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96A -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 Google Patents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96A
KR20160097996A KR1020150070166A KR20150070166A KR20160097996A KR 20160097996 A KR20160097996 A KR 20160097996A KR 1020150070166 A KR1020150070166 A KR 1020150070166A KR 20150070166 A KR20150070166 A KR 20150070166A KR 20160097996 A KR20160097996 A KR 2016009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wall
side frames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완
Original Assignee
김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완 filed Critical 김창완
Publication of KR2016009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06C1/36Ladders suspendable by hoo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구조적인 안정성과 선박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난간에 걸림되는 사다리로서, 복수의 사이드프레임;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프레임이 상호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부; 및 상단의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며 난간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하측으로부터 1단 및 2단을 연결하는 힌지부 또는 2단 및 3단을 연결하는 힌지부 중의 적어도 한 쌍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하선용 절첩사다리{COLLAPSIBLE LADDER FOR BOARDING AND LEAVING A SHIP}
본 발명은 사다리와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구조적인 안정성과 선박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상적으로 선착장에 선착한 선박들은 사다리 및 평판 등을 선체와 선착장에 연결하고 이용자가 안전하게 승선 및 하선이 되도록 하는데, 만조와 간조로 인해 발생되는 해수면의 변동으로 인해 완벽한 발판구실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선체와 선착장의 높이가 일치할 때는 평면상의 족장판을 사용하고, 선착장보다 선체가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사다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단순하게 평판으로 된 족장판은 조금이라고 경사가 생기면 쉽게 미끄러져 넘어지기 쉽고, 사다리의 경우 지지상태의 불안정성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승하선용 사다리는 지주대에 일정각도를 유지한 채로 고정된 사다리가 있으나 이는, 각도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선박의 승하선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선체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형태의 사다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6148호는 선박 작업용 안전사다리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작업용 안전사다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메인 프레임(12)이 발판 기능을 하는 발판부들을 연결하고, 상측에 인출되는 서브 프레임(14)과 서브 프레임 선단부에 걸이부(18)가 포함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 어느 정도 선박의 움직임에 대해 유연성을 가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나, 보관이나 이동 과정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수상에 부유하는 선박의 움직임에 의하여 함께 움직이며 특히 선박과의 고정은 걸이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사람이 오르내림에 있어서 매우 불안정하다.
특히, 걸이부의 걸림이 일부 해제되는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단의 이동의 폭이 매우 커서 원활하게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인 신뢰성이 우수한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선박과 사다리의 체결력을 향상하여 이용자의 승하선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는 절첩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체의 난간에 걸림되는 사다리로서, 복수의 사이드프레임;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프레임이 상호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부; 및 상단의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며 난간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측의 사이드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양측에 이격되는 일측판부와 타측판부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하측의 사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측연결부 및 상기 하측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일측판부와 타측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중심판부로 이루어지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몸체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삽입되어 사이드프레임들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걸림부재 및 제1몸체에 결합되어 걸림부재의 걸림해제상태를 고정하는 버튼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절첩사다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관 및 이동 간에 공간적인 효율이 향상되고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는, 걸림부재가 걸림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고정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부재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인출고정부가 노출되도록 어느 일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인출고정부는, 걸림부재의 걸림해제상태에서 버튼부가 회전되어 버튼고정부재의 상단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절곡부와, 상향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향절곡부와, 하향절곡부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부에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은 그 하측의 사이드프레임들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벽체와 난간의 형상 또는 벽체의 전후방향의 운동에 따라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설치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힌지부는, 사이드프레임들이 직립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교번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6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인 활용성이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 절첩사다리를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기구로서, 발판프레임에 걸림되는 발판고정부, 발판고정부와 함께 사이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사이드고정부 및 벽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작용하여 고정시키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발판고정부는, 발판프레임의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고정부는, 발판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발판프레임과 함께 각각 사이드프레임의 양면을 지지하는 연장부와, 사이드프레임의 전면을 지지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의 난간에 걸림되는 사다리로서, 복수의 사이드프레임;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프레임이 상호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부; 및 상단의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며 난간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하측으로부터 1단 및 2단을 연결하는 힌지부 또는 2단 및 3단을 연결하는 힌지부 중의 적어도 한 쌍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부는, 