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310A -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 - Google Patents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310A
KR20160098310A KR1020167018166A KR20167018166A KR20160098310A KR 20160098310 A KR20160098310 A KR 20160098310A KR 1020167018166 A KR1020167018166 A KR 1020167018166A KR 20167018166 A KR20167018166 A KR 20167018166A KR 20160098310 A KR20160098310 A KR 20160098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sink devices
sink
multimedia content
group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591B1 (ko
Inventor
파담 랄 카펠
파워드 샤우카트
비나이 나이커 수브라마니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8Departure or maintenanc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04W76/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에 대한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된다. 일 구현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PROCEDURES FOR SUPPORTING MULTIPLE GROUPS OF SINK DEVICES IN A PEER―TO―PEER WIRELESS DISPLAY SYSTEM}
[0001] 설명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무선 스트리밍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에 관한 것이다.
[0002] 비디오 및 오디오의 하나의 무선 통신 인에이블 디바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다른 것으로의 직접적인 스트리밍을 허용하는 최근의 발전들이 이루어졌다. 하나의 그러한 시스템은 "미라캐스트(Miracast)"로 알려져 있다. 미라캐스트는 Wi-Fi 얼라이언스에 의해 공표된 무선 (예를 들면, IEEE 802.11 무선 프로토콜들의 패밀리 또는 "Wi-Fi") 디스플레이 프로토콜에 대한 트레이드마크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미라캐스트는 WFD(Wi-Fi Display)로 또한 알려진 현재 형태의 Wi-Fi 얼라이언스의 디스플레이 공유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미라캐스트 규격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임의의 타입의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설계된다. 일 예로서, 소스는 스마트 폰일 수 있고, 싱크는 텔레비전 세트일 수 있다. 통상적인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액세스 포인트(AP)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하지만, 직접적인 디바이스 통신들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들(가령, Wi-Fi Direct)이 존재한다. 미라캐스트 시스템은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것으로 가령, 스마트 폰으로부터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로 또는 그 역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그러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미라캐스트 시스템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레임 버퍼 또는 스피커 오디오의 콘텐츠를 Wi-Fi 접속을 통해 원격 디스플레이/스피커 디바이스(싱크)에 공유하는 것을 수반한다.
[0003] 미라캐스트 프로토콜은 소스가 프레임 버퍼로부터 RGB 데이터를 캡처하고 오디오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PCM(Pulse Coded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을 수반한다. 프레임 버퍼의 콘텐츠는 소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소스는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압축하고, 데이터를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때, 싱크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이를 자신의 로컬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들 상에서 렌더링한다.
[0004] 현재 미라캐스트 규격은 하나의 소스로부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 대한 세션 설정 및 제어를 주로 핸들링한다.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몇몇의 싱크 디바이스들로의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Wi-Fi 디스플레이 세션 관리는 한 그룹의 싱크 디바이스들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의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개선책들을 요구한다.
[0005]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제어 메시지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0006]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제어 메시지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07]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제어 메시지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08]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제어 메시지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한다.
[0009] 도 1a는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일 구현에서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의 블록도이다.
[0010] 도 1b는 도 1a의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일 구현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0011] 도 1c는 도 1a의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일 구현에서 싱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0012] 도 2는 도 1a의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0013] 도 3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싱크 그룹들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토폴로지를 예시한다.
[0014] 도 4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싱크 그룹들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그룹 예를 예시한다.
[0015] 도 5는 싱크 디바이스들이 소스 개시 및 제어 그룹 세션에 합류하기 위한 예시적인 일련의 단계들을 예시한다.
[0016] 도 6a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능력 협상 및 그룹 세션 설정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도 6b로 계속된다.
[0017] 도 6b는 도 6a의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능력 협상 및 그룹 세션 설정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추가로 예시한다.
[0018] 도 7a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도 7b로 계속된다.
[0019] 도 7b는 도 7a의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추가로 예시한다.
[0020] 도 8a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도 8b로 계속된다.
[0021] 도 8b는 도 8a의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추가로 예시한다.
[0022] 도 9a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도 9b로 계속된다.
[0023] 도 9b는 도 9a의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추가로 예시한다.
[0024] 도 10a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Wi-Fi 디스플레이 마스터 싱크 디바이스 및 다수의 종속적인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싱크-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도 10b로 계속된다.
[0025] 도 10b는 도 10a의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Wi-Fi 디스플레이 마스터 싱크 디바이스 및 다수의 종속적인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싱크-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추가로 예시한다.
[0026] 도 11a는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세션 관리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엘리먼트 콘텐츠 레이아웃을 예시하고, 도 11b로 계속된다.
[0027] 도 11b는 도 11a의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세션 관리를 위한 예시적인 서브엘리먼트 콘텐츠 레이아웃을 추가로 예시한다.
[0028] 도 12는 그룹 세션들 동안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플레인 스택의 예를 예시한다.
[0029] 도면들에 예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실척대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들은 명확함을 위해 임의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 중 일부는 정해진 시스템, 방법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전부를 도시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특징들을 표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30]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현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설명 전체에 걸쳐 사용된 용어 "예시적인"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고, 반드시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구현들의 철저한 이래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일부 디바이스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31]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개시된 교시들은 다수의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 전체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제공되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어 구현되든 또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상들 중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32] 특정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 양상들의 많은 변화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몇몇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한 이점들, 이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전송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고, 이들 중 일부는, 선호되는 양상들의 하기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시의 방식으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개시의 단지 예시이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0033]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현재 미라캐스트 규격은 하나의 소스로부터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세션 설정 및 제어를 주로 핸들링한다. 소스로부터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의 개별적인 Wi-Fi 디스플레이(WFD) 세션들을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의 싱크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일부 구현들을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세션 설정, 세션 제어 및 미디어 페이로드 프로세싱은 별개의 프로토콜 스택들 및 네트워크 자원들(예를 들면, TCP/UDP 포트들)을 유지하는 것을 요구하고, 이것은 현재 미라캐스트 규격의 범위를 벗어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접근법의 복잡성 및 대역폭 요건들은 그러한 구현들을 적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또는 낮은 품질 미디어 포맷들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로서) 다수의 세션 핸들링을 위한 제어 및 유연성의 부재로 인해, 이러한 접근법은 또한 동기화되지 않는(out-of-sync) 개별적인 싱크 디바이스들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구현들은 다양한 제품들 사이에서 상호동작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몇몇의 싱크 디바이스들로의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Wi-Fi 디스플레이 세션 관리는 한 그룹의 싱크 디바이스들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의 제어를 허용하기 위한 개선책들을 요구한다. 이러한 개선책은 다수의 디바이스(1:N) 토폴로지에 대한 세션 설정, 세션 제어 및 데이터 플레인 핸들링을 위한 새로운 구성들의 형태를 나올 수 있다.
[0034] 본 개시는 제 2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본원에서 소스로 지칭되는 제 1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본원에서 싱크들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달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Wi-Fi"로 지칭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의 IEEE 802.11 패밀리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이 전형적으로 직접적으로보다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통신하지만, 소스 디바이스들이 임의의 AP 또는 다른 중재자를 사용하지 않고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싱크 디바이스들로 직접적으로 송신하도록 허용하는 프로토콜들은 개발되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러한 프로토콜은 미라캐스트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개선책들 및 확장들이 아래에 제시된다. 이들 개선책들 및 확장들은 미라캐스트뿐만 아니라 로컬 환경에서 무선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 상의 그리고 그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송신, 수신 및 프리젠테이션을 허용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공유 디바이스 또는 프로토콜, 시스템 또는 방법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여기서 "로컬"은 일반적으로 룸, 빌딩 내에서와 같이 무선 LAN 접속의 범위를 지칭한다.
[0035] 미라캐스트 규격의 현재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한 그룹의 싱크들로 스트리밍하는 것이 지원되지 않는다. 능력 협상 및 세션 설정은 하나의 소스 및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한정된다. 또한, 콘텐츠의 임의의 멀티캐스트/그룹-캐스트에 대한 스트리밍 제어가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제어를 위해 미라캐스트에서 현재 사용되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제어 플레인은 한 그룹의 싱크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또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MPEG2-TS 전송 및 RTP 패킷화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그룹의 능력들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MPEG2-TS 멀티플렉싱은 다수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TSP 제어 스택 및 콘텐츠 프로세싱 데이터 플레인에 의한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 전달을 위한 MAC 계층 능력의 지식은 세션 파라미터들의 효율적인 설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36] 이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미라캐스트 시스템에서, 부가적인 제어 통신들 및 수송 프로토콜 협상들이 소스 디바이스(30)와 싱크 디바이스(3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30)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34)가 인코더(36)로 라우팅된다. 종래의 미라캐스트 시스템들에서, 인코더(36) 및 디코더(38)는 비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각각 H.264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어서, 이러한 데이터는 종래의 미라캐스트 시스템들에서의 RTSP(Real Time Transport Protocol) 메시징을 통한 MPEG2 수송 스트림을 사용하여 싱크(32)로 무선으로 전송된다. 싱크(32)에서 수신될 때, 데이터는 대응하는 디코더(38)로 라우팅되고, 싱크(32) 상의 디스플레이(40)로 전송된다. 제어 신호들은 또한 소스(30) 및 싱크(32) 사이에서 전달된다. 종래의 미라캐스트 시스템에서, 하나의 피어-투-피어 세션 설정 및 세션 유지를 위한 제어 신호들이 사용된다.
[0037]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도 1의 소스 디바이스(30)의 일 구현의 블록도가 예시된다. 도 1b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PU)(50),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블렌더(52), 프레임 버퍼(54) 및 디스플레이(56)를 포함한다. 소스는, 사용자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1(62) 및 애플리케이션 2(64)와 같은 몇몇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소스 운영 시스템의 제어 하에서, GPU(50) 및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블렌더(52)는, 디스플레이(56)로의 포워딩을 위해,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준비하고 프레임 버퍼(54)를 채운다. 소스는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66)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블렌더(52)로 라우팅한다.
[0038] 하나의 소스와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미러링 모드에서의 종래의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데이터 흐름이 도 1b에 예시된다. 미라캐스트 미러링이 수행될 때, 프레임 버퍼(54) 내의 픽셀 데이터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은 데이터 경로(80)를 따라 비디오 인코더(72)로 라우팅되고, 인코딩된 데이터는 모듈(74)에 의해 MPEG2 수송 스트림으로 조립되고, 모듈(75)에 의해 RTP 메시징 데이터와 결합되고, 싱크 디바이스(32)로의 전송을 위해 소켓(77)으로 라우팅된다. 종래의 미라캐스트에서, 인코더(72)는 H.264 인코더이고, 소켓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소켓이고, 어떠한 다른 옵션들도 지원되지 않는다.
