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390A -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 Google Patents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390A
KR20160099390A KR1020150021786A KR20150021786A KR20160099390A KR 20160099390 A KR20160099390 A KR 20160099390A KR 1020150021786 A KR1020150021786 A KR 1020150021786A KR 20150021786 A KR20150021786 A KR 20150021786A KR 20160099390 A KR20160099390 A KR 2016009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quid
gas
water leve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울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390A/ko
Publication of KR2016009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5/0061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벨 센서는, 내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액체 유출입공 및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기체 유출입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액체 유출입공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부; 및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기체 유출입공에 결합되는 수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LEVEL SENSOR AND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에 관한 것이다.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조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로써, 기판 등의 도금을 위해 도금액을 수용한 도금조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액체 수용조에 수용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액체 수용조의 액체 수용능력을 초과하여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인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조로 공급되는 액체의 양이 적은 경우 작업에 필요한 수위를 충족하지 못하므로 처리하는 제품의 품질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조 내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는 요구되는 범위 내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대부분의 액체 수용조에는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레벨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케일 침적 등의 이유로 레벨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25750호 (2006. 12. 0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하우징 내부의 액체 수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벨 센서의 고장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가 로우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가 하이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가 로우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가 하이 센서로 적용되는 경우,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는 하우징(100), 수위 감지부(200) 및 수위 조절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액체 유출입공(110)과,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기체 유출입공(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출입공(110)과 기체 유출입공(120)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로 기체 및 액체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금속,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출입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100)의 재질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액체 유출입공(110)은, 하우징(100) 외부의 액체(L1)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출입되도록 하우징(10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즉, 액체(L1)의 수위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하우징(100) 하부에 형성된 액체 유출입공(110)을 통해 액체(L1)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출입될 수 있다.
액체 유출입공(110)은 하우징(100)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데, 후술할 기체 유출입공(1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액체 유출입공(110)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든 액체 유출입공(110)이 기체 유출입공(12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액체 유출입공(110)은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면은 하우징(100) 외부의 액체(L1) 수위가 상승할 경우 액체(L1)와 가장 먼저 접촉되고, 하우징(100) 내부의 액체(L2) 수위가 하강할 경우 액체(L2)와 가장 늦게까지 접촉된다. 따라서, 액체 유출입공(110)이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액체(L2)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출입공(110)은 하우징(100)의 하면 전체를 개방시키도록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면 중 일부만을 개방시키도록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하우징(100)의 하면에 복수의 액체 유출입공(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기체 유출입공(120)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액체 유출입공(110)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밀폐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 유출입공(11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액체(L2)가 유입되어 하우징(100) 내부에서 수위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가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야 한다. 기체 유출입공(120)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액체(L2)의 수위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기체가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통로 또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기체 유출입공(12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기체 유출입공(120) 각각을 기체가 유출되기도 하고 기체가 유입되기도 하는 기체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가 유입되기만 하는 기체 유입공(121)과 기체가 유출되기만 하는 기체 유출공(122)을 구별하여 기체 유출입공(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체 유출입공(120)은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이 설치되는 일반적인 압력 및 온도 조건에서 기체의 밀도가 액체의 밀도보다 낮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하부는 액체가 하우징(100)의 상부는 기체가 해당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체 유출입공(120)을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하면 하우징(100) 내부에서 액체(L2)는 최대 수위를 가질 수 있다.
