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873A -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873A
KR20160099873A KR1020150022105A KR20150022105A KR20160099873A KR 20160099873 A KR20160099873 A KR 20160099873A KR 1020150022105 A KR1020150022105 A KR 1020150022105A KR 20150022105 A KR20150022105 A KR 20150022105A KR 20160099873 A KR20160099873 A KR 2016009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traveling cable
line
wir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912B1 (en
Inventor
문영근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912B1/en
Publication of KR2016009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cable for an elevator. The traveling cable for an elevator comprises: one or more signal lines which transfer a control signal from an elevator; one or more power lines which supply power to the elevator; one or more reinforcement lines which strengt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raveling cable and are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s; and a sheath which is formed to cover the signal lines, the power lines, and the reinforcement lines, wherein the reinforcement lines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markably reduces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raveling cable for elevator}[0001]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cable for an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빌딩에서 승객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조물에 해당한다. 도 1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Generally, an elevator corresponds to a structure necessary for vertical movement of a passenger in a high-rise buildin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elevator.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구조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10)와,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엘리베이터(10)를 연결하며 상기 엘리베이터(10)에서 승객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전송하며 나아가 상기 엘리베이터(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행케이블(50)과, 상기 엘리베이터(10)와 와이어(20)로 연결된 균형추(30)와,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40)를 구비할 수 있다.1, the elevator structure includes an elevator 10 on which passengers can ride,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levator 10, a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10, A traveling cable 50 connected to the elevator 1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of the passenger to the control unit 70 and further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or 10, A balance weight 30 connected to the wire 20 and a motor 40 for winding and releasing the wire 20.

상기 엘리베이터(10)는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주행케이블(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주행케이블(50)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10)에서 승객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전송하며 나아가 상기 엘리베이터(10)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주행케이블(50)은 상기 엘리베이터(10)에서 상기 제어부(70)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정션박스(Junction box)(60)를 구비하여, 상기 주행케이블(50)이 정션박스(60)에 연결되고, 상기 정션박스(60)와 상기 제어부(70)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The elevator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by the traveling cable 50.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of a passenger in the elevator 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 through the traveling cable 50 and further supplied to the elevator 10. The traveling cable 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in the elevator 10 or has a junction box 60 in the middle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traveling cable 50 May be connected to the junction box 60 and the junction box 60 and the control unit 70 may be connected through separate cables.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0)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또는 풀어주어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하 이동 및 이동거리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20)는 그 단부에 균형추(30)를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이동을 돕게 된다.The control unit 70 adjusts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or 10 by winding or loosening the wire 20 do. The wire 20 has a counterbalance 30 at its end to help the elevator 10 move.

그런데, 최근 건축물의 추세를 살펴보면 그 높이가 매우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 엘리베이터가 필수적이며, 나아가 종래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고속 또는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필요로 한다. 상기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예를 들어 분당 300 내지 600m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By the way, if you look at recent trends in archite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is very high. In such a high-rise or super-high-rise building, an elevator is indispensable, and furthermore, a high-speed or super-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t a higher speed than conventional ones. The super-high-speed elevator can be defined as an elevator capable of moving a distance of 300 to 600 meters per minute, for example.

상기와 같은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하로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엘리베이터(10)와 상기 제어부(70)를 연결하는 주행케이블(50)의 길이도 종래에 비해 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케이블(5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이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운용하중이 증가하는 결과를 수반한다.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connecting the elevator 10 and the control unit 70 is long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art because the distance required to move up and down is much long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 As 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As a result, when the elevator 10 is moved up and down, It is accompanied.

상기와 같이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하 이동 시에 상기 모터(40)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상기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도 종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되어 상기 모터(40)나 상기 와이어(2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If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load acting on the motor 40 or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wire 20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10 becom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 service life of the motor 40 and the wire 20 is shortened.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또는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행케이블의 중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도 인장 하중은 종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주행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veling cable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the weight of a traveling cable of an elevator moving at a high speed or a very high speed while maintaining a tensile loa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on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 상기 엘리베이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 상기 주행케이블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보강선 및 상기 신호선, 전원선 및 보강선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시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선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중앙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veling cable for an elevator,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elevator, at least one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or, And at least one reinforcement line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 and a sheath provided to surround the signal line, the power line and the reinforcement line, and the reinforcement line is symmetric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un cable.

