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825A -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825A
KR20160098825A KR1020150020930A KR20150020930A KR20160098825A KR 20160098825 A KR20160098825 A KR 20160098825A KR 1020150020930 A KR1020150020930 A KR 1020150020930A KR 20150020930 A KR20150020930 A KR 20150020930A KR 20160098825 A KR20160098825 A KR 2016009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hip
fabric
setting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098B1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5002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0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뒷판과 앞판이 봉제되어 제작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이 각각 재단되는 원단;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에는,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의 제1 설정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Pants with hip-up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바지를 입을 때 체형을 보정하여 힙이 업(up)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바지를 착용함에 있어 힙의 외관이나, 다리를 예쁘게 보이게 하는 등 바지를 착용할 때 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디자인만 강조하는 것이 아닌 힙업(hip-up) 기능을 요구하는 바지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힙업 기능이란, 힙을 전체적으로 들어 올리는 의미의 힙업 기능 외에, 들어 올린 힙의 외형이다 대퇴부의 윗부분을 두드러지게 하는 힙 정형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힙업 기능은 신축성을 갖는 옷감으로부터 스트레치 안감을 구성하고, 착용에 의해서 신장되는 스트레치 옷감이 줄어들려고 하는 작용을 이용함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원단의 특성만으로 힙업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기란 쉽지 않아, 최근에 일부의 여성들은 거들 등 다양한 보정용 속옷을 착용하고 있다. 그런데 보정용 속옷의 경우 통상의 속옷보다 비용이 비싸고, 대부분의 보정용 속옷은 착용 시 신체를 강하게 압박하기 때문에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보정용 속옷의 경우, 대부분 여성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남자는 착용할 수도 없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22839호
본 발명은 착용자가 바지를 입을 때 체형을 보정하여 힙이 업(up)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뒷판과 앞판이 봉제되어 제작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이 각각 재단되는 원단;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에는,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의 제1 설정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뒷판과 앞판이 봉제되어 제작되는 바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원단에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각각 재단하는 단계;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에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설정영역에 상기 제1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제봉하고,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워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단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이 도포됨으로써, 원단의 신축성을 저하시키면서 체형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고 힙 업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경화물질이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설정영역과 제2 설정영역에 도포되므로, 제1 설정영역과 제2 설정영역이 착용자의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며 지지하고 고정시키므로 힙 업된 상태의 유지가 장시간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뒷판 내측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앞판 내측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를 착용하기 전과 착용한 후에 따른 착용자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와 이의 제작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는 어느 한 종류의 바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는 청바지, 면바지, 정장바지 등 다양한 종류의 바지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청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100)는, 뒷판(110)과 앞판(130)이 각각 재단되는 원단, 상기 뒷판(110)이 재단된 원단의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되는 경화물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단은 신축성을 갖는 스트레치 원단인 것을 예로 들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지(100)가 청바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원단이 신축성을 갖는 스트레치 데님(denim) 원단인 것을 예로 든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신축성이 없는 원단이어도 무방하며 면으로 이루어지는 원단이거나 정장바지 제작에 사용되는 원단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원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으로 각각 재단되고, 상기 뒷판(110)으로 재단된 원단에는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경화물질은 상기 원단에 도포되어 상기 원단을 경직시킨다. 상기 경화물질은 상기 뒷판(110)으로 재단된 원단 전체에 도포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뒷판(110)으로 재단된 원단 중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된다.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에 의해 제작된 상기 바지(100)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힙(hip) 주변을 지지하면서 고정시켜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뒷판(110)으로 재단된 원단에는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1 설정영역(111)이 형성되고, 상기 경화물질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된다.