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963A - 테이프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963A
KR20160097963A KR1020150020503A KR20150020503A KR20160097963A KR 20160097963 A KR20160097963 A KR 20160097963A KR 1020150020503 A KR1020150020503 A KR 1020150020503A KR 20150020503 A KR20150020503 A KR 20150020503A KR 20160097963 A KR20160097963 A KR 2016009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upport wheel
support
side plat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822B1 (ko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15002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5Details of cutting means adhesive tape or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을 갖도록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의 사이 공간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일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 테이프를 공급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테이프 거치 롤;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고,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외주 측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휠; 상기 지지휠의 회동 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며,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된 테이프를 커팅하도록 구성된 커팅휠; 및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으로 가압하여, 테이프가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테이프의 공급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한 롤러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소정 간극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팅 장치 {Ta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이 공작학습용품 제작 또는 상품 포장지의 이음부분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접착용 롤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제공하기 위한 테이프 커팅 장치로서, 테이프를 지지휠에 밀접시키기 위한 가압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시의 소음을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공작학습용품 제작 또는 상품 포장지의 이음부분을 접착하기 위해서 접착용 롤 테이프가 사용된다.
접착용 롤 테이프는 포장지 크기에 적합한 길이로 커팅되어 포장지의 이음부분에 접착되는데, 상품 포장이 대량으로 이뤄지는 마트 또는 배송 센터 등에서는 접착용 롤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포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테이프 커팅 장치가 이용된다.
종래의 테이프 커팅 장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8616호 (2011년10월06일 공개)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예에 따른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된 종래의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는, 본체(110)의 양 측에 한 쌍의 측판(111)이 서로 마주 보고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의 측판(111) 사이에는 롤 접착 테이프(RT)가 장착되는 테이프 휠(12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 휠(120)의 중심에는 돌출되게 중심축(121)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121)이 상기 측판(111)에 형성된 홈(11c)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프 휠(12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본체(110)의 측판(111) 사이에는 상기 테이프 휠(120)과 일정거리를 두고 회동 로울러(13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 로울러(130)에는 동일 원주 상의 방사형의 아암(131)이 다수개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 휠(120)에 장착된 상기 롤 접착 테이프(RT)는 상기 회동 로울러(130) 방향으로 공급되고,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 손잡이(132)를 돌리면 상기 회동 로울러(130) 및 상기 테이프 휠(1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 접착 테이프(RT)가 상기 회동 로울러(130) 방향으로 공급된다.
상기 회동 로울러(130)의 접착부(133b,133c)에 접착된 상기 접착 테이프(RT)는 상기 회동 로울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동 로울러(130)의 절단부(133)에 상기 절단날(180,185)이 위치하는 부분에 전달되면, 상기 절단 로울러(140)의 절단날(180,185)이 상기 접착 테이프(RT)에서 상기 절단공간(133a)에 위치한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아암(131)에서 상기 접착 테이프(RT)와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지지대(21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13)는 상기 접착 테이프(RT)가 상기 아암(131)의 제 1 및 제 2 접착부(133b,133c)에 잘 접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예시된 종래의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의 지지대(213)는 중앙부가 고정되고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된 가지부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회전이 이뤄지지 않도록 중앙부가 고정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지지대는 회전이 이뤄지지 않는 고정형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 손잡이(132)를 돌려 테이프 절단을 하는 경우, 지지대와 테이프 간의 마찰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132)를 돌리기 위한 힘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유치원생 및 초등학생 포함) 또는 여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예시된 종래의 지지대는 회전이 이뤄지지 않는 고정형 구조를 가지므로, 장기간의 사용시 테이프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 손상 내지 미세한 소성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지지대에 이러한 마모 내지 소성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지지대가 테이프를 제 1 및 제 2 접착부(133b,133c) 측으로 강하게 가압하지 못하게 되므로, 테이프가 적절한 텐션 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절단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한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 손잡이(132)를 돌려 테이프의 절단을 하는 경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부(133b,133c)에 지지대가 가압 접촉과 가압 해제를 반복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8616호 (2011년10월06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7742호 (2001년12월04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린이 공작학습용품 제작 또는 상품 포장지의 이음부분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접착용 롤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제공하기 위한 테이프 커팅 장치로서, 테이프를 지지휠에 밀접시키기 위한 가압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시의 소음을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테이프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을 갖도록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의 사이 공간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일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 테이프를 공급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테이프 거치 롤;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고,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외주 측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휠; 상기 지지휠의 회동 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며,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된 테이프를 커팅하도록 구성된 커팅휠; 및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으로 가압하여, 테이프가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테이프의 공급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한 롤러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소정 간극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각각의 내측면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는 