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898A -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898A
KR20160099898A KR1020150022162A KR20150022162A KR20160099898A KR 20160099898 A KR20160099898 A KR 20160099898A KR 1020150022162 A KR1020150022162 A KR 1020150022162A KR 20150022162 A KR20150022162 A KR 20150022162A KR 20160099898 A KR20160099898 A KR 20160099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timulation
unit
sig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15002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898A/ko
Publication of KR2016009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전류를 신체의 부위별 근육층에 흘려보내, 몸속 깊이 있는 지방을 태우거나 근육을 자극(수축 이완)시키는 자극부(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별로 의류 내측에 마련)가 마련된 의류를 착용하고, 별도의 벨트 또는 의류 자체에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와 의류 착용자의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관련 조작신호ㆍ제어신호ㆍ동작처리신호를 송수신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제약 및 활동성(운동성 기동성)제약없이 또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없이 운동상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Momentum maximize system}
본 발명은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전류를 신체의 부위별 근육층에 흘려보내, 몸속 깊이 있는 지방을 태우거나 근육을 자극(수축 이완)시키는 자극부(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별로 의류 내측에 마련)가 마련된 의류를 착용하고, 별도의 벨트 또는 의류 자체에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와 의류 착용자의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관련 조작신호ㆍ제어신호ㆍ동작처리신호를 송수신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제약 및 활동성(운동성 기동성)제약없이 또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없이 운동상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즉, EMS(Electrical Musle Stimulation)시스템은 인체에 미세 전류(예 : 저주파)를 흘려보내 직접적으로 신체 또는 근육에 자극을 전달하면서 안정적인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일으키도록 된 패드(전류발생부)가 결합된 의류(슈트)를 착용하고, 타워 형태로 별도 마련되는 메인 컨트롤러에서 유선으로 전달하는 동작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신체 또는 근육을 자극하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휘트니스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의 역사적 경과를 살펴보면,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근육을 굵게/크게/강하게 하기 위해 1960년대 유럽에서 개발된 방법으로서, 1972년 뮌헨올림픽 때 구소련 선수들의 근육강화훈련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는 각종 스포츠선수의 근육강화와 일반인들의 체형관리(Shape-up)뿐만 아니라, 의료용 재활(Rehabilitation)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근육을 강화하는 것 또는 체내에 있는 지방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운동에 의해 근육을 자극하는 것과 지방을 연소시키는 방법 외에는 이렇다할 방법이 없다. 즉 운동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득 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
상기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EMS의류는 의류라고는 하지만 운동법의 일종으로,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전기적 자극에 의하여 타동적으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법이다. 이때,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병행하면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역으로, 착용자가 자주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전기 자극을 받음으로써 운동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 새로운 EMS운동법이 감량과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병의 예방과 개선 물론 자력으로 운동할 수 없는 상태의 환자 또는 재활중에 있는 자들의 운동요법으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의류를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에서 상기 의류 즉, EMS의류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각 부위에 전류를 발생시키는 패드가 고정되고, 각 패드에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 내지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선들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전선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트롤러의 제어부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의 의류는, 운동 시 의류상에 늘어져 연결된 전선들이 움직임에 간섭을 주어 운동성 기동성과 같은 활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소 격렬한 운동시 컨트롤러와 의류를 연결하는 전선(소켓 포트 등)이 빠지거나 컨트롤러가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와 컨트롤러가 전선을 연결되므로, 운동 범위가 컨트롤러가 설치된 부분으로 극히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류에 전류를 발생시키는 패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동시 착용함에 의해 땀이 많이 배게 되는 의류의 특성상 수시로 세탁이 이루어져야 하나, 의류를 세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세탁을 한다 하더라도 의류에서 패드를 분리시키는 일이 무척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밖에도, 종래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은 휘트니스 클럽(헬스클럽)에서 하나의 시스템(메인 컨트롤러)을 공동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개개인의 체력과 운동상태는 물론 개인 정보가 메인 컨틀롤러에 저장 관리되거나 외부로 표시되어 타인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운동량 극대화 의류와 관련된 선행 기술 문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3574호(전기적 근육 자극용 착용구 ; 출원일 : 2008년06월25일자).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0461호(기능성 의류 ; 출원일 : 2005년08월12일자).
