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82A -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82A
KR20160097982A KR1020150038183A KR20150038183A KR20160097982A KR 20160097982 A KR20160097982 A KR 20160097982A KR 1020150038183 A KR1020150038183 A KR 1020150038183A KR 20150038183 A KR20150038183 A KR 20150038183A KR 20160097982 A KR20160097982 A KR 20160097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ar seat
moving
seat be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원
Original Assignee
(주)피앤제이 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제이 베드 filed Critical (주)피앤제이 베드
Publication of KR2016009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N2002/26
    • B60N2002/2803
    • B60R2022/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 및 안전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하 이동레일, 상기 상하 이동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동레일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판, 일측이 상기 상하 이동판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 및 안전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Car seat for babies}
본 발명은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 및 안전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벨트가 장착되어 급정거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 탑승자나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아이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차량에 탑승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해 좌석에 고정되는 유아용 카시트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좌석위에 올려놓고 안전벨트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유아용 카시트 역시 시트벨트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4390호(발명의 명칭: 아동용 카시트)는 차량의 착석 부분상에 놓이는 하부 표면을 가지는 기부를 포함하고, 기부가 걸쇠 수단을 통해 차량 좌석의 고정 수단과 맞물리며, 이로써 기부와 상기 고정 수단 사이의 피벗 연결부를 제공하는 아동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을 통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7265호(발명의 명칭: 튜브타입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 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좌석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구조에 있어서, 등받이, 시트하부, 팔걸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고 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시는 공기를 배출한 후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차량에 장착시는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튜브타입의 유아용 카시트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외부 충격시 유아용 카시트는 착석한 유아를 보호하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충돌이나 추돌로 인한 외부 충격에 의해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는 안전벨트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체는 어느 정도 앞쪽으로 튕겨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아의 머리는 손상을 입게 되며, 특히 머리와 무릎의 추돌로 인해 2차 피해까지 입게 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안전벨트의 길이와 체결 부위를 조절해야 한다. 하지만, 유아용 카시트에서 안전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부위는 카시트의 뒤편에 위치하고 있어, 안전벨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전벨트의 길이 및 체결 부위 조절은 경험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의 경우 쉽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대적으로 어린 유아의 경우, 어깨를 고정하기 위해 카시트를 구성하는 안전벨트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위치하지만,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어깨를 고정하는 안전벨트를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안전벨트의 길이 및 체결 부위를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하 이동레일, 상기 상하 이동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동레일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판, 일측이 상기 상하 이동판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박스 내에 위치하며, 관성에 의해 상기 박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무게통, 상기 무게통에 형성되며, 안전벨트를 상기 무게통에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무게추를 박스 내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는 간단한 조작으로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으로 인출되는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아용 카시트를 좌석으로부터 분리하였으나,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가 형성된 박스를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에 설치하고, 충격시 무게추가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를 잡아당겨 충격시 유아가 카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무게추를 안전벨트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아뿐만 아니라 성인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도 1은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 안전벨트, 상하 이동레일, 상하 이동판, 회전 조절부재, 회전바,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유아용 카시트의 뒷면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이동레일(120), 상하 이동판(130), 회전 조절부재(140), 회전바(150)를 결합된다. 베이스 부재(110)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하며, 형성된 통공을 통해 인입된 안전벨트가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으로 인출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안전벨트는 베이스 부재(110)의 통공, 상하 이동판(130)의 통공을 통해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으로 인출된다. 베이스 부재(110)의 통공 중 안전벨트가 관통되지 않는 부분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밀폐한다.
안전벨트(160)는 기존 일반적인 안전벨트와 동일하다. 즉, 안전벨트(160)는 유아를 유아용 카시트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안전벨트(160)는 "Y"자 형태를 갖는다.
상하 이동레일(120)은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에 위치하며, 레일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 이동레일(120)은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 좌측, 후면 우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하 이동판(130)은 상하 이동레일(120)과 결합되며, 상하 이동레일(12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상하 이동판(130)은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며, 각 통공으로 안전벨트(160)가 인입된다. 즉, 안전벨트(160)는 상하 이동판(130)의 통공에 인입된 상태에서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으로 인출된다.
회전 조절부재(140)는 베이스 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며, 조그 셔틀 형상을 가지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즉, 사용자는 회전 조절부재(140)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조절부재(140)는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며,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측 방향으로 회전 조절부재(140)를 회전시키는 대신 회전 조절부재(140)를 잡아당길 수 있다. 즉, 회전 조절부재(140)의 종단은 기어 형상을 가지며, 기어의 일측은 사선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선 형태를 갖는 방향으로는 회전 조절부재(140)가 회전하더라도 연결된 회전바(150)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기어 중 중심축과 평형 상태를 갖는 방향으로 회전 조절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된 회전바(150)는 회전한다.
