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864A - 모양체근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모양체근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864A
KR20160097864A KR1020150020281A KR20150020281A KR20160097864A KR 20160097864 A KR20160097864 A KR 20160097864A KR 1020150020281 A KR1020150020281 A KR 1020150020281A KR 20150020281 A KR20150020281 A KR 20150020281A KR 20160097864 A KR20160097864 A KR 2016009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pter
lens
unit
distance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499B1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15002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양체근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양체근을 훈련하여 시력을 개선시키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좌측 및 우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부, 접안 렌즈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되며, 서로 다른 디옵터를 갖는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하는 디옵터 렌즈부, 및 접안렌즈와 선택된 디옵터 렌즈의 한 쌍이 양측에서 좌측 및 우측 동공과 동일 축 상에 놓이도록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디옵터 렌즈부의 디옵터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모양체근을 훈련함으로써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양체근 훈련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eye-sight}
본 발명은 모양체근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양체근을 훈련하여 시력을 개선시키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시력과 관계되는 안구 근육에는 모양체근, 직근 및 홍채근이 있으며, 이러한 안구 근육을 운동시킴으로써 시력을 보호하거나 회복할 수 있다. 특히 시력은 모양체근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모양체근은 불수의근으로 안구 앞에 배치되는 렌즈의 디옵터를 변경하여 훈련함으로써 근력 강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주로 시력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한정되어 있다. 시력 측정 장치는 모든 도수의 디옵터 렌즈를 장착(정밀한 시력 측정을 위해서)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들간의 동공 간 거리 차이에 따른 거리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문헌 : US 6,659,612(Device for use in eyesight testing) 일본등록특허문헌 : JP 4801967(검안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모양체근을 훈련하여 시력을 개선하도록 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옵터 렌즈를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간에 동공 간 거리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좌측 및 우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부, 접안 렌즈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되며, 서로 다른 디옵터를 갖는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하는 디옵터 렌즈부, 및 접안렌즈와 선택된 디옵터 렌즈의 한 쌍이 양측에서 좌측 및 우측 동공과 동일 축 상에 놓이도록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디옵터 렌즈부의 디옵터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모양체근을 훈련함으로써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옵터 렌즈부는,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어느 하나가 회전에 의해 선택되는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이거나, 복수의 디옵터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택되는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이거나,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옵터 렌즈가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는, 디옵터 렌즈가 안착 되는 안착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 영역에 복수의 외측홈이 구비되는 디옵터 회전부, 및 디옵터 회전부를 지지하는 디옵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옵터 지지부는 'ㄷ'자 형상으로 디옵터 회전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옵터 회전부의 일측 중앙 영역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고, 디옵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와 맞닿는 굴곡면이 회전됨으로써 디옵터 렌즈를 한 스텝씩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안 렌즈는, 접안렌즈가 안착 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결합 홈이 형성된 하우징, 및 결합 홈과 연동되어 결합되며,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를 포함하며, 결합 홈과 결합 고정부의 회전 결합에 의해 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 홈 및 결합 고정부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개소에서 회전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 홈 및 결합 고정부는 나사산 및 나사골로 이루어져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는, 디옵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공간 거리 조절은, 디옵터 회전부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디옵터 지지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좌측 디옵터 지지부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리 조절부는,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며, 일면에 수평 연장 홈이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 연장부는, 좌측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좌측 수평 연장부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우측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며,