테이프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판에 형성된 일측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측판에 형성된 타측 지지 부재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측판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롤러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 부재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내측면을 접촉 가압하는 가압편과, 상기 제1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편에 타측이 결합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롤러 부재가 상기 지지휠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간극과, 상기 제1 간극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롤러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간극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간극이 상기 제2 간극보다 크게 제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롤러 부재는 경질 고무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휠은 상기 커팅휠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를 동축상으로 구비하고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휠은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동축상으로 구비하고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커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휠의 회동 시 각각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내측으로 상기 커터가 커팅 가능 깊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의 커터의 배치 간격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접착용 롤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제공하기 위한 테이프 커팅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를 지지휠에 밀접시키기 위한 가압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시의 소음을 저감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예에 따른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단면 방향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제1 상황 단면 방향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제2 상황 단면 방향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부호는 도 1, 2와 별도로 구분하여 부여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는, 기저부(206, 206')와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 테이프 거치 롤(102), 지지휠(300), 커팅휠(600) 및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이하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저부(206, 206')는 테이프 커팅 장치의 받침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1 기저부(206), 제2 기저부(20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1 기저부(206)와 제2 기저부(206')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고, 넓은 면적의 바닥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테이프 커팅 장치가 바닥면에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저부의 다른 실시예로 그 내부를 무거운 중량의 물질로 채움으로써 본 실시예의 테이프 커팅 장치 사용시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은, 기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을 갖도록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의 사이 공간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기저부(206)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 제1 측판(204), 제2 기저부(206')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 제2 측판(204')이 되며, 본 실시예에서 기저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나, 제1 측판(204)과 제2 측판(204')의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수납 공간은 후술하는 테이프 거치 롤(102)이 위치할 수 있으며, 테이프 거치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T)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거치 롤(102)은 상기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의 일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 테이프(T)를 공급 가능하도록 거치된다.
테이프 거치 롤(102)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03)이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103)은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의 일단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거치홈(205) 및 제2 거치홈(205')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테이프 거치 롤(102)을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한다. 상기 회전축(103)은 상기 제1 거치홈(205)과 제2 거치홈(205') 사이의 거리보다 적어도 작지 않게 길이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단면 방향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휠(300)은, 테이프 거치 롤(102)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T)를 외주 측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고, 손잡이(20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지지휠(300)은, 손잡이(208)의 내측 중심과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210), 상기 손잡이 결합부(2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지지휠 중심축(209)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지지휠(300)은 지지휠 중심축(209)을 감싸며 형성되는 중심판부(305), 상기 중심판부(305)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접착부 지지부(304), 상기 접착부 지지부(304)의 단부를 중심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접착부(302), 상기 제1 접착부(302)의 일단부에서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접착부(303)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 지지부(3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6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 형성되면 된다. 다만 접착부 지지부(304)의 개수만큼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2 접착부(303)는, 지지휠(300)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T)의 접착면과 접촉되며, 테이프(T)의 절단시에 접착부에 잘 접착되어 있도록 제2 접착부(303)의 상면의 면적을 제1 접착부(302)의 타단부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휠(300)은 커팅휠(600)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306)를 동축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306)는, 손잡이(208)를 돌림에 따라 지지휠(300)이 회전함과 동시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커팅휠(6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휠(300)은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프 커팅용 홈은 제1 접착부(302)의 U자 형상의 내부에 해당한다.
상기 커팅휠(600)은, 상기 구동기어(306)로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601)를 동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휠(300)의 회동 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며,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60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거치 롤(102)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에 부착된 테이프(T)를 커팅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팅휠(600)은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커터(602)를 구비하여,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에 대응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휠(600)이 네개의 커터(602)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둘, 셋, 넷 혹은 그 이상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휠(300)의 회동 시 각각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내측으로 상기 커터(602)가 커팅 가능 깊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의 커터(602)의 배치 간격이 설정된다.
