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47B1 - 눈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눈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47B1
KR102065747B1 KR1020190092698A KR20190092698A KR102065747B1 KR 102065747 B1 KR102065747 B1 KR 102065747B1 KR 1020190092698 A KR1020190092698 A KR 1020190092698A KR 20190092698 A KR20190092698 A KR 20190092698A KR 102065747 B1 KR102065747 B1 KR 10206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eye
barrel
gaze
gaz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학
Original Assignee
이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학 filed Critical 이병학
Priority to KR102019009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47B1/ko
Priority to JP2021548495A priority patent/JP2022513395A/ja
Priority to PCT/KR2019/015736 priority patent/WO2020105982A1/ko
Priority to US17/287,546 priority patent/US20210307994A1/en
Priority to CN201980074536.9A priority patent/CN11316431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눈 주위 안면을 덮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착용자의 눈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주시 플레이트 및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마련되며,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메인 점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점멸모듈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눈 운동장치{EYE MOVEMNET APPARATUS}
본 발명은 눈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력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LED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구 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영상매체로 인해 현대인들의 눈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눈의 피로를 해소하고자 여러 가지 안구 운동을 수시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즉, 하루 일과 중 수 회에 걸쳐 눈 주위를 마사지하는 것만으로도 눈의 피로를 해소시킬 수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항이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눈의 피로를 풀기 위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눈 주위의 마사지는 단순히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을 활성화하는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나빠진 시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장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35742호(2010.04.07)의 "개인용 시력 보호 운동기"가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개인용 시력 보호 운동기'는, 안경타입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마련된 렌즈(5)와, 상기 렌즈의 주위에서 착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도록 설치된 지압봉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셔터가 설치되어 착용자가 시력 보호 운동
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을 주시하였을 때 셔터가 열리고 닫히는 것에 따라 본체(1) 내부에 명암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홍채를 이완 및 수축시키는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에 마련된 렌즈(5)의 내부 둘레로 LED가 설치되어 착용자
가 점멸하는 LED를 주시하는 것에 따라 착용자의 안구가 발광하는 LED를 추적하여 안구와 연결된 근육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어 시력을 향상시키는 도움을 주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안근 운동장치는 렌즈(5)의 내부 둘레
에 설치되어 점멸되는 LED들의 각 위치가 근시나 원시 또는 난시 등의 종류별 안구운동에 적합하지 않아서 이를 통해 안구운동을 실시하여도 사실상 시력을 향상(회복)시킬 수 없다.
즉, 선행기술에 따른 안근 운동장치는 렌즈(5)의 내부 둘레에 설치된 LED가 원형으로만 배치되어 LED의 점멸순서가 원형으로만 국한되기 때문에 안구를 움직는 상직근, 상사근, 외직근, 하사근, 하직근, 내직근을 고르게 운동시키지 못하므로 시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른 안근 운동장치는 난시를 개선하기 위한 안구 운동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난시자들 또는 난시가 혼합된 약시자의 시력 향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35742호(2010.04.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동공 크기가 조절되도록 홍채를 운동시켜 시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안구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상직근, 상사근, 외직근 하사근, 하직근, 내직근 등과 같은 다양한 근육을 이완 및 수축시켜 시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쪽 눈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어 렌즈의 위치를 가변될 수 있도록 구정된 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착용자의 눈 주위 안면을 덮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착용자의 눈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주시 플레이트 및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마련되며,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메인 점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점멸모듈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시 플레이트는 상기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LED들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착용자의 눈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양단부 측방에 각각 배치되고,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측방 시선을 유도하는 보조 점멸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LE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LED들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착용자의 눈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이나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고, 외부의 빛을 상기 보조 점멸모듈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하는 핀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경통의 전방에서부터 착용자를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상기 메인 점멸모듈과 별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점멸하면서 착용자의 동공을 순간적으로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간접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시 플레이트가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주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홀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마련되며, 상기 핀홀을 통과한 빛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산란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란 방지부는 상기 핀홀을 통과한 빛이 유입되는 제1광로가 마련된 제1블록체 및 상기 제1블록체에 형성된 상기 제1광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광로가 마련된 다수개의 제2블록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로를 구획하는 상기 제1블록체의 내주면 전체와 상기 제2광로를 구획하는 상기 제2블록체의 내주면 일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방지부는 상기 제2블록체와 상기 주시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간접조명수단 및 상기 간접조명수단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2광로로 안내하며 상기 제2블록체에 마련되는 제3광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블록체와 상기 제2블록체 또는 상기 다수개의 제2블록체들 사이에는 디스크가 개재되며, 상기 디스크의 중앙부에는 빛이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렌즈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홀더와 상기 산란 방지부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산란 방지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블록체와 상기 