거리 조절부는, 좌측 수평 연장부와 우측 수평 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며, 수평 연장 홈과 맞물려 연동함으로써 디옵터 지지부를 수평 이동시켜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기어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리 조절부는, 기어 휠의 회전을 고정하는 기어 휠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좌측 및 우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부, 접안 렌즈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하며, 접안렌즈의 디옵터와 다른 디옵터를 갖는 디옵터 렌즈를 구비하며, 접안 렌즈부의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하는 디옵터 렌즈부, 및 접안렌즈와 디옵터 렌즈의 한 쌍이 양측에서 좌측 및 우측 동공과 동일 축 상에 놓이도록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접안렌즈와 디옵터 렌즈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모양체근을 훈련함으로써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양체근 또는 홍채근을 훈련하여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옵터 렌즈를 순차적으로 편리하게 교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간에 동공 간 거리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옵터 회전부의 굴곡면 및 디옵터 렌즈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면과 맞닿아 연동되는 구슬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옵터 지지부의 'ㄷ'자 형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식 디옵터 렌주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안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공간 거리 조절부의 수평이동 방식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공간 거리 조절부의 힌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부 및 뷰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양체근 훈련 장치는 사용자 본인의 시력에 맞는 접안(시력)렌즈와, 접안렌즈가 위치하는 동일 축 상에 서로 다른 도수를 가진 디옵터 렌즈(도수렌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렌즈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놓임으로써 사용자의 모양체근을 훈련 또는 개선하는 장치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모양체근 훈련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홍채근도 훈련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양체근 훈련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옵터 렌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옵터 렌즈부는 서로 다른 도수를 가진 디옵터 렌즈의 디옵터(도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모양체근을 훈련하는 회전식, 슬라이딩식, 또는 점층식 방법이 있고, 접안렌즈와 디옵터 렌즈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모양체근을 훈련하는 줌식 방법이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식, 슬라이딩식, 점층식, 및 줌식 등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 )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100)는 서로 다른 도수를 가진 디옵터 렌즈가 리볼버식으로 한 스텝씩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디옵터 렌즈가 8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총 8 스텝을 회전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1 스텝은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되는 스텝을 의미한다. 리볼버식으로 한 스텝씩 회전함으로써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리볼버 렌즈부로 일컬을 수 있다. 다만 디옵터 렌즈의 개수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회전부(110), 디옵터 지지부(120) 및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로 대략 구성된다. 먼저, 디옵터 회전부(110)는 좌측 디옵터 회전부(110a) 및 우측 디옵터 회전부(110b)로 구성된다. 좌측 디옵터 회전부(110a) 및 우측 디옵터 회전부(110b)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디옵터 회전부(110)로 통칭하여 한쪽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옵터 회전부(110)에는 서로 다른 디옵터를 가지는 8개의 디옵터 렌즈(111)가 디옵터 렌즈 안착홈(112)에 안착된다. 디옵터 회전부(110)의 하우징(114)의 상단을 사용자가 적절한 힘을 제공함으로써 8개의 디옵터 렌즈는 한 스텝씩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된다. 하우징(114)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외곽 상단의 하우징(114)을 미끄러지지 않고 편하게 돌리기 위해 필요에 따라 외측 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둘레방향으로 거칠기를 주어 사용자 손의 미끄러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때, 8개의 디옵터 렌즈중 어느 하나의 도수는 후술하는 접안 렌즈의 도수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접안 렌즈와 동일 축 상에 놓이는 디옵터 렌즈의 거리는 최대한 가까울 수록 좋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회전부(110)의 전면 중앙 영역(115)에는 원주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면(117)이 있다. 이러한 굴곡면(117)은 원주 방향을 따라 오르락내리락 굴곡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굴곡면(117)과 맞닿는 회전체(116)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체(116)는 일예로서 구슬(116)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옵터 회전부(110)의 회전에 의해 구슬과 맞닿는 굴곡면(117)이 회전됨으로써 디옵터 렌즈를 한 스텝씩 회전시킨다. 즉, 구슬(1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면의 후측(118)에서 원통 형상의 고정 틀(119)속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며, 굴곡면의 회전에 따라 굴곡면의 오르락면(117a) 및 내리락면(117b)이 구슬(116)과 맞닿아 회전함으로써 디옵터 렌즈를 한 스텝씩 이동시킨다.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렌즈(111)를 지지한다. 즉, 디옵터 렌즈(111)는 디옵터 렌즈 홈(112)에 안착되고,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는 디옵터 렌즈(111)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디옵터 렌즈(111)를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에는 디옵터 렌즈 홈(112)보다 직경이 작은 홈이 형성된다. 이때 직경이 작은 홈은 어느 한쪽 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대략 원 형상이다. 디옵터 렌즈 홈(112)의 각 사이에는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8개 형성된다.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의 안착부는 8개의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고 안착홈과 디옵터 렌즈 고정부(130)의 안착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을 통하여 서로 압착 결합된다.
디옵터 지지부(1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하우징(121)에 의해 디옵터 회전부(110)를 지지한다. 디옵터 지지부(120)는 좌측 디옵터 지지부(120a)와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b)로 구성된다. 좌측 디옵터 지지부(120a)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b)의 구성은 일부를 제외하고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디옵터 지지부(120)로 통칭하여 한쪽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ㄷ'자 형상의 경우에는 'ㅁ'자 형상 등 다양한 실시예가 추가될 수 있다.