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은 상기 힙의 하부(111a), 상기 힙의 하부(111a)로부터 이어지는 후방 허벅지 상부(111b) 및 상기 힙 중앙영역의 측면 즉, 후방 골반 측면부(11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힙의 하부(111a), 상기 후방 허벅지 상부(111b) 및 상기 후방 골반 측면부(111c)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힙의 하부(111a), 상기 후방 허벅지 상부(111b) 및 상기 후방 골반 측면부(111c)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뒷판(110)을 포함하는 원단 뿐 아니라, 상기 앞판(130)을 포함하는 원단에도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이 형성되어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제2 설정여역(131)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힙의 하부(111a)와 대응되는 전방 골반 하부(131a), 상기 후방 허벅지 상부(111b)와 대응되는 전방 허벅지 상부(131b) 및 상기 후방 골반 측면부(111c)와 대응되는 전방 골반 측변부(131c)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물질에 의해 경직되는 상기 제2 설정영역(131)도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같이 착용자의 힙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경화물질에 의해 경직되면서 고정력이 생기므로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함께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의해 지지된 힙 주변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의 원단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의 원단은 상기 경화물질이 경화되면서 경직되어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이 재단되는 원래의 상기 원단보다 신축성이 저하되면서 뻣뻣해지는 성질이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단이 신축성을 갖는 데님 원단이 사용되므로,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어 경화되면서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은 상기 데님 원단의 신축성보다 신축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상기 경화물질은 우레탄계열을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화물질로 수성폴리우레탄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경화물질은 단독으로 상기 제1 설정영역(111) 및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도포될 수도 있지만, 상기 뒷판(111) 및 상기 앞판(130)이 각각 재단되는 원단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가 혼합된 상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단이 데님 원단이므로, 상기 데님 원단과 동일한 청색(네이비블루)의 염료가 상기 경화물질에 혼합되어 상기 제1 설정영역(111) 및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도포된다. 상기 경화물질이 상기 원단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와 혼합되어 도포되어야 상기 바지(100)의 제작을 완성한 뒤, 상기 바지(100)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된 흔적이 남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바지(100)를 착용하기 전과 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알 수 있듯이, 착용자가 상기 바지(100)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의 힙이 업된 상태를 유지한다. 착용자가 상기 바지(100)를 착용할 때, 상기 바지(100)를 형성하는 상기 원단의 신축성에 의해 착용자의 힙이 당겨져 힙 업(hip-up)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바지(100)의 상기 뒷판(110)의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앞판(130)의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의해 착용자의 힙이 업 된 상태가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은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됨으로써 경직되어 상기 바지(100)를 형성하는 원단의 신축성보다 신축성이 저하되고, 뻣뻣해지는 성질이 된다.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은 착용자의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기 바지(100)를 입을 때 당겨져 업된 상태의 힙 주변을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이 늘어나지 않고 지지하고 고정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힙이 업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은 상기 앞판(130)에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직접 지지하지는 않으나, 상기 바지(100)의 전면에서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대응되는 영역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의 지지력에 고정력을 부가하여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이 힙 주변을 지지하여 힙이 업 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힙 업 상태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100)의 제작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100)의 제작방법은, 먼저, 상기 원단을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의 형태로 재단한다.(S105 단계)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의 형태는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므로, 스키니, 스트레이트 등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이 재단될 수 있다.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이 재단된 후에는, 상기 뒷판(110)에 착용자의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한다.(S110 단계)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상기 바지(100)를 입을 때, 상기 바지(100)에 의해 힙이 당겨져 올라간 업(up)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힙 하부(111a), 허벅지 상부(111b) 및 골반 측면부(111c)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물질은 우레탄 계열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화물질이 예시적으로 수성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에 의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된다.(S110 단계)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은 특정된 것이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물질을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으로 도포하기 전에 상기 경화물질에 상기 바지(100)를 형성하는 상기 원단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상기 경화물질과 혼합한 후, 이를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으로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한다.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는 3회 내지 5회 진행됨으로써 상기 경화물질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도포되고, 이때 상기 경화물질은 250g 내지 300g 정도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경화물질이 사용되는 양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1 설정영역(111)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에 의해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면, 상기 뒷판(110)은 소정 시간 자연건조 시킨다.
