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586A -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 - Google Patents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586A
KR20160099586A KR1020167016774A KR20167016774A KR20160099586A KR 20160099586 A KR20160099586 A KR 20160099586A KR 1020167016774 A KR1020167016774 A KR 1020167016774A KR 20167016774 A KR20167016774 A KR 20167016774A KR 20160099586 A KR20160099586 A KR 2016009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mtc
narrow frequency
relay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866B1 (ko
Inventor
펑 거
준이 리
빈센트 더글라스 파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들의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키기 위해 설명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그리고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되도록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MTC 데이터를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와 발견 동작에 참가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 2 디바이스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그리고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위로 데이터를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RELAY SCHEME BETWEEN NARROW FREQUENCY BAND AND BROAD FREQUENCY BAND DEVICES}
상호 참조들
본 특허출원은 Ge 등에 의해, "Relay Scheme Between Narrow Frequency Band and Broad Frequency Band Devices" 라는 명칭으로 2013년 12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제14/107,221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배경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신-투-머신 (Machine-to-Machine; M2M) 통신 또는 머신 타입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디바이스들에 대한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M2M 또는 MTC 는 자동화된 디바이스들이 인간의 개입 없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이터 통신 기술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M2M 및/또는 MTC 는 정보를 측정 또는 캡처하고 그 정보를 중앙 서버에 중계하기 위한 센서들 또는 계측기기 (meter) 들 또는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그 정보를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인간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합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M2M 디바이스들, MTC 디바이스들 및/또는 MTC 사용자 장비들 (UE들) 이라 불릴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은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머신들의 자동화된 거동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스마트 미터링, 재고 모니터링, 수위 모니터링, 장비 모니터링, 건강관리 모니터링, 야생동물 모니터링, 날씨 및 지질학적 사건 모니터링, 차량군 관리 및 추적, 원격 보안 센싱, 물리적 액세스 제어, 트랜잭션-기반 비즈니스 차징 등을 포함한다. 자동차, 보안, 건강관리, 및 차량군 관리와 같은 산업들이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비용을 관리하고, 및/또는 커스토머 서비스들을 확장하기 위해 MTC 를 채용하기 때문에 MTC 디바이스들에 대한 시장은 고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MTC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무선 셀룰러 기술들, 이를 테면 LTE 및/또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예를 들어,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등) 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은 또한, LTE-Direct (LTE-D), 블루투스, 지그비 (ZigBee), 및/또는 다른 애드-혹 또는 메시 (mesh) 네트워크 기술들과 같은 다양한 피어-투-피어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전세계로의 다수의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들의 확장은 MTC 통신이 발생하는 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고 정보가 머신들 사이에서 통신되기 위한 전력 및 시간의 양을 줄였다.
게다가, MTC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전력 효율적이고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따라서, 그들은 보통 전력 증폭기 (PA) 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그들은 소형 PA 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것은 통신하기 위한 MTC 의 범위를 제한한다. MTC 디바이스들은 협주파수 대역 (narrow frequency band) 트랜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결과, MTC 디바이스들은, 특히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B 로의 업링크 통신에 대해, 링크 버짓 도전들을 가질 수도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머신 타입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MTC 디바이스는 중계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 (discovery operation) 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MTC 디바이스와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 사이에 셋업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중계기에 MTC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는 그 후 광주파수 대역 (broad frequency band) 상의 통신 링크 상에서 MTC 데이터를 또 다른 디바이스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그 후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될 데이터를,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의 제 1 통신 링크 및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는 시간에 있어서 중첩된다.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협주파수 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다.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3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1.4MHz 내지 3MHz 의 범위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고 광주파수 대역은 대략 5MHz, 10MHz, 또는 20MHz 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통신 링크는 LTE-D 접속일 수도 있는 한편,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는 LTE 접속일 수도 있다.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가 또한 설명된다. MTC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또한, MTC 디바이스로 하여금,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될 데이터를,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이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 동작에 참가하는 단계 및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상이한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발견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협주파수 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다.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1.4MHz 내지 3MHz 의 범위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고 광주파수 대역은 대략 5MHz, 10MHz, 또는 20MHz 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통신 링크는 LTE-D 접속일 수도 있는 한편,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는 LTE 접속일 수도 있다.
MTC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또한 설명된다.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발견 동작에 참가하고 그리고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또한,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그 수신된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이다.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적용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그 설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단지 예시로서만 주어진다.
본 발명의 본질 및 이점들의 추가 이해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도 있다. 게다가,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참조 라벨 다음에, 대시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간을 구별하는 제 2 라벨이 오게 함으로써 구별될 수도 있다. 단지 제 1 참조 라벨만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면, 대응하는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과 관계없이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하나에 적용가능하다.
도 1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3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4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디바이스, 중계 디바이스, 및 기지국의 무선 통신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4 의 MTC 통신의 시간-주파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협주파수 대역 위의 중계 디바이스를 통하여 광주파수 대역 상의 기지국에 MTC 디바이스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협주파수 대역 위의 중계 디바이스를 통하여 광주파수 대역 상의 기지국에 MTC 디바이스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또 다른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구성된 MTC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8 의 링크 관리 모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0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도 10 의 중계 모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는 MTC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3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는 중계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6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들의 플로우차트들을 예시한다.