사이드프레임들 펼쳐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전후방향에 교번하여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사이드프레임들을 0도로 절첩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이드프레임 상호간에 후크부가 걸림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들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절곡부와, 상향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향절곡부와, 하향절곡부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단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에서 벽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하방향의 위치를 고정하고, 하측지지부는 단부측이 벽체에 밀착되어 하단측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부는, 기울어진 벽체에 대하여 하단측의 발판프레임을 벽체로부터 이격하여 발디딤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기울어진 선체로의 진출입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부는, 벽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작용하여 고정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 따라, 특히 선박에 있어서 단정이나 바닥면에 지지됨이 없이 난간측에 후크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특히 환경에 대응하여 경사가 필요하거나 어느 정도의 유동이 요청되는 경우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승하선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사다리로서 펼쳐서 견고한 사용이 가능하므로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사다리의 선택적인 부위를 바닥이 아닌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지지가 가능하므로 승하선이나 선박의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의 효율성은 극대화된다. 특히, 해상사고와 같이 선박이 기운 상태에서 최적화되고 안전한 형태로서 배치되어 견고하고 승하선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종래의 선박 작업용 안전사다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상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힌지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상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절첩사다리 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절첩사다리 고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절첩사다리 고정기구를 전방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힌지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및 이의 고정기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벽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후크부와, 후크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되 복수의 힌지부를 통하여 사이드프레임이 절첩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사항과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벽체(110)에 탈착될 수 있는 형태의 사다리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되나, 예를 들어 항공기, 담장이나 건물의 벽과 같이 상측으로 이용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벽이나 지하와 같은 장소에 사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을 정의하고, 벽체(110)를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선박에 구성되는 경우 벽체(110)는 단정(130)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난간(1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난간(120)이란 도시사항과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기본적으로 설명하나 하측으로 단턱진 경우 등 후술될 후크부(1100)가 걸림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벽체(110)는 수상에 부유하는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통상의 사다리를 적용하는 경우 하단이 단정(130)에, 상단이 난간(120)에 지지되어 단정과 벽체 사이의 거리가 변동되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다리의 하단을 자유단으로 구성하고 상단의 걸림구조를 견고하게 하면서, 추가적으로 하측을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기구를 제시한다.
후크부(1100)는 선박의 난간(120)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후크부(110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선박의 경우 난간(120)이 가로바 및 세로바들이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단턱을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후크부(1100)의 형상은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하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고정력과 유동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다리부(1200)는 사이드프레임들이 높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러한 배열의 상단에는 후크부(1100)와 결합된다. 이러한 후크부(1100)는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과 체결부재(참조번호 미표시)에 의하여 체결되어 후술될 바와 같이 힌지부(1210)를 중심으로 하는 사이드프레임의 상호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들은 사다리부(1200)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간에 힌지부(1210)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이러한 힌지부(1210)는 절첩사다리(1000)의 보관이나 이동과정에서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힌지부(1210)들을 통하여 어느 한 측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들의 길이와 개수는 선택적이나, 후술될 바와 같이 보관 및 사용상태에서의 폭과 길이를 고려하면 6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기구(1300)는 사다리부(1200)의 하측 또는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해서 벽체(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기구(1300)와 벽체(110)의 결합은 자력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첩사다리에서 후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사다리부(1200)는 상기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201)들이 종방향으로 힌지부(1210)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양측에서 마주보는 사이드프레임(1201)들은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발판프레임(1202)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용자는 힌지부(1210)를 중심으로 사이드프레임(1201)들을 펼쳐서 발판프레임(1202)을 발판으로 하여 승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에는 발판프레임(1202)이 생략되어 후크부(1100)를 고정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에는 상단측에 후크부(1100)가 체결될 수 있고, 이러한 벽체(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난간(120)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다리부(1200)의 하단이 단정(130)이나 바닥면에 직접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후크부(1100)의 난간(120)으로부터의 이탈 가능성이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후크부(1100)는 전방측으로 절곡 및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전방측에서 하향 절곡되고 다시 하향 절곡된 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1120)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명에 따라, 후크부(1100)는 사이드프레임(1201)과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상승하면서 돌출되는 상승절곡부와, 상승절곡부의 전방단부에서 하향으로 연결되는 하향절곡부와, 하향절곡부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1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향절곡부의 