감시 구역에서 드럼통을 움직일 때,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지 않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보안 규정은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가 드럼통을 이동할 때,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는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가 드럼통을 밀어서 간접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e_1), 관심 영역 검출부(134e_2), 객체 판단부(134e_3), 물체 움직임 판단부(134e_4), 그리고 규정 사항 판단부(134e_5)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e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e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e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e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 및 드럼통이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 및 드럼통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e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 및 드럼통이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e_3)는 작업자 및 드럼통을 판단할 수 있다.
물체 움직임 판단부(134e_4)는 작업자와 드럼통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물체 움직임 판단부(134e_4)는 작업자와 드럼통이 함께 움직이는지 아니면, 드럼통만이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규정 사항 판단부(134e_5)는 규정 사항 위반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규정 사항 판단부(134e_5)는 드럼통만이 이동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a는 감시 구역에서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작업자(A)와 흰색 가운을 착용한 작업자(B)가 영상 내 함께 있는 상황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보안 규정은 감시 구역 (즉, 작업장 내)에서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작업자(A)와 흰색 가운을 착용한 작업자(B)가 함께 작업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감시 구역 내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작업자(A)와 흰색 가운을 착용한 작업자(B)가 함께 있을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영상에서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영상 파일(113)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벤트 검출부(134)는 움직임 검출부(134f_1), 관심 영역 검출부(134f_2), 객체 판단부(134f_3), 작업복 착용 준수 판단부(134f_4), 그리고 이중복장 동시작업 판단부(134f_5)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f_1)는 영상 파일(113)로부터 움직임을 추출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부(134f_1)는 상기 추출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관심 영역 검출부(134f_2)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영역 검출부(134f_2)는 상기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에는 작업자들을 촬상될 수 있다. 이 때, 관심 영역은 작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판단부(134f_3)는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파일(113) 내 작업자들이 녹화된 경우, 객체 판단부(134f_3)는 작업자들을 판단할 수 있다.
작업복 착용 준수 판단부(134f_4)는 작업자들의 작업복 착용 준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작업복 착용 준수 판단부(134f_4)는 작업자들이 어떤 작업복을 착용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복 착용 준수 판단부(134f_4)는 A 작업자가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작업복 착용 준수 판단부(134f_4)는 A 작업자가 흰색 가운을 착용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중복장 동시작업 판단부(134f_5)는 서로 다른 복장의 작업자들이 동시에 작업장 내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복장 동시작업 판단부(134f_5)는 노란색 전신복을 착용한 작업자(A)와 흰색 가운을 착용한 작업자(B)가 동시에 작업장 내에 있는 경우, 알람 신호를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를 통하여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요원은 VMS UI(140)를 통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이벤트 디스패치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벤트 디스패치부(135)는 Event Sender(135_1), VMS Sender(135_2), DB Sender(135_3), 그리고 File Sender(135_4)를 포함할 수 있다.
VMS Sender(135_2)는 VMS SDK(Video management system software development kit; 135_5)를 통하여 이벤트(즉, 알림 신호)를 VMS UI(140)로 전송할 수 있다.
DB Sender(135_3)는 DB(135_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B(135_6)는 이벤트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File Sender(135_4)는 로그 파일(135_7)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그 파일(135_7)은 스크린샷(screen sho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서버(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201), RAM(Random Access Memory; 202), NVM(nonvolatile memory; 203), 그리고 GPU(Graphic Processing Unit; 2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서버(200)는 CPU(201), RAM(202), NVM(203), 그리고 GPU(204) 각각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system bus; 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U(204)는 제1 내지 제10 CCTV(CCTV1-CCTV1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CORE(CORE1-CORE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CORE(CORE1)는 제1 내지 제5 CCTV(CCTV1-CCTV5)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CORE(CORE2)는 제6 내지 제10 CCTV(CCTV6-CCTV1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GPU(204)는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영상 분석 서버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CORE(CORE1)는 제1 내지 제5 CCTV(CCTV1-CCTV5)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영상 분석 프로세서들(211-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CORE(CORE2)는 제6 내지 제10 CCTV(CCTV6-CCTV1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6 내지 제10 영상 분석 프로세서들(216-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 서버(200)는 제1 내지 제10 영상 분석 프로세서들(211-220) 각각을 모니터하기 위한 프로세스 모니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모니터(250)는 CPU(201)에서 구동되는 기능 블록(functional blo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CCTV 영상 분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
11-13: 제1 내지 제3 CCTV
20: VA(Video Analyzer)
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 영상 분석 장치
110: 영상 소스
120: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
130: 영상 분석 장치
140: VMS UI