제2블록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홀부가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경통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되는 주동 베벨기어와, 상기 주동 베벨기어에 마련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어 회전되되 상기 주동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베벨기어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며, 상기 주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홀부는 상기 경통의 측벽에도 마련되어 외부의 빛을 상기 측벽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는, 근시, 원시, 난시를 개선하기 위한 렌즈가 렌즈 홀더에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눈 주위 근육을 적합하게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LED가 주시 플레이트에 배치는 구조를 가지므로, 착용자의 시선이 점멸되는 LED를 따라 이동되어 결국,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을 골고루 이완 및 수축될 수 있어서 착용자의 시력이 향상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는, 주시 플레이트와 인접하게 조명수단이 설치되고, 이 조명수단의 점멸에 의해 착용자의 홍채가 반응하여 동공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착용자의 시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는, 착용자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어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특정 착용자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용되어 시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핀홀부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점멸모듈과 보조 점멸모듈이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100)는, 착용자의 눈 주위 안면을 덮는 경통(110); 상기 경통(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경통(1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착용자의 눈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 및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마련되며, 외부의 빛을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안내하는 핀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통(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 주위를 덮는 일측이 개방된 함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경통(110)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착용자의 눈 전방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벽(111, 111'); 상기 전방벽(111, 1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착용자를 향해 연장되며, 착용자의 측방 시야를 차단하는 측벽(112, 112') 및 상기 전방벽(111, 111')과 상기 측벽(112, 112')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벽(113, 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통(110)의 한 쌍의 전방벽(111, 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는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와 후술할 이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전방벽(111, 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상기 공간부(S)에서 상기 전방벽(111, 111')의 길이방향(착용자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인 상기 이동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전방벽(111, 111') 중에서 착용자와 근접하게 배치된 일측 전방벽(111)에는 상기 공간부(S)에 배치된 주시 플레이트(120)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1a)가 마련되고, 타측 전방벽(111')에는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핀홀부(20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111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113, 113')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착용자가 경통(110)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눈 주위 근육을 지압하는 다수개의 돌기(113a, 113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통(110)을 착용한 착용자의 눈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착용자는 일측 전방벽(111)에 형성된 개구부(111a)을 통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일면을 바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타면에는 상기 핀홀부(200)가 마련되는바, 상기 핀홀부(200)는 상기 경통(110)의 타측 전방벽(111')에 형성된 개구부(111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통(110)을 착용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바라보는 착용자는 상기 핀홀부(200)를 경유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으로 유입되는 빛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핀홀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핀홀(2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홀더(210); 상기 홀더(210)의 공간부에 마련되는 렌즈부재(220); 및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의 직진성을 유도하는 산란 방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일측은 차단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는 외부의 빛이 유입되는 핀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210)의 타측은, 상기 렌즈부재(220) 및 상기 산란 방지부(23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상기 홀더(210)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홀더(210)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타면과 연결되는바,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는 상기 홀더(210)의 길이방향 타측이 단순히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타면과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홀더(21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타면에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홀더(210)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부재(220)는, 상기 홀더(210)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홀더(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눈 상태에 대응되어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시 또는 근시성 약시를 가지는 착용자의 눈 상태에 대응되어 오목렌즈로 구현될 수 있고, 반대로, 원시 또는 원시성 약시를 가지는 착용자의 눈 상태에 대응되어 볼록렌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재(220)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홀(221a, 221'a)이 형성된 차광시트(221, 221')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차광시트(221, 221')는, 상기 홀더(210)에 형성된 핀홀(211)로 유입된 외부의 빛이 상기 렌즈부재(220)의 중앙부로만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바라보는 착용자가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을 통해 용이하게 빛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광시트(221, 221')에 형성된 핀홀(221a, 221'a)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0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부재(220)의 양면에 각각 코팅된 차광시트(221, 221')에 의해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으로 외부의 빛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렌즈부재(220)의 양면에 차광시트(221, 221')가 각각 코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렌즈부재(220)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차광시트(221, 221')가 코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렌즈부재(220)는 표면의 보호와 자외선 차단을 위하여 UV코팅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경통(110)을 착용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내면을 바라보는 착용자는, 상기 렌즈부재(220)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을 경유하여 조사되는 빛을 주시함으로써 동공 크기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즉, 착용자의 홍채가 상기 관통구멍(120a)을 통하여 조사되는 빛에 의해 운동될 수 있다.