설명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MTC 디바이스는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중계 디바이스에 MTC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는 광주파수 대역 상에서 또 다른 디바이스로 MTC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 (UE) 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는 MTC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협주파수 대역들 위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계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진화된-NodeB (eNB) 로 MTC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는 광주파수 대역 위로 기지국으로 MTC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과 규칙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하는 MTC 서버와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MTC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기 위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에 참가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을 개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에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는 잠재적인 중계 디바이스들로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에 의해 발견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미리 정의되거나, MTC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유사한 수단에 의해 선정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제 2 협주파수 대역과 동일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복수의 협주파수 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는 그 후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에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MTC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MTC 데이터는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중계 디바이스에 의해 또 다른 디바이스에 중계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제 2 통신 링크의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일 수도 있다. 그 결과,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은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점유할 수도 있다. 협주파수 대역과 광주파수 대역 사이의 공유된 리소스들 때문에, 중계 디바이스는 협주파수 대역과 광주파수 대역 양자 위로 동시에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중계 디바이스는 MTC 디바이스와 기지국 양자와 동시에 액티브 링크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위로의 통신은 상이한 시간에 일어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위로의 통신은 시간에 있어서 중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고, 청구항들에 기재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의 제한이 아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적절할 때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생략, 대체,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한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형태들에 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조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블록 다이어그램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예를 예시한다. 시스템 (100) 은 기지국들 (105), 통신 디바이스들 (115, 120), 기지국 제어기 (135), 및 코어 네트워크 (140) 를 포함한다 (제어기 (135) 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통합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다중 캐리어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상에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멀티-캐리어 송신기들은 다중 캐리어들 상에서 동시에 변조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기 설명된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 변조된 멀티-캐리어 채널일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제어 정보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 제어 채널들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캐리어 LTE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기지국 안테나 (미도시) 를 통해 디바이스들 (115, 120)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다중 캐리어들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135) 의 제어 하에서 디바이스들 (115, 12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사이트들의 각각은 각각의 지리적 영역 또는 셀 (110) 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들 (105) 은 기지국 트랜시버, 무선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 서비스 세트 (ESS), NodeB, eNodeB (eNB), 홈 NodeB, 홈 eNodeB,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 (105)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 은 여기서 110-a, 110-b, 또는 110-c 로서 식별된다. 기지국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은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분만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105) (예를 들어, 매크로, 피코, 및/또는 펨토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매크로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35km 반경)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피코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12km 반경) 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펨토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50m 반경)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한 중첩된 커버리지 영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 (115, 120) 은 커버리지 영역들 (110)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 (115, 120) 는 정지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디바이스들 (115, 120) 은 링크들 (125, 130, 145) 을 통해 각각 매크로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및 펨토 기지국들과 같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 (115) 중 일부는 제한된 인간의 개입을 갖거나 또는 어떤 인간의 개입도 없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정보를 캡처하고, 및/또는 정보를 통신하는 머신 타입 통신 (MTC) 디바이스들 (115)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들 (115) 은 다른 디바이스들, 환경적 조건들 등을 모니터링 및/또는 추적하기 위한 센서들 및/또는 계측기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 은 스탠드얼론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들 (115) 은, 일부 경우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사용자 장비들 (UE들) 일 수도 있는 중계 디바이스들 (120) 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통합된 모듈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디바이스들 (120), 이를 테면, 스마트 폰들, 셀룰러 폰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PDA들), 태블릿들,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넷북들, 울트라북들, 스마트북들, 노트북 컴퓨터들, 감시 카메라들, 핸들링된 의료용 스캐닝 디바이스들, 홈 어플라이언스들 등은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들 (120) 은 어떤 MTC 기능성도 구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뒤이은 설명에서, 다양한 기법들은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을 포함하는 시스템 (100) 에 대한 통신 및 프로세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된다. 설명된 기법들은 MTC 디바이스들 (115)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통합하는 것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광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지국 (105) 에 중계될 정보를 하나 이상의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데이터를 협주파수 대역 링크 (145) 를 통하여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중계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 는 그 후 MTC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링크 (130) 를 통해 기지국 (105) 에 포워딩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은 또한 링크 (125) 를 통해 MTC 디바이스 (115)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 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시스템 (100) 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걸쳐 서버와 같은 백-엔드 시스템에 송신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 로의/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은 기지국들 (105) 을 통하여 라우팅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MTC 디바이스들 (115) 에 시그널링 및/또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순방향 또는 다운링크 링크 및 MTC 디바이스들 (115) 로부터 시그널링 및/또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또는 업링크 링크 상에서 MTC 디바이스들 (11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네트워크 제어기 (135) 는 기지국들 (105) 의 세트에 커플링되고 이들 기지국들 (105) 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기 (135) 는 백홀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140)) 을 통해 기지국들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또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및/또는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상이한 양태들의 시스템 (100), 이를 테면 MTC 디바이스들 (115), 중계 디바이스들 (120), 기지국들 (105), 코어 네트워크 (140), 및/또는 제어기 (135) 는 MTC 디바이스들 (115) 의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제 2 디바이스, 이를 테면 기지국 (105) 에 중계할 수도 있다. 그 통신은 협주파수 대역 링크 (145) 를 통해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송신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 는 그 통신을 광주파수 대역 링크 (130) 를 통해 기지국 (105) 에 중계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발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을 개시할 수도 있다.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일 수도 있다. 그 결과, 발견 프로세스는 MTC 디바이스 (115) 또는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발견에 후속하여, 통신이 중계 디바이스 (120) 와 MTC 디바이스 (115) 사이에 확립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 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의 통신 링크 (145) 위로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MTC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 는 그 후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130) 위로 MTC 데이터를 기지국 (105) 에 중계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통신 링크 (145) 의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1.4 내지 3MHz 의 범위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통신 링크 (130) 의 광주파수 대역은 5MHz, 10MHz, 20MHz 의 대역폭, 또는 다른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 는 하나의 양태에 따른 머신 타입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또는 코어 네트워크 (205)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의 예를 예시한다. 시스템 (200) 은 임의의 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단 3 개의 MTC 디바이스 (115-a, 115-b, 및 115-c) 만이 MTC 서버 (210) 와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서버 (210) 와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및 115-c) 사이의 통신은 코어 네트워크/RAN (205) 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는 기지국 (105-a) 을 통하여 라우팅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a) 은 도 1 에 예시된 기지국들 (105) 의 예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및 115-c) 은 도 1 에 예시된 MTC 디바이스들 (115) 의 예들일 수도 있고, 또는 도 1 에 예시된 중계 디바이스들 (120) 의 모듈들의 예들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도 2 에 도시된 MTC 디바이스들 (115), 코어 네트워크들/RAN들 (205), 및 MTC 서버들 (210) 의 수량이 단지 예시 목적들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200) 은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5-a) 사이의 머신 타입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머신 타입 통신은 인간의 개입 없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머신 타입 통신은 사용자 개입 없이, 원격 머신, 이를 테면 MTC 디바이스 (115-a, 115-b, 115-c) 와 백-엔드 IT 인프라스트럭처, 이를 테면 MTC 서버 (210) 사이의 데이터의 자동화된 교환을 포함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a, 115-b, 115-c) 로부터 코어 네트워크/RAN (205) (예를 들어, 기지국 (105-a)) 을 통해 MTC 서버 (210) 로의 데이터의 전송은 역방향 또는 업링크 링크 통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 (예를 들어, 모니터링 데이터, 센서 데이터, 계측기기 데이터 등) 는 업링크 통신으로 MTC 서버 (210) 로 전송될 수도 있다.
MTC 서버 (210) 로부터 기지국 (105-a) 을 통해 MTC 디바이스 (115-a) 로의 데이터의 전송은 순방향 또는 다운링크 링크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순방향 링크는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로 명령들, 소프트웨어/펌웨어 업데이트들, 및/또는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에, 장비, 환경적 조건들 등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것을 명령할 수도 있다. 머신 타입 통신은 원격 모니터링, 측정 및 조건 기록, 차량군 관리 및 자산 추적, 필드-내 데이터 수집, 분포, 물리적 액세스 제어, 및/또는 스토리지 등과 같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5-a) 은 명령들, 소프트웨어/펌웨어 업데이트들, 및/또는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작은 수의 채널들로 하나 이상의 순방향 링크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은 명령들 또는 다른 데이터가 특정 프레임의 채널 상에 포함될 때 그 프레임을 모니터링하도록 웨이크업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의 거동은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요일, 시간 등이 MTC 디바이스 (115-a, 115-b, 115-c) 에 대해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a) 는 제 1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또 다른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하고 그 다른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a) 는 또한, 제 2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수집된 정보를 송신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a) 의 거동은 디바이스 (115-a) 에 원격으로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은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RAN (205) 을 통하여 기지국 (105-a) 을 경유하여 MTC 서버 (210) 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MTC 서버 (210) 는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MTC 디바이스 (115-a, 115-b, 115-c) 는 MTC 서버 (210) 에 중계되도록 기지국 (105-a) 에 통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a, 115-b, 115-c) 이 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고 및/또는 제한된 전력 리소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들은 기지국 (105-a) 및/또는 MTC 서버 (210) 에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시기적절하게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a, 115-b, 115-c) 의 통신, 및 특히 업링크 통신은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b) 에 MTC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에 의해 개선될 수도 있고, 여기서 MTC 데이터는 광주파수 대역을 통해 중계 디바이스 (120-b) 에 의해 기지국 (105-a)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RAN (205) 으로 포워딩된다. 이들 중계 기법들은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LTE/LTE-어드밴스드 네트워크 위로 머신 타입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00) 의 예를 예시한다. LTE/LTE-A 네트워크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305) 및 진화된 패킷 코어 (EPC) (3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LTE E-UTRAN (305) 및 EPC (320) 는 엔드-투-엔드 패킷-스위칭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EPC (320) 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게이트웨이 (32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 (322) 는 하나 이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IP) 네트워크들 (33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IP 네트워크들 (330) 은 오퍼레이터 IP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외부 IP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P 네트워크들 (330) 은 인터넷, 하나 이상의 인트라넷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및 패킷 스위칭된 (PS) 스트리밍 서비스 (PS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 (322)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EPC (320) 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들) 을 사용하여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PC (320) 는 하나 이상의 서빙 GPRS 지원 노드들 (SGSN들) (340) 을 통해 UTRAN (342) 및/또는 GERAN (344) 과 상호접속할 수도 있다.