후방측 모서리는 실질적으로 난간(120)의 내측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돌부(1120)는 후크부(1100) 전체가 벽체(110)와 절첩사다리(1000) 간의 상대적인 이동 과정에서도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걸림턱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부(1120)가 배치되는 높이 및 형태는 난간(120)의 형태를 고려하여 선택적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선박의 난간(1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후크부(1100)가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필요시에 사이드프레임(1201)에 탈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난간(120)과의 밀착은 최대한 후크부(1100)의 전방측에 인접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상승절곡부는 저부에서 상향경사진 형태로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향절곡부와 상승절곡부의 연결부위의 내주측으로 가장 높은 홈 형태인 상단요홈(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요홈(1110)은 특히 바 형태의 난간에 고정시 유용하며, 다양한 형태에의 유연한 대응을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이드프레임(1201) 간의 연결은 상호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12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힌지부(1210)는 상대적으로 상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1220)와,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상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몸체(1230)의 결합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220)는 상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원반의 일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몸체(1230)는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1몸체(1220)와 동심원의 일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구조적인 견고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몸체(1220)는 양측의 판 형상의 부재가 그 사이의 공간에 제2몸체(1230)와 밀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구성은 상호간에 치환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형태의 경우 후술될 버튼부(1240)의 배치를 고려하여 제1몸체(1220)를 이루는 판부재의 직경은 제2몸체(1230)를 이루는 판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제2몸체(1230)의 전방측으로는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상단의 일부가 하부단턱(1231)을 구성하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측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단턱(12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단턱(1231)과 제1단턱(1221)은 사다리부(1200)가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각도는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201)간에 절첩되어 접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몸체(1220)에 인접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의 모서리측에는 제2단턱(12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2단턱(1222)은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모서리에 맞닿은 상태로서 절첩되는 한계 각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2단턱(1222)이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과 밀착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상측과 하측에서 인접되는 사이드프레임(1201)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220)와 제2몸체(1230)에는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홀은 버튼부(1240)에 연결되는 샤프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되어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고정하도록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부(1240)는 제1몸체(1220)의 제2몸체(1230)에 대한 회전에 따라 함께 움직이므로 제1몸체(1220)에는 단일의 홀이 형성되며, 제2몸체(1230)에는 최소한 상호 인접되는 사이드프레임(1201) 간에 일직선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1230)에는 평행하게 절첩된 상태를 고정하는 추가적인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하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201)들이 힌지부(1210)에 의하여 상호 회동됨에 있어서, 수납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교번된 형태로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이 차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하여 전방으로 절첩되는 경우, 차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은 차차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하여 후방으로 절첩되는 것이 공간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이드프레임(1201)들 간에 평행하게 절첩되어 수납되고 일직선상으로 펼쳐져서 사다리로서 사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벽체(110)의 움직임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사용 간에 각도가 가변되는 개념이 추가적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각도의 가변의 개념은 전체적인 사이드프레임(1201) 간의 연결관계에 전부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용자를 지탱하는데 안정성의 문제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과 차상단의 사이드프레임 간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후크부(1100)에 체결되는 사이드프레임(1201)과 이에 바로 인접되는 사이드프레임(1201)간에는 각도가 가변되며, 더욱 정확하게는 상호간에 수직 상태에서 후크부(1100)에 체결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이 이에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의 가변 구조는 상기된 상승절곡부와 난간(120)의 결합관계에서 더욱 유용한바, 벽체(110)의 전후방으로의 유동 또는 난간(120)의 벽체(110)에 대한 후방측으로의 돌출 배치의 경우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도 4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힌지부의 제1몸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0)는 상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에 결합되어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에 결합되는 제2몸체(123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도 4의 (a)는 제1몸체의 평면도로서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측에 결합되는 연결부(1225)와, 연결부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b)는 제1몸체의 측면도이며, 대략 사각형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25)와, 이로부터 연장되고 원형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측판부(1223)를 도시하고 있다.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후술될 바와 같은 제2몸체(1230)의 중심판부를 개재하게 된다.
제2몸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샤프트홀(1236)이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3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1225)의 하단측에는 제2몸체의 하부단턱과의 접촉을 위하여 수평면을 가지는 제1단턱(1221)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절첩상태에서 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수직면을 가지는 제2단턱(1222)이 형성된다. 도 4의 도시사항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의 상태에서 반전되어 90도 회동된 상태로 나타내었다.