상기 문헌1의 경우, 컨트롤러에 해당되는 부분이 의류에 구비되어 운동영역을 폭넓게 확보할 수는 있으나, 의류 외부에 전선이 늘어져 있어 운동성에 제약이 따르며, 세탁이 불가능하거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문헌2는 전선과 전류발생부에 해당되는 부분이 의류에 매설되어 있어 운동성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운동영역과 세탁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전류를 신체의 부위별 근육층에 흘려보내, 몸속 깊이 있는 지방을 태우거나 근육을 자극(수축 이완)시키는 자극부(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별로 의류 내측에 마련)가 마련된 의류를 착용하고, 별도의 벨트 또는 의류 자체에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와 의류 착용자의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관련 조작신호ㆍ제어신호ㆍ동작처리신호를 송수신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제약 및 활동성(운동성 기동성)제약없이 또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없이 운동상태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저주파(전류) 자극에 의해 근육을 포함한 신체를 자극하여 운동량을 극대화시키거나 질환 부위를 치료하도록 된 의류(100)를 포함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에 있어서,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자극부(120)와 도통부(150)가 의류 본체(110)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배치된 의류(100); 상기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한편,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저장수단을 통해 저장하는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 상기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도통부(150)를 통해 자극부(12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자극부(12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처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로 제공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벨트(300);를 포함하여서 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류 본체(110)의 도통부(150) 타측 단과 벨트(300)의 제어부(130) 입출력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160);를 더 포함하여서 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신체와 접하여 실질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극부(120)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되, 의류 본체(110) 내측에 재봉을 통해 또는 직접 직조되어 마련됨으로써, 자극부(120)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의류 본체(110)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극부(120)와 제어부(130)를 도통시키는 도통부(150) 역시 전도성 섬유로 의류 본체(110)에 마련됨으로써, 착용 상태로 움직이거나 운동 시 움직임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므로, 운동성, 기동성과 같은 활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통부(150)의 일측 단에 마련되는 각각의 접속단자1(162)과 상기 벨트(B)에 마련되는 제어부(130)의 일측 면 중 상기 접속단자1(162)에 대응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접속단자2(162')가 면 접촉 또는 끼움 결속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 본체(110)에 대한 제어부(130)의 착탈의 용이함과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30) 측과 접속되는 도통부(150)의 단말에 마련되는 각각의 접속단자1(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과 상기 제어부(130)의 일측 면 중 상기 접속단자1(162)에 대응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접속단자2(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2(163')가 인력 작용 또는 상호 부착력에 의한 면접촉 또는 홈과 돌기의 끼움에 의한 결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접속단자1(162)과 접속단자2(162')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 본체(110)에 대한 제어부(130)의 착탈의 용이함과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130)와 퍼스널컨트롤부(200)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와 동작신호를 송수신고, 동작 상태를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출력수단(210)을 통해 확인하고 저장수단(220)을 통해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작과 관련된 제어조작과 출력과 확인 및 저장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없이 운동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운동량 극대화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사진).
도 2는 종래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의 메인컨트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중 자극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 자극부의 다른 예들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중 제어부와 의류본체가 접속부에 의해 장착 및 접속되는 구조 및 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착용 상태 및 작용을 도시한 구성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중 벨트가 위치하는 다른 예들을 도시한 구성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전류) 자극에 의해 근육을 포함한 신체를 자극하여 운동량을 극대화시키거나 질환 부위를 치료하도록 된 의류(100)를 포함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에 있어서,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자극부(120)와 도통부(150)가 의류 본체(110)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배치된 의류(100); 상기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한편,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저장수단을 통해 저장하는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 상기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도통부(150)를 통해 자극부(12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자극부(12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처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로 제공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벨트(300);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은 상기 제어부(130)가 마련된 벨트(300)를 의류 본체(110)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전기적 접속부위를 제공하는 접속부(1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의류 본체(110)는 상하의가 일체로 된 원피스일 수도 있고, 상하의가 분리된 투피스일 수도 있다.