[0039] 싱크 디바이스(32)가 도 1c에 예시된다. 싱크에서, 소켓(92)은 인커밍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RTP 헤더 정보는 모듈(94)을 통해 추출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모듈(96)을 통해 추출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98)로, 이어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블렌더(102)로 라우팅될 수 있고, 이것은 디스플레이(106) 상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프레임 버퍼(104)를 채운다. 종래의 미라캐스트에서, 비디오 디코더(98)는 H.264 디코더이고, 이것은 미라캐스트 표준과 호환 가능한 임의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요구된다.
[0040] 도 2는 앞서 설명된 미라캐스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180)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18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0041] 무선 디바이스(180)는, 무선 디바이스(18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4)는 또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186)는 프로세서(18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8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18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적 및 산술적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186)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가 소스(30)인지, 싱크(32)인지 또는 둘 모두인지에 의존하여, 도 1a, 도 1b 및 도 1c의 블록들은 프로세서(184) 및 메모리(186)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42]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설명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이와 달리 지칭되든,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코드를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2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코드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맷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0043] 무선 디바이스(18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180)와 원격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전송기(190) 및/또는 수신기(19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18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190) 및 수신기(192)는 트랜시버(19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196)가 제공되고 트랜시버(19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8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전송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4] 무선 디바이스(180)는 또한, 트랜시버(194)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00)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80)는 또한 프로세싱 신호들에 이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02)를 포함할 수 있다. DSP(202)는 전송을 위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80)는 디스플레이(2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6)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마이크로폰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6)는, 무선 디바이스(18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임의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45] 무선 디바이스(18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버스 시스템(208)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208)은,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버스에 부가하여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80)의 컴포넌트들이 몇몇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함께 커플링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한 입력들을 제공하거나 이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인지할 것이다.
[0046] 다수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결합되거나 공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4)는, 프로세서(185)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신호 검출기(200) 및/또는 DSP(202)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각각은 복수의 별개의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4)는 아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모듈들, 회로들 등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이들 각각은 복수의 별개의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047] 도 3은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K 개의 싱크 그룹들(305-305K)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토폴로지를 예시한다. 이러한 WFD 세션은 1:N 토폴로지를 보여준다.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은 k 개의 싱크 그룹들(305-305k)로 그룹화될 수 있다. 각각의 그룹(G(k), k=1,..., K)은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의 다수의 송신들(예를 들면, 유니캐스트, 단일 멀티캐스트, 그룹-캐스트 등)을 사용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Figure pct00001
이도록 Pk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300) 및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은 P2P 접속들(예를 들면, 피어-투-피어, Wi-Fi Direc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절차들은 또한, 예를 들면,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접속을 사용할 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300)는 또한, 연관된 싱크 디바이스들이 규칙적인 Wi-Fi STA들로서 구성되는 경우 소프트 AP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K 개의 싱크 그룹들(305-305K) 중 하나 내의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은 P2P 그룹의 부분일 수 있다.
[0048] 이러한 토폴로지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 경우는 멀티미디어 클립을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로서) 다수의 랩톱들 또는 태블릿들로 스트리밍하는 (소스 디바이스(300)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는 그룹으로의 프리젠테이션들과 같은 클래스룸 공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하나의 윈도우로부터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의 세트들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스 디바이스(300)로서)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그룹들의 싱크 디바이스들(305-305K)이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은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별개의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로서) 태블릿들의 그룹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고, 오디오는 공통의 오디오 시스템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인터넷으로부터 승객 좌석들 내의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로서) 태블릿들 또는 무선 헤드셋들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는 3G/4G 데이터 접속을 갖는 (소스 디바이스(300)로서) 자동차 헤드셋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들(305-305K)의 각각의 그룹으로 전송되는 콘텐츠는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일부 디바이스들 상에서는 영화 클립을 렌더링하고, 반면에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음악만을 렌더링한다.
[0049] 도 4는 소스 디바이스(400)(예를 들면, 도 3의 소스 디바이스(300))로부터 다수의 싱크 그룹들(405A 및 405B)(예를 들면, 도 3의 K 개의 싱크 그룹들(305-305K) 중 임의의 것)로의 미디어 스트리밍에 대한 그룹 예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싱크 그룹(405A)은 2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410A 및 410B)(예를 들면,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고, 싱크 그룹(405B)은 3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410C, 410D 및 410E)(예를 들면,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소스 디바이스(400)는 셀폰일 수 있고, 싱크 그룹(405A)은 720p 고해상도 포맷 비디오를 갖는 멀티캐스트 비디오를 싱크 디바이스들(410A 및 410B)로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싱크 디바이스들(410A 및 410B)은,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410A)의 울트라-HD(4K 2160p) 또는 풀 HD(1020p) DTV 디스플레이 능력들 및 싱크 디바이스(410B)의 HD(720p) DTV 디스플레이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싱크 그룹(405B)은 WVGA (800x480) 포맷을 갖는 멀티캐스트 프리젠테이션을 싱크 디바이스들(410C, 410D 및 410E)로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면, 상이한 최대 분해능들(예를 들면, 800x480 p60, 1024x768 p60 등)이 가능한 2 개의 태블릿 디스플레이들 및 1280x960 p60 분해능을 갖는 랩톱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0050] 도 5는 싱크 디바이스들이 소스 개시 및 제어 그룹 세션에 합류하기 위한 예시적인 일련의 단계들을 예시한다. 이러한 타입의 그룹 세션은 또한 "소스 중심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0051] 단계 1에서, 피어-투-피어 접속은 소스 디바이스(500)(예를 들면, 도 3의 소스 디바이스(300))와 한 그룹의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D)(예를 들면, N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310-310N) 중 임의의 것)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피어-투-피어 접속은 또한 그룹 세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접속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핸들링하기 위한 WFD(Wi-Fi Display) 애플리케이션을, 소스 디바이스(500)로부터, 런칭할 수 있고, 이것은 소스 디바이스(500)로 하여금 자신의 서비스 및 그룹 세션 능력들을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D)에 공고(예를 들면, 광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고 기간은 또한 P2P 디바이스 발견 단계로 지칭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달이 멀티캐스트 트래픽(예를 들면, 802.11 DMS(Directed Multicast Service) 또는 GCR(Group-cast with Retries))에 대한 MAC 계층에 의해 지원 또는 요구될 때, 소스 디바이스(500)는 그룹 소유자가 되기 위한 자신의 의도를 이미 광고하였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500) 및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D)은 그룹 멤버쉽을 설정하기 위해 L3 IGMP 프로토콜(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RFC 3376)을 사용할 수 있다.
[0052] Wi-Fi 디스플레이 그룹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RTSP 메시징은, 메시지 교환들에서의 자신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자신의 핸들링으로 인해 그룹 세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룹 내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수에 의존하여, 상이한 RTSP 시그널링 및 스트리밍 제어 옵션들이 소스 디바이스(500)에 의해 사용되고, 광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펑처링되지 않음)이 존재하는 경우에, 소스 디바이스(500)는 자신의 그룹 세션(예를 들면, 공통의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들(예를 들면, ANNOUNCE 또는 SETUP와 같은 방법들)에 대해 RTSPU(RTSP with UDP) 방식(IETF RFC 2326)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및 다른 RTSP-기반 방법들에 대한 더 상세한 사항은 도 6-9에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0053] 사용되는 RTSP 방법과 상관없이, RTSP 메시지들은 싱크 디바이스가 그룹 세션에 합류하기 위해 요구된 능력들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공통의 멀티미디어 코덱, 공통의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RTSP 메시지는 또한 킵-얼라이브(keep-alive) 타임아웃 및 응답 시간 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500)는 자신이 서빙하려고 의도한 싱크 디바이스들의 최대수에 기초하여 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00)는 또한 유니캐스트, 비-GCR 멀티캐스트, DMS 또는 GCR 멀티캐스트와 같은 적절한 MAC 계층 송신 방식들에 기초하여 그러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요구된 능력들을 지원하는 싱크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510A-510D 및 펑처링되지 않는 임의의 부가적인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은 브로드캐스팅된 RTSP 메시지들에 응답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00)는 브로드캐스팅된 RTSP 메시지들을 주기적으로 재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범위 내의 모든 싱크 디바이스들이 RTSP 메시지들을 수신한다는 것 및/또는 임의의 새롭게 발견된 싱크 디바이스들이 그룹 세션에 합류하기 위한 기회를 갖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0054] 발견 기간 동안에, 디바이스들은 프로브 요청, 프로브 응답, 또는 비콘 프레임(미도시)과 같은 하나 이상의 MAC 프레임들을 교환할 수 있다. 지원되는 그룹 타입, 임의의 미리 구성된 코덱 및 다른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그룹 세션 관리 정보, 및 세션 관리 제어를 위한 포트 정보가 피어-투-피어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이들 프레임들에 포함된다. 교환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G) 중 하나 이상은 소스 디바이스(500)와 접속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510D)는 소스 디바이스(500)와 접속하는 것을 거절한다. 이어서, 소스 디바이스(500)는 UDP 포트를 생성하고, 포트 정보 및 다른 세션 제어 데이터(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그룹)를 남아있는 싱크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그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들은 피어-투-피어 접속 또는 그룹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0055] 단계 2에서, 소스 디바이스(500)는 데이터 플레인에 관한 정보를 갖는 RTSP 메시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그룹 세션 구성을 공고할 수 있고, 그 정보는,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포맷팅, 멀티캐스트 그룹 정보 및 UDP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레인에 대한 자신의 그룹 세션 구성을 공고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500)는 기존의 그룹 세션들에 합류하도록 다른 싱크 디바이스들을 효과적으로 초대한다. 최소 세트의 멀티미디어 포맷 요건들은 그룹 세션에 대한 디폴트 의무적인 파라미터들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세션에 대한 공통의 멀티미디어 포맷은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CEA 1280x720p, 24FPS 분해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하나의 공통 포맷으로 싱크 디바이스들의 하나의 그룹으로 그리고 다른 공통 포맷으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른 그룹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그룹 세션(505A)은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C)로 구성되고, 그룹 세션(505B)은 싱크 디바이스들(510F-510G)로 구성된다. 싱크 디바이스(510D)는 어느 하나의 그룹 세션에서도 보이지 않는데, 왜냐하면 싱크 디바이스(510D)가 단계 1에서 접속 요청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소스 디바이스(500)는, 그룹에 대해 동일한 능력들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싱크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때, 그룹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0056] 효율을 증가시키고 프로세싱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500)는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이 될 각각의 그룹 내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데이터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은 소스 디바이스(500)에 의해 전송된 RTSP 요청 메시지들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로 지칭되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나머지는 RTSP 요청 메시지들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 있고, 소스 디바이스(50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비요청된 방식(unsolicited manner)으로 자신들의 능력 정보를 교환하고, 예를 들면,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은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소스 디바이스(500)로부터 그룹 세션에서 스트리밍을 위해 사용되는 콘텐츠 포맷 및 포트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0057] 단계 3에서, 소스 디바이스(5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 세션(505A) 내의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C)로 송신(예를 들면,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송신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스위칭될 수 있고, 이것은 미디어 콘텐츠의 네이티브 포맷(native format)에 기초하여 상이한 코덱 또는 포맷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들이 콘텐츠의 네이티브 포맷을 지원할 수 없을 때, 일부 다른 포맷으로의 트랜스코딩이 요구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 디바이스(500)는 그룹 세션(505A) 내의 싱크 디바이스들(510A-510C) 전부에 대해 공통인 포맷으로 콘텐츠를 재인코딩할 수 있다. 그룹 세션 동안에, 소스 디바이스(500)는 또한 단계 2에서와 같이 RTSP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그룹 세션 구성을 주기적으로 공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500)는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포맷팅 변화들 등과 같은 스트리밍 제어들 중 대부분을 핸들링할 수 있다.