여기서, 상기 보강선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wire may be made of aramid fiber.

또한, 상기 보강선의 직경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높이에 대해 30 내지 45%의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선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중앙에서 상기 단면의 폭의 1/4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wire may have a diameter of 30 to 45%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cross-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and the reinforcing wir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

한편, 상기 보강선은 그 외주를 따라 외부시스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그 내측에 강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line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heath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or may further include a steel wire inside the outer sheath.

또한, 상기 전원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통신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symmetrically disposed around the power lin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또는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행케이블에 포함되는 보강선을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주행케이블의 중량을 현저히 줄이면서 상기 보강선의 인장강도는 종래 강선에 의해 제작된 보강선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or moving at a high speed or a very high speed, the reinforcing wire included in the traveling cable of the elevator is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 such as aramid fiber,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line can be maintain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reinforcing line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steel l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행케이블에 포함되는 보강선을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종래 강선에 의한 보강선이 상기 주행케이블의 시스를 뚫고 신호선 또는 전원선 등을 파손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wire included in the traveling cable by using the aromatic polyamide fi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ement wire of the conventional steel wire from breaking the signal cable or the power supply wire through the sheath of the traveling cable can do.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주행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선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선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raveling cab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vel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vel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주행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적절히 변형된 엘리베이터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10)의 기본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주행케이블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raveling cable described later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shown in Fig. 1 and the elevator structure appropriately modified.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elevator 1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raveling cable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도 2는 종래 주행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aveling cabl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행케이블(50)은 상기 엘리베이터(10)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58)과, 상기 엘리베이터(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59)과,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보강선(51)과, 상기 신호선(58), 전원선(59) 및 보강선(51)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시스(53)를 구비할 수 있다.2, the traveling cable 50 includes a signal line 58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elevator 10, a power line 59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or 10, A reinforcing line 51 for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and a sheath 53 enclosing the signal line 58, the power line 59 and the reinforcing line 51 can be provided.

상기 신호선(58)은 상기 엘리베이터(10)에 승객이 탑승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조작판(미도시)을 조작하는 경우에 상기 조작판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술한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신호선(58)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전술한 모터(40)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조절하게 된다.The signal line 58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board to the control unit 70 when a passenger is boarded on the elevator 10 and operates the operation board (not shown) of the elevator 10 . The control unit 70 drives the motor 40 to control the vertical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or 10 when a control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ignal line 58. [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10)에는 내부를 밝히는 전등과 같이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10) 내의 전기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전원선(59)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원선(59)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0)의 각종 전기장치를 승객이 사용하게 된다.Also, the elevator 10 requires a number of devices that require power, such as a lamp that illuminates the interior.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in the elevator 10, electri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 power line 59. The passenger uses various electric devices of the elevator 10 by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59. [

한편, 도면부호 '54'는 통신선(twisted pair cable)을 도시한다. 상기 통신선(54)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승객과 외부의 관리자 등의 통신을 위하여 활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엘리베이터(10)의 고장 시에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승객은 상기 통신선(54)을 통하여 외부의 관리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선(54)의 일부는 광케이블(56)로 대체될 수 있으며, 광케이블(56)은 엘레베이터 내부에서 LAN 신호 및 영상 신호 등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54 denotes a twisted pair cable. The communication line 54 is utilized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assenger in the elevator 10 and an external manager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10 fails, the passenger in the elevator 1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manager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54. [ A part of the communication line 54 may be replaced with an optical cable 56 and the optical cable 56 may be used to transmit a LAN signal and a video signal in the elevator.

상기 주행케이블(50)은 상기 엘리베이터(10)와 제어부(70)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10)와 정션박스(60)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주행케이블(50)은 그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야 하며, 나아가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며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보강선(51)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veling cable 50 connects the elevator 10 and the control unit 70 or the elevator 10 and the junction box 60 to each other.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traveling cable 50 should be firmly fixed, and further, the reinforcing wire 51 may be provided to prevent breakage and failure and have a proper tensile strength.