상기 의류 본체(110)가 투피스일 경우, 상기 자극부(120)와 도통부(150) 및 접속부(160)는 상의와 하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극부(120)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의류 본체(110) 중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직접 또는 별도의 패드를 통해 간접으로 신체와 접하여 실질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극부(120)는 의류 본체(110)에 접착 또는 열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121)로 이루어진 면적체 형태 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면서 면적 영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인(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전도성 섬유(121)는 은ㆍ은-염화은의 화합물ㆍ니켈ㆍ몰리브덴ㆍ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카본블랙ㆍ그라파이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서 된 금속 섬유를 라미네이트한 것 또는 금속 섬유를 함유하는 실로 짜여져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극부(120)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섬유(121) 및 천ㆍ고무ㆍ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이 신체와 접하도록 일부 노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의류 본체(110)에 재봉 결합되는 절연막(1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극부(120)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섬유(121) 및 천ㆍ고무ㆍ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이 신체와 접하도록 일부 노출된 상태로 의류 본체(110)에 재봉 결합되는 절연막(122); 상기 절연막(122)으로 노출된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에 점착을 통해 착탈 또는 접착 또는 재봉 고정되는 점착패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패드(123)는 도전성을 갖고 피부에 대하여 자극성이 적고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것이면 만족하며, 예를 들자면,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ㆍ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ㆍ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의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매트릭스로 하고, 이것에 물ㆍ전해질염 등을 함유시킨 도전성 점착 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부(120)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통부(150)와 함께 점착패드(123)에 의해 전체면이 덮여질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도통부(150)는 의류 본체(110)에 접착 또는 열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라인(선)으로서, 절연체인 절연막(의류 본체(110)와 재봉 결합)을 통해 신체와 접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는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입력수단과 동작처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 및 데이터의 저장과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개인휴대용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는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고, 동작처리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를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 및 데이터의 저장과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EMS(Electrical Musle Stimulation)앱)이 탑재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휴대용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의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bee) 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한 일정 영역 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는 상기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폰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벨트(300)는 허리 벨트 또는 팔 또는 팔목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30)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30)는 의류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동작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31);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신호발생수단(132);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는 별도로 신체 자극 신호의 강도 및 동작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회로(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통신모듈(131)은 물리 계층(PHY)과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계층(MAC)을 정의하는 표준으로서 저속도 무선 개인 통신망(Low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LR-WPANs)를 위한 표준 가운데 하나인 지그비(Zigbee (IEEE 802.15.4))일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망을 이루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하면서 IEEE 802.15.1 규격으로 되어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인 블루투스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은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에 따라 신체 자극 신호인 저주파신호(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회로일 수 있으며, 그 출력단이 상기 도통부(150)의 단말과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33)는 외부로 노출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조작을 통해 신체 자극 신호의 강도 및 동작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프로그램된 마이컴과 논리적 회로 및 이산회로로 이루어진 모듈이 케이스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일측 면에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의 출력단인 접속단자2(162')가 마련되어, 상기 도통부(150)의 단말에 마련된 접속단자1(162)과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원부(140)는 