또한, 제1몸체(1220)와 제2몸체(1230)의 회동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버튼부(124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버튼부(1240)는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2몸체(1230)와의 걸림 및 걸림해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40)는 강성의 고려를 위하여 연결부(1225)와 일측판부(1223) 및 타측판부(1224)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힌지부에서 제1몸체가 버튼부 및 샤프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50)는 샤프트홀(1236)을 관통하여 일측판부(1223) 및 타측판부(1224)를 연결하고, 이와 함께 그 사이에 제2몸체(1230)의 중심판부를 함께 연결하여 동축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버튼부(1240)는 단부측의 소정의 걸림부재가 제2몸체의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버튼부(124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버튼부(1240)의 인출가이드 및 고정을 위하여 버튼고정부재(1243)가 제1몸체(1220)의 양측 중에 어느 한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버튼고정부재(124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최소한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서 형성된다.
버튼부(1240)로부터 연장되는 걸림부재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고정부재(1243)는 버튼 및 걸림부재의 인입출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1240)는 버튼고정부재(1243)의 개방되는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인출고정부(1244)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출고정부(1244)는 개구부에서 완전히 들어올려지면 버튼부(1240)와 함께 회전되어 버튼고정부재(1243)의 상단측에 걸림되어 걸림부재와 걸림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버튼고정부재(1243)와 인출고정부(1244)의 작동은 특히, 이용자가 단독으로 펼쳐진 절첩사다리를 절첩시켜서 이동 또는 보관하고자 할 때 사이드프레임 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걸림상태의 해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편리한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1220)와 버튼부(1240)의 사이에는 걸림부재의 삽입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124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제공부(1242)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인장시에 압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은 힌지부에서 제2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몸체(1230)는 제1몸체(1220)의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 사이에 개재되어 샤프트(1250)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는 중심판부(1232)와, 중심판부(1232)에서 연장되고 사이드프레임(1201)에 결합되는 하측연결부(1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심판부(1232)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몸체(1220)의 회전의 가이드 및 걸림상태의 지지를 위하여 일측판부(1223) 및 타측판부(1224)의 반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연결부(1235)는 중심판부(1232)의 어느 한 측으로 연장되며 샤프트홀(1236)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양측에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의 외주에 대응되는 호 형상의 내주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내주에 의하여 제1몸체(1220)의 회동이 가이드되며 사다리의 하중이 분산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측연결부(1235)는 중심판부(1232)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되는 폭은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의 폭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하측연결부(1235)는 사이드프레임(1201)들이 펼쳐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때 제1단턱(1221)에 대응되는 하부단턱(12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부단턱(1231)은 절첩사다리가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중심판부(1232)와 일측판부(1223) 및 타측판부(1224)는 샤프트(1250)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심원의 일부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사다리의 절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심판부(1232)의 일부에는 버튼부(1240)의 걸림부재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홀(1241)이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홀(1241)은 기본적으로 힌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나 복수로서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힌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몸체(12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의 사이에는 제2몸체(1230)의 중심판부(1232)가 개재되고, 샤프트(1250)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하측연결부(1235)는 제1몸체(12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도시사항과 같이 연결부(1225)는 일측판부(1223)와 타측판부(1224)와 연결되도록 'ㄷ'자 형상으로서 소정의 회동공간을 마련한다.