EPC (320) 는 하나 이상의 서빙 게이트웨이들 (324) 및/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 (MME) (326)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 (324) 는 E-UTRAN (305) 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핸들링하고 인터-RAT 이동성 (예를 들어, UTRAN (342) 및/또는 GERAN (344) 으로의 핸드오버 등) 에 대한 통신 포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MME (326) 는 베어러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할 수도 있는 한편 서빙 게이트웨이 (324) 는 기지국들 (105) 과 다른 네트워크 엔드-포인트들 (예를 들어, PDN GW (322) 등) 사이에서 사용자 IP 패킷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ME (326) 는 인트라-RAT 이동성 기능들 (예를 들어, 서빙 게이트웨이 선택) 및/또는 UE 추적 관리를 관리할 수도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 (324) 및 MME (326) 는 EPC (320) 의 하나의 물리적 노드에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홈 가입자 서비스 (HSS) 및/또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HLR) 노드 (360) 는 UE들에 대해 서비스 인가 및/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도 있다. HSS/HLR 노드 (360) 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 (362) 과 통신할 수도 있다.
E-UTRAN (305) 은 LTE 네트워크의 공중 인터페이스 위로 중계 디바이스 또는 UE (120-b), 및/또는 MTC 디바이스들 (115-d, 115-e, 115-f) 에 대한 사용자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 (termination) 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또는 eNB들 (105-b, 105-c)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b, 105-c) 은 인트라-eNB 통신을 위해 X2 인터페이스와 접속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b, 105-c) 은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평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S1 인터페이스 (315) 위로 서빙 게이트웨이 (324) 및/또는 MME (326) 에 접속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d, 115-e, 115-f), 및/또는 중계 디바이스 (120-b) 는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또는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스킴들을 통하여 다수의 기지국들 (105) 과 협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들 (115-d, 115-e, 115-f) 은 도 1 및/또는 도 2 의 MTC 디바이스들 (115) 의 예들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들 (105-b, 105-c) 은 도 1 및/또는 도 2 의 기지국 (105) 의 예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300) 은 MTC IWF (inter-working function) 모듈 (350) 을 포함하며, 그 MTC IWF 모듈 (350) 은 LTE 네트워크 내에서 MT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EPC (320) 와 하나 이상의 외부 MTC 서버들 (210-a)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MTC 서버 (210-a) 는 도 2 의 MTC 서버 (210) 의 예일 수도 있다. MTC 서버 (210-a) 는 MTC 디바이스들 (115) 의 소유주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고 MTC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것과 같은 MTC 디바이스들 (115) 의 전개와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MTC 서버 (210-a) 는 EPC (320) 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고 또는 MTC IWF 모듈 (350)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접속될 수도 있다. MTC IWF 모듈 (350) 은 EPC (320) (예를 들어, 서빙 게이트웨이 (324) 등) 의 하나 이상의 기존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또는 EPC (320) 에 접속된 별개의 물리적 노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300) 은 중계 디바이스 (120-b) 를 통하여 MTC 디바이스 (115-d) 로부터 기지국 (105-b) 으로의 통신의 중계를 추가 지원할 수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MTC 디바이스 (115-d)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d) 는 그 후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 (120-b) 와 제 1 통신 링크 (145-a) 를 확립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제 2 협주파수 대역과 동일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과 같은 복수의 협주파수 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d) 는 그 후 발견된 중계 디바이스 (120-b) 에 제 1 통신 링크 (145-a) 상에서 MTC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b) 는 그 후 광주파수 대역 상에 있을 수도 있는 제 2 통신 링크 (130-a) 상에서 MTC 데이터를 기지국 (105-b) 에 중계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통신 링크 (145-a) 의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제 2 통신 링크 (130-a) 의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 예를 들어, 그 광주파수 대역 이내일 수도 있다.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점유하는 결과로서, 중계 디바이스 (120-b) 에 의한 제 1 통신 링크 (145-a) 를 통한 제 2 주파수 대역과 제 2 통신 링크 (130-a) 를 통한 광주파수 대역 양자 위로의 통신은 시간에 있어서 중첩될 수도 있다.
도 4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디바이스 (115-g), 중계 디바이스 (120-c), 및 기지국 (105-d) 사이의 무선 통신 (400) 의 예를 예시한다. MTC 디바이스 (115-g) 는 도 1, 도 2, 및/또는 도 3 의 MTC 디바이스 (115) 의 예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도 1 및/또는 도 3 의 중계 디바이스 또는 UE (120) 의 예일 수도 있다. 셀룰러 기지국, eNB, 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5-d) 은 도 1, 도 2, 및/또는 도 3 의 기지국 (105) 의 예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g) 는 먼저 시간 T0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c) 로/로부터 하나 이상의 발견 메시지들을 전송/수신하는 것에 의해 발견 프로세스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g)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위로 발견 신호를 중계 디바이스 (120-c) 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 (105-d) 및/또는 MTC 서버 (210) 에 송신할 데이터를 갖는다면 발견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을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은 미리 결정되고 중계 디바이스들 (120-c) 에 의해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그 후 동일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을 통해 발견 신호에 응답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예를 들어, 복수의 MTC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상에서 발견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에 의해 발견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g)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을 청취하고 동일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위로 발견 신호에 응답할 수도 있다.
발견 프로세스에 후속하여 시간 T1 에서, MTC 디바이스 (115-g) 및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위로 제 1 링크, 이를 테면 액세스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은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과 동일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액세스 링크는 LTE-D 접속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g) 는 기지국 (105-d) 에 중계되도록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을 통한 액세스 링크 위로 데이터를 중계 디바이스 (120-c) 에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광주파수 대역 (415) 을 이용하여 기지국 (105-d) 과 제 2 통신 링크, 또는 중계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경우들에서는 이미 확립했을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MTC 데이터를 중계 링크의 광주파수 대역 (415) 을 통해 기지국 (105-d) 으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중계 링크는 LTE 접속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협주파수 대역 (410) 및 광주파수 대역 (415) 위로의 통신은 중계 디바이스 (120-c) 가 MTC 디바이스 (115-g) 및 기지국 (105-d) 과 동시에 액티브 접속들을 유지할 수도 있도록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그 결과, MTC 데이터는 중계 디바이스 또는 UE (120-c) 의 동작에 대해 거의 영향 없이 기지국 (105-d) 에 중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위로의 발견 시그널링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위로 MTC 디바이스 (115-g)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c) 에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링크 (145) 를 통해 통신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광주파수 대역 (415)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c) 로부터 기지국 (105-d) 으로 포워딩된 MTC 데이터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링크 (130) 를 통해 통신될 수도 있다.