상기 산란 방지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이 유입되는 제1광로(231a)가 마련된 제1블록체(231); 및 상기 제1블록체(231)에 형성된 상기 제1광로(231a)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광로(232a)가 마련된 다수개의 제2블록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체(231)와 상기 제2블록체(232)는 상기 홀더(2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210)가 형성하는 공간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더(210)에 형성된 공간부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상기 제1블록체(231)와 상기 제2블록체(232)는 원판 또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체(231)는 상기 홀더(210)의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렌즈부재(220)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블록체(232)는 상기 홀더(210)의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블록체(231)와 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블록체(231)와 제2블록체(232)는, 상기 홀더(210)에 마련된 핀홀(211)과 상기 렌즈부재(220)를 순차 경유한 외부의 빛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홀더(210)에 마련된 핀홀(211)과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이 직진성을 가진 채로 경통(110)을 착용한 착용자의 눈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체(231)에 마련된 제1광로(231a)에는 다수개의 나사홈(d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광로(231a)를 구획하는 상기 제1블록체(231)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서 나사홈(d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광로(231a)로 유입된 빛 중에서 사선방향으로 확산된 빛은 상기 제1광로(231a)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홈(d1)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진성을 가지는 빛만 상기 제1광로(231a)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2블록체(232)의 제2광로(232a)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제1블록체(231)에서 1차적으로 산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블록체(232)에 마련된 제2광로(232a)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나사홈(d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광로(232a)를 구획하는 상기 제2블록체(232)의 내주면 일부에만 나사홈(d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체(232)는, 상기 제1블록체(231)에 의하여 1차적으로 산란이 방지된 빛이 2차적으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블록체(232)에 형성되는 나사홈(d2)은 상기 제2블록체(232)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필요가 없다.
위와 같은 제2블록체(232)는, 상기 홀더(210)에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블록체(232)가 상기 제1블록체(231)의 후방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210)의 핀홀(211)과 상기 렌즈부재(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빛은, 상기 제1블록체(231)의 제1광로(231a)와 상기 제2블록체(232)의 제2광로(232a)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착용자의 눈으로 전달되는바, 착용자는 상기 제1광로(231a)에 형성된 나사홈(d1)과 상기 제2광로(232a)에 형성된 나사홈(d2)에 의해 산란된 빛이 아닌 직진성을 가지는 빛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동공이 산란된 빛에 의해 반응하지 않고 직진성을 가지는 빛에 반응함에 따라서 눈에 가해지는 피로도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산란 방지부(230)는, 상기 제2블록체(232)와 상기 주시 플레이트 (120)사이에 마련되는 간접조명수단(233); 및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제2광로(232a)로 안내하며, 상기 제2블록체(232)에 마련되는 제3광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은, 일정 패턴으로 점멸되어 조명 빛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보다 더 밝은 조명 빛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주시 플레이트(120)를 주시한 착용자는 일정패턴으로 점멸되는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에 의해 동공이 순간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3광로(234)는,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에서 발생되는 조명 빛을 상기 제2블록체(232)가 구획하는 제2광로(232a)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광로(23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제2블록체(232)에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제2블록체(2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제3광로(234)를 경유하여 상기 제2블록체(232)가 구획하는 제2광로(232a)로 유입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착용자는 상기 렌즈부재(220)를 통과한 빛을 주시하다가 상기 간접조명수단(233)의 점멸에 의해 동공이 순간적으로 확장된 후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란 방지부(230)는 다수개의 디스크(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235)는, 상기 제1블록체(231)과 상기 제2블록체(23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블록체(231)가 형성하는 제1광로(231a)와 상기 제2블록체(232)가 형성하는 제2광로(232a)를 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광로(231a)를 경유한 빛이 상기 제2광로(232a)로 유입될 시에 산란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235)의 중앙부에는 빛이 통과되는 관통구멍(23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235)는, 상기 홀더(210)의 공간부에 다수개의 제2블록체(232)가 마련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블록체(232)와 또 다른 상기 제2블록체(232)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크(235)는 상기 제2블록체(232)가 형성하는 제2광로(232a)와 또 다른 제2블록체(232)가 형성하는 제2광로(232a)를 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광로(232a)를 경유한 빛이 또 다른 제2광로(232a)로 유입될 시에 산란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 