[0058] 단계 4에서, 새로운 싱크 디바이스(510E)는 단계 2 또는 3 동안에 송신된 그룹 세션 구성 공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룹 세션(505A)에 합류할 수 있다. 일단 새로운 싱크 디바이스(510E)가 그룹 세션(505A)에 합류하였다면, 새로운 싱크 디바이스는 또한 소스 디바이스(500)로부터 그룹 세션(505A)으로 송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것이다. 새로운 싱크 디바이스들은 언제라도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그룹 세션 내의 싱크 디바이스들은 언제라도 그룹을 떠나도록 요청할 수 있다.
[0059] 도 6은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 도면으로서 취해진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와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능력 협상 및 그룹 세션 설정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들 모두는 동일한 그룹 내에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그룹 세션 설정 및 제어를 위한 메시지들 및 파라미터들의 부가를 통해 TCP 포트를 통한 앞서 논의된 유니캐스트 RTSP 메시징의 효율을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소스는 신뢰할 수 있는 제어를 위해 개별적인 RTSP 접속들을 설정하고, 그룹 내의 스트리밍 동안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멀티캐스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적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해 적합하다. 부가적으로, 단계(67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는 싱크들로부터 SETUP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서 그룹 세션을 자발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그룹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0060] 단계(661)에서, Wi-Fi 디스플레이 소스(600)는 Wi-Fi 디스플레이 싱크(610) 중 적어도 하나(이러한 예에서 싱크(610A))와 발견 단계를 개시한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도 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단계는 채널 상의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1, 6 또는 11)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견 정보는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들을 통해 소스(600)와 싱크들(61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0061] 단계(662)에서, 싱크들(610)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소스(6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62] 단계(663)에서, 소스(600)는 단계들(661 및 662)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650)에게 표시하고, 발견 단계 동안에 어떠한 싱크 또는 싱크들(610)이 발견되었는지를 사용자(650)에게 통지할 수 있다(이러한 예에서, 싱크(610A)가 선택됨).
[0063] 단계(664)에서, 소스(6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610)과의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64] 단계(665)에서, 소스(6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610)과 자신 사이에서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6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한 그룹 세션 관리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RTSP OPTIONS 다음에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65] 단계(666)에서, 소스(600)는 부가적인 싱크들(610)(이러한 예에서, 싱크(610B 및 610C))과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스(600)는 싱크(610B)와 발견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싱크(610C)와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66] 단계(667)에서, 부가적인 싱크들(610) 중 하나 이상(여기서, 610B 및 610C)은 또한 소스(600)로부터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67] 단계(668)에서, 소스(600)는 단계들(666 및 667)아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650)에게 표시하고, 발견 단계들 동안에 선택된 능력 요건들을 만족시키고 존재하는 싱크들(610)(여기서, 싱크들(610A, 610B 및 610C))의 수를 사용자(650)에게 통지할 수 있다.
[0068] 단계(669)에서, 소스(600)는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부가적인 싱크 또는 싱크들(610)(여기서, 610B 및 610C)과 자신 사이에서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6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다음에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동안에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스(600)는 싱크(610B)와 능력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싱크(610C)와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69] 단계(670)에서, 소스(600)는 그룹 세션을 설정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그룹 세션의 자신의 설정에서, 소스(600)는 위의 단계들에서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 사이의 능력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그룹 세션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600)는 부가적으로 그룹 세션에 대한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0070] 단계(671)에서, 소스(6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announcement)를 싱크들(610)(이러한 경우에, 싱크(610A)) 중 하나로 전송할 수 있는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600)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특정 싱크(610)(여기서, 싱크(610A))와 싱크하기 위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600)는 WFD-TRIGGER-METHOD=WAIT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위해 대기할 것이다.
[0071] 단계(672)에서, 싱크(610)(여기서, 싱크(610A))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600)로 전송할 수 있어서, 자신이 단계(671)의 공고를 수신하였고, 자신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0072] 단계(673)에서, 소스(6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부가적인 싱크들(610)(이러한 경우에, 싱크들(610B 및 610C))로 전송할 수 있는 연속하는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600)는 연속하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연속하는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특정 부가적인 싱크들(610)(여기서, 싱크들(610B 및 610C))와 싱크하기 위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600)는 WFD-TRIGGER-METHOD=PLA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6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접속된 싱크들(610)(여기서 싱크들(610A, 610B 및 610C))로 플레이할 준비될 수 있다.
[0073] 단계(674)에서, 부가적인 싱크(610)(여기서 싱크들(610B 및 610C))는, 그들이 단계(673)의 공고를 수신하였고 그들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600)로 전송할 수 있다.
[0074] 단계(675)에서, 접속된 싱크들(610) 중 하나 이상은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플레이 요청(예를 들면, RTSP PLAY 요청)을 소스(600)로 전송할 수 있다.
[0075] 단계(676)에서, 단계(675)의 플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소스(600)는, 예를 들면, "PLAY 응답 OK" 메시지를 통해 플레잉이 시작될 것이라는 것을 요청 싱크들(610)에 통지할 수 있다.
[0076] 단계(677)에서, 소스(6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 세션을 통해 요청 싱크들(610)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600)는 "플레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0077] 단계(678)에서, 요청 싱크들(610)은 소스(600)로부터 스트리밍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0078] 일 구현에서, 소스(600)는 개별적인 싱크들(610) 능력 교환들(위의 단계들(665 및 669)에서 설명됨)을 스킵하도록 선택하고, 미리 결정된 세트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콘텐츠의 포맷)을 갖는 그룹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대신에, 미리 결정된 세트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발견 단계들(위의 단계들(662 및 667)에서 설명됨) 동안에 싱크들(61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0079] 도 7은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하는 도면으로서 취해진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및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들 모두는 동일한 그룹 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그룹 세션 설정 및 제어를 위한 메시지들 및 파라미터들의 부가를 통해 앞서 논의된 TCP 유니캐스트 RTSP의 효율을 다시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소스는 신뢰할 수 있는 제어를 위해 개별적인 RTSP 접속들을 설정하고, 그룹 내의 스트리밍 동안에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멀티캐스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적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해 적합하다. 부가적으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6에 설명된 방법과 비교하여, 소스는 선택된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와 설정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0080] 단계(761)에서, Wi-Fi 디스플레이 소스(700)는 Wi-Fi 디스플레이 싱크(710) 중 적어도 하나(이러한 예에서, 싱크(710A))와 발견 단계를 개시한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도 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단계는 채널 상의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1, 6 또는 11)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견 정보는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들을 통해 소스(700)와 싱크들(71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0081] 단계(762)에서, 싱크들(710)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소스(7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82] 단계(763)에서, 소스(700)는 단계들(761 및 762)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750)에 표시하고, 어떠한 싱크 또는 싱크들(710)이 발견 단계 동안에 발견되었는지를 사용자(750)에게 통지할 수 있다(이러한 예에서, 싱크(710A)가 선택되었음).
[0083] 단계(764)에서, 소스(7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710)과의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84] 단계(765)에서, 소스(7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710)과 자신 사이에서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7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및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85] 단계(766)에서, 소스(700)는 부가적인 싱크들(710)(이러한 예에서, 싱크(710B 및 710C))과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스(700)는 싱크(710B)와 발견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싱크(710C)와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86] 단계(767)에서, 부가적인 싱크들(710) 중 하나 이상(여기서, 710B 및 710C)은 또한 소스(700)로부터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87] 단계(768)에서, 소스(700)는 단계들(766 및 767)아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750)에게 표시하고, 발견 단계들 동안에 선택된 능력 요건들을 만족시키고 존재하는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A, 710B 및 710C))의 수를 사용자(750)에게 통지할 수 있다.
[0088] 단계(769)에서, 소스(700)는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부가적인 싱크 또는 싱크들(710)(여기서, 710B 및 710C)과 자신 사이에서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7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및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동안에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스(700)는 싱크(710B)와 능력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싱크(710C)와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89] 단계(770)에서, 소스(700)는 그룹 세션을 설정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그룹 세션의 자신의 설정에서, 소스(700)는 위의 단계들에서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 사이의 능력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그룹 세션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설명된 방법과 비교할 때, 소스(700)는 이때에 그룹 세션에 대한 세션 ID를 생성할 수 없다.
[0090] 단계(771)에서, 소스(7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싱크들(710)(이러한 경우에, 싱크(710A)) 중 하나로 전송할 수 있는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700)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특정 싱크(710)(여기서, 싱크(710A))와 싱크하기 위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700)는 WFD-TRIGGER-METHOD=SETUP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는 개별적인 싱크(710)(여기서, 싱크(710A))로부터 설정 요청을 대기할 것이다.
[0091] 단계(772)에서, 싱크(710)(여기서, 싱크(710A))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700)로 전송할 수 있어서, 자신이 단계(771)의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한다.
[0092] 단계(773)에서, 개별적인 싱크(710)(여기서, 싱크(710A))는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RTSP 설정 요청을 소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0093] 단계(774)에서, 소스(700)는 RTSP 설정 요청의 자신의 확인 및 승인을 개별적인 싱크(710)(여기서, 싱크(710A))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과 반대로, 소스(700)는 이때에 그룹 세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
[0094] 단계(775)에서, 소스(7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부가적인 싱크들(710)(이러한 경우에, 싱크들(710B 및 710C))로 전송할 수 있는 연속하는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700)는 연속하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연속하는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특정 부가적인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B 및 710C))과 싱크하기 위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700)는 WFD-TRIGGER-METHOD=SETUP 커맨드 하에서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700)는 부가적인 접속된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B 및 710C))로부터의 설정 요청들을 대기할 수 있다.