도 5 는 도 4 의 MTC 디바이스 (115-g), 중계 디바이스 (120-c), 및 기지국 (105-d) 사이의 통신의 시간-주파수 다이어그램 (500) 을 예시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MTC 디바이스 (115-g) 는 협주파수 대역 (405-a)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c) 로의/로부터의 발견 메시지들과 관계를 맺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전송/수신할 수도 있다. 협주파수 대역 (405-a) 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협주파수 대역 (405-a) 위로의 통신은 시간 505 에서 시작하고 예를 들어, 발견 프로세스에 소비된 시간을 표현하는 시간 510 에서 끝난다. 주파수 대역 (405-a) 은, 예를 들어, 1.4MHZ 의 대역폭을 표현할 수도 있는, 제 1 주파수 (535) 로부터 제 2 주파수 (540) 까지의 주파수 대역폭을 스패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주파수 (535) 는 1923MHz 일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540) 는 1924.4MHz 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주파수 대역 (405-a) 은 MTC 디바이스 (115-g) 및 중계 디바이스 (120-c) 등의 동작 또는 구성에 따라 상이한 대역폭들을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스패닝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의 MTC 디바이스 (115-g)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c) 로의 통신은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의 예일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위로의 통신은 시간 505 에서 시작하고 시간 510 에서 끝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위로의 통신에 대한 시간 주기는 MTC 디바이스 (115-g)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c) 로의 MTC 데이터의 송신 시간을 표현할 수도 있다.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은, 예를 들어, 1.4MHZ 의 대역폭을 표현할 수도 있는, 제 1 주파수 (525) 로부터 제 2 주파수 (530) 까지의 주파수 대역폭을 스패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주파수 (525) 는 1920MHz 를 표현할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530) 는 1921.4MHz 를 표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은 MTC 디바이스 (115-g) 및 중계 디바이스 (120-c) 등의 동작 또는 구성에 따라 상이한 대역폭들을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스패닝할 수도 있다.
일단 중계 디바이스 (120-c) 가 기지국 (105-d) 에 포워딩/중계될 MTC 데이터를 수신하면, 또는 그와 동시에, 중계 디바이스 (120) 는 MTC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415-a) 을 통해 기지국 (105-d) 에 송신할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415-a) 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주파수 대역 (415) 의 예일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415-a) 위로의 통신은 시간 515 에서 시작하고 시간 520 에서 끝날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415-a) 은, 예를 들어, 5MHZ 의 대역폭을 표현할 수도 있는, 제 1 주파수 (525) 로부터 제 2 주파수 (545) 까지의 주파수 대역폭을 스패닝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주파수 (525) 는 1920MHz 를 표현할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545) 는 1925MHz 를 표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광주파수 대역 (415-a) 은 MTC 디바이스 (115-g) 및 중계 디바이스 (120-c) 의 동작 또는 구성에 따라 상이한 대역폭들을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스패닝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광주파수 대역 (415-a) 은 발견을 위해 사용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a) 및 MTC 디바이스 (115-g)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c) 에 MTC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양자를 포괄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중계 디바이스 (120-c) 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링크들 (145 및 130) 과 같은, 동시 액티브 링크들을 사용하여 MTC 디바이스 (115-g) 및 기지국 (105-d) 양자에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주파수 대역들 (410-a 및 415-a) 위로의 통신은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주파수 대역들 (410-a 및 415-a) 위로의 통신은 상이한 시간에 일어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a) 위로의 발견 시그널링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a) 위로 MTC 디바이스 (115-g) 로부터 중계 디바이스 (120-c) 에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링크 (145) 를 통해 통신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광주파수 대역 (415-a)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c) 로부터 기지국 (105-d) 으로 포워딩된 MTC 데이터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링크 (130) 를 통해 통신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면, 플로우 다이어그램 (600)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중계 디바이스 (120-d) 를 통하여 기지국 (105-e) 에 통신을 중계하는 MTC 디바이스 (115-h) 의 예를 예시한다. MTC 디바이스 (115-h) 는 도 1, 도 2, 도 3, 및/또는 도 4 의 MTC 디바이스 (115) 의 예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d) 는 도 1, 도 3, 및/또는 도 4 의 중계 디바이스 (120) 의 예일 수도 있다. 셀룰러 기지국, eNB, 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5-e) 은 도 1, 도 2, 도 3, 및/또는 도 4 의 기지국 (105) 의 예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h) 는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h) 의 디바이스 ID 에 기초하여, 발견을 위해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결정 (605)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h) 의 디바이스 ID 에 의해 또는 MTC 서버 (210), 기지국 (105-e), 및/또는 중계 디바이스 (120-d) 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들의 리스트로부터와 같이, MTC 디바이스 (115-h) 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h) 는 결정된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 (120-d) 와 발견 프로세스에 참가 (610) 할 수도 있다. 발견 프로세스에 참가 (610) 하는 것은 MTC 디바이스 (115-h) 에 의해, 중계 디바이스 (120-d) 로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 및 중계 디바이스 (120-d) 가 중계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중계 디바이스 (120-d) 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d) 는 그 후 기지국 (105-e) 에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MTC 디바이스 (115-h) 와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제 2 협주파수 대역을 결정 (615)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h) 는 단독으로 또는 중계 디바이스 (120-d) 와 조합하여, MTC 디바이스 (115-h) 와 중계 디바이스 (120-d) 사이의 링크 확립을 위해 제 2 협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h), MTC 서버 (210), 기지국 (105-e), 및/또는 중계 디바이스 (120-d) 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d) 및 MTC 디바이스 (115-h) 는 그 후 제 2 협주파수 대역 (620) 위로, 액세스 링크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들은 동일할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들은 MTC 디바이스들 (115) 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공통일 수도 있고 MTC 디바이스들 (115) 과 발견 및/또는 통신을 위해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 (120-d)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d) 는 중계 디바이스 (120-d) 로 하여금, MTC 디바이스 (115-h) 로부터 기지국 (105-e) 으로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광주파수 대역 링크를 확립 (630) 할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링크를 확립 (630) 하는 것은 기지국 (105-e) 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d) 와 기지국 (105-e) 사이의 광주파수 대역 링크는 중계 링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단 액세스 링크가 MTC 디바이스 (115-h) 와 중계 디바이스 (120-d) 사이에 확립 (620) 되었고 중계 링크가 중계 디바이스 (120-d) 와 기지국 (105-e) 사이에 확립 (630) 되었다면, MTC 디바이스 (115-h) 는 그 후 중계 디바이스 (120-d) 를 통하여 기지국 (105-e) 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MTC 디바이스 (115-h) 는 먼저 중계 디바이스 (120-d) 에 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데이터를 송신 (635) 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d) 는 동시에 또는 후속하여,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기지국 (105-e) 에 중계 (640)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발견 프로세스에 참가 (610) 하는 것 및/또는 협주파수 대역 또는 액세스 링크를 확립 (620)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45)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협주파수 대역 또는 액세스 링크를 확립 (620) 하는 것 및/또는 중계될 데이터를 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송신 (635)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45)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또는 중계 링크의 확립 (630) 및/또는 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데이터를 중계 (640)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30)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주파수 대역 (415)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면, 플로우 다이어그램 (700)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중계 디바이스 (120-e) 를 통하여 기지국 (105-f)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MTC 디바이스 (115-i) 의 예를 예시한다. MTC 디바이스 (115-i) 는 도 1, 도 2, 도 3, 도 4, 및/또는 도 6 의 MTC 디바이스 (115) 의 예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도 1, 도 3, 도 4, 및/또는 도 6 의 중계 디바이스 또는 UE (120) 의 예일 수도 있다. 