버튼부(1240)는 어느 일측으로 형성되어 버튼고정부재(1243)에 의하여 지지되며, 인출고정부(1244)는 버튼고정부재(1243)의 개방된 측에서 이탈되고 상단에 걸림되어 걸림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몸체(1220)의 제1단턱(1221)과 제2몸체(1230)의 하부단턱(1231)이 밀착된 상태로서 상기 단턱들이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하며 사이드프레임(1201)들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힌지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걸림홀(1241)에 버튼부(1240)가 걸림해제되어 샤프트(1250)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고 연결부(1225)와 하측연결부(1235)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평행하다의 의미는 상하측의 사이드프레임(1201)이 평행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된 후크부가 배치되는 측의 절첩사다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은 양측에서 후크부(1100)와 체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이러한 후크부(1100)는 벽체(110)의 상단 또는 난간(120)에 견고하게 걸림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최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은 하측에 제1몸체(122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몸체(12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판부재일 수 있고, 차상단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몸체(1230)가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1230)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형태로서 걸림홀이 형성되고, 제1몸체(1220)에 결합되는 버튼부(1240)는 이에 걸림되어 펼쳐진 상태 및/또는 절첩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버튼부(1240)는 상기 제1몸체(1220)의 선택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승하선용 사다리의 경우 사용 과정에서 유동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애가 적은 폭방향 내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1240)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샤프트를 이동시켜 걸림홀에 대한 걸림 및 걸림해제의 기능을 수행하며 소정의 탄성력제공수단(미도시)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상태의 경우 외측방향이 탄성력 제공의 방향이 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가 절첩되어 보관 또는 이송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사항과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부(1200)가 절첩되고 이러한 절첩된 사다리부(1200)는 실질적으로 단일의 사이드프레임(1201) 또는 그 중의 가장 긴 사이드프레임(120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보관상태의 공간적인 이점과 파지시 불필요한 회동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부는 절첩상태에서 후크부(1100)의 하향절첩부의 하단부와 인접 배치되고, 이를 위하여 사이드프레임(1201)은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선박의 높이에 대응되면서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프레임(1201)의 개수는 6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후크부(1100)의 폭(ℓ1)은 절첩된 상태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집합인 사다리부(1200)의 폭(ℓ2)에 대응되는 것이 적절하다.
후크부(1100)에 체결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의 힌지부(1210)는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다양한 벽체(110)의 형상 또는 벽체(110)와 절첩사다리(1000) 사이의 사용 간 유동시 각도의 가변을 위하여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러한 최상측의 힌지부(1210)가 후방회동되면, 그 아래에서 순차적으로 전방, 후방 및 전방의 순으로 지그재그형태로서 절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첩상태에서의 절첩사다리(1000)의 높이는 단일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높이와 후크부(1100)의 높이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길이는 선택적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절첩사다리(1000)는 상단의 후크부(1100)에서 지지되며, 하단이 자유단으로서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풍랑이 심한 등의 외부요인에서 안정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사이드프레임(1201)을 벽체(110)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기구를 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사다리의 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사항과 같이 고정기구(1300)는 사다리부(1200)의 하측에서 사다리부(1200)와 벽체(110)와의 고정을 위하여 기능하는데, 이러한 고정의 위치는 선택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기구(1300)는 발판프레임(1202)에 지지되는 발판고정부(1320)와, 상기 발판고정부(13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사이드프레임(1201)에 지지되는 사이드고정부(1330)와, 전방측에서 벽체(110)에 부착되는 자성부(1340)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고정기구(1300)는 절첩사다리(1000)와 벽체(11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측면상 후방측에서 발판고정부(1320)와 사이드고정부(1330)의 사이에 소정의 개구(참조번호 미표시)를 형성한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발판고정부(1320)는 후단측에서 걸고리 형태를 가지고 발판프레임(1202)에 걸림되고, 사이드고정부(1330)는 하나의 사이드프레임(1201)을 양측 및 전방측에서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고정부(1320)와 사이드고정부(1330)는 바디부(1310)에 의하여 연결된 양측의 부재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디부(1310)는 자성부(1340)가 작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자성부(1340)는 벽체(110)를 자화하여 인력을 제공함으로써 바디부(1310)와 벽체(110)가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고정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판고정부(1320)는 도시사항과 같이 대략 평판 형태의 측판부(1321)와, 상기 측판부(1321)의 상측에서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측면상 하측이 개방되는 직사각 형태의 내주를 제공한다. 이러한 발판고정부(1320)의 내주 모서리는 실질적으로 발판프레임(1202)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프레임(1202)이 측면상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내주 모서리의 형태도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방으로 연장된 부위의 하단에서는 후방측으로 연장된 절곡부(1322)가 연결되며, 상기 절곡부(1322)의 상측은 발판프레임(1202)의 저면에 밀착되어 걸림 구조를 가지게 된다.