동작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충전배터리 또는 교체용 배터리와 전원공급회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어부(130)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속부(160)는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도통부(15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162); 상기 접속단자1(162)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 상기 제어부(130)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접속단자1(162)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단자2(162'); 상기 접속단자2(163)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결속부재1(163)과 기구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부재2(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단자1(162)은 도통부(150)의 선단부 그 자체이거나 도통부(150)의 선단부에 평면 또는 핀(프로브) 형태의 접속단자1(162)이 용접(납땜) 또는 접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단자2(162')는 제어부(130)를 구성하는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평면 또는 핀(프로브) 형태의 도전성 단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1,2(162)(162')는 접촉면들이 면과 면일 수도 있고, 일측은 면 타측은 핀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결속부재1,2(163)(163')는 마그네트일 수도 있고 밸크로파스너(매직 테이프)일 수도 있으며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단추 형태(일명 똑딱이 단추)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저주파(전류) 자극에 의해 근육을 포함한 신체를 자극하여 운동량을 극대화시키거나 질환 부위를 치료하도록 된 의류(100)를 포함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에 있어서,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자극부(120)와 도통부(150)가 의류 본체(110)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배치된 의류(100); 상기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한편,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저장수단을 통해 저장하는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 상기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도통부(150)를 통해 자극부(12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자극부(12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처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로 제공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벨트(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의류 본체(110)는 상하의가 일체로 된 원피스로서, 전면 또는 후면에 지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축성을 가지며 신체에 밀착되는 의류이면 만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의류 본체(110)가 신축성을 가지며 신체에 밀착되어야만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에 자극부(120)가 정확히 위치하면서 밀착되도록 하며 밀착된 부위의 이동이 자제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극부(120)는 의류 본체(110)에 재봉결합되는 전도성 섬유(121)로 이루어진 면적체로서, 은ㆍ은-염화은의 화합물ㆍ니켈ㆍ몰리브덴ㆍ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카본블랙ㆍ그라파이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서 된 금속 섬유를 직조하여서 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전도성 섬유(121)는 은사와 일반섬유가 합성된 직물로 될 수 있는데, 제조 물품, 저주파 자극 영역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직물의 조직을 이룬다. 즉, 직물은 경사(warp, end)와 위사 (filling yarn, weft)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들어지며, 교차시키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직물조직을 형성하는 바,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주자직(satinweave), 변화직(mixture weave), 두둑직(rib weave), 바스켓직 (basket weave), 허커백직(huckaback weavefabric), 파능직(broken twill weave fabric), 산형능직(pointed twill weave), 화강직(Granite weave), 주야주자직 (satin check weave), 도비직(dobby weave), 자카드직물, 덧사직(extra yarn weave), 파일직(pileweave), 크레이프(crepe fabric), 이중직물(double cloth), 사직과 여직 등의 다양한 직물조직으로 제조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자극부(120)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게 되면, 신체의 굴곡 내지 의류의 신축성에 의한 변형에도 유연하게 대응하게 되므로, 착용에 따른 이질감을 저하시키고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에 자극부(120)가 정확히 위치하면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자극부(120)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섬유(121) 및 천ㆍ고무ㆍ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이 신체와 접하도록 일부 노출된 부분에 위치하여, 의류 본체(110)에 재봉 결합되는 절연막(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극부(120)는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섬유(121) 및 천ㆍ고무ㆍ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이 신체와 접하도록 일부 노출된 상태로 의류 본체(110)에 재봉 결합되는 절연막(122); 상기 절연막(122)으로 노출된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에 점착을 통해 착탈 또는 접착 또는 재봉 고정되는 점착패드(123);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도성 섬유(121)의 표면이 신체와 접하도록 일부 노출된 부분에 마련되는 점착패드(123)는 점착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체에 밀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점착패드(123)는 도전성을 갖고 피부에 대하여 자극성이 적고 충분한 점착력을 갖는 것이면 만족하며, 예를 들자면,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ㆍ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ㆍ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폴리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의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유도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매트릭스로 