이때 상기 커팅휠(600)의 회전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커터(602)간의 외주길이만큼의 크기를 갖는 절단 테이프(CT)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휠(300)과 커팅휠(600)의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간기어(402) 및 제2 중간기어(404)가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208)의 회전에 따라 손잡이(208)에 연결된 지지휠 중심축(209) 및 지지휠(300)이 회전하면서 제1, 2 중간기어(402, 404)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고, 제2 중간기어(404)에 종동기어(601)가 맞물려 있는 커팅휠(6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휠(3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 2 중간기어(402, 404) 및 종동기어(601)를 거쳐서, 커팅휠(600)이 회전하게 되는 구조에 해당하며, 상기 각 기어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지지휠(300)과 커팅휠(600)이 일정 간격만큼 돌면서 테이프 커팅용 홈의 중간 부분에 커터(602)가 위치하도록 회전이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2 중간기어(402, 404)를 지지휠(300)과 커팅휠(6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였지만, 제1, 2 중간기어의 역할을 벨트-풀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추가로 중간기어를 더 설치하거나, 중간기어 없이 직접 지지휠(300)과 커팅휠(600)이 맞물려 회전하도록 지지휠(300)과 커팅휠(600)의 간격, 기어톱니의 수를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테이프 거치 롤(102)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T)를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으로 가압하여, 테이프(T)가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에 해당하며, 가압수단에 의해 테이프(T)의 일부가 제1, 2 접착부(302, 303)에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가압 수단은, 테이프(T)의 공급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한 롤러 부재(500)와, 상기 롤러 부재(500)를 상기 지지휠(300) 측으로 소정 간극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230, 230')와, 상기 롤러 부재(500)를 상기 지지휠(300)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동작을 보면, 상기 손잡이(208)의 회전 조작에 따라 지지휠(300)이 회전되고, 지지휠(300)의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에 일부가 면접착되는 테이프(T)가 접착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테이프 거치 롤(102)을 회전시킨다. 이때, 테이프(T)를 지지휠(300)의 다른 접착부 지지부(304)에 형성된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에 부착시키도록 하는 롤러 부재(500)가 테이프(T)의 당겨짐과 동시에 회전하며, 지지휠(300)의 회전에 따라 커터(602)를 구비한 커팅휠(600)이 회전함으로써, 지지휠(300)의 커팅용 홈에서 테이프(T)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일련의 과정들은 손잡이(208)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두 이루어지므로, 마찰이 클 경우에는 손잡이(208)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바, 커팅휠(600), 테이프 거치 롤(102) 등이 잘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특히 롤러 부재(500)가 가압 및 회전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간극을 필요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230, 230')는 상기 제1 측판(204) 및 제2 측판(204')의 각각의 내측면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롤러 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판(204)에 형성된 일측 지지 부재(230)와 상기 제2 측판(204')에 형성된 타측 지지 부재(230')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 부재(230, 230')는 제1 측판(20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지지 부재(230), 제2 측판(20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지지 부재(230')로 이뤄지며, 상기 롤러 부재(500)가 제1, 2 지지 부재(230, 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제1, 2 측판(204, 20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러 부재(500)는 테이프(T)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테이프(T)를 가압 부재(240)의 탄성으로 가압하여 지지휠(300)의 제1, 2 접착부(302, 30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 부재(500)는 이동하는 테이프(T)와 함께 잘 회전하고, 헛돌지 않도록 하며, 테이프(T)를 제1, 2 접착부(302, 303)에 잘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롤러 부재(500)는 경질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부재(500)를 경질 고무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또는 연질 고무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적절한 탄성을 갖고 테이프(T)를 제1, 2 접착부(302, 303)에 더 잘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변형이 잘 되지 않으면서도, 어느 정도의 신축성이 있는 경질의 고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부재(240)는 상기 제1 측판(204)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롤러 부재(5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부재(500)를 상기 지지휠(300)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 부재(240)는 제2 측판(204') 측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240)의 중심이 고정되고 외측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면 어느 측판에 고정되더라도 무방하다.