특히, 엘리베이터(10)는 승객이 탑승하는 장치이므로 엄격한 안전규정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행케이블(50)도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강선(steel wire rope)이 상기 보강선(51)으로 활용되었다. In particular, since the elevator 10 is a passenger-carrying device, it must comply with strict safety regulations. Therefore, the traveling cable 50 should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tensile str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this purpose, a steel wire rope has been utilized as the reinforcing wire 51 in the prior art.

전술한 신호선(58), 전원선(59), 통신선(54) 및 보강선(51)은 시스(53)에 의해 둘러 싸이게 된다. 상기 시스(53)는 고분자 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선(58), 전원선(59), 통신선(54) 및 보강선(51)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측의 신호선(58), 전원선(59), 통신선(54) 및 보강선(5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ignal line 58, the power line 59, the communication line 54 and the reinforcing line 51 described above are enclosed by the sheath 53. The sheath 53 is made of a polymer resin or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gnal line 58, the power line 59, the communication line 54 and the reinforcing line 51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ignal line 58, 59, the communication line 54, and the reinforcing line 51, respective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적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형태가 아니라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소위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적이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엘리베이터(1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주행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며, 나아가 상기 원형의 주행케이블은 곡률반경이 플랫타입에 비해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원형의 주행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이동을 위해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행케이블(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aveling cable 50 may not be circular or elliptical but may be of a so-called 'flat type' in which the heigh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width.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aveling cable 5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10 moves up and down, the traveling cable tends to twist more and the circular traveling cable has a radius of curvature It becomes bigger than the flat type.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circular traveling cable, more space is required for moving the elevator 10. Therefore, the traveling cable 50 can be applied as a flat type as shown in the figure.

한편, 상기 시스(53) 내에서 상기 신호선(58), 전원선(59), 통신선(54) 및 보강선(51)은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시스(53)의 중앙부에 상기 통신선(54)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강선(51), 신호선(58)과 전원선(59)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신호선(58), 전원선(59), 통신선(54) 및 보강선(51)이 대칭적으로 구비되어야 상기 엘리베이터(10)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주행케이블(50)의 흔들림 및 꼬임이 적게 된다.The signal line 58, the power supply line 59, the communication line 54 and the reinforcing line 51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sheath 53. 2, the communication line 54 is symmetrically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sheath 53 and the reinforcing line 51, the signal line 58 and the power line 59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 When the elevator 10 is moved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the signal line 58, the power line 59, the communication line 54 and the reinforcing line 51 provided symmetrically, the traveling cable 50 may be shaken and twisted .

그런데, 최근 건축물의 추세를 살펴보면 그 높이가 초고층으로 매우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에 엘리베이터가 필수적이며, 나아가 종래에 비해 층수가 많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고속 또는 초고속 엘리베이터를 필요로 한다.By the way, if you look at trends of recent buildings, you can see that the height is very high. In the case of such a high-rise building or a high-rise building, an elevator is indispensable, and furthermore, the number of floor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so that a high-speed or super-high-speed elevator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t a relatively higher speed is required.

상기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 상하로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엘리베이터(10)와 상기 제어부(70)를 연결하는 주행케이블(50)의 길이도 종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주행케이블(5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이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운용하중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수반한다.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connecting the elevator 10 and the control unit 70 can be increased to a length that is incomparab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do. As 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This results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perating load when the elevator 10 is moved up and down It is accompanied.