디옵터 지지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4)가 구비된다. 개구(124)는 후술하는 접안렌즈(210) 및 리볼버식에 의해 선택된 디옵터 렌즈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모양체근 훈련시에는 왼쪽 또는 오른쪽 눈 중 어느 하나의 눈을 훈련시키게 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쪽 눈씩 훈련한다. 따라서 왼쪽 눈의 모양체근을 훈련하는 경우에는 우측 개구(124a)에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후술하는 셔터(41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한다. 또한, 개구(124)는 후술하는 뷰(420)와도 동일축선상에 위치한다.
좌측 디옵터 지지부(120a)에는 좌측 수평 연장부(122a)가 형성되며,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b)에는 우측 수평 연장부(122b)가 형성된다. 좌측 수평 연장부(122a) 및 우측 수평 연장부(122b)는 후술하는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좌측 수평 연장부(122a)는 좌측 디옵터 지지부(120a)의 우측 상단 영역에 연장 형성되며, 우측 수평 연장부(122b)는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b)의 좌측 상단 영역에 연장 형성된다. 좌측 수평 연장부(122a)는 우측 수평 연장부(122b)보다 상측에 위치하며(이러한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좌측 수평 연장부(122a) 및 우측 수평 연장부(122b) 사이에는 기어 휠(310, 치형 기어)이 구비된다. 또한, 좌측 수평 연장부(122a)의 하면 및 우측 수평 연장부(122b)의 상면에는 기어 휠(310)과 맞물려 연동함으로써 디옵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측 수평 연장 홈(123a) 및 우측 수평 연장 홈(123b)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100)는 디옵터 회전부의 상측 하우징(114)을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해 밀거나 끌어줌으로써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된다. 이러한 방식은 수동으로서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자동에 의해 회전하는 디옵터 회전부 )
디옵터 회전부(110)를 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예로서 스테핑 모터, 기어 휠(치형 기어) 및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전원부가 대략적으로 더 추가될 수 있다. 스테핑 모터는 펄스 구동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회전하는 모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테핑 모터는 디옵터 회전부의 하우징(114)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디옵터 회전부의 하우징(114)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홈이 형성되며, 스테핑 모터와 연동되는 기어와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된 기어홈(도면 미도시)이 서로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디옵터 회전부(110)를 회전 구동한다. 디옵터 회전부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홈은 디옵터 렌즈의 개수 및 스테핑 모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어홈은 외측면에도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 내측면에 형성되어 스테핑 모터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와 연동되는 기어도 디옵터 렌즈의 개수 및 스테핑 모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적절한 타입이 선정되며, 필요에 따라 기어 휠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원부는 스테핑 모터 및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부는 휴대용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뒷받침하는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인용될 수 있다. 자동모드에서는 디옵터 회전부(110)의 둘레방향 외측에 형성된 기어홈이 스테핑 모터와 연동되는 기어와 서로 맞물려 구동되어 인접 디옵터 렌즈로 한 스텝씩 이동시킨다. 따라서 자동모드에서는 디옵터 회전부(110)를 디옵터 기어부로 일컬을 수 있다.
상술한 디옵터 회전부(110)는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한 스텝씩 회전하여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된다. 또한,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어느 한쪽의 디옵터 회전부(110)만을 회전시키거나 양쪽 모두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어느 한쪽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기어 휠(310)의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동공 간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디옵터 렌즈는 서로 다른 도수를 가지며, 디옵터 회전부(110)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또는 이와 동일 유사한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옵터 회전부(110)에는 서로 도수가 다른 디옵터 렌즈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오목렌즈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서로 교번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옵터 렌즈의 도수의 증가 또는 감소를 상황에 맞게 배치할 수 있다. 일예로서 8개의 디옵터 렌즈의 도수를 점차 증가시키다가 감소시킬 수도 있다.