일예로, 상기 가압 부재(240)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상기 롤러 부재(500)의 내측면을 접촉 가압하는 가압편(241)과, 상기 제1 측판(204)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축(238)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편(241)에 타측이 결합되는 지지편(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242)이 제1 측판(204)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축(238)에 결합되는 구조의 일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243)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링(243)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지지편(242)의 일측이 고정 축(238)에 영구고정되는 방식에 비해, 상기 가압편(241)의 마모 등 가압 부재(240)의 손상시 가압 부재(2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30, 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부재(500)가 상기 지지휠(300)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간극(V1, V2)과, 상기 제1 간극(V1, V2)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롤러 부재(50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간극(C1, C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간극'은, 상기 롤러 부재(500)가 가압 부재(240)에 의해 테이프(T)를 특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는 일종의 유격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 부재는 원통형의 외면을 축방향으로 좌우대칭되도록 절단한 형상으로, 지지휠(300) 측을 대향하는 제1 단면부(233)와 타측의 제2 단면부(232) 및 지지휠(300) 측에 수직 방향의 제1 곡면부(231), 제2 곡면부(2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V1은 제1 단면부(233)에서 롤러 부재(500)의 내면까지 거리를 나타내고, V2는 제2 단면부(232)에서 롤러 부재(500)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C1은 제1 곡면부(231)에서 롤러 부재(500)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C2는 제2 곡면부(234)에서 롤러 부재(500)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V1, V2 또는 C1, C2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묘사하였지만, 롤러 부재(500)의 위치나 간극 형성 구조에 따라, 일측에만 간극이 형성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 부재(230, 230')의 형성 시, 지지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지지 부재를 둘러싼 롤러 부재(500)까지의 거리와 상기 지지휠(30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를 포함하는 외부 측 끝까지의 거리의 합보다, 상기 지지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지지휠(300)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짧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지지휠(300)의 회전 시 가압 수단에 의해 테이프(T)가 제1 접착부(302) 및 제2 접착부(303)에 접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제1 상황 단면 방향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제2 상황 단면 방향 모식도이다.
제1 상황은, 테이프(T)가 제2 접착부(303)에 접착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상황에서는, 손잡이(208)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지지휠(300)이 회전되면서, 제2 접착부(303)의 상면이 롤러 부재(500)를 누르게 되고, 가압편(241)이 변형되면서 V1이 작아지고, V2가 커지게 된다. 상기 가압 부재(240)는 탄성에 따른 반발력이 있으므로, 롤러 부재(500)를 가압하게 되고, 롤러 부재(500)와 제2 접착부(303) 사이에 있는 테이프(T)의 일부분이 제2 접착부(303)에 면접촉하게 된다.
제2 상황은, 제1상황을 통해 상기 테이프(T)의 일부분이 제2 접착부(303)에 면접촉하고 있는 한편, 지지휠(300)이 조금 더 회전하면서 롤러 부재(500)가 제1 접착부(302)의 커팅용 홈에 위치하게 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상기 제2 상황에서는 가압 부재(240)의 가압편(241)이 원래의 형태를 회복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압 부재(240)가 더 이상 롤러 부재(500)를 지지휠(300)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상황에 비해, V1은 커지고, V2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상기 제1 상황 및 제2 상황은, 지지휠(300)이 제2 상황에서보다 더 회전하여, 제1 접착부(302)가 롤러 부재(500)를 누르게 되는 경우에도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압 부재(240)의 탄성에 의해 테이프(T)의 일부분이 제1 접착부(302)에 접착되게 된다.
상기 제1 접착부(302)로의 테이프 접착 과정은 제1 상황 및 제2 상황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부재(230, 230'), 가압 부재(240) 및 롤러 부재(500)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V1, V2, C1, C2)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V1, V2)은 상기 제2 간극(C1, C2)보다 크게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간극(V1, V2)이 제2 간극(C1, C2)보다 크게 제공되므로, 상기 롤러 부재(500)는 제2 간극(C1, C2) 방향보다는 제1 간극(V1, V2) 방향으로의 유동성이 더 좋게 되어, 제1 간극(V1, V2) 방향에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 즉 제1, 2 접착부(302, 303)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간극(C1, C2)은 상기 롤러 부재(500)가 제1 간극(V1, V2) 방향, 즉 상기 지지휠(300)의 외주 측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방향의 유격에 해당하므로,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2 : 테이프 거치 롤 103 : 회전축
204 : 제1 측판 204': 제2 측판
205 : 제1 거치홈 205': 제2 거치홈
206 : 제1 기저부 206': 제2 기저부
208 : 손잡이 209 : 지지휠 중심축
210 : 손잡이 결합부
230 : 제1 지지 부재 231 : 제1 곡면부
232 : 제2 단면부 233 : 제1 단면부
234 : 제2 곡면부 238 : 고정 축
230': 제2 지지 부재
240 : 가압 부재 241 : 가압편
242 : 지지편 243 : 고정링
300 : 지지휠
302 : 제1 접착부 303 : 제2 접착부
304 : 접착부 지지부 305 : 중심판부
306 : 구동기어
402 : 제1 중간기어 404 : 제2 중간기어
500 : 롤러 부재 600 : 커팅휠
601 : 종동기어 602 : 커터
C1, C2 : 제2 간극 V1, V2 : 제1 간극
CT : 절단 테이프 T : 테이프

Claims (6)

  1. 기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을 갖도록 평행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의 사이 공간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일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 테이프를 공급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테이프 거치 롤;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타단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거치되고,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외주 측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휠;