하고, 이것에 물ㆍ전해질염 등을 함유시킨 도전성 점착 겔 등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도통부(150)는 의류 본체(110)에 접착 또는 열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라인(선)으로서, 절연체인 절연막(의류 본체(110)와 재봉 결합)을 통해 신체와 접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통부(15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극신호발생수단(132)에서 발생되는 신체 자극신호를 자극부(120)로 전달하는 경로로 작용하여 자극부(120)를 통해 신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벨트(300)에 마련되는 제어부(130)는 의류 본체(110)의 흉부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별도 마련되는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동작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31);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신호발생수단(132);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는 별도로 신체 자극 신호의 강도 및 동작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회로(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통신모듈(131)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루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하면서 IEEE 802.15.1 규격으로 되어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인 블루투스이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인 의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제어하에 일정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은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에 따라 신체 자극 신호인 저주파신호(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회로로서, 그 출력단이 상기 도통부(150)의 단말과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자극신호발생수단(132)에서 발생되는 신체 자극신호가 도통부(150)를 통해 자극부(120)로 전달되어 신체 자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33)는 외부로 노출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조작을 통해 신체 자극 신호의 강도 및 동작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프로그램된 마이컴과 논리적 회로 및 이산회로로 이루어진 모듈이 케이스에 내장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는 별도로 제어회로(133)를 이용하여, 전원부(140)의 전원 레벨을 조절하고 타이머(논리적 타이머, 기계적 타이머)의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자극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속부(160)는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도통부(15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162); 상기 접속단자1(162)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 상기 제어부(130)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접속단자1(162)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단자2(162'); 상기 접속단자2(163)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결속부재1(163)과 기구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부재2(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접속단자1(162)은 도통부(150)의 선단부 그 자체이거나 도통부(150)의 선단부에 평면 또는 핀(프로브) 형태의 접속단자1(162)이 용접(납땜) 또는 접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2(162')는 제어부(130)를 구성하는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의 출력단에 마련되는 평면 또는 핀(프로브) 형태의 도전성 단자이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1(162)은 접촉면이 평면이고 접속단자2(162')의 접촉면은 접속단이 뾰족한 핀 블록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면서 평면인 접속단자1(162)에 대응 접속된다.
상기에서, 결속부재1,2(163)(163')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져 상호 인력 작용하여 제어부(130)가 수용된 케이스를 의류 본체(110)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단자1,2(162)(162')의 접속을 유도하며 접속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신체와 접하여 실질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극부(120)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되, 의류 본체(110) 내측에 재봉을 통해 또는 직접 직조되어 마련됨으로써, 자극부(120)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의류 본체(110)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극부(120)와 제어부(130)를 도통시키는 도통부(150) 역시 전도성 섬유로 의류 본체(110)에 마련됨으로써, 착용 상태로 움직이거나 운동 시 움직임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므로, 운동성, 기동성과 같은 활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30) 측과 접속되는 도통부(150)의 단말에 마련되는 각각의 접속단자1(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과, 상기 제어부(130)의 일측 면 중 상기 접속단자1(162)에 대응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접속단자2(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2(163')가, 인력 작용 또는 상호 부착력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면서 이와 함께 상기 접속단자1(162)과 접속단자2(162')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 본체(110)에 대한 제어부(13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00)를 의류 본체(110)에 착용하게 되면, 제어부(130)의 입출력단과 도통부(150)의 타측 단이 접속부(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퍼스널컨트롤부(200)와 제어부(130)의 전원을 ON시킨 상태에서 퍼스널컨트롤부(200)에서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수단 또는 퍼스널컨트롤부(200) 자체의 기계적인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한다.