운동장치(100)는, 도 2와 도 6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홀부(200)가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가 상기 경통(110)의 한 쌍의 전방벽(111, 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서 서로 근접하게 이동되거나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방벽(111, 111')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가 상기 중심을 향해 서로 근접하게 이동되거나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이동부(300)는, 도 2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통(1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회전축(310); 상기 제1회전축(310)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되는 주동 베벨기어(320);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에 마련되는 다이얼(330); 상기 다이얼(330)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어 회전되되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와 맞물리는 종동 베벨기어(340, 340'); 상기 종동 베벨기어(340, 340')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축(3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회전축(350, 350'); 및 상기 제2회전축(350, 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며,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이송부재(36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310)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전방벽(111, 1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는 상기 제1회전축(310)과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330)은 착용자가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얼(330)의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통(110)을 구성하는 차단벽(113')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상기 차단벽(113')의 상부로 노출된 다이얼(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종동 베벨기어(340, 340')는, 상기 제2회전축(35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350, 350')은 상기 공간부(S)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일측단부에는 상기 종동 베벨기어(340, 340')가 고정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길이방향 타측 단부는 상기 경통(110)의 측벽(11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330)과 함께 상기 주동 베벨기어(320)가 회전되면, 상기 한 쌍의 종동 베벨기어(340, 3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350)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360, 360')는, 관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350, 35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60, 360')는 상기 제2회전축(350, 25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회전축(350, 35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360, 360')의 내주면과 상기 제2회전축(350, 350')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공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360, 360')는 상기 제2회전축(350. 350')이 회전되면 상기 제2회전축(350, 3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33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350, 350')에 마련된 이송부재(360, 36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재(360, 360')에 각각 마련된 주시 플레이트(120)는, 착용자의 눈과 눈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서로 근접한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부(300)에 의하여 착용자는 상기 다이얼(330)을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0a)을 사용자의 좌/우 동공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주시 플레이트(120)가 상기 이동부(300)에 의하여 이동될 시에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G)가 상기 전방벽(111)과 상기 격벽(1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G)는,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차단벽(113, 113')과 미끄럼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이드부재(G)는,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삽입되어 미끄럼 접촉될 수 있는 공지의 풀리(pulley)나 'ㄷ'의 단면을 가지는 레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통(110)의 전방벽(111') 외면에는 상기 핀홀부(200)가 이동된 거리를 착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상기 경통(110)을 착용하기 전에 상기 눈금을 통해 상기 다이얼(330)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좌/우 동공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홀부(200)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내면에는 일정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전방 시선을 유도하는 메인 점멸모듈(400, 4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은, 다수개의 LED(401~408, 401'~408')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0a)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통(110)의 측벽(112) 내면에는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과 함께 일정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측방 시선을 유도하는 보조 점멸모듈(500, 5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도 다수개의 LED(501~508, 501'~508')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12)에 형성된 관통구멍(112a)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112)은 착용자가 시선을 측방으로 향했을 때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에서 