Claims (10)

  1. 영상 파일로부터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객체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된 객체에 대하여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보호구의 착용 대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만약 상기 객체가 상기 보호구의 착용 대상이면, 상기 보호구의 착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 양상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인된 움직임 양상에 따라 상기 객체의 속도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서있는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쓰러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대한 패턴과 상기 쓰러지는 패턴이 유사한 경우, 상기 객체가 일정 시간 동안 쓰러져 있는가는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가 쓰러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로부터 위험물을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가 상기 위험물을 기울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로부터 작업자와 작업 대상에 대한 움직임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작업 대상만이 이동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규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하여 작업복 착용 준수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객체에 대하여 이중 복장으로 동시 작업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의 구동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CCTV 그리고 상기 CCTV를 통하여 녹화된 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영상 소스; 그리고
    상기 영상 파일을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며, 상기 영상 소스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며, 상기 관심 영역으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는 영상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장치는
    상기 공통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이미지 패치부;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
    상기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는 관심 영역 제어부;
    상기 필터링된 관심 영역에 대하여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그리고
    상기 이벤트를 관제 요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이벤트 디스패치부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작업자가 보호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상기 작업자가 지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지,
    상기 작업자가 쓰러진 상태인지,
    상기 작업자가 위험물을 기울여서 이동시키는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위험물을 밀어서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는지, 그리고
    작업 공간 내 이종의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들이 있는지를 포함하는 CCTV 영상 분석 장치.
KR1020150023586A 2015-02-16 2015-02-16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100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86A KR20160100723A (ko) 2015-02-16 2015-02-16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86A KR20160100723A (ko) 2015-02-16 2015-02-16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23A true KR20160100723A (ko) 2016-08-24

Family

ID=5688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586A KR20160100723A (ko) 2015-02-16 2015-02-16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7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0B1 (ko)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WO2020112598A1 (en) * 2018-11-26 2020-06-04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Controlling components of an energy industry operation using a processing system
KR20220113634A (ko) * 2021-02-05 2022-08-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0B1 (ko)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WO2020112598A1 (en) * 2018-11-26 2020-06-04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Controlling components of an energy industry operation using a processing system
KR20220113634A (ko) * 2021-02-05 2022-08-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Hardhat-wearing detection for enhancing on-sit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JP6364747B2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101715001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평가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6144A (ko)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CN111445524A (zh) 基于场景理解的施工现场工人不安全行为识别方法
KR102488007B1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2398841B1 (ko)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036947B1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KR20160081735A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889339A (zh) 基于头肩检测的危险区域分级预警方法与系统
KR20160100723A (ko) 씨씨티브이 영상 분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86829A (ko) 스마트 cctv 관제 및 경보 시스템
CN111695549A (zh) 一种基于边缘计算的安全帽佩戴检测识别方法及报警系统
CN110991282A (zh) 基于无人机的施工安全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1178828A (zh) 一种建筑消防安全预警的方法和系统
CN110751809A (zh) 施工安全监控方法及相关产品
CN110363945A (zh) 一种禁区闯入报警系统及报警方法
KR102219809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작업관리 시스템
CN111553305B (zh) 一种违章视频识别系统和方法
CN112381435A (zh) 水电站作业过程动态风险的网格化定向推送管理方法
CN114005088A (zh) 一种安全绳穿戴状态监测方法及系统
CN113011263A (zh) 一种矿井监控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EP1482238A2 (en) Safety device for operating machines, particularly drilling machines or suchlike, and method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persons, using such safety device
JP6691068B2 (ja) 作業者状態把握方法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