[0095] 단계(776)에서, 부가적인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B 및 710C))은, 그들이 단계(775)의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0096] 단계(777)에서, 부가적인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B 및 710C))은,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RTSP 설정 요청들을 소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0097] 단계(778)에서, 설정 요청들에 응답하여, 소스(700)는 RTSP 설정 요청들의 자신의 확인 및 승인을 부가적인 싱크들(710)(여기서, 싱크들(710B 및 710C))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700)는 또한 이때에 그룹 세션 ID를 전송할 수 있다.
[0098] 단계(779)에서, 접속된 싱크들(710) 중 하나 이상은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플레이 요청(예를 들면, RTSP PLAY 요청)을 소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레이 요청은 그룹 세션 ID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0099] 단계(780)에서, 단계(779)의 플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소스(700)는, 예를 들면, "PLAY 응답 OK" 메시지를 통해 플레잉이 시작될 것이라는 것을 요청 싱크들(710)에 통지할 수 있다.
[00100] 단계(781)에서, 소스(7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 세션을 통해 요청 싱크들(710)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700)는 "플레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00101] 단계(782)에서, 요청 싱크들(710)은 소스(700)로부터 스트리밍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00102] 일 구현에서, 소스(700)는 개별적인 싱크들(710) 능력 교환들(위의 단계들(765 및 769)에서 설명됨)을 스킵하도록 선택하고, 미리 결정된 세트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콘텐츠의 포맷)을 갖는 그룹 세션을 시작할 수 있다. 대신에, 미리 결정된 세트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발견 단계들(위의 단계들(762 및 767)에서 설명됨) 동안에 싱크들(71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00103] 도 8은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하는 도면으로서 취해진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및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들 모두는 동일한 그룹 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도 6 및 도 7의 TCP-기반 방법들과 비교될 때,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세션을 더 효율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UDP-기반 "RTSPU" 방식이고, 이것은 (예를 들면,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재시도 기능 및 피드백을 위한 기회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104] 단계(861)에서, Wi-Fi 디스플레이 소스(800)는 Wi-Fi 디스플레이 싱크(810) 중 적어도 하나(이러한 예에서, 싱크(810A))와 발견 단계를 개시한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도 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는, 자신이 아래의 특정 능력 교환 단계들(예를 들면, 단계들(869, 870 및/또는 871))을 스킵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포맷들 및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발견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발견 단계는 채널 상의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1, 6 또는 11)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견 정보는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들을 통해 소스(800)와 싱크들(81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00105] 단계(862)에서, 싱크들(810)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소스(8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는, 소스가 아래의 특정 능력 교환 단계들(예를 들면, 단계들(869, 870 및/또는 871))을 스킵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포맷들 및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 발견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106] 단계(863)에서, 소스(800)는 단계들(861 및 862)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850)에 표시하고, 어떠한 싱크 또는 싱크들(810)이 발견 단계 동안에 발견되었는지를 사용자(850)에게 통지할 수 있다(이러한 예에서, 싱크(810A)가 선택되었음).
[00107] 단계(864)에서, 소스(8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810)과의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108] 단계(865)에서, 소스(800)는 부가적인 싱크들(810)(이러한 예에서, 싱크(810B 및 810C))과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된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의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스(800)는 싱크(810B)와 발견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싱크(810C)와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는, 자신이 아래의 특정 능력 교환 단계들(예를 들면, 단계들(869, 870 및/또는 871))을 스킵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포맷들 및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발견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109] 단계(866)에서, 부가적인 싱크들(810) 중 하나 이상(여기서, 810B 및 810C)은 또한 소스(800)로부터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는, 자신이 아래의 특정 능력 교환 단계들(예를 들면, 단계들(869, 870 및/또는 871))을 스킵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포맷들 및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 발견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110] 단계(867)에서, 소스(800)는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부가적인 싱크들(810)과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111] 단계(868)에서, 소스(800)는 단계들(865-867)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850)에게 표시하고, 발견 단계들 동안에 선택된 능력 요건들을 만족시키고 존재하는 싱크들(810)(여기서, 싱크들(810A, 810B 및 810C))의 수를 사용자(85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가 능력 교환들을 스킵하기 위해 필요한 멀티미디어 포맷들 및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미리 결정하였다면, 소스(800) 또는 사용자(850)는 이때에 단계들(869, 870 및 871)을 스킵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00112] 단계(869)에서,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킵되지 않는다면, 소스(800)는 단계들(861-867)의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810)과 자신 사이에서 능력 정보에 대한 요청을 교환할 수 있다.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8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GET_PARAMETER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800)는, 도 5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싱크(810)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타임아웃을 지정할 수 있다. 소스(800)는 응답에 대한 타임아웃을 예상된 네트워크 라운드트립 시간에 기초할 수 있다(예를 들면, 라운드트립 시간은 Wi-Fi 채널 액세스에 대해 50 ms 내지 500 ms일 수 있음). 소스(80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UDP-기반 RTSP 메시지 요청은 적어도 응답에 대한 타임아웃에 기초하여 "응답 시간 제한", "재시도들의 수" 및 "다음 송신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UDP-기반 RTSP 메시지 요청들 각각은 또한 메시지 신뢰성 및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유한 시퀀스 넘버(예를 들면, CSeq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00113] 단계들(870 및 871)에서,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킵되지 않는다면, 소스(800)는 단계(869)에서 싱크 또는 싱크들(810)로부터 요청된 싱크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능력 정보)을 리트리브(retrieve)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동안의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스(800)는 (단계(870)에서와 같이) 싱크(810A)와 능력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단계(871)에서와 같이) 싱크(810B 또는 810C)와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114] 단계(872)에서, 소스(800)는 그룹 세션을 설정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그룹 세션의 자신의 설정에서, 소스(800)는 위의 단계들에서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 사이의 능력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그룹 세션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800)는 또한 이때에 그룹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00115] 단계(873)에서, 소스(8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접속된 싱크들(810)(예를 들면, 여기서, 싱크들(810A, 810B 및 810C)로 전송할 수 있는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800)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캐스트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그룹 세션 내의 싱크들 모두에 대한 공통의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800)는 WFD-TRIGGER-METHOD=WAIT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도록 대기할 것이다. 공고는 또한 응답 타임아웃을 따르고, 단계(869)에서 설정되면 카운트 파라미터들을 재시도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소스(800)는, 다음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진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싱크들로부터의 응답에 대해 미리 결정된 대기 시간 동안에 "단지 대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UDP를 통한 멀티캐스트가 프로토콜 핸들링 로드들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고 내의 RTSP 멀티캐스트 프리젠테이션 URL은 포맷 "rtspu://<host [":" port] [path]"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스(800)는 새로운 싱크들에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공고를 계속해서 송신할 수 있다. 공고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반복되는 공고는, 단계(882)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이 (단계(880)에서) 시작된 후에조차 발생할 수 있다.
[00116] 단계(874)에서, 싱크(810)(여기서, 싱크(810A))는 자신이 단계(873)의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800)로 전송할 수 있다.
[00117] 단계(875)에서, 부가적인 싱크들(810)(여기서, 싱크(810C))은 자신들이 단계(873)의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러한 단계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타임아웃들 및 재시도들로 인해 스킵될 수 있다.
[00118] 단계(876)에서, 단계(873)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800)는 새로운 싱크들에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공고를 계속해서 송신할 수 있다. 공고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반복되는 공고는, 단계(882)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이 (단계(880)에서) 시작된 후에조차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방법의 이러한 단계에서 전송된 공고는 UDP를 통해 유니캐스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800)는 WFD-TRIGGER-METHOD=PLA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800)는 접속된 싱크들(810)(여기서 싱크들(810A, 810B 및 810C)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할 준비가 될 수 있다.
[00119] 단계(877)에서, 부가적인 싱크들(810)(여기서, 싱크(810B))은 RTSP OK 메시지를 소스(800)로 전송할 수 있어서, 자신들이 단계(876)의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한다.
[00120] 단계(878)에서, 접속된 싱크들(810) 중 하나 이상은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플레이 요청(예를 들면, RTSP PLAY 요청)을 소스(8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레이 요청은 그룹 세션 ID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00121] 단계(879)에서, 단계(878)의 플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소스(800)는, 예를 들면, "PLAY 응답 OK" 메시지를 통해 플레잉이 시작될 것이라는 것을 요청 싱크들(810)에 통지할 수 있다.
[00122] 단계(880)에서, 소스(8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 세션을 통해 요청 싱크들(810)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800)는 "플레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00123] 단계(881)에서, 요청 싱크들(810)은 소스(800)로부터 스트리밍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00124] 단계(882)에서, 단계(873)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800)는 새로운 싱크들에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공고를 계속해서 송신할 수 있다. 공고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방법의 이러한 단계에서 전송된 공고는 멀티캐스트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800)는 WFD-TRIGGER-METHOD=WAIT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후에 수신하는 싱크 디바이스는 언제라도 콘텐츠를 수신할 준비가 될 수 있다.
[00125] 도 9는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하는 도면으로서 취해진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및 다수의 Wi-Fi 디스플레이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소스-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설정 및 능력 협상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들 모두는 동일한 그룹 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도 6 및 도 7의 배타적으로 TCP-기반 방법들과 비교될 때, 그리고 도 8의 배타적으로 UDP-기반 방법과 비교될 때, TCP-기반 RTSP 메시징 및 UDP-기반 RTSPU 메시징 방식들 둘 모두의 하이브리드를 사용한다. (단계들(973, 975 및 979)에 관련하여)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스는 TCP-기반 RTSP 접속을 제한된 수의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로 유지한다. 또한, 소스는 그룹에 합류할 자격이 있는 임의의 다른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에 그룹 세션을 광고하기 위해 UDP-기반 RTSP 메시징 방식을 설정한다.
[00126] 단계(961)에서, Wi-Fi 디스플레이 소스(900)는 Wi-Fi 디스플레이 싱크(910) 중 적어도 하나(이러한 예에서, 싱크(910A))와 발견 단계를 개시한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도 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단계는 채널 상의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1, 6 또는 11)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견 정보는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들을 통해 소스(900)와 싱크들(91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00127] 단계(962)에서, 싱크들(910)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소스(9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128] 단계(963)에서, 소스(900)는 단계들(961 및 962)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950)에 표시하고, 어떠한 싱크 또는 싱크들(910)이 발견 단계 동안에 발견되었는지를 사용자(950)에게 통지할 수 있다(이러한 예에서, 싱크(910A)가 선택되었음).