(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140)는 수평으로 나열된 디옵터 렌즈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접 디옵터 렌즈와 교번되는 방식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는 기어 휠(141)이 구비되며, 기어 휠과 연동되어 좌측영역의 디옵터 렌즈를 수평 이동시키는 하측 랙 이동부(142a) 및 기어 휠과 연동되어 우측 영역의 디옵터 렌즈를 수평 이동시키는 상측 랙 이동부(142b)가 구비된다. 각각의 랙 이동부(142a, 142b)에는 기어 휠(141)과 맞물려 연동되도록 기어 홈(143a,143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140)는 디옵터 지지부(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옵터 렌즈가 후술하는 접안렌즈(210)와 동일 축 선상에 놓인다.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디옵터 렌즈는 모양체근 훈련을 위해 점차적으로 그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훈련을 개시하면 접안렌즈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디옵터 렌즈가 하나씩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옵터 렌즈의 도수는 각각 동일한 도수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디옵터 렌즈의 도수가 각각 +1이라고 가정하면,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디옵터 렌즈가 증가하면 순차적으로 도수도 1씩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8개의 디옵터 렌즈가 모두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8의 도수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일실시예 외에 도수를 서로 달리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동일 축 선상에 디옵터 렌즈를 위치하기 위해서는 일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렌즈부(152)가 동일 축 선상에 놓여 있지 않다가 지지축(중심축, 1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순차적으로 동일 축 선상에 놓임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152)는 접안렌즈의 동일 축 선상을 따라 디옵터 렌즈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을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 줌식 디옵터 렌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식 디옵터 렌즈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접안 렌즈부(162)와 디옵터 렌즈부(161)와의 거리(d) 조절에 의해 모양체근을 훈련한다. 즉, 접안 렌즈부(162)를 위치 고정하도록 하고 디옵터 렌즈부(161)를 접안 렌즈부(161)의 동일 축 선상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와 반대(접안 렌즈부를 위치이동시킴)로 함으로써 모양체근을 훈련한다. 또는 접안 렌즈부(162)와 디옵터 렌즈부(161) 양측 모두 위치 이동시켜 모양체근을 훈련할 수도 있다. 줌식 디옵터 렌즈부(160)는 접안 렌즈부(162)와 디옵터 렌즈부(161)의 거리를 조정하여 모양체근을 훈련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을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접안 렌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안 렌즈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렌즈 하우징(230)과 접안렌즈의 하우징과 연동되어 결합 고정되는 접안렌즈 결합 고정부(240)로 대략 구성된다. 접안렌즈 하우징(230)에는 접안렌즈(210)가 안착 되는 접안렌즈 안착홈(220)이 있고, 접안렌즈 결합 고정부(240)는 디옵터 지지부(120)의 후면에 형성된다. 접안렌즈(210)와 동일 축 상에는 접안렌즈 개구(2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안렌즈(210)와 리볼버식에 의해 선택된 디옵터 렌즈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놓이게 되어 모양체근을 훈련시킬 수 있다. 접안렌즈 결합 고정부(240)는 3개의 고정부가 원주방향으로 대략 120도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으며, 접안렌즈 하우징(230)의 내측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접안렌즈 결합 홈(231)과 연동되어 접안렌즈 하우징(230)을 회전 결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맞는 디옵터 렌즈를 접안렌즈 안착홈(220)에 안착함으로써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한 시력을 "0"의 상태로 만든다. 자신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선택되고, 리볼버식에 의해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를 사용하여 디옵터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경우 모양체근을 훈련할 수 있어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동공 간 거리 조절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은 수평이동 방식과 힌지 방식으로 대략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동공 간 거리에 따라 접안렌즈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도록 수평이동 방식과 힌지 방식 등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서 수평이동 방식 및 힌지 방식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모두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 방식의 동공 간 거리 조절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휠(310), 기어 휠 고정부(320), 및 수평 연장부(122)로 대략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연장부(122) 및 수평 연장 홈(123)은 디옵터 지지부(120)의 구성일 수도 있고 동공 간 거리 조절부(300)의 구성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양쪽에서 모두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예시적으로 좌측 및 우측 수평 연장부(122)는 디옵터 지지부(122)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 조절부(300)는 대략 디옵터 회전부(110), 디옵터 지지부(120), 기어 휠(310), 기어 휠 고정부(3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어 휠(310)은 치형 기어로서 좌측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의 중간 영역에서 위치 고정되어 회전한다. 이때, 치형 기어와 맞물려 연동할 수 있는 홈이 좌측 및 우측 수평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 수평 연장 홈(123a)은 좌측 수평 연장부(122a)의 하면에 형성되고, 우측 수평 연장 홈(123b)은 우측 수평 연장부(122b)의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치형 기어(310)와 연장 홈(123a,123b)이 서로 맞물려 연동되고, 치형 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120)의 간격을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어 휠(310)의 회전력은 상술한 자동인 경우에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생성되고, 수동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옵터 렌즈의 하우징(114) 상단에 대략 수평방향의 힘을 주어 밀거나 끌어(당겨)줌으로써 생성된다. 동공 간 거리가 조절된 경우 사용자는 기어 휠 고정부(320)에 의해 기어 휠(31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만약 기어 휠 고정부(320)가 없는 경우에는 동공간 거리를 맞춘 후 사용자는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 디옵터 회전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기어 휠(310)이 동작되어 동공간 거리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a)는 동공간 거리가 최소로 좁혀진 상태이며, 도 9(b)는 동공간 거리가 최대로 넓혀진 상태이다. 최소와 최대 사이의 거리를 기어 휠(310)이 회전하여 디옵터 지지부(120)를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동공간 거리 조절은 디옵터 회전부의 외측 상단 하우징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략 수평방향의 힘을 전달함으로써 기어 휠(310)을 구동하여 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기어 휠(310)이 기어 휠 고정부(320)에 의해 고정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외측 상단 하우징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략 수평방향의 힘을 전달함으로써 거리를 유지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다.