점멸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벽(11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벽(111)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된 한 쌍의 측벽(112)은 착용자를 향해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과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의 LED(401~408, 401'~408')와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의 LED(501~508, 501'~50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LED가 일정 패턴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하는 PCB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의 LED(401~408, 401'~408')와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의 LED(501~508, 501'~508')에 전원을 공급하고 점멸을 제어하는 기술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 구성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따라서, 경통(110)을 착용한 착용자는, 상기 핀홀부(200)를 통하여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빛을 중심으로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내면에서 일정 패턴으로 점멸되는 다수개의 LED(401~408, 401'~408')와 상기 경통(110)의 측벽(112) 내면에서 일정 패턴으로 점멸되는 다수개의 LED(501~508, 501'~508')를 따라 안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경통(110)을 착용한 채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의 관통구멍(120a)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빛을 1차적으로 바라본 뒤, 상기 메인 점멸모듈(400, 400')의 LED(401~408, 401'~408') 또는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의 LED(501~508, 501'~508')를 바라보면서 안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점멸모듈(500, 500')이 마련된 상기 측벽(112)에도 핀홀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핀홀부(200)는, 상기 측벽(112)의 외면에도 마련되어 상기 측벽(112)에 형성된 관통구멍(112a)으로 외부의 빛을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측벽(112)에 마련된 핀홀부(200)의 렌즈부재(220)는,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핀홀부(200)의 렌즈부재(222)가 볼록렌즈로 구성되었을 때 오목렌즈로 구성되거나, 반대로,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핀홀부(200)의 렌즈부재(222)가 오목렌즈로 구성되었을 때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핀홀부(200)의 렌즈부재(220)와 상기 측벽(112)에 마련된 핀홀부(200)의 렌즈부재(220)를 서로 다른 형태의 렌즈로 구성시키는 이유는, 경통(110)을 착용한 착용자가 상기 주시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0a)과 상기 측벽(112)에 형성된 관통구멍(112a)을 교대로 주시하여 수정체의 이완과 수축 운동을 실시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착용자는 측방으로 시선을 돌려서 상기 측벽(112)에 마련된 핀홀부(200)에 의해 상기 측벽(112)의 관통구멍(112a)으로 유입되는 빛을 바라보고 홍채 운동과 함께 수정체의 운동도 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홀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홀더(210)의 내부에 렌즈부재(220)를 생략하고 상기 산란 방지부(230)의 제1블록체(231)와 제2블록체(232)만 배치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홀더(210)에 마련되는 렌즈부재(220)와 제1블록체(231) 및 제2블록체(232)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210)의 핀홀(211)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상기 제1블록체(231) 또는 상기 제2블록체(232)가 배치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상기 렌즈부재(2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눈 운동장치 110 : 경통
111 : 전방벽 112 : 측벽
113 : 차단벽 114 : 격벽
120 : 주시 플레이트 200 : 핀홀부
210 : 홀더 211 : 핀홀
220 : 렌즈부재 230 : 산란 방지부
231 : 제1블록체 231a : 제1광로
232 : 제2블록체 232a : 제2광로
233 : 간접조명수단 234 : 제3광로
300 : 이동부 310 : 제1회전축
320 : 주동 베벨기어 330 : 다이얼
340 : 종동 베벨기어 350 : 제2회전축
400, 400' : 메인 점멸모듈 500, 500' : 보조 점멸모듈

Claims (8)

  1. 착용자의 눈 주위 안면을 덮는 경통;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착용자의 눈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주시 플레이트; 및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마련되며,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메인 점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점멸모듈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고,
    상기 주시 플레이트는
    상기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LED들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착용자의 눈으로 안내하며,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양단부 측방에 각각 배치되고, 설정된 패턴으로 점멸되어 착용자의 측방 시선을 유도하는 보조 점멸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LE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방사된 형태를 이루는 LED들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경통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착용자의 눈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이나 상기 경통의 측벽에 마련되고, 외부의 빛을 상기 보조 점멸모듈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하는 핀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멸모듈은
    상기 주시 플레이트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경통의 전방에서부터 착용자를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시 플레이트의 상기 메인 점멸모듈과 별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점멸하면서 착용자의 동공을 순간적으로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간접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시 플레이트가 착용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주시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운동장치.