상기와 같이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상하 이동 시에 상기 모터(40)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상기 와이어(20)에 작용하는 장력도 종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되어 상기 모터(40)나 상기 와이어(2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인장강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케이블(50) 내의 보강선(51)을 강선 등으로 구비하는 경우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은 길이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If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load acting on the motor 40 or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wire 20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10 becom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 service life of the motor 40 and the wire 20 is shortened. Particularly, when the reinforcing wire 51 in the traveling cable 50 is provided as a steel wire or the like in order to secur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층 또는 초고층 빌딩 등에 사용되는 고속 또는 초고속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주행케이블에 있어서 그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인장강도를 종래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주행케이블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veling cable capable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used in a high-speed or ultra-high-speed elevator used in a high-rise or high-ris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tensile strength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traveling cabl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vel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케이블(50)은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550), 상기 엘리베이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520),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보강선(540) 및 상기 신호선(550), 전원선(520) 및 보강선(54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시스(510)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선(540)은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중앙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주행케이블(50)은 상기 전원선(52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통신선(5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3, the traveling cab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signal line 550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in the elevator, at least one power line 5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or, At least one reinforcing wire 540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s and reinforcing wires 550 for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raveling cable 50 and a reinforcing wire 540 for enclosing the signal wire 550, And the reinforcing wire 54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 Furthermore, the traveling cable 5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530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ower line 520.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케이블(50)은 중앙부에 전원선(520)을 구비하고,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통신선(530), 보강선(540) 및 신호선(550)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시스(510) 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선(520), 통신선(530) 및 신호선(55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Specifically, the traveling cable 50 includes a power line 52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ommunication line 530, a reinforcing line 540 and a signal line 550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is arrangemen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s long as it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in the sheath 510. [ The description of the power line 520, the communication line 530, and the signal line 550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iscuss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케이블(50)에 구비되는 보강선(540)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aromatic polyamide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보강선(540)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wire 540 may be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 For example, the reinforcing wire 540 may be an aramid fiber, Lt; / RTI >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주사슬에 벤젠고리를 포함한 폴리아마이드 섬유로서, 내마찰성, 내열성, 탄력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낮은 마찰계수와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아라미드 섬유를 편조하여 로프 형태로 가공(이하, '아라미드 로프'라 함)하여 상기 보강선(540)으로 채용하게 되면 종래 강선으로 구성된 보강선과 유사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 그 중량은 상대적으로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케이블(50)에 포함되는 보강선(540)을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종래 강선에 의한 보강선이 상기 주행케이블의 시스를 뚫고 신호선 또는 전원선 등을 파손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aramid fiber is a polyamide fiber including a benzene ring in the main chain and has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heat resistance, elasticity, abrasion resistance, low friction coefficient, high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hen the aramid fibers are knitted and processed into a rope sh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ramid rope') to be used as the reinforcement wire 540, the aramid fiber is maintained at a tensile strength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reinforcement wire, Can be relatively reduced significantly. Also, by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wire 540 included in the traveling cable 50 by using the aromatic polyamide fiber, the reinforcing wire of the conventional wire breaks the sheath of the traveling cable and breaks the signal line or the power line etc. Can be prevented.

예를 들어, 종래 강선으로 구성된 보강선의 경우, 8 mm의 외경을 가지는 경우에 인장강도가 43.6kN, 그 중량이 대략 24kg(100m 기준)인데 반해,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보강선을 적용한 경우, 대략 8 mm의 외경을 가지는 경우에 인장강도는 42.2kN이며, 그 중량은 대략 4.5kg(100 m 기준)이다. 즉, 상기 보강선에 상기 아라미드 로프를 적용하게 되면 강선 보강선에 비해 그 중량은 18.8% 밖에 되지 않으면서 인장강도는 96.8%에 이르게 되어, 인장강도는 강선 보강선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그 중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inforcement wire composed of a conventional steel wire, when a wir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8 mm has a tensile strength of 43.6 kN and a weight of about 24 kg (based on 100 m), when the reinforcement wire is applied with the aramid rope, mm, the tensile strength is 42.2 kN, and the weight is approximately 4.5 kg (based on 100 m). That is, when the aramid rop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line, the weight of the aramid rope is only 18.8% of that of the reinforcing wire, and the tensile strength is 96.8%. The tensile strength is maintain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reinforcing wire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구성된 상기 보강선(540)의 직경(D)은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높이(H)에 대해 대략 30 내지 45%의 비율을 가지는 경우에 인장강도는 종래의 강선 보강선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그 중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or, when the diameter D of the reinforcing wire 540 composed of the aramid rope has a ratio of approximately 30 to 45% with respect to the height 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unning cable 50, The strength can be kept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steel wire reinforcement line and its weight can be remarkably reduced.