셀룰러 기지국, eNB, 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5-f) 은 도 1, 도 2, 도 3, 도 4, 및/또는 도 6 의 기지국 (105) 의 예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s) 가 인근에 있고 및/또는 기지국 (105-f) 및/또는 MTC 서버 (210) 에 송신할 데이터를 갖는다는 것을 중계 디바이스 (120-e) 가 검출하면, MTC 디바이스 (115-i) 로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전송 (705) 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MTC 서버 (210) 의 방향에서 작용하는 기지국 (105-f) 은 송신할 데이터를 갖고 및/또는 MTC 디바이스 (115-i) 와 중계 통신을 확립하길 원한다는 것을 중계 디바이스 (120-e) 에 통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복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공통일 수도 있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i) 로 발견 신호를 전송 (705)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동시에 또는 한번에 하나씩 다수의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i) 는 발견 목적들을 위해 미리 결정된 협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는 제 1 협대역 주파수를 청취 (710) 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발견 신호가 중계 디바이스 (120-e) 에 의해 전송 (705) 된 후,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MTC 디바이스 (115-i) 로부터의 응답을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과 같은 하나 이상의 협주파수 대역들을 모니터링 (715) 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e) 에 의해 전송된 발견 신호 (705) 를 수신한 후, MTC 디바이스 (115-i) 는 그 후 중계의 확인을 표시하기 위해 중계 디바이스 (120-e) 로 응답 신호를 전송 (720)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발견 신호 (705) 가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위로 전송되었다면, MTC 디바이스 (115-i) 는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응답 신호를 전송 (720) 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e) 에 의해 전송된 발견 신호 (705) 가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공통이 아닌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존재하였다면, MTC 는 동일한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응답 신호를 전송 (720) 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i) 및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그 후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협주파수 대역 또는 액세스 링크를 확립 (725)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들은 동일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기지국 (105-f) 과 광주파수 대역 또는 중계 링크를 확립 (730)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들은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일 수도 있다. 일단 액세스 링크가 MTC 디바이스 (115-i) 와 중계 디바이스 (120-e) 사이에 확립 (725) 되었고 중계 링크가 중계 디바이스 (120-e) 와 기지국 (105-f) 사이에 확립 (730) 되었다면, MTC 디바이스 (115-i) 는 그 후 중계 디바이스 (120-e) 를 통하여 기지국 (105-f) 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MTC 디바이스 (115-i) 는 기지국 (105-f) 에 중계될 데이터를 제 2 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송신 (735) 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e) 는 그 데이터를 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기지국 (105-f) 에 중계 (740)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전송 (705) 하는 것, 응답 신호를 전송 (720) 하는 것, 및/또는 협주파수 대역 또는 액세스 링크를 확립 (725)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45)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협주파수 대역 (405)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협주파수 대역 또는 액세스 링크를 확립 (725) 하는 것 및/또는 중계될 데이터를 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송신 (735)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45)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2 협주파수 대역 (410)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광주파수 대역 또는 중계 링크의 확립 (730) 및/또는 광주파수 대역 링크 위로 데이터를 중계 (740) 하는 것은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130) 위로, 및/또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주파수 대역 (415) 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MTC 디바이스 (115) 일 수도 있는 디바이스 (115-j) 의 블록 다이어그램 (800) 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115-j) 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및/또는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MTC 디바이스 (11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j) 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주파수 대역들 (405 및/또는 410) 위로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들 (145 및/또는 125) 을 통해 중계 디바이스 (120) 및/또는 기지국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15-j) 는 MTC 수신기 (805), 링크 관리 모듈 (810), 및/또는 MTC 송신기 (81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MTC 수신기 (805) 는 디바이스 (115-j) 가 무엇을 수신 또는 송신했는지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 패킷, 및/또는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된 정보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링크 관리 모듈 (810) 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수신기 (805) 는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상기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을 추가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중계 디바이스 (120) 로부터 데이터 또는 송신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TC 송신기 (815) 는 디바이스 (115-j) 로부터의 시그널링 정보, 패킷, 및/또는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유사하게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송신기 (815) 는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기지국 (105) 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MTC 수신기 (805)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 로부터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TC 수신기 (805) 는 그 후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링크 관리 모듈 (810) 에 통신할 수도 있다.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이를 테면 중계 디바이스 (120) 에,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통신을 위한 중계기의 역할을 할 것을 요청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신된 발견 신호들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MTC 송신기 (815) 에 응답 메시지를 통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 (815) 는 제 1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j) 가 중계 디바이스 (120) 와 발견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송신될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발견 신호들을 MTC 송신기 (815) 에 통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 (815) 는 발견 신호들을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에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MTC 수신기 (805) 는 그 후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로부터, 그들이 중계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확인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확인은 제 1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수신될 수도 있다.
발견 프로세스에 후속하여,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기지국 (105) 에 중계될 데이터를 컴파일링 및/또는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 관리 모듈 (810) 은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 로 전송할 데이터를 MTC 송신기 (815) 에 통신할 수도 있다.
도 9 는 링크 관리 모듈 (810-a) 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900) 이다. 링크 관리 모듈 (810-a) 은 도 8 의 링크 관리 모듈 (810) 의 예일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링크 관리 모듈 (810-a) 은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주파수 선택 모듈 (910), 및/또는 링크 확립 모듈 (91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 (115-j) 의 MTC 송신기 및 수신기 (815, 805) 를 통해 중계 디바이스 (120) 와의 발견 통신을 구성 및 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의 도 4, 도 5, 도 6, 및/또는 도 7 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발견 신호들 및/또는 발견 응답 신호들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과 함께 중계 디바이스 (120) 와의 발견 프로세스를 조정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j) 가 중계 디바이스 (120) 와 발견을 개시할 때, 주파수 선택 모듈은 발견 요청을 송신할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가 발견을 개시할 때,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발견 신호에 응답할, 제 1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과 같은 협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발견 신호는 제 1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 로부터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응답 신호를 전송할 제 2 협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MTC 디바이스 (115-j) 가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신호를 수신하도록, 다수의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다수의 발견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그 후 응답을 송신할 동일한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발견을 유발하기 위해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MTC 디바이스 (115-j) 의 MTC 수신기 (805) 및/또는 MTC 송신기 (815) 와 조정할 수도 있다.
일단 중계 디바이스 (120) 와의 발견이 완료되면,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은 통신 링크가 확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파수 선택 모듈 (910) 및 링크 확립 모듈 (915) 에 통신할 수도 있다.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MTC 디바이스 (115-j) 가 중계 디바이스 (120) 에 MTC 데이터를 통신할 하나 이상의 협주파수 대역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MTC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협주파수 대역의 선택은 어느 협주파수 대역(들)이 발견을 위해 사용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은 링크 확립 모듈 (915) 에 협주파수 대역 정보를 통신할 수도 있다.