[00129] 단계(964)에서, 소스(9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910)과의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130] 단계(965)에서, 소스(900)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910)과 자신 사이에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9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및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131] 단계(966)에서, 소스(900)는 부가적인 싱크들(910)(이러한 예에서, 싱크(910B))과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된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132] 단계(967)에서, 접속된 싱크들(910) 중 하나 이상(여기서, 910A 및 910B)은 또한 소스(9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133] 단계(968)에서, 소스(900)는 단계들(965-967)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950)에 표시하고, 발견 단계들 동안에 선택된 능력 요건들을 만족시키고 존재하는 싱크들(910)(여기서, 싱크들(910A 및 910B))의 수를 사용자(950)에 통지할 수 있다.
[00134] 단계(969)에서, 소스(900)는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에 선택된 부가적인 싱크들(910)(여기서, 싱크(910B))과 자신 사이에 능력 정보를 다시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9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및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00135] 단계들(970 및 971)에서, 소스(900)는 부가적인 싱크들(910)(이러한 예에서, 싱크(910C) 및 싱크(910D))과 제 2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의 정보의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스(900)는 (단계(970)에서와 같이) 싱크(910C)와 발견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단계(971)에서와 같이) 싱크(910D)와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136] 단계(972)에서, 소스(900)는 그룹 세션을 설정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그룹 세션의 자신의 설정에서, 소스(900)는 위의 단계들에서 선택된 싱크 또는 싱크들 사이의 능력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그룹 세션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900)는 또한 이때에 그룹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스(900)는,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여기서, 싱크들(910C 및 910D))이 그룹에 합류할 수 있도록 UDP-기반 멀티캐스트 포트를 통해 자신의 그룹 세션 ID를 광고할 수 있다. 능동 및 수동 싱크들의 수는 미리 결정되거나 소스(900)의 계산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의 수는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의 수보다 더 낮을 것인데, 왜냐하면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이 소스(900) 컴퓨팅 자원들 중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900)는, 소스(900)가 제한된 수의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RTSP 제어를 유지할 수 있도록, TCP-기반 RTSP 접속을 제한된 수의 능동 싱크 디바이스들(여기서, 싱크들(910A 및 910B))로 유지할 수 있다.
[00137] 단계들(973 및 975)에서, 소스(9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능동 싱크들(910)(여기서, 싱크들(910A 및 910B))로 전송할 수 있는 유니캐스트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900)는 공고를 능동 싱크들로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그룹 세션 내의 개별적인 능동 싱크들에 대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소스(900)는 공고를 능동 싱크들로 하나씩(one at a time)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973)에서와 같이, 소스(900)는 공고를 능동 싱크(910A)로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900)는 WFD-TRIGGER-METHOD=WAIT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소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도록 대기할 것이다. 나중에, 단계(975)에서와 같이, 소스(900)는 공고를 능동 싱크(910B)로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900)는 WFD-TRIGGER-METHOD=PLA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9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능동 싱크들(910)에 플레이하도록 준비가 될 수 있다. 공고는 또한 응답 타임아웃을 따르고, 도 8의 단계(869)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운트 파라미터들을 재시도할 수 있다.
[00138] 단계들(974 및 976)에서, 단계들(973 또는 975)의 공고를 각각 수신한 능동 싱크들(910)(여기서, 싱크들(910A 및 910B) 각각)은, 자신들이 단계들(973 및 975)의 공고를 각각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900)로 전송할 수 있다.
[00139] 단계(977)에서, 능동 싱크들(910) 중 하나 이상은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플레이 요청(예를 들면, RTSP PLAY 요청)을 소스(9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레이 요청은 그룹 세션 ID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00140] 단계(978)에서, 단계(977)의 플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소스(900)는, 예를 들면, "PLAY 응답 OK" 메시지를 통해 플레잉이 시작될 것이라는 것을 요청한 능동 싱크들(910)에 통지할 수 있다.
[00141] 단계(979)에서, 단계들(972, 973 및 97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900)는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새로운 수동 싱크들에 요청하기 위한 UDP-기반 RTSPU 멀티캐스트 공고를 계속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공고 단계 동안에, 소스(900)는 WFD-TRIGGER-METHOD=READ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900)는 그룹에 합류할 수 있는 임의의 수동 싱크들(910)(여기서, 싱크들(910C 및 910D))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할 준비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900)는 수동 싱크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ACK 응답을 요청 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900)는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을 추적할 수 없다. 대신에, 소스(900)는, 수동 싱크들이 정보를 요청하는지 또는 아니든지 간에, UDP-기반 공고 내에서 멀티미디어 코덱 파라미터들 및 다른 중요한 그룹 세션 스트리밍 변화들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UDP-기반 RTSPU 멀티캐스트 공고 내에서 발생한 능력 교환 및 세션 광고는 Wi-Fi 디스플레이 동작 프레임들 또는 서비스 발견 절차들을 사용함으로써 계층 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이 Wi-Fi 디스플레이 서비스 발견(WFDS)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그들은, 피어-투-피어 발견 및 접속이 설정된 후에, 소스(900)로부터 그룹 세션 능력들을 획득하기 위해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 세션을 사용할 수 있다.
[00142] 단계(980)에서, 소스(900)는 그룹 세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임의의 접속된 능동 및 수동 싱크들(910)(여기서, 싱크들(910A, 910B, 910C 및 910D))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900)는 "플레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00143] 단계(981)에서, 접속된 능동 및 수동 싱크들(910)은 소스(900)로부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00144] 도 10은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하는 도면으로서 취해진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소스 디바이스, Wi-Fi 디스플레이 마스터 싱크 디바이스 및 다수의 종속적인 싱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싱크-중심 RTSP-기반 그룹 세션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한다. 소스가 개별적인 싱크들 또는 싱크들의 그룹과 그룹 세션을 개시하는 도 6-9와 반대로, 이러한 방법에서, 하나의 "마스터" 싱크는 소스와 그룹 세션을 개시하고, 이어서 다른 "종속적인" 싱크들을 그룹 세션에 초대한다.
[00145] 단계(1061)에서, Wi-Fi 디스플레이 마스터 싱크(1010)는 Wi-Fi 디스플레이 소스(1000)와 발견 단계를 개시한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도 5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룹 세션 관리 정보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견 단계는 채널 상의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1, 6 또는 11)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견 정보는 프로브 요청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들을 통해 소스(1000)와 마스터 싱크들(101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00146] 단계(1062)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또한 소스(1000)와 서비스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00147] 단계(1063)에서, 소스(1000)는 단계들(1061 및 1062)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1050)에 표시하고, 마스터 싱크(1010)가 접속되었다는 것을 사용자(1050)에게 통지할 수 있다.
[00148] 단계(1064)에서, 소스(1000) 및 마스터 싱크(1010)는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속 설정은 Wi-Fi 피어-투-피어 링크일 수 있다.
[00149] 단계(1065)에서, 소스(1000) 및 마스터 싱크(1010)는 TCP-기반 RTSP 메시지 교환을 사용하여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능력 정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미디어 코덱, 멀티미디어 포맷, 최소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또는 지원되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DMS 또는 GCR)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1000)는 능력 정보를 교환 및 설정하기 위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와 함께 RTSP OPTIONS 및 GET_PARAMETER 커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1000)는 자신이 "싱크 중심" 그룹으로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그룹을 서빙하려고 의도한 것을 마스터 싱크(1010)에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또한 능력 교환 단계 동안에, 마스터 싱크(1010)는 응답하고 마스터 싱크(또는 "제어 싱크")의 역할을 맡을 수 있다.
[00150] 단계(1066)에서, 소스(1000)는 유니캐스트 RTSP 공고 또는 파라미터 요청을 마스터 싱크(101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1000)는 공고를 전송하기 위한 RTSP ANNOUNCE 커맨드 또는 파라미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SET_PARAMETER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마스터 싱크에 대한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1000)는 WFD-TRIGGER-METHOD=WAIT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도록 대기할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 세션에서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지원이 요구될 때, 소스(1000)는, 예를 들면, ANNOUNCE 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세션 스트리밍 제어를 관리하기 위해 UDP를 통해 RTSPU 방식(IETF RFC 2326)을 사용할 수 있다.
[00151] 단계(1067)에서, 소스(1000) 및 마스터 싱크(1010)는, 마스터 싱크(1010)가 그룹 설정을 위한 요청을 소스(1000)로 전송하고 이어서 단계(1068)를 진행할 때, 일시적으로 통신을 정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중지).
[00152] 단계들(1068 및 1069)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종속적인 싱크들(1020)(이러한 예에서, 종속적인 싱크(1020A) 및 종속적인 싱크(1020B))와 연속하는 발견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발견 단계 동안에 교환되는 발견 정보는 그룹 세션 관리 정보 및 디바이스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싱크(1010)는 피어-투-피어 또는 서비스 발견을 통해 그룹 초대 메시지들을 종속적인 싱크들(10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초대 메시지들은 현재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세션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초대 메시지들은 또한, 싱크 디바이스들이 소스(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RTP/UDP 패킷들에 대한 포트 넘버 및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하는 발견 단계 동안의 정보 교환은 한번에 하나의 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마스터 싱크(1010)는 (단계(1068)에서와 같이) 종속적인 싱크(1020A)와 발견 정보를 교환하고 이어서 (단계(1069)에서와 같이) 종속적인 싱크(1020B)와 발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마스터 싱크(1010)는 또한 종속적인 싱크들의 그룹에 대한 커플링을 설정하고 및/또는 그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 세션에서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지원이 요구될 때, 마스터 싱크(1010)는, 예를 들면, ANNOUNCE 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세션 스트리밍 제어를 관리하기 위해 UDP를 통해 RTSPU 방식(IETF RFC 2326)을 사용할 수 있다.
[00153] 단계들(1070 및 1071)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RTSP 공고를 종속적인 싱크들(1020)(여기서, 종속적인 싱크들(1020A 및 1020B))로 전송할 수 있다. 공고는 종속적인 싱크들(1020)이 그룹 세션에 합류하거나 요청/응답 프로세스에 합류하기 위한 초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고는, 예를 들면, 한번에 하나의 종속적인 싱크로 전송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마스터 싱크(1010)는 (단계(1070)에서와 같이) 공고를 종속적인 싱크(1020A)로 전송하고, 이어서 (단계(1071)에서와 같이) 공고를 종속적인 싱크(1020B)로 전송할 수 있다.