그리하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퍼스널컨트롤부(200)의 통신모듈을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송출함과 동시에 출력수단(예 :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통해 설정상태를 출력하는 한편, 저장수단(예 : 스마트폰의 메모리)을 통해 설정값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송출된 설정 데이터는 의류 본체(110)에 착용한 벨트(300)에 마련된 제어부(130)의 통신모듈(131)을 통해 수신되고, 그리되면, 제어부(130)는 설정값에 따라 자극신호발생수단(132)을 동작시켜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저주파신호는 도통부(150)를 거쳐 자극부(130)로 전달되어, 신체에 자극을 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동작상태를 실시간 출력수단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운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효과적인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체와 접하여 실질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극부(120)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되, 의류 본체(110) 내측에 재봉을 통해 또는 직접 직조되어 마련됨으로써, 자극부(120)를 탈리시키지 않고도 의류 본체(110)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극부(120)와 제어부(130)를 도통시키는 도통부(150) 역시 전도성 섬유로 의류 본체(110)에 마련됨으로써, 착용 상태로 움직이거나 운동 시 움직임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므로, 운동성, 기동성과 같은 활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통부(150)의 일측 단에 마련되는 각각의 접속단자1(162)과 상기 벨트(B)에 마련되는 제어부(130)의 일측 면 중 상기 접속단자1(162)에 대응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접속단자2(162')가 면 접촉 또는 끼움 결속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 본체(110)에 대한 제어부(130)의 착탈의 용이함과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30) 측과 접속되는 도통부(150)의 단말에 마련되는 각각의 접속단자1(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과 상기 제어부(130)의 일측 면 중 상기 접속단자1(162)에 대응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접속단자2(162')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2(163')가 인력 작용 또는 상호 부착력에 의한 면접촉 또는 홈과 돌기의 끼움에 의한 결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접속단자1(162)과 접속단자2(162')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류 본체(110)에 대한 제어부(130)의 착탈의 용이함과 도통부(150)와 제어부(130)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130)와 퍼스널컨트롤부(200)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와 동작신호를 송수신고, 동작 상태를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출력수단(210)을 통해 확인하고 저장수단(220)을 통해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작과 관련된 제어조작과 출력과 확인 및 저장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없이 운동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능적인 부분과 기타 기대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전류를 부위별 근육층에 흘려보내 몸속 깊이 있는 지방을 태울 수 있도록 하고, 무거운 중량을 이용한 세트 반복이 아닌 근육의 극한 수축단계로 직접 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0분의 운동(트레이닝)을 병행한다면 약 6시간 이상의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단기간에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람들이나 관절이 안 좋아 장시간 운동을 하기 힘든 사람에게 유용하다.
또한, 혈액이 체내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도와주는 한편, 체내에 쌓인 노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게 되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신의 모든 근육을 자극시켜 피로를 풀어주는 마사지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인체에 무해한 미세 전류를 흘려보내 직접적으로 자극을 전달하면서 안정적으로 근육의 수축, 이완을 일으키는 원리로서, 의류 본체(110)를 착용하면 자극부(120)가 신체에 밀착되어, 모든 근육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근육 상태, 운동 능력치, 운동 목적 등 개인 맞춤 트레이닝이 가능하고, 특정부위의 근육 발달 및 관리가 가능하고, 체력 강화와 심혈관 트레이닝 및 세포의 활성화가 가능하고, 신체의 교정 및 특수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벨트(300)가 의류 본체(110)의 허리 부분에 착용되는 것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하나, 첨부 도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00)가 의류 본체(110)의 팔(상완근 부분)에 착용되거나, 팔목에 시계와 같이 착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100 : 운동량 극대화 의류
110 : 의류 본체 120 : 자극부
121 : 전도성 섬유 122 : 절연막
123 : 점착패드 130 : 제어부
131 : 통신모듈 132 : 자극신호발생수단
133 : 제어회로 140 : 전원부
150 : 도통부 160 : 접속부
162,162': 접속단자1,2 163,163': 결속부재1,2
200 : 퍼스널컨트롤부 300 : 벨트

Claims (5)

  1. 저주파(전류) 자극에 의해 근육을 포함한 신체를 자극하여 운동량을 극대화시키거나 질환 부위를 치료하도록 된 의류(100)를 포함한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10)에 있어서,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자극부(120)와 도통부(150)가 의류 본체(110)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배치된 의류(100);
    상기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는 한편,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저장수단을 통해 저장하는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