    상기 지지휠의 회동 시 그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며,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된 테이프를 커팅하도록 구성된 커팅휠; 및
    상기 테이프 거치 롤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를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으로 가압하여, 테이프가 상기 지지휠의 외주 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수단은, 테이프의 공급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한 롤러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소정 간극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각각의 내측면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는 테이프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판에 형성된 일측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측판에 형성된 타측 지지 부재에 의해 양단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측판에 고정된 형태로 상기 롤러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부재를 상기 지지휠 측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내측면을 접촉 가압하는 가압편과,
    상기 제1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축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편에 타측이 결합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롤러 부재가 상기 지지휠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간극과,
    상기 제1 간극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롤러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간극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간극이 상기 제2 간극보다 크게 제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경질 고무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휠은 상기 커팅휠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를 동축상으로 구비하고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휠은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를 동축상으로 구비하고 외주 측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커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휠의 회동 시 각각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내측으로 상기 커터가 커팅 가능 깊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테이프 커팅용 홈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의 커터의 배치 간격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KR1020150020503A 2015-02-10 2015-02-10 테이프 커팅 장치 KR10168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03A KR101689822B1 (ko) 2015-02-10 2015-02-10 테이프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03A KR101689822B1 (ko) 2015-02-10 2015-02-10 테이프 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63A true KR20160097963A (ko) 2016-08-18
KR101689822B1 KR101689822B1 (ko) 2016-12-26

Family

ID=5687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503A KR101689822B1 (ko) 2015-02-10 2015-02-10 테이프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469A (zh) * 2017-10-11 2018-04-13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胶条码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888B1 (ko) * 2019-04-25 2020-06-15 주식회사 모텍스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49A (ja) * 1989-07-04 1991-02-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低速回転装置
KR19980065442U (ko) * 1998-08-27 1998-11-25 채규락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100317742B1 (ko) 1998-06-17 2002-04-17 이기상 접착테이프롤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110108616A (ko) 2010-03-29 2011-10-06 김성자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2738B (en) * 1998-04-24 2000-08-2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residues remov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49A (ja) * 1989-07-04 1991-02-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低速回転装置
KR100317742B1 (ko) 1998-06-17 2002-04-17 이기상 접착테이프롤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19980065442U (ko) * 1998-08-27 1998-11-25 채규락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110108616A (ko) 2010-03-29 2011-10-06 김성자 롤 접착 테이프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469A (zh) * 2017-10-11 2018-04-13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胶条码放装置
CN107902469B (zh) * 2017-10-11 2024-05-28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胶条码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22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22B1 (ko) 테이프 커팅 장치
US20160256331A1 (en)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JP6463212B2 (ja) 遊星ローラ駆動型内接式遊星歯車減速装置
WO2006092834A1 (ja) 回転台
AU2003225969A1 (en) Sheet feed apparatus, sheet separating member, sheet feed assembly and sheet separating assembly
CA2096959A1 (en) Machin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ower Steering Valves
CA2498546A1 (en) Frictional clutch for torque-restricted torsional power transmission between two reels of a hand-held device
CN110369784A (zh) 用于切割管状件的切割机
CN212685073U (zh) 一种新型卷笔刀进笔机构及卷笔刀
KR101115481B1 (ko) 마찰감속기
JP3496024B1 (ja) 紙送りローラ、紙送りローラ用支持体、及び、紙送り装置
KR100942162B1 (ko) 가구용 엣지 프레스 장치
JP5608557B2 (ja) 圧力部材を組み込んだ切断工具を備えたコア巻機
JP5665245B1 (ja) 紙葉送りローラ及び紙葉送り装置
JP2018104120A (ja) 搬送方向変換装置
CN201382133Y (zh) 办公设备的传动机构
CA2305602A1 (en) Linear sander
JP6577230B2 (ja) 仕分装置
JPH0318124Y2 (ko)
CN208834207U (zh) 旋钮及应用其的电器
KR20180117316A (ko) 휴대폰용 회전 손잡이 장치
JPH07303382A (ja) 超音波モータ
JPS6311902B2 (ko)
JPH0520073Y2 (ko)
JP2015089394A (ja) ブラシ回転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