[00154] 단계(1072)에서, 소스(1000)는 단계들(1064-1071)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사용자(1050)에 표시하고, 사용자(1050)가 그룹 세션에 대해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00155] 단계(1073)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RTSP 설정 요청을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RTSP 설정 요청은 그룹 세션 멤버쉽 정보, 예를 들면, 종속적인 싱크들의 넘버 및 식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56] 단계(1074)에서, 소스(1000)는, 자신이 단계(1073)의 요청을 수신 및 승인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마스터 싱크(1010)로 전송할 수 있다.
[00157] 단계(1075)에서, 소스(1000)는 그룹 세션을 설정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그룹 세션의 자신의 설정에서, 소스(1000)는 그룹 세션에 대한 최적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소스(1000)는 또한 이때에 그룹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스(1000)는, 수동 싱크 디바이스들(여기서, 종속적인 싱크들(1020A 및 1020B))이 그룹에 합류할 수 있도록 UDP-기반 멀티캐스트 포트를 통해 자신의 그룹 세션 ID를 광고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도 9에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00158] 단계(1076)에서, 소스(1000)는 자신이 RTSP 그룹 세션 정보의 공고를 마스터 싱크(1010)로 전송할 수 있는 유니캐스트 공고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소스(1000)는 공고를 마스터 싱크(1010)로 전송하기 위해 RTSP ANNOUNCE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1000)는 WFD-TRIGGER-METHOD=PLA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 동안에 소스(10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마스터 싱크(1010)로 플레이하도록 준비가 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 세션에서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지원이 요구될 때, 소스(1000)는, 예를 들면, ANNOUNCE 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세션 스트리밍 제어를 관리하기 위해 UDP를 통해 RTSPU 방식(IETF RFC 2326)을 사용할 수 있다.
[00159] 단계(1077)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자신이 단계(1076)의 공고를 수신하였다고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00160] 단계(1078)에서, 마스터 싱크(1010)는 RTSP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플레이 요청(예를 들면, RTSP PLAY 요청)을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레이 요청은 그룹 세션 ID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00161] 단계(1079)에서, 단계(1078)의 플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소스(1000)는, 예를 들면, "PLAY 응답 OK" 메시지를 통해 플레잉이 시작할 것이라는 것을 마스터 싱크(1010)에 통지할 수 있다.
[00162] 단계(1080)에서, 소스(1000)는 그룹 세션에 합류하도록 새로운 수동 싱크들(예를 들면, 종속적인 싱크들(1020A 및 1020B))에 요청하기 위해 (단계(1075)에 설명된) UDP-기반 RTSPU 멀티캐스트 공고를 계속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1000)는 WFD-TRIGGER-METHOD=PLAY 커맨드 하에서 동작하고, 이 동안에, 소스(1000)는 그룹에 합류할 수 있는 임의의 수동 싱크들(1010)(여기서, 싱크들(1020A 및 1020B))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할 준비가 될 수 있다. 공고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멀티캐스트 프리젠테이션 URL, 코덱 파라미터들, 그룹 IP 어드레스, RTP 포트 넘버, 및 그룹 세션 내의 싱크들 모두에 대한 공통의 세션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고는 또한 응답 타임아웃을 따르고, 도 8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운트 파라미터들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 세션에서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의 지원이 요구될 때, 소스(1000)는, 예를 들면, ANNOUNCE 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세션 스트리밍 제어를 관리하기 위해 UDP를 통해 RTSPU 방식(IETF RFC 2326)을 사용할 수 있다.
[00163] 단계(1080)의 공고 다음에, 임의의 다른 싱크 디바이스는 이러한 시간 후에 그룹에 합류하기 위한 요청을 마스터 싱크(1010)로 전송할 수 있다. 요청하는 싱크 디바이스가 요구된 파라미터들(그룹 세션에 의해 결정됨)을 만족시키면, 마스터 싱크(1010)는 긍정 응답을 요청하는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룹에 합류하기 위한 초대를 요청하는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요청하는 싱크 디바이스가 초대를 수용하면, 싱크 디바이스는 싱크 정보를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소스(1000)는 그룹 세션 파라미터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캐스트 UDP-기반 포트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소스(1000)는 또한 사용자들의 그룹에 대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임의의 다른 MAC 계층으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소스(1000)는,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달이 멀티캐스트 트래픽에 대한 MAC 계층, 예를 들면, 802.11 DMS 또는 GCR 절차들에 의해 요구될 때 그룹 소유자가 되기 위한 자신의 의도를 광고할 수 있다.
[00164] 단계들(1081 및 1082)에서, 단계(1080)의 공고를 수신한 종속적인 싱크들(1020)(여기서, 각각 싱크들(1010A 및 1010B))은, 그들이 공고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RTSP OK 메시지를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RTSP OK 메시지는 한번에 하나의 종속적인 싱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종속적인 싱크(1020A)는 (단계(1081)에서와 같이) RTSP OK 메시지를 소스(1000)로 전송하고, 이어서, 종속적인 싱크(1020B)는 (단계(1082)에서와 같이) RTSP OK 메시지를 소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00165] 단계(1083)에서, 소스(1000)는 그룹 세션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마스터 싱크(1010) 및 임의의 접속된 종속적인 싱크들(1010)(여기서, 종속적인 싱크들(1020A 및 1020B))로 스트리밍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소스(1000)는 "플레잉"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00166] 단계(1084)에서, 접속된 싱크들은 소스(1000)로부터 스트리밍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싱크(1010)는 스트리밍 제어 특징들, 예를 들면, 플레이, 정지,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들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1050)에 의한 이러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스터 싱크(1010)는 자신의 TCP 접속을 통한 UIBC(user input back channel) 능력을 가질 수 있다.
[00167] 도 11은 (예를 들면, 하나의 연속하는 도면으로서 취해지는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세션 관리 정보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엘리먼트 콘텐츠 레이아웃을 예시한다. 서브엘리먼트는, 소스 또는 싱크가 디바이스 발견(예를 들면,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위해 그룹 세션 정보(가령, 도 4-10에 관련하여 논의된 그룹 세션)를 광고할 목적으로 Wi-Fi 디스플레이 정보 엘리먼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서브엘리먼트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발견 동안에 교환해야 하는 최소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168] 프로세스에 참여한 디바이스들은 도 4-10에 관련하여 설명된 피어-투-피어 Wi-Fi 디스플레이 그룹 서비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그룹 세션 가능 소스, 그룹 세션 가능 마스터 싱크 및 다른 싱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아래의 행들(1140, 1160 및 1180)에 관련하여 더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룹 세션에 대한 능력, 그룹 세션의 타입, 그룹 세션 관리 포트 정보 및 멀티캐스트 패킷들의 전달을 위해 MAC 계층에 의한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들에 대한 지원(만약 존재하는 경우)을 표시할 수 있는 예시된 서브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가 한번에 하나보다 더 많은 그룹 세션들을 갖는 경우에, 소스는 각각의 그룹에 대한 하나의 다수의 그룹 세션 관리 정보 서브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169] 일 구현에서, 소스 또는 싱크 디바이스들은 Wi-Fi Direct 서비스 표준으로부터의 서비스 발견 절차들을 지원할 수 있고, 서브엘리먼트 정보는 (예를 들면, Display SeekService에 대한 service_information_request에 포함되는) 서비스 발견을 위한 디스플레이 능력 파라미터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의 표는 이러한 구현의 예를 예시한다.
[00170] 예시적인 서브엘리먼트는 다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 열(1100)은 예시적인 필드들을 열거한다. 일부 필드들은 제안된 옥텟 크기들을 가질 수 있고, 이것은 크기 열(1102)에 열거된다. 필드가 제안된 값을 갖는 경우에, 값은 값 열(1104)에 열거된다. 설명 열(1106)은 각각의 필드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고, 이것은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00171] 행(11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1-옥텟 크기 및 미리 결정된 값을 갖는 "서브엘리먼트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엘리먼트 ID 필드는 Wi-Fi 디스플레이 서브엘리먼트의 대응하는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00172] 행(11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2-옥텟 크기 및 '6'의 값을 갖는 "길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필드는 서브엘리먼트의 임의의 후속 필드들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00173] 행(113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4-옥텟 크기를 갖는 "WFD 그룹 세션 식별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WFD 그룹 세션 식별자 필드는 그룹 Wi-Fi 디스플레이 세션에 대한 RTSP 세션 설정 동안에 소스 디바이스(예를 들면, 도 4-10에 관련하여 설명된 소스)에 의해 할당된 고유한 그룹 세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세션이 이제 시작해야 하는 경우에, WFD 그룹 세션 식별자 필드는 모두-제로 값을 가질 수 있다.
[00174] 행(114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1-옥텟 크기를 갖는 "WFD 그룹 세션 타입"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WFD 그룹 세션 타입 필드는 그룹 세션의 타입을 지정하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룹 세션은 도 4-9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중심 타입일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그룹 세션은 도 10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마스터-싱크 중심 타입일 수 있다. 그룹 세션은 또한 다른 타입들일 수 있다. 그룹 세션의 타입은 비트맵의 첫번째 4 개의 비트들에 표시될 수 있다. 비트맵은 또한 그룹 세션을 관리하는 RTSP 프로토콜 포트의 타입, 예를 들면, TCP 포트, UDP 포트 또는 하이브리드(이들 모두는 도 4-10에 관련하여 설명됨)를 표시할 수 있다. RTSP 프로토콜 포트의 타입은 비트맵의 마지막 4 개의 비트들에 표시될 수 있다.
[00175] 행(115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2-옥텟 크기를 갖는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정보 필드는,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그룹 세션에 대한 RTSP 메시지들을 리스닝할 수 있는 TCP 또는 UDP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정보의 값은 임의의 유효 UDP 또는 TCP 포트 값일 수 있다.
[00176] 행(116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7-옥텟 크기를 갖는 "지원되는 그룹 멀티캐스트 방법"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원되는 그룹 멀티캐스트 방법 필드는 MAC 계층에 의한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 전달을 위한 지원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될 수 있는 지원 시스템들의 예들은 전용 DMS, 블록 ACK를 갖는 GCR(Group Code Recording), 비요청된 재시도들을 갖는 GCR 등을 포함한다. 비트맵은 또한 어떠한 그룹 어드레스 전달 지원도 구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 전달 지원은 비트맵의 첫 번째 8 비트들에 표시될 수 있다. 비트맵이 블록 ACK를 갖는 GCR 또는 비요청된 재시도들을 갖는 GCR을 설정하는 경우에, 지원되는 그룹 멀티캐스트 방법 필드들의 다음의 6 바이트들은 GCR 그룹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이 블록 ACK를 갖는 GCR 또는 비요청된 재시도들을 갖는 GCR 이외의 지원 시스템을 설정하는 경우에, GCR 그룹 어드레스 정보 서브필드는 예비된 채로 남겨질 수 있다.