    상기 휴대용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도통부(150)를 통해 자극부(12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자극부(12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처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로 제공하는 제어부(130)가 마련된 벨트(30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의류(100)의 의류 본체(110)에 마련되는 자극부(120)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의류 본체(110) 중 신체 자극을 요하는 부위에 마련되는 것으로, 의류 본체(110)에 접착 또는 열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121)로 이루어진 면적체 형태 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면서 면적 영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인 형태로 마련되어, 직접 또는 별도의 패드를 통해 간접으로 신체와 접하여 실질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도통부(150)는, 의류 본체(110)에 접착 또는 열 융착 또는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라인(선)으로서, 절연체인 절연막을 통해 신체와 접하지 않도록 차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는,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입력수단과 동작처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 및 데이터의 저장과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개인휴대용단말기이거나,
    자극부(120)의 신체 자극신호의 레벨과 동작주기 및 동작시간을 설정하고, 동작처리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를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설정값과 동작처리상태 및 데이터의 저장과 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운동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휴대용단말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벨트(300)는, 허리 또는 팔(상완근 부분) 또는 팔목에 착용하는 것이고,
    상기 벨트(300)에 마련되는 제어부(130)는, 의류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 무선으로 통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동작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31);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신체 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자극신호발생수단(132); 상기 퍼스널컨트롤부(200)와는 별도로 신체 자극 신호의 강도 및 동작주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동작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회로(133);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60)는, 의류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도통부(15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162); 상기 접속단자1(162)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는 결속부재1(163); 상기 제어부(130)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일측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접속단자1(162)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단자2(162'); 상기 접속단자2(163)의 테두리 또는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결속부재1(163)과 기구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부재2(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KR1020150022162A 2015-02-13 2015-02-13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KR20160099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62A KR20160099898A (ko) 2015-02-13 2015-02-13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62A KR20160099898A (ko) 2015-02-13 2015-02-13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898A true KR20160099898A (ko) 2016-08-23

Family

ID=5687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62A KR20160099898A (ko) 2015-02-13 2015-02-13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8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72A (ko) * 2018-11-14 2020-05-22 김재환 착용형 중저주파 발생 스트랩 장치
WO2021125370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드림핏글로벌 스마트 의류
KR20220104881A (ko) * 2021-01-19 2022-07-26 이노베이션티 주식회사 스마트 마사지 웨어러블 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72A (ko) * 2018-11-14 2020-05-22 김재환 착용형 중저주파 발생 스트랩 장치
WO2021125370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드림핏글로벌 스마트 의류
KR20220104881A (ko) * 2021-01-19 2022-07-26 이노베이션티 주식회사 스마트 마사지 웨어러블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114A (ko) 운동량 극대화 의류
KR101005692B1 (ko) 기능성 복대
EP3387930B1 (en) Fabric device
JP2017141538A (ja) センサ衣服
US20160303363A1 (en) NMES Garment
WO2017088275A1 (zh) 应用ems的训练服装制造方法
KR101995170B1 (ko) 웨어러블 장치
KR20160099898A (ko) 운동량 극대화 시스템
TW201944920A (zh) 電性刺激裝置用健身服裝
KR200486278Y1 (ko) 복대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210080273A (ko) 스마트 의류
KR101894177B1 (ko) 전기자극용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시스템
KR20170011923A (ko)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CN213407473U (zh) 一种微电流理疗智能背心
US20220400980A1 (en) Wearable Assembly Comprising a Wearable Article and an Electronics Module Arranged to Be Removably Coupled to the Wearable Article
CN206866672U (zh) 一种康复智能运动服
GB2593433A (en) Electronics arrangement for a wearable article
GB2590986A (en) Electronics arrangement for a wearable article
CN205658909U (zh) 肌电采集服装和用该服装进行采集的肌电采集系统
KR101743176B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 패드
WO2023052752A1 (en) System comprising article and electronics module
CN115317352A (zh) 一种穿戴式电子理疗服装及理疗方法
WO2019172297A1 (ja) 電気刺激装置用フィットネスウェア
KR102408464B1 (ko) 스마트 다기능 발열 조끼
CN215961797U (zh) 智能塑形服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