수위 감지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액체 유출입공(11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수위 감지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액체(L2)의 수위를 감지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수위 감지부(200)를 플로팅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극 방식, 정전용량 방식 및 초음파 방식 등 종래의 수위 센서를 이용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00)는 수위가 기설정값 이하로 낮아진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는 수위 감지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상면 및 수위 감지부(200)와 결합되어 수위 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 내부에는 전선이 설치되어, 수위 감지부(200)에서 발생된 신호를 하우징(100) 외부의 표시 장치(미도시)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위 조절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기체 유출입공(120)에 결합된다.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수위 조절부(300)는 펌프 및 펌프와 기체 유출입공(120)을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조절부(3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위를 조절하여 수위 감지부(200)가 이를 감지하는지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가 로우 센서로 적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로우 센서는, 수위가 기설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관리되는 수위 범위 중 하한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레벨 센서(1000)의 일반 모드에서는, 도 2와 같이, 기체 유출입공(120)을 대기로 개방한다. 기체 유출입공(120)이 개방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과 대기압은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용조의 수위와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는 동일하게 되므로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수용조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레벨 센서의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데, 수위 조절부(300)를 이용해 기체 유출공(122)은 밀폐시키고, 기체 유입공(121)을 통해 기체를 유입한다. 기체가 유입됨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수위 감지부(200)가 기체에 노출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00)가 기체에 완전히 노출되었음에도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 수위 감지부(200)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가 고장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기체 유입공(121) 및 기체 유출공(122)을 대기로 개방시켜 시험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기체 유출입공(120)이 2개(121, 122)로 형성되어, 그 중 어느 하나는 기체가 유입되기만 하고 다른 하나는 기체가 유출되기만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 유출입공(120)이 하나만 형성되어 기체의 유입 기능 및 기체의 유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가 하이 센서로 적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하이 센서는,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관리되는 수위 범위 중 상한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레벨 센서의 일반 모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유출입공(120)을 대기로 개방한다. 기체 유출입공(120)이 대기로 개방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과 대기압은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용조의 수위와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는 동일하게 되므로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수용조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레벨 센서의 작동 여부를 시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데, 수위 조절부(300)를 이용해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를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한다. 기체가 유출됨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수위는 점점 높아져 수위 감지부(200)가 액체에 노출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00)가 액체에 노출되었음에도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 수위 감지부(200)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가 고장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기체 유출입공(120)을 대기로 개방시켜 시험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기체 유출입공(120)을 하나만 형성하여 하나의 기체 유출입공(120)이 기체 유입 기능 및 기체 유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기체 유출입공(120)을 형성하고 각각 서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체 유출입공(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는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벨 센서(1000)의 고장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수용조 전체의 수위를 낮춰 수위 센서를 공기 중으로 노출시킨 후 수위 센서의 고장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거나 수작업으로 수위 센서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액면으로 구획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 내에서 수위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의 연속성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체 유출입공(120)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공(121) 및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가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되는 기체 유출공(122)을 포함하고, 기체 유출공(122)은 수위 감지부(200)의 일단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의 고장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가 수위 감지부(200)의 일단보다 높아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체 유출공(122)은 수위 감지부(200)의 일단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정 상 요구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체 유출입공(1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1000)의 설계 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2000)에서 수위 감지부(20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수위 감지부(200)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100) 내부에 수위 감지부(200)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수위 감지부(200) 각각의 일단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레벨 센서(2000)를 이용하여 관리되어야 하는 수위 범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써, 수위 감지부(200)를 하나의 로우 센서와 하나의 하이 센서로 구성할 경우, 로우 센서가 수위 범위의 하한을 감지할 수 있고, 하이 센서가 수위 범위의 상한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로우 센서의 일단과 하이 센서의 일단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관리되어야 하는 수위 범위를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2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2000)와 나머지 구성이 동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 센서(20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복수의 수위 감지부(200)가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레벨 센서(2000)를 이용해 관리되어야 하는 수위 범위의 하한과 상한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조(3000)는 수용부(500), 하우징(100), 수위 감지부(200) 및 수위 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수용부(500)는 액체(L1)를 수용한다. 