[00177] 행(117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그룹에 대한 의무적인 파라미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에 대한 의무적인 파라미터 필드는 공통의 멀티미디어 포맷에 대한 최소 요구된 지원, 레이턴시 또는 버퍼 능력 정보 및/또는 소스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싱크들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룹에 대한 의무적인 파라미터 필드의 값은 선택적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는 최소 레이턴시에 대한 지원, 버퍼 능력들 및/또는 그룹에 대한 의무적인 파라미터 필드에 표시된 트랜스코딩 없이 스트리밍을 위한 콘텐츠의 공통의 멀티미디어 포맷을 요구할 수 있다. 소스가 (예를 들면, 도 8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의 일 구현에서와 같이) 개별적인 싱크 능력들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 또는 싱크 디바이스들이 콘텐츠의 네이티브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소스 또는 싱크들은 콘텐츠를 그룹 세션 동안에 스트리밍을 위해 사용될 의무적인 멀티미디어 포맷 및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1280x720p, 24fps 분해능)로 재인코딩 및/또는 트랜스코딩할 수 있다.
[00178] 행(118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그룹 멤버들 모두의 합(예를 들면, 그룹 멤버들의 수)을 표현하는 7-옥텟 크기를 갖는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는 자신의 첫번째 옥텟에서 각각의 멤버 디바이스의 타입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멤버 디바이스들의 타입 및 상태의 예들은 도 4-10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싱크, 규칙적인 싱크, 멀티캐스트 가능, 유니캐스트-전용 등의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는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 또는 임의의 다른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어드레스 또는 고유한 식별자는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의 마지막 6 옥텟들에 위치될 수 있다.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가 단일 엔트리(예를 들면, 7 바이트들)를 홀딩하는 경우에, MAC 어드레스 필드는 모두 제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옥텟은 그룹 내의 능동 디바이스들 또는 멤버들의 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소스 및/또는 마스터 싱크는 그룹에 합류하기 위한 최근의 멤버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WFD 그룹 멤버 정보 설명자 필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00179] 일부 구현들에서, 서브엘리먼트는 또한 부가적인 필드들(펑처링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필드들의 예들은 디바이스 카테고리들(예를 들면, 그룹 세션 가능 소스, 그룹 서비스 가능 마스터 싱크 등) 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되는 모드(예를 들면, 피어-투-피어 GO, 소프트-AP, 역할에 대한 선호도 없음 등)에 관한 정보에 관련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80] 도 12는 그룹 세션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플레인 스택의 예를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플레인 스택의 하나의 인스턴스는 각각의 그룹 세션이 지원되기 위한 콘텐츠 프로세싱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아래의 방법들을 사용하면, 싱크 디바이스들의 그룹(예를 들면, 도 4-10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싱크 디바이스들)으로의 프레임 전달을 핸들링하기 위한 시스템 MAC 계층 능력들을 (즉, RTSP 스트리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플레인 스택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의 데이터 플레인 스택 예시는 몇몇의 세션 그룹들 및 자신들의 콘텐츠, 가령, 그룹-A 콘텐츠(1200A) 및 그룹-K 콘텐츠(1200K)를 포함한다. 각각의 그룹은, 동일한 요구된 멀티미디어 포맷을 수신하고 및/또는 최대 레이턴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든 싱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레인 스택은 또한 공통의 RTSP 제어(1205) 및 TCP/UDP 정보(1210)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특정되지 않은 자원들 및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한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플레인 스택들은 또한 시스템 및 모든 그룹들에 걸쳐 공통의 컴포넌트들, 가령, IP 소켓(1215) 및 Wi-Fi 피어-투-피어/TLDS 및 Wi-Fi 보호 설정 핸들링 유닛들(1220)을 사용할 수 있다. 싱크 그룹들 각각에 대해 전용화된 데이터 플레인은 비디오 코덱(1230), 오디오 코덱(1235), PES(packetized elementary system) 정보(1240), HDCP 2.0/2.1 정보(1245), MPEG2-TS 정보(1250), RTP 정보(1255) 및 UDP 정보(1260)와 같은 개별적인 컴포넌트들 또는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레인 스택은 1225로서 프레임들을 그들 각각의 그룹 어드레스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00181] 싱크들의 그룹(예를 들면, 도 12에서 위에 디스플레이된 그룹들) 내의 미디어 콘텐츠 전달에 대해, 802.11aa로부터의 DMS(Directed Multicast Service) 또는 GCR(Group-Cast with Retries) 절차들은 MAC 계층 신뢰성 및 강인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MS 또는 GCR 전달 방법들에 대한 정확한 재송신 절차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그룹 내의 소스 및 싱크들의 능력들,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수, 채널 조건들, 대역폭 요건들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건들이 주어지면, 멀티미디어 전달 방법들에 대한 몇몇의 옵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소스는 아래의 예들에 기초하여, DMS 전용, 비요청 GCR 전용, 블록 ACK를 갖는 GCR, DMS 및 GCR 양자, 비-GCR 등인 것으로 그룹 세션 전달 방법을 공고할 수 있다.
[00182]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소스가 싱크 디바이스들과 초기 설정을 위해 하나의 MPEG2-TS 및 RTP/UDP 흐름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후속으로, 소스는 멀티캐스트 IP 패킷을 사용하고, DMS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MAC 프레임들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수의 유니캐스트 MAC 송신들의 신뢰성을 제안한다.
[00183]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은 비요청된 재시도들을 갖는 GCR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소스는 데이터 프레임들을 GCR 어드레스로 송신할 수 있고, 이것은 Wi-Fi 디스플레이 정보 엘리먼트(도 11에 관련하여 설명됨) 및 RTSP 메시지들에서 광고될 수 있다. 소스는 또한, 개별적인 데이터 프레임들이 싱크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된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개별적인 데이터 프레임들을 재송신할 수 있다. 소스가 프레임들을 재송신하는 경우에, 소스는 자신의 재송신 정책을 싱크 디바이스들에 광고할 수 있다.
[00184] 멀티미디어 전달을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은 블록 ACK를 갖는 GCR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데이터 프레임들은 멀티캐스트를 통해 GCR 어드레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소스는 MAC 프레임들의 블록의 마지막에서 블록-ACK 요청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타임아웃 기간 내에 블록 ACK를 반환할 수 있다.
[00185] 멀티미디어 전달 방법들에 대한 위의 예시적인 방법들 중 어느 것도 (예를 들면, 소스 또는 싱크 디바이스들의 제한된 능력들로 인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 그룹 스트리밍은 비-GCR 멀티캐스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비-GCR 멀티캐스트 방법은 ACK 요청들 또는 재시도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소스 및/또는 많은 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그룹-어드레스 프레임 전달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소스는 피어-투-피어 GO 또는 소프트 AP로서 동작할 수 있고, UDP 스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IP 패킷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해 규칙적인 멀티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비트스트림은 데이터 플레인 스택들(예를 들면, 코덱들, PES, HDCP, MPEG2-TS/RTP/UDP 등)의 하나의 인스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MAC 계층은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인스턴트들에서 이들 프레임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멀티캐스트 프레임들에 대해 낮은 데이터 레이트들 및 높은 패킷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TSP 킵-얼라이브 타임아웃은, 싱크들이 접속되고 임의의 다른 피드백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RTSP)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00186] 전술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전압에 대한 응답으로 전류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방 회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전압의 양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00187]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계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188]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유형의 매체 상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유형의 매체 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00189]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90]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 및 기능들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191] 본 개시내용을 요약할 목적으로, 본 발명들의 특정 양상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본원에 설명되었다. 모든 그러한 이점들이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반드시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교시 또는 제안될 수 있는 다른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고서도 본원에 교시된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들의 그룹을 달성 또는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00192]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수정들은 용이하게 명백하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한다.

Claims (30)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고,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 상기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됨 ― ,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는 코덱 정보, 디스플레이 분해능, 비디오 포맷 및 오디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또한 멀티캐스트 구성, 유니캐스트 구성 및 콘텐츠 스트리밍을 위한 그룹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신뢰할 수 있는 그룹캐스트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신은 강인한 멀티캐스트 프레임 전달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인한 멀티캐스트 프레임 전달 기술은 802.11aa 표준의 확인응답 및 재시도 절차들에 기초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통해 상기 그룹 세션을 설정 및 유지하고, 그리고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이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그룹 세션 ID,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상기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어 메시징 방식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세션 ID, 포트 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메시지 또는 후속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에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능력 정보를 수신하려고 대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의 능력 정보의 수신을 우회하고, 그리고
    콘텐츠 스트리밍을 위해 미리 결정된 세트의 그룹 세션 파라미터들을 갖는 제어 메시지를 즉시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에서 개시된 요청,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개시된 요청,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연관된 그룹 세션 ID로부터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부가 또는 제거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은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자신의 능력 없음(inability)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능력 없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상기 그룹 세션 ID, 세션 타입,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교환을 포함하고,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는 상기 장치의 그룹 세션 능력,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데이터의 세트, 그룹 세션 타입 및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의 표시를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는 미리 설정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Wi-Fi Direct 서비스 표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추가로 교환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5.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는 단계,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됨 ― ,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통해 상기 그룹 세션을 설정 및 유지하는 단계, 및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이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그룹 세션 ID,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상기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어 메시징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장치에서 개시된 요청,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개시된 요청,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연관된 그룹 세션 ID로부터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부가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은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자신의 능력 없음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능력 없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상기 그룹 세션 ID, 세션 타입,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교환을 포함하고,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는 장치의 그룹 세션 능력,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데이터의 세트, 그룹 세션 타입 및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의 표시를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는 미리 설정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Wi-Fi Direct 서비스 표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추가로 교환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는 방법.