사이드고정부(1330)는 사이드프레임(1201)을 지지하기 때문에 발판고정부(13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외측이란 고정기구(1300)의 폭방향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이드고정부(1330)는 측판부(1321)의 저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32)와, 상기 연결부(1332)에 연결되고 사이드프레임(1201)의 외면을 지지하는 연장부(1331)와, 사이드프레임(1201)의 전면을 지지하는 안착면부(1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하나의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해서, 전면은 안착면부(1333)에 의하여, 일측면은 연장부(1331)의 내면에서, 타측면은 발판고정부(1320)의 외면에서의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써 4각의 사이드프레임(1201)을 3면에서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프레임(1201)의 나머지 면 후방측으로 노출되나, 발판고정부(1320)의 내주측에서 후방측의 발판프레임(1202)을 지지함으로써 절첩사다리(1000)에 대해 전후좌우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를 위하여 프레임들과 고정기구(1300)를 연결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도시사항을 기초로 사이드고정부(1330)와 발판고정부(1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측으로 어느 하나의 발판프레임(1202)이 삽입되면서 발판고정부(1320)의 내주측에 접촉이 이루어지고, 사이드고정부(1330)가 사이드프레임(1201)에 대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회동되는 방식으로 안착면부(1333)가 사이드프레임(1201)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사이드프레임(1201)의 양측은 각각 연장부(1331)와 발판고정부(1320)에 지지된다.
그러면 자성부(1340)를 작동하여 바디부(1310)를 벽체(110)에 부착함으로써 절첩사다리(1000)의 벽체(110)에 대한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고정기구(1300)와 절첩사다리(1000)의 연결의 해제는 상기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안착면부(1333)에의 사이드프레임(1201)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연장부(1331)와 발판고정부(1320)의 사이에 삽입 가이드할 있도록 연장부(1331)는 후방 단부측으로 갈수록 외주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첩사다리(1000)와 고정기구(1300)의 연결의 용이성을 위하여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35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후방으로 당기는 동작 및 하방으로의 회동동작을 고려하여 가로로 긴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측판부(1321)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자성부(1340)는 바디부(1310)에 형성되는 수용부(1311)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이동은 좌우이동 및/또는 전후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1340)는 벽체(110)측으로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제공하는 부착부(1342)와, 부착부(1342)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이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13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레버(1341)는 자기력의 발생을 활성화하거나 해제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15는 상술된 본 발명의 고정기구를 전방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판고정부(1320)와 사이드고정부(1330)가 각각 또는 함께 발판프레임(1202) 및 사이드프레임(1201)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렇게 지지가 완료되면 바디부(1310)가 벽체(110)에 밀착되어 자성부(1340)의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이 이루어지는데, 부착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바디부(1310)의 전면에는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3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312)은 기본적으로 폭방향의 중심측에 단일로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더욱 강한 부착력이 필요한 경우 자성부(1340)를 복수로서 배치하도록 관통홀(1312)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사항에서는 상호 등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는 예가 제시된다. 이 경우 중심측의 관통홀(1312)에 자성부(1340)가 단일로 배치되거나, 양측의 관통홀(1312)에 두 개의 자성부(1340)가 배치되거나, 세 개 모두에 자성부(1340)가 배치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인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지부재(1400)는 상측으로 사이드프레임(1201)의 연결상태를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부(참조번호 미표시)와, 지지부의전후측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경사면 형태의 지지프레임(참조번호 미표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주부는 상측에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 내지는 홈을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이드프레임(1201)들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단의 형태가 소정의 체결구조를 가지면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상하단에 선택적으로 후크부가 체결되거나 지지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현장 작업의 효율성으로 이어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는 상단에 후크부(1100)를 구비하고 난간(120)에 걸림되는 방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매달리는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선박의 특성상 하측으로 갈수록 단정(130)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렇게 매달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데 큰 문제가 없으며, 하측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기구(1300)가 배치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선박 사고나 이상상황의 경우 선박이 기울어져 배치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예각보다는 둔각의 배치상태가 오르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도 17의 (b)는 이렇게 선박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 하측으로 갈수록 배에서 멀어지고 사다리부(1200)의 일부분에 하중이 지나치게 집중되어 구조적인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첩사다리(1000)가 후크부(1100) 및 사다리부(1200)를 구비하며, 각각의 사이드프레임(1201)을 연결하는 힌지부(1210)의 최소한 어느 한 쌍 이상이 180도 이상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힌지부(1210)는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힌지부(1210)를 의미한다.