상기 뒷판(110)의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된 후에는, 상기 앞판(130)에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도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한다.(S115 단계)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는 과정은 상기 뒷판(110)의 상기 제1 설정영역(11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자연건조에 의해 상기 뒷판(110)의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앞판(130)의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도포된 상기 경화물질이 건조되면,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을 제봉하고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를 한다.(S120 단계) 제봉된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은 열세팅기(미도시)에 투입된다. 상기 열세팅기(미도시)에서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도포된 상기 경화물질이 경화된다. 상기 열세팅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경화물질이 경화되면,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은 상기 경화물질에 의해 경직되고 이때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제2 설정영역(131)은 상기 원단보다 신축성이 저하되어 뻣뻣해지는 성질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세팅기(미도시)에 의해 열처리까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뒷판(110)과 상기 앞판(130)에 워싱 처리하여 상기 바지(100)의 제작이 완료된다.(S125 단계)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뒷판(110)의 상기 제1 설정영역(111)과 상기 앞판(130)의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앞판(130)의 상기 제2 설정영역(131)에는 상기 경화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110: 뒷판 111: 제1 설정영역
111a: 힙 하부 111b: 허벅지 상부
111c: 골반 측면부 130: 앞판
131: 제2 설정영역

Claims (10)

  1. 뒷판과 앞판이 봉제되어 제작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이 각각 재단되는 원단;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에는,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의 제1 설정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제1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영역은 상기 착용자의 힙 하부, 상기 힙 하부로부터 이어지는 후방 허벅지 상부 및 후방 골반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앞판을 포함하는 원단에도 상기 제1 설정영역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2 설정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이 도포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영역은 상기 힙 하부와 대응되는 전방 골반 하부, 상기 후방 허벅지 상부와 대으되는 전방 허벅지 상부 및 상기 후방 골반 측면부와 대응되는 전방 골반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질은 우레탄계열을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질은 상기 원단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7. 뒷판과 앞판이 봉제되어 제작되는 바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원단에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각각 재단하는 단계;
    상기 뒷판이 재단된 원단에 착용자의 힙 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힙이 업(up)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힙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설정영역에 상기 제1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제봉하고,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뒷판과 상기 앞판을 워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봉하고,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 이전,
    상기 앞판이 재단된 원단에도 상기 제1 설정영역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 설정영역에 상기 제2 설정영역을 경직시키는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기법을 이용하며,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 후 설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이전,
    상기 경화물질에 상기 원단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상기 경화물질과 혼합하는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의 제작방법.
KR1020150020930A 2015-02-11 2015-02-11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66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30A KR101669098B1 (ko) 2015-02-11 2015-02-11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930A KR101669098B1 (ko) 2015-02-11 2015-02-11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25A true KR20160098825A (ko) 2016-08-19
KR101669098B1 KR101669098B1 (ko) 2016-10-25

Family

ID=5687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930A KR101669098B1 (ko) 2015-02-11 2015-02-11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39A (ko) 2008-08-20 2010-03-03 이원일 기능성 힙 업 바지 및 그 힙업 바지의 제작방법 및 그 힙 업 바지의 뒷판 패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660A (ja) 2007-08-31 2009-03-19 Gunze Ltd 下半身用衣類
JP6256007B2 (ja) 2012-01-25 2018-01-10 東レ株式会社 衣類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39A (ko) 2008-08-20 2010-03-03 이원일 기능성 힙 업 바지 및 그 힙업 바지의 제작방법 및 그 힙 업 바지의 뒷판 패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098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251B (zh) 提臀和臀部塑形的男裤
USD809248S1 (en) Jeans
RU2007128652A (ru) Трико
CN103720064A (zh) 一种提臀的牛仔裤及其制作工艺
KR101578401B1 (ko) 속옷 일체형 여성 의류
KR101669098B1 (ko) 힙 업 기능을 갖는 바지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90074678A (ko) 문신스티커가 포함된 의복
JP2013002017A (ja) 身体に密着する衣類
KR100914958B1 (ko) 의류 탈색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JP2009057660A (ja) 下半身用衣類
KR20190103587A (ko) 신축성이 뛰어나고 체형보정이 가능한 기능성의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지는 셔츠, 청바지, 여성용 의류
KR200369085Y1 (ko) 봉제하지 않은 속옷
JP2012122168A (ja) 体型補正衣料
JP4477330B2 (ja) タトー調衣料
JPH1088406A (ja) 二部式着物
KR200329427Y1 (ko) 거들
KR100707383B1 (ko) 봉제하지 않은 속옷
JP2009215676A (ja) 女性用ボトム衣類
CN207885705U (zh) 一种用于运动的塑身衣
CN215303147U (zh) 一种青春期女生速干校服
JPH07268702A (ja) 女性用下着
KR100712459B1 (ko) 힙-볼륨업 기능을 구비한 보조 엉덩이
JP6338254B1 (ja) 機能衣類
KR101875272B1 (ko) 유니폼
KR200415773Y1 (ko) 바디페인팅의 효과를 가지는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