링크 확립 모듈 (915) 은 주파수 선택 모듈 (910) 에 의해 선택된 협주파수 대역 위로 중계 디바이스 (120) 와 피어 투 피어 접속 (P2P) 을 확립하기 위해 MTC 송신기 (815) 및 MTC 수신기 (805) 와 조정할 수도 있다. 링크 확립 모듈 (915) 은 중계 디바이스 (120) 로, 협주파수 대역 위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TC 송신기 (815)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0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디바이스일 수도 있는 디바이스 (120-f) 의 블록 다이어그램 (1000) 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120-f) 는 도 1, 도 3, 도 4, 도 6, 및/또는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중계 디바이스 (120)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f) 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주파수 대역들 (405, 410, 및/또는 415) 위로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들 (145, 130) 을 통해 MTC 디바이스 (115) 및/또는 기지국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f) 는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중계 모듈 (1010), 및/또는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디바이스 (120-f) 가 무엇을 수신 또는 송신했는지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 패킷, 및/또는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된 정보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중계 모듈 (1010) 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상기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을 추가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 및/또는 기지국 (105) 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송신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는 디바이스 (120-f) 로부터의 시그널링 정보, 패킷, 및/또는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는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지국 (105) 에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중계 모듈 (1010) 에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통신할 수도 있다. 중계 모듈 (1010) 은 디바이스 (120-f) 가 MTC 디바이스 (115) 에 대한 중계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응답 메시지는 제 1 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에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 (120-f) 는 MTC 디바이스 (115) 와 발견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중계 모듈 (1010) 은 하나 이상의 발견 신호들을 구성하고 그 발견 신호들을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에 통신할 수도 있다. 발견 신호들은 제 1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에 송신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중계기의 역할을 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단 중계 관계가 중계 디바이스 (120-f) 와 MTC 디바이스 (115) 사이에 확인되었다면,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중계 모듈 (1010) 에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고, 그것으로 인해, 중계 모듈 (1010) 은 광주파수 대역 위로 기지국 (105) 에 송신될 데이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중계 모듈 (1010) 은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에 중계될 데이터를 통신할 수도 있다. 그 데이터는 광주파수 대역 위로 기지국 (105) 에 중계될 수도 있다.
도 11 은 중계 모듈 (1010-a) 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1100) 이다. 중계 모듈 (1010-a) 은 도 10 의 중계 모듈 (1010) 의 예일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계 모듈 (1010-a) 은 MTC 발견 모듈 (1105),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제 2 링크 관리 모듈 (1115), 및/또는 중계 조정 모듈 (11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MTC 발견 모듈 (1105) 은 제 1 및/또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MTC 디바이스 (115) 에 통신될 하나 이상의 발견 메시지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링크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주파수 대역들 (405 및/또는 410) 위로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145) 의 예일 수도 있다. 발견 프로세스가 이미 도 4, 도 5,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상기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간결함을 위해, 그것이 여기에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단 디바이스 (120-f) 및 MTC 디바이스 (115) 가 서로를 발견했다면, MTC 발견 모듈 (1105) 은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링크들을 초기화하기 위해 제 1 링크 확립 모듈 (1110) 및 제 2 링크 확립 모듈 (1115) 에 통신할 수도 있다. 제 1 링크 확립 모듈 (1110) 은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와 제 1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링크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주파수 대역들 (405 및/또는 410) 위로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145) 의 예일 수도 있다. 제 2 링크 확립 모듈 (1115) 은 기지국 (105) 과 제 2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제 2 링크는 도 4 및/또는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주파수 대역 (415) 위로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130) 의 예일 수도 있다.
일단 제 1 및 제 2 링크들이 확립되면, 제 1 및 제 2 링크 확립 모듈들 (1110, 1115) 은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데이터를 중계하기 시작할 것을 중계 조정 모듈 (1120) 에 표시할 수도 있다. 중계 조정 모듈 (1120) 은 협주파수 대역 위로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중계될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데이터는 광주파수 대역 위로 기지국 (105) 에 중계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는 협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링크 위로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중계 디바이스 송신기 (1015) 는 광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링크 위로 기지국 (105) 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2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기지국 (105) 에 통신, 및 특히 업링크 통신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MTC 디바이스 (115-k) 의 블록 다이어그램 (1200) 이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상기 논의된 다양한 MTC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센서 또는 모니터 (1205) 와 같은 다양한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모바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력 공급장치 (미도시) 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k) 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도 7, 도 8, 및/또는 도 9 의 MTC 디바이스 (11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이고/이거나 이들을 통합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멀티-모드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일부 경우들에서 MTC UE 또는 M2M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링크 관리 모듈 (810-b), 안테나(들) (1210), 트랜시버 모듈 (1215), 메모리 (1220), 및 프로세서 모듈 (1225)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1215) 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들) (12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양방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모듈 (1215) 은 도 1, 도 3, 도 4, 도 6, 도 7, 도 9, 및/또는 도 10 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및/또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및/또는 도 7 의 기지국들 (105) 과 양방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1215)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1210)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들) (1210)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는 단일의 안테나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MTC 디바이스 (115-k) 는 다수의 송신 링크들에 대해 다수의 안테나들 (12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220)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1220) 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 (1225)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데이터 캡처, 데이터베이스 관리, 메시지 라우팅 등)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1230) 를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1230) 는 프로세서 모듈 (1225)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고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링 및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225) 은 지능적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이를 테면 ARM® 기반 프로세서 또는 Intel® Corporation 또는 AMD® 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 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MTC 디바이스 (115-k) 는 통신 관리 모듈 (1235)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 모듈 (1235) 은 기지국들 (105), 다른 MTC 디바이스들 (115), 및/또는 중계 디바이스들 (120)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통신 관리 모듈 (1235) 은 버스를 통해 MTC 디바이스 (115-k) 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통신하는 MTC 디바이스 (115-k)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관리 모듈 (1235) 의 기능성은 트랜시버 모듈 (1215) 의 컴포넌트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및/또는 프로세서 모듈 (1225) 의 하나 이상의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 (115-k) 에 대한 컴포넌트들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도 7, 도 8, 및/또는 도 9 의 디바이스들 (115) 에 대하여 상기 논의된 양태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에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관리 모듈 (810-b) 은 도 8 및/또는 도 9 의 링크 관리 모듈 (810) 과 유사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링크 관리 모듈 (810-b) 은 MTC 디바이스 (115-k) 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발견하여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중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그 데이터는 그 후 광주파수 대역을 통해 중계 디바이스 (120) 에 의해 기지국 (105) 에 중계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들) (1210) 와 결합된 트랜시버 모듈 (1215) 은, MTC 디바이스 (115-k) 의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로부터 송신물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을 통하여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들 (105) 또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들 (1210) 과 결합된 트랜시버 모듈 (1215) 은, MTC 디바이스 (115-k) 의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중계 디바이스들 (120) 로부터 송신물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들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이 플렉시블 파형들을 이용할 수도 있도록 기지국들 (105) 또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k) 는 전력 증폭기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MTC 디바이스 (115-k) 는 제한된 전력 증폭기를 가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MTC 디바이스 (115-k) 의 통신 범위는 제한될 수도 있다. 이것 및 다른 이유들로, MTC 디바이스 (115-k) 가 업링크 정보를 예를 들어 기지국 (105) 또는 MTC 서버 (10) 에 통신하는 능력이 제한될 수도 있다. 