기본적인 후크부(1100)와 사다리부(1200)의 구조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사항에서는 하단으로부터 2단과 3단을 연결하는 힌지부(1210)가 회동각도(α)로서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보다 더욱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단으로부터 2단과 3단을 연결하는 힌지부(1210)가 절첩상태를 0도로 설정할 때 대략 200도 정도로 회동각도(α)를 형성하고, 1단과 2단을 연결하는 힌지부(1210)가 대략 185도 정로로 회동각도(α)를 형성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힌지부(1210)가 절첩상태로부터 180도 이상 회동된 경우 벽체(110)의 배치나 형상에 따라서 최적화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은 물론 승하선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힌지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몸체(1220)와 제2몸체(1230)가 상호 0도를 이룬 절첩 상태에서 180도까지 펼쳐질 수 있도록 제1단턱(1221)과 하부단턱(1231)이 형성된 경우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본적인 절첩상태에서 제1단턱(1221)과 하부단턱(1231)은 대략 평행한, 실질적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단턱(1221)과 하부단턱(1231)이 일직선상에서 도시사항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회동각도를 180도 이상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도 19의 (b)와 같이 제1단턱(1221)과 하부단턱(1231)이 서로 마주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는 회동각도(α)가 180도 이상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회동 각도는 0도에서 360도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과도한 회동이 발생된 경우 후크부(110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변형의 자유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승하선시에 각 부위가 흔들리는 불안정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회동 각도는 210도에서 200도 사이에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80도 까지만 회동되는 힌지부(1210)와 180도 이상 회동되는 힌지부(1210)가 선택된 위치에 양측방향에 쌍으로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선박의 형태와 도 17의 (b)와 같이 기울어진 형태를 고려하면 180도 이상 회동되는 힌지부(1210)는 하단측에서 1단 내지 3단의 사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힌지부(1210)의 절첩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이를 고려하면 펼쳐지는 방향이 벽체방향으로 구성되는, 즉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인 경우에만 힌지부(1210)가 180도 이상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있는데, 하단부측의 발판프레임(1202)이 지나치게 벽체(110)에 인접되어 발디딤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기본적인 후크부(1100)와 사다리부(12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사다리부(1200)에서 하단부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201)의 하단측에서 벽체(110)쪽으로 연장되도록 하측지지부(1400)가 형성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하측지지부(1400)는 도 2에 도시된 고정기구(1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하측지지부(1400)의 단부측에는 자성체(미도시)를 구비하여 벽체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첩사다리(1000)의 상측은 후크부(110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지지되고 하측은 하측지지부(1400)에 의하여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의 사용상태도이며, 선박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의 안정적인 승하선을 위하여 힌지부(1210)의 최소한 어느 한 쌍 이상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 경우 하단부측의 발판프레임(1202)의 발디딤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하측지지부(1400)가 기능할 수 있으며, 하측지지부(1400)와 벽체(110) 사이의 간격이 하단측에 배치되는 발판프레임(1202)에의 공간을 마련해준다.
도 22는 본 발명의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서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관의 용이성과 이동상의 간편함을 고려하여 힌지부(1210)를 중심으로 사이드프레임(1201) 간에 0도로 절첩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필요한 장소로 이동된 후에는 각 절첩부위가 180도 내지는 그 이상의 각도로서 펼쳐진 이후에 힌지부(1210)가 배치되는 상단부를 난간(120)이나 선박의 상측까지 들어올려 후크부(1100)가 걸림된 이후에 승하선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선박의 높이가 높은 경우 이러한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사다리부(1200)의 상측에는 롤러부(150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절첩사다리(1000)의 상단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벽체(110)에 밀착되어 구르면서 저항 및 손상을 감소시키면서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배치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롤러부(1500)는 배치상태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후크부(1100)의 돌부(1120)가 배치되는 반대쪽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도 22의 (a)와 같이 절첩사다리(1000)를 펼친 이후에 후크부(1100)가 벽체(110)를 등지도록 위치시키고 롤러부(1500)를 벽체(110)에 밀착시킨 이후에 밀어올리는 과정을 통하여 도 22의 (b)와 같이 소정의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난간(120)과 같은 걸림이 가능한 위치에 인접되게 절첩사다리(1000)가 세워지면 롤러부(1500)의 기능은 종료된 상태이며 다시 후크부(1100)가 벽체(110)를 마주보도록 전후로 반전시킨 이후에 도 22의 (c)와 같이 난간(120)에 후크부(1100)를 걸리도록 함으로써 위치의 고정이 완료된다.