KR1020190092698A 2018-11-20 2019-07-30 눈 운동장치 KR10206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98A KR102065747B1 (ko) 2019-07-30 2019-07-30 눈 운동장치
JP2021548495A JP2022513395A (ja) 2018-11-20 2019-11-18 目運動装置
PCT/KR2019/015736 WO2020105982A1 (ko) 2018-11-20 2019-11-18 눈 운동장치
US17/287,546 US20210307994A1 (en) 2018-11-20 2019-11-18 Eye exercise device
CN201980074536.9A CN113164317B (zh) 2018-11-20 2019-11-18 眼运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98A KR102065747B1 (ko) 2019-07-30 2019-07-30 눈 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245A Division KR102007826B1 (ko) 2018-11-20 2018-11-20 눈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747B1 true KR102065747B1 (ko) 2020-01-13

Family

ID=6915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698A KR102065747B1 (ko) 2018-11-20 2019-07-30 눈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498A (ko) 2021-01-18 2022-07-26 이병학 눈 운동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60Y1 (ko) * 1990-03-05 1996-01-10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테스트 싸이클 라이트 풀 메모리 셀
JP3047412U (ja) * 1997-09-24 1998-04-14 実 大井 ピンホール付き視力補助具
KR19980027689U (ko) * 1996-11-19 1998-08-05 박용진 안경
KR200192542Y1 (ko) * 2000-03-03 2000-08-16 박제영 안부 안마기
KR20100035742A (ko) 2008-09-29 2010-04-07 권창민 개인용 시력 보호 운동기
KR101323260B1 (ko) * 2013-02-21 2013-10-30 주식회사 아이쏠 시력보호장치
KR101408237B1 (ko) * 2013-09-23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쏠 안근운동 장치
KR20150061080A (ko) * 2013-11-25 2015-06-04 아이비케어 주식회사 가성근시 및 눈 피로 해소 운동 장치
KR101580477B1 (ko) * 2014-08-12 2015-12-28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WO2017200113A1 (ko) * 2016-05-16 2017-11-23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KR2018004747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지엔일렉 시력 교정용 안경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60Y1 (ko) * 1990-03-05 1996-01-10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테스트 싸이클 라이트 풀 메모리 셀
KR19980027689U (ko) * 1996-11-19 1998-08-05 박용진 안경
JP3047412U (ja) * 1997-09-24 1998-04-14 実 大井 ピンホール付き視力補助具
KR200192542Y1 (ko) * 2000-03-03 2000-08-16 박제영 안부 안마기
KR20100035742A (ko) 2008-09-29 2010-04-07 권창민 개인용 시력 보호 운동기
KR101323260B1 (ko) * 2013-02-21 2013-10-30 주식회사 아이쏠 시력보호장치
KR101408237B1 (ko) * 2013-09-23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쏠 안근운동 장치
KR20150061080A (ko) * 2013-11-25 2015-06-04 아이비케어 주식회사 가성근시 및 눈 피로 해소 운동 장치
KR101580477B1 (ko) * 2014-08-12 2015-12-28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WO2017200113A1 (ko) * 2016-05-16 2017-11-23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KR2018004747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지엔일렉 시력 교정용 안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498A (ko) 2021-01-18 2022-07-26 이병학 눈 운동장치
KR20220155968A (ko) 2021-01-18 2022-11-24 이병학 눈 운동장치
KR102490711B1 (ko) * 2021-01-18 2023-01-19 이병학 눈 운동장치
KR102613351B1 (ko) * 2021-01-18 2023-12-12 이병학 눈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0813B2 (en) Projection of defocused images on the peripheral retina to treat refractive error
KR101580477B1 (ko) 시력개선장치
US11536978B1 (en) Light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regional variation of visual information and sampling
CN113164317B (zh) 眼运动装置
KR100526023B1 (ko) 프리즘에 기초한 동적인 시력 단련 장치 및, 그것의 방법
WO2021252319A1 (en) Projection of defocused images on the peripheral retina to treat refractive error
KR102007826B1 (ko) 눈 운동장치
KR101663765B1 (ko)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20100035742A (ko) 개인용 시력 보호 운동기
KR20190011751A (ko) 시력 개선 장치
WO2018225901A1 (ko) 안구 운동 장치
CA2408494C (en) Eye-conditioning and eyesight-improving device
KR102065747B1 (ko) 눈 운동장치
KR101732499B1 (ko) 모양체근 훈련 장치
KR102613351B1 (ko) 눈 운동장치
KR101209690B1 (ko) 색채치료법을 이용한 안경
KR102219851B1 (ko) 눈 운동장치
JP2004351103A (ja) 調整式プリズム視力訓練装置
RU147848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нейро-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тренажёр
KR20020091373A (ko) 의료용 광 자극장치
US3986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herapeutic treatment of nearsightedness
KR20180047504A (ko) 시력 교정용 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