즉,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구성된 보강선(540)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게 되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중량을 더 줄일 수 있지만, 인장강도가 종래의 강선 보강선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안전도를 떨어뜨리게 된다.반대로,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구성된 보강선(540)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크게 되면 종래의 강선 보강선에 비해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지만, 상기 아라미드 로프 자체의 외경이 커짐에 따라 상기 주행케이블의 외경이 커지게 되어 중량 감소의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wire 540 composed of the aramid rope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weight of the traveling cable 50 can be further reduced, but the tensile strength is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teel wire reinforcing wire, Whe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wire 540 composed of the aramid rope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wire 540 may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eel wire reinforcing wire. However, As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veling cable becomes large, and the effect of weight reduction is reduced.

한편, 상기 보강선(540)은 상기 주행케이블(50)에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선(540)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각각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선(540)이 상기 주행케이블(50)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야 상기 주행케이블(50)의 흔들림 및 꼬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inforcing wire 54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when the reinforcing wire 540 is disposed on the traveling cable 50. That is, the reinforcement line 54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to both sides. This is because shaking and kinking of the traveling cable 50 can be reduced if the reinforcing wire 540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cable 50.

나아가, 상기 보강선(540)은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중앙에서 상기 단면의 폭의 1/4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폭이 길이 'L'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보강선(540)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중앙에서 이격된 거리(L1)는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폭의 1/4 이상(즉, 도면에서 L/4 이상)이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상기 보강선(540)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단면의 중앙에서 이격된 거리(L1)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Further, the reinforcing line 540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of 1/4 or more of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is a length 'L', the reinforcing line 540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The distance L 1 can be determined to be at least ¼ of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that is, L / 4 or more in the drawing). In other words, the distance L 1 between the reinforcing wire 540 an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50 is determin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 1 ).

[식 1][Formula 1]

L1 ≥ L/4L 1 ? L / 4

상기와 같은 배치를 통해 상기 주행케이블(50)의 흔들림 및 꼬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swinging and kinking of the traveling cable 50 can be reduced through the above arrangement.

한편, 도 4는 전술한 도 3과 비교하여 상기 보강선(540)의 위치가 상기 주행케이블(50)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신호선(550), 전원선(520), 통신선(530) 및 시스(510)의 구성과, 상기 보강선(540)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은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1한다.4,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wire 540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traveling cable 50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Fig. 3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line 550, the power line 520, the communication line 530 and the sheath 5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reinforcement line 540 symmetrically are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3 described above, The explanation of the explanation is omitted 1.

한편, 종래 강선 보강선의 경우에 강선으로 된 보강선에 시스를 입히게 되므로 상기 보강선과 시스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보강선이 상기 시스 안에서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5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라미드 로프로 된 보강선(540)의 단면을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teel wire reinforcing wire, since a sheath is applied to a reinforcement wire made of a steel wire, a slipp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reinforcement wire and the sheath, and the reinforcement wire is not fixed in the sheath. 5 shows a cross section of an aramid rope reinforcing line 5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선(540)은 그 외주를 따라 외부시스(5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라미드 로프의 외주를 따라 외부시스(54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외부시스(542)는 예를 들어 부직포 테이프를 감아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reinforcing line 54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heath 542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heath 542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amid rope. The outer sheath 542 may be formed by winding a non-woven tape, for example.

이와 같이 아라미드 로프의 외주를 따라 외부시스(542)를 더 구비하게 되면, 상기 보강선(540)과 상기 시스(510)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510) 내에서 상기 보강선(54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시스(542)는 또한 상기 아라미드 로프를 보호하면서 상기 아라미드 로프가 편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주를 감싸게 된다.The provision of the outer sheath 542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amid rope prevents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reinforcing line 540 and the sheath 510, The wire 540 can be fixed. The outer sheath 542 also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so as to maintain the aramid rope in a braided state while protecting the aramid rope.