하단측의 고정은 고정기구(1300) 또는 하측지지부(14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롤러부(1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변형 가능한 경우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승하선용 절첩사다리에 따라, 특히 선박에 있어서 단정이나 바닥면에 지지됨이 없이 난간측에 후크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특히 환경에 대응하여 경사가 필요하거나 어느 정도의 유동이 요청되는 경우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승하선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 구조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사다리로서 펼쳐서 견고한 사용이 가능하므로 공간적인 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하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사다리의 선택적인 부위를 바닥이 아닌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지지가 가능하므로 승하선이나 선박의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의 효율성은 극대화된다. 특히, 해상사고와 같이 선박이 기운 상태에서 최적화되고 안전한 형태로서 배치되어 견고하고 승하선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10...벽체 120...난간
130...단정 1000...절첩사다리
1100...후크부 1110...상단요홈
1120...돌부 1200...사다리부
1201...사이드프레임 1202...발판프레임
1210...힌지부 1220...제1몸체
1221...제1단턱 1222...제2단턱
1230...제2몸체 1231...하부단턱
1240...버튼부 1241...걸림홀
1300...고정기구 1310...바디부
1311...수용부 1312...관통홀
1320...발판고정부 1321...측판부
1322...절곡부 1330...사이드고정부
1331...연장부 1332...연결부
1333...안착면부 1340...자성부
1350...손잡이부
1400...하측지지부
1500...롤러부

Claims (6)

  1. 벽체의 난간에 걸림되는 사다리로서,
    복수의 사이드프레임;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발판프레임;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사이드프레임이 상호간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부; 및
    상단의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며 난간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하측으로부터 1단 및 2단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 또는 2단 및 3단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 중의 적어도 한 쌍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이드프레임들 펼쳐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전후방향에 교번하여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사이드프레임들을 0도로 절첩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이드프레임 상호간에 후크부가 걸림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들은 180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사이드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절곡부와, 상향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향절곡부와, 하향절곡부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단측에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에서 벽체측으로 연장되는 하측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하방향의 위치를 고정하고, 하측지지부는 단부측이 벽체에 밀착되어 하단측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기울어진 벽체에 대하여 하단측의 발판프레임을 벽체로부터 이격하여 발디딤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는,
    벽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작용하여 고정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KR1020150070166A 2015-02-10 2015-05-20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KR20160097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9917 2015-02-10
KR1020150019917 2015-02-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000A Division KR101953541B1 (ko) 2018-08-31 2018-08-31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96A true KR20160097996A (ko) 2016-08-18

Family

ID=5687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166A KR20160097996A (ko) 2015-02-10 2015-05-20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463A (zh) * 2021-10-18 2022-01-2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曲周县供电分公司 一种电力工程用攀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463A (zh) * 2021-10-18 2022-01-2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曲周县供电分公司 一种电力工程用攀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669B2 (en) Foldable frame for a boat cover
US7721657B2 (en) Pivotable table
US8028641B1 (en) Convertible bench seat/platform for pontoon boats
US20190217879A1 (en) Tandem Stroller with Sliding Carriage
US10407131B1 (en) Platform and system for boat
US20040231939A1 (en) Bag mounted with casters
US5133275A (en) On board dinghy cradle
KR101953541B1 (ko)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US20020153680A1 (en) Stowable rescue device for patient transport
EP3998910B1 (en) Booster seat for children
EP2892790A1 (en) Child seat with ball shaped infable resilient seating member
KR20160097996A (ko) 승하선용 절첩사다리
US9914508B2 (en) Stowable folding boat step
CN106390370B (zh) 一种跑步机折叠机构
US20090001743A1 (en) Load bearing cover assembly having support ribs that facilitate cargo management
CN209875030U (zh) 一种伸缩折合平台梯
FR2981895A1 (fr) Coffre de rang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automobile comprenant un coffre
CN210204052U (zh) 折叠座椅
EP2221211A2 (en) Suspensi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JPH11152892A (ja) 折畳み式作業台における手摺ロック装置
CN211642522U (zh) 一种可折叠船用斜梯
KR20160000401U (ko) 선박용 핸드 레일
CN210095172U (zh) 折叠座椅
US11697072B1 (en) Amusement apparatus, components, and, method
CN210095173U (zh) 折叠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