그 결과, MTC 디바이스 (115-k) 로부터 협주파수 대역 위의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광주파수 대역 위의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상기 설명된 기법들은 MTC 디바이스 (115-k) 에 대한 업링크 통신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도 13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구성된 중계 디바이스 (120-g) 의 블록 다이어그램 (1300) 을 도시한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고 개인 컴퓨터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 넷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 셀룰러 전화기, PDA,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DVR),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게이밍 콘솔, e-리더 등에 포함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일부 경우들에서, 모바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력 공급장치 (미도시) 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도 1, 도 3, 도 4, 도 6, 도 7, 도 10 및/또는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 (120) 중 하나의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도 4, 도 5, 도 6, 및/또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및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중계 모듈 (1010-b), 프로세서 모듈 (1305), 메모리 모듈 (1310),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모듈 (1315),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1320), 및/또는 통신 관리 모듈 (132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 (1310) 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 (1310) 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모듈 (1305) 로 하여금,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SW) 코드 (1330) 를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1330) 는 프로세서 모듈 (1305)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고 중계 디바이스 (120-g) 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링 및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305) 은 지능적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이를 테면 ARM® 기반 프로세서 또는 Intel® Corporation 또는 AMD® 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 마이크로제어기,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305) 은 트랜시버 모듈(들) (1315) 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 및/또는 안테나(들) (1320) 를 통한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 모듈(들) (1315) 로 전송될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1305) 은 단독으로 또는 통신 관리 모듈 (1325) 과 조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고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다양한 양태들을 핸들링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들) (1315)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1320)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들) (1320)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들) (1315) 은 일부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모듈들 및 하나 이상의 별개의 수신기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들) (1315) 은 제 1 스펙트럼, 이를 테면 WWAN 또는 셀룰러 스펙트럼에서, 그리고 제 2 스펙트럼, 이를 테면 WLAN 스펙트럼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들) (1315) 은 안테나(들) (1320) 를 통해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도 7, 도 8, 및/또는 도 9 의 MTC 디바이스들 (115) 및/또는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및/또는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지국들 (105) (예를 들어, eNB들 및/또는 WLAN 액세스 포인트들) 중 하나 이상과 양방향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중계 디바이스 (120-g) 가 다수의 UE 안테나들 (1320) 을 포함할 수도 있는 실시형태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또한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 보다 예를 들어 더 많은 기지국들 (105) 과 더 긴 거리들에 걸쳐 중계 디바이스 (120-g) 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는 전력 증폭기 (13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는 MTC 디바이스 (115) 보다 더 긴 통신 범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MTC 디바이스 (115) 는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더 큰 거리들인 것과 같이, MCT 디바이스 (115) 가 통신할 수도 있는 기지국들을 확장하기 위해 중계 디바이스 (120-g) 를 통해 통신을 중계하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다.
중계 디바이스 (120-g) 의 컴포넌트들은 도 1, 도 3, 도 4, 도 6, 도 7, 도 10 및/또는 도 11 의 디바이스들 (120) 에 대하여 상기 논의된 양태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에 반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모듈 (1010-b) 은 도 10 및/또는 도 11 의 중계 모듈 (1010) 과 유사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 모듈 (1010-b) 은 중계 디바이스 (120-g) 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협주파수 대역 위의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데이터를 발견하여 광주파수 대역 위의 기지국 (105) 에 중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들) (1320) 와 결합된 트랜시버 모듈 (1315) 은, 중계 디바이스 (120-g) 의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로부터 송신물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들 (105) 또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중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들 (1320) 과 결합된 트랜시버 모듈 (1315) 은, 전력 증폭기 (1330) 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120-g) 의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중계 디바이스 (120-g) 가 하나 이상의 MTC 디바이스들 (115) 로부터 송신물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들 (105) 또는 코어 네트워크 (140) 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g), MTC 디바이스 (115), 기지국들 (105),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140) 는 플렉시블 파형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4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 3 디바이스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 (1400) 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MTC 디바이스 (115) 일 수도 있다.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중계 디바이스 (120) 일 수도 있고, 제 3 디바이스는 기지국 (105) 일 수도 있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 (1400) 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도 7, 도 8, 도 9, 및/또는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 (115) 중 하나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들 (115)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는 이하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115) 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해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블록 1405 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통해 발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140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8, 도 9, 및/또는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관리 모듈 (810),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디바이스 발견 모듈 (905) 및/또는 주파수 선택 모듈 (910), 및/또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805, 8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10 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 1 통신 링크는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확립될 수도 있다. 블록 141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8, 도 9, 및/또는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관리 모듈 (810),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확립 모듈 (915) 및/또는 주파수 선택 모듈 (910), 및/또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805, 8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415 에서, MTC 디바이스 (115) 는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될 데이터를,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블록 141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8, 도 9, 및/또는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관리 모듈 (810),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 링크 확립 모듈 (915) 및/또는 주파수 선택 모듈 (910), 및/또는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805, 8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 (1400) 은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방법 (14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이고 방법 (1400) 의 동작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5 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하기 위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방법 (1500) 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중계 디바이스 (120) 일 수도 있다.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MTC 디바이스 (115) 일 수도 있고, 제 3 디바이스는 기지국 (105) 일 수도 있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 (1500) 은 도 1, 도 3, 도 4, 도 6, 도 7,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디바이스들 (120) 중 하나의 중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들 (120)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는 이하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120) 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해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블록 1505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 (115) 와 발견 동작에 참가할 수도 있다. 블록 150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10 에서,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 1 통신 링크는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통해 확립될 수도 있다. 블록 151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15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151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및/또는 중계 조정 모듈 (112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520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할 수도 있다. 블록 152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제 2 링크 관리 모듈 (1115), 및/또는 중계 조정 모듈 (112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 (1500) 은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방법 (15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이고 방법 (1500) 의 동작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6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하기 위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방법 (1600) 의 하나의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중계 디바이스 (120) 일 수도 있다.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MTC 디바이스 (115) 일 수도 있고, 제 3 디바이스는 기지국 (105) 일 수도 있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 (1600) 은 도 1, 도 3, 도 4, 도 6, 도 7,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디바이스들 (120) 중 하나의 중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들 (120) 중 하나와 같은 디바이스는 이하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120) 의 기능적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해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블록 1605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다수의 MTC 디바이스들 (115) 과 같은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160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05 에서의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블록 1610 에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상이한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161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05 및/또는 블록 1610 후에, 중계 디바이스 (120) 는 블록 1615 에서, MTC 디바이스 (115) 와 같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협주파수 대역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블록 161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대신에 MTC 디바이스 (115) 와 같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중계 디바이스 (120) 가 블록 1620 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발견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도록, 발견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블록 162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100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05 및 블록 1615, 블록 1610 및 블록 1615, 또는 블록 1620 에서 수행된 발견 동작 후, 중계 디바이스 (120) 는 블록 1625 에서,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통해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도 있다. 블록 162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MTC 발견 모듈 (1105) 및/또는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30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1630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및/또는 중계 조정 모듈 (112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1635 에서, 중계 디바이스 (120) 는 광주파수 대역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할 수도 있다. 