(거리 조절부 - 힌지 방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공간 거리 조절부의 힌지 방식은 중식축(330)을 중심으로 일예로서 디옵터 지지부(120)가 서로 소정각도를 가짐으로써 동공간 거리를 조절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동공간 거리가 d에서 d'로 변화시킬 수 있다. 힌지 방식을 구현함에 있어 추가적인 구성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인용될 수 있다.
( 셔터부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터부(410)는 디옵터 지지부의 개구(124)를 열고 닫는다. 즉,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의 개구(124)를 막고 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셔터부(400)에 의해 우측 개구(124a) 또는 좌측 개구(124b)중 어느 하나를 막아서 모양체근을 훈련한다. 이때, 좌측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우측 개구(124a)를 닫으며, 우측 모양체근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좌측 개구(124b)를 닫는다. 도 11(a)는 좌측 개구(124b)는 닫히고 우측 개구(124a)는 열린 상태이고, 도 11(b)는 좌측 개구(124b)는 열리고, 우측 개구(124a)는 닫힌 상태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셔터(410a) 및 우측 셔터(410b)는 어느 하나의 닫힘 동작에 연동하여 다른 하나는 열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서로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닫힘/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셔터(410b)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좌측 개구(124b)를 차단하며, 이와 더불어 후술하는 좌측 뷰(510b)도 차단하여야 한다. 뷰(500)는 디옵터 지지부의 개구(124)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지지부의 개구(124) 보다 절개면(520)의 면적이 수평방향으로 더 넓으며 바람직하게는 셔터부(400)의 차단막(420)과 적어도 동일한 면적을 구비한다. 이는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렌즈(210), 선택된 디옵터 렌즈(111), 디옵터 지지부의 개구(124)가 동공 간 거리 조절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간 거리가 줄어지거나 늘어나기 때문에 뷰(500)의 수평방향 절개 면적이 디옵터 지지부의 개구(124) 보다 커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공 간 거리 조절에 따라 양측에 구비된 디옵터 회전부(110)의 거리가 줄어들거나 늘어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옵터 회전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덮개부(730)의 절개면(731)이 양측에 형성되며, 절개면(731)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디옵터 회전부(110)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셔터부(41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닫힘/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 등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닫힘/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셔터부(400)를 동작시킴으로써 모양체근 뿐만아니라 홍채근도 훈련시켜 시력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 몸체부 )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양체근 훈련 장치(10)는 크게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막(710), 뷰(500), 디옵터 회전부(110) 및 거리 조절부(300)가 구비된 시력 훈련부(720), 및 덮개부(730)로 구성된다. 뷰(500)의 전면에는 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셔터부(400)가 구비되며, 시력 훈련부(72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 테(721)가 구비된다. 덮개부(730) 양측에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절개면(731)이 형성(대략 직사각형 모양)되며, 이 절개면(731)을 상측으로 관통하여 디옵터 회전부(110)가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디옵터 회전부(110)를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경우 동공 간 거리 조절이 되며, 돌출된 디옵터 회전부(1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인접 디옵터 렌즈로 교번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체근 훈련 장치(10)는 시력 훈련부(720) 후면에 뷰(500)와 대략 동일한 절개면(741)을 가진 지지대(740)가 구비되며, 지지대(740) 후면에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눈을 밀착시키도록 하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테(7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에 자세히 참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모양채근 훈련 장치
100 :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
110 : 디옵터 회전부
110a : 좌측 디옵터 회전부
110b : 우측 디옵터 회전부
111 : 디옵터 렌즈
112 : 디옵터 렌즈 안착홈
113 : 외측 홈
114 : 하우징
115 : 중앙 영역
116 : 회전체(구슬)
117 : 굴곡면
117a : 오르락면
117b : 내리락면
118 : 굴곡면의 후면
119 : 원통 형상의 고정 틀
120 : 디옵터 지지부
120a : 좌측 디옵터 지지부
120b : 우측 디옵터 지지부
121 : 'ㄷ'자 형상부
122a : 좌측 수평 연장부
122b : 우측 수평 연장부
123a : 좌측 수평 연장 홈
123b : 우측 수평 연장 홈
124 : 디옵터 지지부 개구
124a : 우측 개구
124b : 좌측 개구
130 : 디옵터 렌즈 고정부