회전바(150)는 회전 조절부재(140)와 체결되며, 회전 조절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조절부재(14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바(150)는 회전하지만, 회전 조절부재(14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바(150)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1 연결부재(170)는 회전바(150)와 상하 이동판(130)을 연결한다. 회전바(150)의 회전에 의해 제1 연결부재(170)에 연결된 상하 이동판(130)은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바(150)의 회전 조절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경우, 또는 회전 조절부재(140)를 잡아당기는 경우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1 연결부재(170)와 연결된 상하 이동판(130) 역시 상하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판(130)은 상하 이동레일(12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이외에도 유아용 카시트는 쿠션 체결부재(180)를 포함하며, 쿠션 체결부재(180)는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헤드 쿠션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하 이동판(130)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카시트 전면에 위치한 헤드 쿠션 역시 상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하 이동판의 상하 이동에 의해 카시트의 전면에 배치된 안전벨트의 위치 및 헤드 쿠션의 위치 역시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제2 연결부재(190)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재(190)의 일측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이동판(130)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부재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특히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저면부에 제2 박스가 인입된 제1 박스를 설치한다. 도 2에 의하면, 유아용 카시트는 이동부재, 회전부재, 제2 연결부재, 제3 연결부재, 안전벨트 고정부재 및 고정판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박스를 포함하며, 제1 박스와 제1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박스를 포함한다, 제2 박스의 내부에는 이동부재, 회전부재, 제3 연결부재, 안전벨트 고정부재 및 고정판이 설치된다.
회전부재(200)를 롤러 형태로 구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190)의 일측 상하 이동판과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부재와 연결된다.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2 연결부재(190)는 회전부재(200)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안전벨트 고정부재(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제3 연결부재(220)에 의해 이동부재(230)와 연결된다. 즉, 제3 연결부재(220)는 이동부재(230)와 안전벨트 고정부재(210)를 연결한다. 안전벨트 고정부재(210)는 종단은 톱니 형상을 가지며,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의 종단과 고정판(280) 사이에 제2 연결부재(190)가 관통된다.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의 중심축과 고정판(280) 사이의 간격은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의 중심축과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의 종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지 않게 한다. 따라서 안전벨트 고정부재(210)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와 고정판(280) 사이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190)는 안전벨트 고정부재(210)와 고정판(280) 사이에 고정된다.
고정판(280)은 평판 타입으로 구성되며, 제2 박스(240) 내측에 고정 체결된다. 제2 박스(240)의 저면에는 레일이 형성된다.
이동부재(230)는 제2 박스(24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연결부재(220)에 의해 안전벨트 고정장치(210)와 연결된다. 이동부재(230)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재(2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230)와 연결된 안전벨트 고정장치(21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안전벨트 고정장치(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연결부재(190)는 안전벨트 고정장치(210)와 고정판(280)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이동부재(2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230)의 하중에 의해 제2 박스(240) 역시 레일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박스(240)의 저면에는 레일이 형성된다.
이동부재(230)가 이동하는 제2 박스(240)의 전방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부재(270)로 형성하며, 이를 통해 이동부재(230)에 의해 제2 박스(2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박스(240)가 인입되는 제1 박스(250)의 저면에는 제2 박스(24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에 대응되는 레일(260)이 형성된다. 제1 박스(250)의 저면에 형성되는 레일(260)은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박스(250)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평상시 제2 박스(240)는 제1 박스(25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며, 충격에 의해 이동부재(2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박스(240)는 제1 박스(25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박스(250)의 저면에는 경사진 레일을 형성한다.
물론 제1 박스(25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260)은 경사진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저면과 평행한 부분인 제 2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만나는 지점의 상단에는 이동부재(230)가 위치하며, 특히 이동부재(230)는 상대적으로 제1 부분쪽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은 충격에도 이동부재(23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동부재(240)가 내장된 제2 박스(24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박스(25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260)은 유아용 카시트를 완전히 눕혔을 경우에는 제1 부분이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만, 유아용 카시트를 세웠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부분이 일정 경사각을 갖게 되면, 제2 박스는 제1 박스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박스(2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박스(240) 내부에 형성된 안전벨트 고정장치(210)와 고정판(28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 연결부재(19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19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이동판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상하 이동판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상하 이동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는 안전벨트를 잡아당겨 유아가 카시트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박스(240)의 이동에 의해 제1 박스(2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박스(250)의 내측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부재(270)로 구성된다.