  2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됨 ― ,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통해 상기 그룹 세션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이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그룹 세션 ID,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상기 비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어 메시징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서 개시된 요청,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개시된 요청,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연관된 그룹 세션 ID로부터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부가 또는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은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자신의 능력 없음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능력 없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과 Wi-Fi 피어-투-피어 접속들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상기 그룹 세션 ID, 세션 타입,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바이스들의 그룹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교환을 포함하고,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는 상기 장치의 그룹 세션 능력,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데이터의 세트, 그룹 세션 타입 및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의 표시를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는 미리 설정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Wi-Fi Direct 서비스 표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추가로 교환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
  27.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 송신하게 하고,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에 접속하게 하고,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그룹 세션 ID 및 수송 포트 넘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게 하고 ― 상기 수송 포트 넘버는 그룹과 연관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됨 ― ,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게 하고,
    상기 그룹 세션 ID와 연관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수송 포트 넘버를 사용하여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따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각각으로 송신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장치에서 개시된 요청,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서 개시된 요청,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연관된 그룹 세션 ID로부터 Wi-Fi 피어-투-피어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부가 또는 제거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불충분한 능력은 세션 타입을 지원하는 자신의 능력 없음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능력 없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교환을 포함하고,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는 상기 장치의 그룹 세션 능력, 그룹 세션 관리 제어 포트 데이터의 세트, 그룹 세션 타입 및 콘텐츠 스트리밍에 사용될 스트리밍 파라미터들의 세트의 표시를 적어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견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는 미리 설정된 Wi-Fi 피어-투-피어 접속을 통해 Wi-Fi Direct 서비스 표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추가로 교환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KR1020167018166A 2013-12-13 2014-11-13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 KR101841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6,611 2013-12-13
US14/106,611 US9699500B2 (en) 2013-12-13 2013-12-13 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procedures for supporting multiple groups of sink devices in a peer-to-peer wireless display system
PCT/US2014/065455 WO2015088700A1 (en) 2013-12-13 2014-11-13 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procedures for supporting multiple groups of sink devices in a peer-to-peer wireless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310A true KR20160098310A (ko) 2016-08-18
KR101841591B1 KR101841591B1 (ko) 2018-03-23

Family

ID=5229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166A KR101841591B1 (ko) 2013-12-13 2014-11-13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99500B2 (ko)
EP (1) EP3081047A1 (ko)
JP (1) JP6382317B2 (ko)
KR (1) KR101841591B1 (ko)
CN (1) CN105830522B (ko)
BR (1) BR112016013535A2 (ko)
WO (1) WO2015088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6773B2 (en) * 2009-06-30 2013-11-05 Intel Corporation Wireless access point with digital television capabilities
US9197680B2 (en) * 2013-05-23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audio and voice back channels of a Wi-Fi display connection
WO2014189318A1 (en) * 2013-05-23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xy based communication scheme in docking structure
US10749761B1 (en) * 2013-09-27 2020-08-18 Amazon Technologies, Inc. Unique user session tracking in adaptive bitrate video delivery
CN110971496B (zh) * 2013-12-20 2022-05-27 三星电子株式会社 智能家居设备的连接方法及其装置
WO2015111289A1 (ja) * 2014-01-23 2015-07-30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復号方法、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AU2014382177B2 (en) * 2014-02-06 2017-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Wi-Fi display service and device for same
WO2015130148A1 (ko) * 2014-02-28 2015-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5133818A1 (ko) * 2014-03-04 2015-09-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WI616808B (zh) * 2014-06-30 2018-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分享顯示畫面的方法及裝置
US20160073250A1 (en) * 2014-09-05 2016-03-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scovery of a wireless device
US10098168B2 (en) * 2014-12-08 2018-10-09 Apple Inc.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atapath
US20160188279A1 (en) * 2014-12-27 2016-06-30 Intel Corporation Mode-switch protocol and mechanism for hybrid wireless display system with screencasting and native graphics throwing
US9998879B2 (en) * 2015-01-08 2018-06-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traffic to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9801039B2 (en) 2015-01-08 2017-10-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data between awareness networking devices
CN104657099B (zh) * 2015-01-15 2019-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投射方法、装置及系统
US9602998B2 (en) 2015-01-21 2017-03-21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in a data link group
US20160234031A1 (en) * 2015-02-05 2016-08-11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Application Level Multicasting with Peer-Assisted Application Level Feedback for Scalable Multimedia Data Distribution in WiFi Miracast
US10455401B2 (en) 2015-02-24 2019-10-22 Apple Inc.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atapath—reciprocation and coexistence
EP3273712B1 (en) * 2015-03-17 2021-12-29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212574B2 (en) 2015-03-20 2019-02-19 Apple Inc.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atapath—base scheduling, scheduler rank, and further service discovery
US20160308917A1 (en) * 2015-04-20 2016-10-20 Intel Corporation Sensor input transmission and associated processes
US10547896B2 (en) * 2015-04-21 2020-01-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display streams
US10893083B2 (en) 2015-05-25 2021-01-12 Apple Inc.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datapath—scheduling, scheduler rank, and pre-datapath operation triggering
US9913298B2 (en) * 2015-06-24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establish groupcast with retries ser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over bridged links
CN108141565A (zh) * 2015-09-30 2018-06-08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5430433B (zh) 2015-10-29 2019-02-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091264B2 (en) * 2015-12-26 2018-10-02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streaming device role reversal
US11019385B2 (en) * 2016-01-20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selection for networked media devices
US20170257751A1 (en) * 2016-03-05 2017-09-07 Ofinno Technologies, Llc Off-Network Wireless Mission Critical Session Initiation
WO2017155271A1 (ko) 2016-03-07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포트를 통해 스트리밍을 제공받는 방법 및 장치
US10033789B2 (en) * 2016-09-29 2018-07-24 Intel Corporation Connectionless wireless media broadcast
CN106454446A (zh) * 2016-09-29 2017-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投影装置和方法
KR20180039341A (ko) * 2016-10-10 201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986499B1 (en) 2016-11-07 2018-05-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based determination of channel for initiating peer-to-peer session
US10602557B2 (en) 2016-11-30 2020-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covering and protecting data streams in multi-path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10455632B2 (en) * 2016-11-30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identification of network connection preferences
EP3370388B1 (en) * 2017-03-01 2021-05-05 EPOS Group A/S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eavesdropping
US11330037B2 (en) * 2017-06-16 2022-05-10 Barco N.V.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data over a network
CN107801065A (zh) * 2017-09-12 2018-03-13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基于WiFi Display的多媒体文件共享方法、设备以及系统
CN107509176A (zh) * 2017-09-13 2017-12-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群组的建立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7149513B2 (ja) * 2018-06-21 2022-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US11805289B2 (en) 2018-11-20 2023-10-3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distribution
JP2022051975A (ja) * 2019-02-12 2022-04-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AU2019431307B2 (en) * 2019-02-27 2023-04-27 Spreadtrum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Wireless connection method, device group,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063992B1 (en) * 2020-03-30 2021-07-13 Tencent America LLC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NBMP) workflow management through 5G framework for live uplink streaming (FLUS) control
US11943054B2 (en) * 2020-04-17 2024-03-26 Apple Inc. Block acknowledgment for a multicast transmission with multiple concurrent streams
US11765214B2 (en) * 2020-04-17 2023-09-19 Apple Inc. Group communications platform
KR102494091B1 (ko) * 2020-09-24 2023-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의 ack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220360838A1 (en) * 2021-05-04 2022-11-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irect media connection of a rear-seat entertainment unit
US11637880B2 (en) * 2021-05-06 2023-04-25 Spotify Ab Device discovery for social playback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2751A (ja) * 1999-05-17 2000-1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同報通信方法及び同報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069583A (ja) 1999-08-25 2001-03-16 Sony Corp 情報信号伝送方法、情報信号伝送システム、情報信号送信装置および情報信号受信装置
AU1115001A (en) * 1999-10-22 2001-05-08 Activesky, Inc. An object oriented video system
US7062222B2 (en) * 2001-12-17 2006-06-13 Nokia Corporation Initiat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broadcast program
US7701915B2 (en) * 2003-06-27 2010-04-20 Nokia Corpor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04600A1 (en) * 2004-11-12 2006-05-18 Sfx Entertainment, Inc. Live concert/event video system and method
US20070200920A1 (en) * 2006-02-14 2007-08-30 Walker Mark R Digital communications adaptor
WO2007116703A1 (ja) * 2006-03-28 2007-10-18 Ntt Docomo, Inc. セントラルノード、基地局および移動局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US9319741B2 (en) *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US20090305790A1 (en) * 2007-01-30 2009-12-10 Viti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of Game Appliance Execution and Rendering Service
US7865558B2 (en) * 2007-05-07 2011-0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TB messaging system
EP2822284B1 (en) * 2007-10-04 2015-12-30 Microchip Technology Germany GmbH Real-time video transmission system
US8285223B2 (en) * 2008-12-18 2012-10-09 Sony Corporation Wireless link status presentation for wireless displays
US9113042B2 (en) * 2009-08-28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Multi-wireless device channel communications
FR2949936A1 (fr) * 2009-09-04 2011-03-11 Korea Electronics Telecomm Dispositif terminal participant, serveur a couplage filaire et sans fil pour supporter une participation a une emission, et procede de fourniture d'un service d'emission participationnelle
US9137485B2 (en) * 2010-01-21 2015-09-15 Cadence Design Systems, Inc. Home network architecture for delivering high-speed data services
US8374113B2 (en) * 2010-06-03 2013-02-12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ed gateway for reliable multicast wireless video
US8671434B2 (en) * 2010-07-08 2014-03-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s via a set-top box
US20120054806A1 (en) * 2010-08-28 2012-03-01 Zvi Reznic Methods circuits & systems for wireless video transmission
WO2012030318A1 (en) * 2010-09-03 2012-03-08 Packetvide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CA2834046C (en) * 2011-05-24 2017-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dditional service using the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US8887222B2 (en) 2011-09-1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ing in a wireless display system
US8973082B2 (en) * 2011-10-26 2015-03-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active program system
CN103368935B (zh) 2012-03-11 2018-08-07 三星电子株式会社 在Wi-Fi显示网络中提供增强Wi-Fi显示会话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2757A1 (en) 2015-06-18
JP2017500805A (ja) 2017-01-05
CN105830522B (zh) 2019-05-21
KR101841591B1 (ko) 2018-03-23
CN105830522A (zh) 2016-08-03
BR112016013535A2 (pt) 2017-08-08
US9699500B2 (en) 2017-07-04
EP3081047A1 (en) 2016-10-19
WO2015088700A1 (en) 2015-06-18
JP6382317B2 (ja)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591B1 (ko) 피어―투―피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그룹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제어 절차들
US8887222B2 (en) Multicasting in a wireless display system
US9479584B2 (en) Synchronous media rendering of demuxed media components across multiple devices
US8683007B2 (en) Seamless transfer of media streams
KR101214023B1 (ko) 다중 멀티캐스트 스트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절차
US9648073B2 (en) Streaming control for real-time transport protocol
EP26401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nhanced wi-fi display session in a wi-fi display network
JP6279621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ims)ベースのピアツーピア(p2p)コンテンツ配信
US201303326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data streaming
RU2701489C2 (ru) Беспроводная док-система для аудио-видеоретрансляции
US10070273B2 (en) Multicast group management technique
WO2010108416A1 (zh) 转发可伸缩视频编码数据报文的方法、设备和通信系统
WO2013185110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data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