한편, 도 6은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된 상기 보강선(540)의 내측에 강선(544)을 더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Meanwhile, FIG.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steel wire 544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reinforcing wire 540 made of the aramid rop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만 된 보강선의 경우에 종래 강선 보강선에 비해 인장강도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중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용하중보다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보다 중요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라미드 로프로 된 상기 보강선(540)의 내측에 강선(544)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보강선(540)의 인장강도를 강선 보강선 또는 아라미드 로프 보강선의 경우에 비해 더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reinforcement wire made of the aramid rope, the weight can be remarkably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tensile strength at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conventional steel wire reinforcement wire.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uilding, the safety of the elevator can be more important than the operating load of the elevator. In this case, a steel wire 544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reinforcement wire 540 made of the aramid rope, so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wire 540 can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wire or the aramid wire reinforcement wire hav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엘리베이터
20..와이어
30..균형추
40..모터
50..주행케이블
60..정션박스
70..제어부
510..시스
520..전원선
530..통신선
540..보강선
550..신호선
10. Elevator
20. Wire
30. Balance
40 .. Motor
50 .. Running cable
60 .. Junction box
70. Control unit
510 .. CIS
520 .. Power Line
530 .. Communication line
540 .. reinforcement line
550 .. signal line

Claims (7)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
상기 엘리베이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선;
상기 주행케이블의 인장강도를 강화하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보강선; 및
상기 신호선, 전원선 및 보강선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시스;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선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중앙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In an elevator running cable,
At least one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elevator;
At least one power line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or;
At least one reinforcing wire made of aromatic polyamide fibers reinforc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unning cable; And
And a sheath enclosing the signal line,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inforcement line, wherein the reinforcement line is symmetrically disposed at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running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wire is made of aramid fi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의 직경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높이에 대해 30 내지 4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wire has a ratio of 30 to 45%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은 상기 주행케이블의 단면의 중앙에서 상기 단면의 폭의 1/4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wire is disposed at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traveling cable at a distance of at least 1/4 of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은 그 외주를 따라 외부시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reinforcement line further includes an outer sheath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은 그 내측에 강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reinforcing wire further comprises a steel wire inside the reinforcing wir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통신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주행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line.



KR1020150022105A 2015-02-13 2015-02-13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KR102431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05A KR102431912B1 (en) 2015-02-13 2015-02-13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05A KR102431912B1 (en) 2015-02-13 2015-02-13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873A true KR20160099873A (en) 2016-08-23
KR102431912B1 KR102431912B1 (en) 2022-08-11

Family

ID=5687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05A KR102431912B1 (en) 2015-02-13 2015-02-13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9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34A (en) * 1994-09-21 1996-04-09 Hitachi Ltd Tail cord and elevator using it
KR100688949B1 (en) * 2006-05-12 2007-03-02 (주)에이치피엔알티 A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JP2010102851A (en) * 2008-10-21 2010-05-06 Fujikura Ltd Flat cable
US20140338968A1 (en) * 2013-05-14 2014-11-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Power/Fiber Hybrid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34A (en) * 1994-09-21 1996-04-09 Hitachi Ltd Tail cord and elevator using it
KR100688949B1 (en) * 2006-05-12 2007-03-02 (주)에이치피엔알티 A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JP2010102851A (en) * 2008-10-21 2010-05-06 Fujikura Ltd Flat cable
US20140338968A1 (en) * 2013-05-14 2014-11-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Power/Fiber Hybrid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912B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9909A (en) Synthetic fibre cable and lift installation with such a synthetic fibre cable
JP5859138B2 (en) Elevator system belt
US20070111588A1 (en) Support Means with Connection Able to Accept Shearing Force for Connecting Several Cables
JPWO2017064808A1 (en) Elevator ro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781177A (en) Elevator and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JP4922665B2 (en) Support means with mechanically positive connection for connecting several cables
KR101635468B1 (en) Elevator system belt
EP3336034B1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KR100649379B1 (en) Rope deflection and suitable synthetic fiber rope and their use
KR102431912B1 (en)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KR101079633B1 (en) optical fiber cable for elevator
US10221043B2 (en) Elevator suspension and/or driving arrangement
WO2014080481A1 (en) Flat control cable for elevator
CN104418214B (en) Elevator with a movable elevator car
KR20160099874A (en) Traveling cable for elevator
JP7195483B1 (en) Rope and belt using it
WO2022097296A1 (en) Composite str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ope, belt, and elevator
EP1508544A1 (en) Elevator device
CN116348407A (en) Rope for elevator
WO2020073139A1 (en) Elevator heat and fire protection suspension system
JP2016066554A (en) Flat cable and twisting reduction method of flat cable
JP2004001913A (en) Lifting rop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