140 :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
141 : 기어 휠
142a : 하측 랙 이동부
142b : 상측 랙 이동부
143a : 하측 기어 홈
143b : 상측 기어 홈
150 :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
151 : 지지축(중심축)
152 : 디옵터 렌즈부
160 : 줌식 디옵터 렌즈부
161 : 디옵터 렌즈부
162 : 접안 렌즈부
163a,163b : 중심축
200 : 접안 렌즈부
210 : 접안렌즈
220 : 접안렌즈 안착홈
230 : 접안렌즈 하우징
231 : 접안렌즈 결합 홈
240 : 접안렌즈 결합 고정부
250 : 접안렌즈 개구
300 : 거리 조절부
310 : 기어 휠(치형 기어)
320 : 기어 휠 고정부
321 : 휠 고정부 홈
322 : 몸체
323 : 고정부
330 : 중심축
400 : 셔터부
410a : 우측 셔터
410b : 좌측 셔터
420 : 차단막
500 : 뷰
510a : 우측 뷰
510b : 좌측 뷰
520 : 절개면
700 : 몸체부
710 : 보호막
720 : 시력 훈련부
721 : 안경테
730 : 덮개부
731 : 절개면
740 : 지지대
741 : 절개면
750 : 테

Claims (14)

  1.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좌측 및 우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부,
    상기 접안 렌즈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되며, 서로 다른 디옵터를 갖는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하는 디옵터 렌즈부, 및
    상기 접안렌즈와 선택된 디옵터 렌즈의 한 쌍이 양측에서 좌측 및 우측 동공과 동일 축 상에 놓이도록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옵터 렌즈부의 디옵터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모양체근을 훈련함으로써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 렌즈부는,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어느 하나가 회전에 의해 선택되는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이거나, 복수의 디옵터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선택되는 슬라이딩식 디옵터 렌즈부이거나, 복수의 디옵터 렌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옵터 렌즈가 상기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점층식 디옵터 렌즈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식 디옵터 렌즈부는,
    디옵터 렌즈가 안착 되는 안착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 영역에 복수의 외측홈이 구비되는 디옵터 회전부, 및
    상기 디옵터 회전부를 지지하는 디옵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 지지부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디옵터 회전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 회전부의 일측 중앙 영역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디옵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와 맞닿는 굴곡면이 회전됨으로써 디옵터 렌즈를 한 스텝씩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렌즈부는,
    상기 접안렌즈가 안착 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결합 홈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결합 홈과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과 상기 결합 고정부의 회전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고정부는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개소에서 회전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고정부는 나사산 및 나사골로 이루어져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는,
    상기 디옵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간 거리 조절은,
    상기 디옵터 회전부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디옵터 지지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좌측 디옵터 지지부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며, 일면에 수평 연장 홈이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부는,
    좌측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좌측 수평 연장부 및 우측 디옵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우측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좌측 수평 연장부와 상기 우측 수평 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 연장 홈과 맞물려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옵터 지지부를 수평 이동시켜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기어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고정하는 기어 휠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14.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접안렌즈가 좌측 및 우측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부,