블록 1635 에서의 동작(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도 10, 도 11 및/또는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중계 모듈 (1010),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링크 관리 모듈 (1110), 제 2 링크 관리 모듈 (1115), 및/또는 중계 조정 모듈 (1120), 및/또는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 디바이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1005, 1015) 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 (1600) 은 중계 디바이스 (120) 를 통하여 MTC 디바이스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에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방법 (16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이고 방법 (1600) 의 동작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방법 (1400, 1500, 및/또는 1600)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 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무선 기술, 이를 테면 CDMA2000,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스 0 및 릴리즈 A 는 CDMA2000 1X, 1X 등으로 통칭된다. IS-856 (TIA-856) 은 CDMA2000 1xEV-DO, HRPD (High Rate Packet Data) 등으로 통칭된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UMB (Ultra Mobile Broadband), E-UTRA (Evolved 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새로운 릴리즈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라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라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상기 언급된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설명은 예의 목적들을 위해 LTE 시스템을 설명하고, 상기의 설명 대부분에서 LTE 전문용어가 사용되지만, 그 기법들은 LTE 애플리케이션들을 넘어 적용가능하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모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이를 테면 범용 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및/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또는 그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및 다른 세미-커스텀 IC들) 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블록들 및 모듈들의 각각의 기능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애플리케이션-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매팅된, 메모리에 수록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실시형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 및 첨부된 청구항들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질로 인해, 상기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부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로케이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포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포지션들에 물리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들에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중 적어도 하나" 가 서문이 되는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또는" 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즉, A 및 B 및 C) 를 의미하도록 하는 이접적인 리스트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일 예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 불리게 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매체의 정의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용어 "예" 또는 "예시적인" 은 예 또는 사례를 나타내고 언급된 예에 대한 임의의 선호도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법들의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기법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일부 사례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협주파수 대역 (narrow frequency band)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및
    광주파수 대역 (broad frequency band)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상기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될 데이터를,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인,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동일한,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협주파수 대역 무선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의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상기 광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제 2 통신 링크는 시간에 있어서 중첩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 타입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링크는 LTE-D 접속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1.4MHz 내지 3MHz 의 범위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대역은 대략 5MHz, 10MHz, 또는 20MHz 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대역 상의 상기 제 2 통신 링크는 LTE 접속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4. 머신 타입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
    제 1 협주파수 대역 (narrow frequency band) 상에서 발견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그리고
    광주파수 대역 (broad frequency band) 상의 제 2 통신 링크 상에서 상기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디바이스에 중계될 데이터를,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발견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MTC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인, MTC 디바이스.
  16.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발견 동작에 참가하는 단계;
    제 1 협주파수 대역 (narrow frequency band) 상에서 상기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광주파수 대역 (broad frequency band)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통의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상이한 협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발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발견 동작을 개시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은 동일한, 무선 통신의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인, 무선 통신의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머신 타입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의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링크는 LTE-D 접속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링크는 LTE 접속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1.4MHz 내지 3MHz 의 범위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파수 대역은 대략 5MHz, 10MHz, 또는 20MHz 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의 방법.
  29. MTC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
    발견 동작에 참가하고;
    제 1 협주파수 대역 (narrow frequency band) 상에서 상기 발견 동작에 관련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협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광주파수 대역 (broad frequency band) 상의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제 3 디바이스에 중계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MTC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 2 협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주파수 대역의 서브세트인, MTC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67016774A 2013-12-16 2014-12-04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 KR102272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7,221 2013-12-16
US14/107,221 US9609461B2 (en) 2013-12-16 2013-12-16 Relay scheme between narrow frequency band and broad frequency band devices
PCT/US2014/068566 WO2015094692A1 (en) 2013-12-16 2014-12-04 Relay scheme between narrow frequency band and broad frequency band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586A true KR20160099586A (ko) 2016-08-22
KR102272866B1 KR102272866B1 (ko) 2021-07-02

Family

ID=5214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774A KR102272866B1 (ko) 2013-12-16 2014-12-04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09461B2 (ko)
EP (1) EP3085125B1 (ko)
JP (1) JP6542255B2 (ko)
KR (1) KR102272866B1 (ko)
CN (1) CN105814919B (ko)
BR (1) BR112016013932B1 (ko)
WO (1) WO2015094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3392A (ja) * 2014-03-28 2017-05-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により実行されるd2d動作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する端末
US10470018B2 (en) * 2014-10-24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Data aggregation and delivery
US10548069B2 (en) * 2016-08-19 2020-01-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ireless audio device provisioning
US10341823B2 (en) * 2016-12-30 2019-07-02 Kodiak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ode push to talk communication protocols
JP6860686B2 (ja) * 2017-03-10 2021-04-21 京セラ株式会社 バルクRACH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送信
JP2018191130A (ja) * 2017-05-02 2018-11-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0827558B2 (en) 2017-06-26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on relay discovery
TWI681685B (zh) * 2017-09-27 2020-01-01 關隆股份有限公司 無線系統的連線方法
CN110831090B (zh) * 2018-08-13 2021-12-2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越区切换方法、装置、多模终端及宽带基站
US11178726B2 (en) * 2018-10-19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ooperative multipoint reception and transmission
FR3105674A1 (fr) * 2019-12-20 2021-06-25 Thales Procédé et système de communication par signaux à différentes formes d’onde à travers un canal large ban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2244A1 (en) * 2011-10-19 2013-04-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gateway user equipment 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relay method of the same
US20130188515A1 (en) * 2010-03-09 2013-07-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US20130294399A1 (en) * 2012-04-24 2013-1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nd mt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7270A1 (en) 2011-04-28 2012-11-01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router, a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KR101569298B1 (ko) * 2011-07-19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WO2013027015A1 (en) 2011-08-19 2013-02-28 Sca Ipla Holding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GB2498765A (en) 2012-01-27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Discovery signall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KR101588750B1 (ko) * 2012-05-02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비용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749771B2 (en) 2012-05-11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EP2856836B1 (en) 2012-05-31 2019-0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2d, mobility in wireless systems
WO2014051126A1 (ja) * 2012-09-27 2014-04-03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EP3319394A1 (en) * 2012-09-27 2018-05-09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8515A1 (en) * 2010-03-09 2013-07-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US20130102244A1 (en) * 2011-10-19 2013-04-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gateway user equipment 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relay method of the same
US20130294399A1 (en) * 2012-04-24 2013-1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and mt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2255B2 (ja) 2019-07-10
WO2015094692A1 (en) 2015-06-25
EP3085125B1 (en) 2019-10-23
BR112016013932B1 (pt) 2022-12-06
BR112016013932A2 (ko) 2017-08-08
KR102272866B1 (ko) 2021-07-02
CN105814919A (zh) 2016-07-27
US9609461B2 (en) 2017-03-28
CN105814919B (zh) 2019-08-20
US20150172846A1 (en) 2015-06-18
EP3085125A1 (en) 2016-10-26
JP2017510201A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4983B1 (en) Hybrid relay scheme
KR102272866B1 (ko) 협주파수 대역 및 광주파수 대역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계 스킴
EP3085118B1 (en) Opportunistically utilizing media resources
TWI781153B (zh) 用於使用共享射頻頻譜的無線通訊的覆蓋增強模式切換
JP6162258B2 (ja) マシンタイプ通信のためのブロードキャストおよびシステム情報
CN111034094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设备、装置和介质
WO2019126917A1 (en) Autonomous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configuration
KR20170072217A (ko) 데이터 집성 및 전달
CA3028230C (en) Vehicle-to-everything reattach timing
KR102466298B1 (ko) 지연 허용 메시지들에 대한 포워딩 노드 선택 및 라우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