예로써, 수용부(500)는 도금액을 수용하는 도금조일 수 있다. 수용부(500)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적어도 일부가 액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수용부(500)에 결합되고, 내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액체 유출입공(110)과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기체 유출입공(120)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100)은 수용부(500)에 수용된 액체(L1)와 접촉되도록 수용부(500)와 결합한다. 이 경우, 하우징(100)을 지지하도록 수용부(500) 및 하우징(100)에 결합하는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지지대가 수용부(500)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지지대가 변형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수용부(500)의 상면 중 일부를 커버하는 상판을 형성하고, 상판 중 일부에 하우징의 직경에 대응되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판이 지지대가 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액체 유출입공(11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수위 조절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기체 유출입공(120)에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조(3000)는 레벨 센서(1000, 2000)를 용이하게 시험하여 레벨 센서(1000, 2000)의 고장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0)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하우징(100) 마다 내부에 수위 감지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레벨 센서(1000, 2000)를 복수로 형성하여 수용부(5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장으로 판정된 레벨 센서(1000, 2000)만을 교체할 수 있어, 레벨 센서(1000, 2000)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L1, L2: 액체
100: 하우징
110: 액체 유출입공
120: 기체 유출입공
121: 기체 유입공
122: 기체 유출공
200: 수위 감지부
300: 수위 조절부
500: 수용부
1000, 2000: 레벨 센서
3000: 액체 수용조

Claims (10)

  1. 내부로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액체 유출입공, 및 상기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기체 유출입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액체 유출입공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의 상기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기체 유출입공에 결합되는 수위 조절부;
    를 포함하는 레벨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입공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는, 레벨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수위 감지부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레벨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입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레벨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입공은
    상기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공 및 상기 내부의 기체가 유출되는 기체 유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출공은 상기 수위 감지부의 상기 일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레벨 센서.
  6.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고, 내부로 상기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액체 유출입공과 상기 내부로 기체가 유출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기체 유출입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액체 유출입공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의 상기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기체 유출입공에 결합되는 수위 조절부;
    를 포함하는, 액체 수용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입공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는, 액체 수용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수위 감지부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액체 수용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입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액체 수용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하우징 마다 상기 내부에 상기 수위 감지부가 설치되는, 액체 수용조.
KR1020150021786A 2015-02-12 2015-02-12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KR2016009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86A KR20160099390A (ko) 2015-02-12 2015-02-12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86A KR20160099390A (ko) 2015-02-12 2015-02-12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390A true KR20160099390A (ko) 2016-08-22

Family

ID=5685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86A KR20160099390A (ko) 2015-02-12 2015-02-12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3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750A (ko) 2003-11-14 2006-12-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전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750A (ko) 2003-11-14 2006-12-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전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398B1 (ko) 센서 유닛 및 기밀성 검사 장치
US10646844B2 (en) Vaporization supply apparatus
EP2163872B1 (en) Pressure sensor, differential pressure flowmeter, and flow rate controller
JP7300187B2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およびその監視方法
KR20060028755A (ko) 기포식 액면계
JPWO2016035558A1 (ja) 質量流量制御装置
KR20150124493A (ko) 멀티센서 장치
KR20160090859A (ko) 높은 처리량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반응기 시스템
JP2006153635A (ja) タンク内液体の漏れ検知装置
KR20160099390A (ko) 레벨 센서 및 액체 수용조
US7392698B2 (en) Automatic flow measuring device
US2936622A (en) Liquid and gas metering separators
KR102052614B1 (ko) 기체측정겸용 배출장치
KR101745660B1 (ko) 유량 및 유압 조절 기능을 이용한 다항목 자동수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730420B1 (ko) 세탁기
KR100956616B1 (ko)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압력 측정 장치 및 압력 측정 방법
US1049718A (en) Liquid-flow indicator.
KR102046513B1 (ko) 방수검사장치
JP3980953B2 (ja) 加圧タンクを用いた高粘度流体の送液装置
JP5561181B2 (ja) 燃料残量測定装置
KR101668466B1 (ko) 기체 공급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 장치
JP2020173210A (ja) 気泡式液面計および浸水検出装置
JP2007148512A (ja) 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装置
KR20220092017A (ko) 누액 검출 장치
KR20210101088A (ko) 가스방출밸브용 오픈강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