도 2는 회전부재가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부재는 안전벨트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와 연결된 안전벨트는 제1 박스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안전벨트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안전벨트는 당겨져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가 유아용 카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일반 안전벨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유아용 카시트 이외에 안전벨트에도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저면부는 박스가 설치된다. 도 3에 의하면, 유아용 카시트는 인입 박스, 이동부재,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 고정핀 및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박스(310)는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310)의 저면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은 충격에도 이동부재(32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박스(310)는 유아용 카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박스(310)의 일측에는 제1 탄성부재(330)가 설치되며, 박스(310)의 타측에는 제2 탄성부재(340)가 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330)와 제2 탄성부재(340)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탄성부재(330)는 스프링 타입의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340)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재질을 갖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박스(310)의 내부에는 이동부재(320)가 형성된다. 이동부재(320)는 박스(3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특히,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박스(3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 일 예로 주행 중인 차량이 급정거할 경우, 박스(3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재(320)는 관성에 의해 박스(310)의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박스(310)의 저면은 이동부재(3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박스(310)의 저면에는 레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동부재(320)는 박스(31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상에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평상시 이동부재(320)은 박스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20)와 박스(310)의 일측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330)가 위치하며, 제1 탄성부재(330)는 이동부재(32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동부재(320)은 박스(31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이동부재(320)의 상단에는 체결부재(350)가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350)는 이동부재(320)의 상단에 고정 형성된다. 체결부재(350)는 안전벨트(160)를 이동부재(320)에 고정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부재(350)에 의해 안전벨트(160)가 이동부재(320)와 고정 체결됨으로 인해, 이동부재(320)가 차량의 관성에 의해 박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안전벨트(160)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안전벨트(160)의 이동에 의해 유아용 카시트에 안착하고 있는 유아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안전벨트(160)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자 유아를 잡아당겨 유아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부가하여 체결부재(350)는 체결부재(350)에 의해 이동부재(320)에 고정 체결된 안전벨트(160)를 이동부재(320)와 상관없이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아용 카시트에 안착하고자 하는 유아의 크기에 따라 안전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부재(350)를 조작하여 안전벨트(160)가 이동부재(320)와 상관없이 이동하도록 한다. 즉, 체결부재(350)를 조작하면, 안전벨트(160)는 체결부재(35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안전벨트(160)를 이동시켜 체결부재(350)와 고정 체결되는 안전벨트(1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안전벨트(160)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체결부재(350)의 조작을 중단하면 안전벨트(160)는 체결부재(350)에 의해 이동부재(320)에 고정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350)를 조작하여 안전벨트(160)가 이동부재(320)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경우, 이동부재(320)의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핀(360)을 포함한다. 즉, 이동부재(320)에 고정핀(360)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핀(360)을 조작하면, 이동부재(320)는 박스(310) 내에 고정된다. 일 예로 고정핀(36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이동부재(320)을 관통하거나, 이동부재(320)의 종단면에 밀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고정핀(360)을 측면이나 아래 방향으로 조작하면, 고정핀(360)은 박스(310) 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된다. 고정핀(360)이 박스(310) 내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면, 이동부재(320) 역시 박스(310) 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핀(360)을 이용하여 이동부재(320)를 박스(310) 내에 고정시키며, 이후 체결부재(35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320)와 고정 체결되는 안전벨트(160)의 위치를 조절한다.
물론 고정핀은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 중에 이동부재(32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재(320)를 박스(3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 베이스 부재 120: 상하 이동레일
130: 상하 이동판 140: 회전조절 부재
150: 회전바 160: 안전벨트
170: 제1 연결부재 180: 쿠션 체결부재
190: 제2 연결부재 200: 회전부재
210: 안전벨트 고정부재 220: 제3 연결부재
230: 이동부재 240: 제2 박스
250: 제1 박스 260: 레일
270: 탄성부재 280: 고정판
310: 박스 320: 이동부재
330: 제1 탄성부재 340: 제2 탄성부재
350: 체결부재 360: 고정핀

Claims (9)

  1. 평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하 이동레일;
    상기 상하 이동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동레일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판;
    일측이 상기 상하 이동판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절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판은,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을 관통한 안전벨트가 카시트의 전면으로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판은,
    상기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헤드 쿠션을 체결하는 쿠션 체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 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하 이동판이 상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상하 이동판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된 회전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저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무게추;
    일측이 상기 무게추와 연결되며, 타측이 안전벨트 고정장치와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
    상기 무게추의 전방으로 이동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안전벨트 고정장치;
    상기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7. 박스 내에 위치하며, 관성에 의해 상기 박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되며, 안전벨트를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무게추를 박스 내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일측과 타측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 체결되는 안전벨트의 위치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KR1020150038183A 2015-02-10 2015-03-19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20160097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887 2015-02-10
KR20150019887 2015-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82A true KR20160097982A (ko) 2016-08-18

Family

ID=5687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83A KR20160097982A (ko) 2015-02-10 2015-03-19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9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KR101322436B1 (ko) 구조적 지지를 갖는 아동 안전 좌석
KR100707772B1 (ko) 어린이 카시트
RU2572427C2 (ru) Детское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глощения удара для детского удерж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70151894A1 (en) Impact Protection for Child Car Seat
CA2964124C (en) Rear facing ride down safety seat
KR20100029718A (ko) 아동용 카시트
EP3483001A1 (en) Child seat with multi-position anti-rebound bar
RU26873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детском удерживающем кресле
EP3658408B1 (en) Child safety seat
KR20160097982A (ko) 속도 대응식 자동 안전벨트 당김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101493675B1 (ko)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KR101593978B1 (ko)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CN112739573A (zh) 具有侧面冲击能量吸收的儿童安全座椅
KR101570201B1 (ko) 유아용 보호 장비
CA3075121C (en) Child safety seat
EP2772389B1 (en) Child safety seat
KR101595115B1 (ko) 쿠션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CN112440841A (zh) 安全座椅头部保护装置和安全座椅
KR20160118715A (ko) 유아용 카시트의 보조장치
KR19980053154U (ko) 유아보호용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어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