    상기 접안 렌즈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접안렌즈의 디옵터와 다른 디옵터를 갖는 디옵터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접안 렌즈부의 접안렌즈와 동일 축 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하는 디옵터 렌즈부, 및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디옵터 렌즈의 한 쌍이 양측에서 좌측 및 우측 동공과 동일 축 상에 놓이도록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렌즈와 상기 디옵터 렌즈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모양체근을 훈련함으로써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1020150020281A 2015-02-10 2015-02-10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10173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81A KR101732499B1 (ko) 2015-02-10 2015-02-10 모양체근 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281A KR101732499B1 (ko) 2015-02-10 2015-02-10 모양체근 훈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64A true KR20160097864A (ko) 2016-08-18
KR101732499B1 KR101732499B1 (ko) 2017-05-04

Family

ID=568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281A KR101732499B1 (ko) 2015-02-10 2015-02-10 모양체근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8983A (zh) * 2017-01-01 2017-05-10 杭州延华多媒体科技有限公司 使用多焦点镜片或镜片组做变焦极目训练的装置
CN107951685A (zh) * 2017-12-11 2018-04-24 重庆康萃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平面旋转翻转镜
KR20180051348A (ko) 2016-11-08 2018-05-16 박성용 시력 회복 장치
KR20180051347A (ko) 2016-11-08 2018-05-16 박성용 시력 회복 장치
CN113952108A (zh) * 2021-12-03 2022-01-2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眼部光疗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967B2 (ja) 2005-11-01 2011-10-26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353A (ja) * 2007-09-12 2009-04-02 Deon Kogaku Giken:Kk 双眼鏡
KR101239838B1 (ko) 2010-03-10 2013-03-06 조형철 시정보처리기능 훈련기기
CN101829007B (zh) * 2010-04-29 2013-02-13 何洋 一种近视综合治疗训练器的透镜装置
KR101408237B1 (ko) * 2013-09-23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쏠 안근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967B2 (ja) 2005-11-01 2011-10-26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문헌 : US 6,659,612(Device for use in eyesight test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348A (ko) 2016-11-08 2018-05-16 박성용 시력 회복 장치
KR20180051347A (ko) 2016-11-08 2018-05-16 박성용 시력 회복 장치
US11400012B2 (en) 2016-11-08 2022-08-02 Sung Yong Park Vision recovery training device
CN106618983A (zh) * 2017-01-01 2017-05-10 杭州延华多媒体科技有限公司 使用多焦点镜片或镜片组做变焦极目训练的装置
CN107951685A (zh) * 2017-12-11 2018-04-24 重庆康萃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平面旋转翻转镜
CN107951685B (zh) * 2017-12-11 2024-04-30 重庆康萃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平面旋转翻转镜
CN113952108A (zh) * 2021-12-03 2022-01-2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眼部光疗仪
CN113952108B (zh) * 2021-12-03 2023-07-1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眼部光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99B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765B1 (ko)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101732499B1 (ko)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101580477B1 (ko) 시력개선장치
US4756305A (en) Eye training device
US11413211B2 (en) Vision training device
KR20190011751A (ko) 시력 개선 장치
ES2856188T3 (es) Instrumento miniaturizado simulador de visión simultánea
JP2022000712A (ja) 摩擦安定化したコンタクトレンズ
JP2017090919A (ja) 最適化性能を有する先端を切った並進型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設計方法
KR20040010139A (ko) 프리즘에 기초한 동적인 시력 단련 장치 및, 그것의 방법
CN106963607B (zh) 智能控制睫状肌训练仪
US20210307994A1 (en) Eye exercise device
EP1181619A1 (en) Eye-conditioning and eyesight-improving device
US2831481A (en) Optical device
KR102007826B1 (ko) 눈 운동장치
US20160370602A1 (en) Contact lens for myopia progression suppression, and design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966129A (zh) 视力调节锻炼器及多功能眼镜
KR101239838B1 (ko) 시정보처리기능 훈련기기
KR102065747B1 (ko) 눈 운동장치
KR20100116092A (ko) 훈련용 안경
TWM561515U (zh) 雙眼之眼肌調節與放鬆裝置
US20180217368A1 (en) Customized Viewing System Including Adjustable Eye Relief for a Standalone Optical Device
CA3151874C (en) Glasses for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KR102490711B1 (ko) 눈 운동장치
CN212781530U (zh) 一种镜片可调节的医用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