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857A - 정형외과용 부목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부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7857A KR20160097857A KR1020150020263A KR20150020263A KR20160097857A KR 20160097857 A KR20160097857 A KR 20160097857A KR 1020150020263 A KR1020150020263 A KR 1020150020263A KR 20150020263 A KR20150020263 A KR 20150020263A KR 20160097857 A KR20160097857 A KR 201600978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lint
- orthopedics
- present
- fabric
- cylindric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 A61F2005/010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사용하여 환편기에서 원통 형태의 부목 원단(12)을 직조하고, 이 원통 형태의 부목 원단(12)을 납작하게 눌러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제사(14)로 봉제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겉면과 신체에 접촉하는 속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부목으로 제작한 것인바, 쿠션감이 있고, 신체를 입체적으로 감싸면서도 접히는 부분이 없어 시술자와 환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사용하여 환편기에서 원통 형태의 부목 원단을 직조하고, 이 원통 형태의 부목 원단을 납작하게 눌러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제사로 봉제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겉면과 신체에 접촉하는 속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부목으로 제작한 것인바, 쿠션감이 있고, 신체를 입체적으로 감싸면서도 접히는 부분이 없어 시술자나 환자 모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에서 신체의 골절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부목(splint)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부목은 팔꿈치나 무릎 부위에 적용할 경우 접힘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신체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는 신축성 즉, 가요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4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오던 유리섬유 대신 폴리에스터사 등의 각종 합성수지사를 사용하여 직조한 경편직물을 다층으로 적층하고 이를 봉제사를 사용하여 일체화한 방식의 부목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종래의 적층식 부목에 있어서는 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중으로 적층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를 다시 봉제사를 사용하여 일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외곽 부분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기 위한 마감작업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상당한 숙련도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층식 부목에 있어서는 충분한 쿠션감을 주기 위해서는 적층되는 원단의 수량을 증대시켜야 했었고, 다중으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신축성이 저하되어 입체적인 신체 표면에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며, 접힘부에서 주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것은 물론 시술자가 주름을 없애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을 기울어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부목이나 폴리에스터사나 부직포 등을 다층으로 적층한 형태의 부목이 갖고 있던 단점을 해소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이며, 환자나 시술자 모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형외과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사용하여 환편기에서 편직한 원통형의 부목 원단을 납작하게 눌러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제사로 재봉하여 겉면과 속면이 밀착되도록 한 정형외과용 부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는 다중으로 합사하여 편직하여 적정한 쿠션감 및 두께감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부목은 기존의 유리섬유 대신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와 자연에 친환경적이고, 환편기를 사용하여 제작한 후 길이방향을 따라 봉제하게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두께를 가지게 되며, 환편조직에 의해 사방으로의 신축성이 우수하여 입체적인 부위의 신체를 잘 감싸면서도 접히는 부분이 없어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되므로 불편하지 않아 기존의 다겹식 부목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형외과용 부목의 실물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목의 부분 확대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부목을 발뒤꿈치나 팔꿈치 부분에 두른 상태에서 접히는 부분이 없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목의 부분 확대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부목을 발뒤꿈치나 팔꿈치 부분에 두른 상태에서 접히는 부분이 없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정형외과용 부목의 실물 견본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부목(10)은 280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20~40가닥 정도 합사하여 환편기에서 뜨개질을 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편직하여 원통형의 부목 원단(12)을 형성하고, 이를 납작하게 누른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제사(14)로 재봉하여 소정 폭이 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정형외과용 부목(10)은 그 폭을 5cm에서부터 20cm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두께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의 합사 개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바,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 예에 의한 정형외과용 부목(10)은 폭이 10cm내외이고, 두께는 0.5~1cm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부목 원단(12)은 원통형으로 연속적인 길이로 제작되며, 필요한 길이, 예를 들면 50~100cm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복수의 봉제사(14)로 제봉하여 겉면과 속면이 밀착되도록 한 후, 여기에 액상의 경화제를 도포 또는 침적한 후 밀봉 포장하여 병원 등에 납품하게 된다.
상술한 경화제 및 밀봉 포장 방법에 대하여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부목 원단(12)은 환편기에서 직조되는 모양 즉, 직조 조직이 저지(JERSEY)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겉의 조직모양과 안의 조직모양이 다르며, 부목 원단상태에서는 바깥으로 말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봉제선(14)을 이용하여 납작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납작하게 눌린 상태에서 겉면과 속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겉면과 속면이 이격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정형외과용 부목(10)은 상술한 직조 조직 자체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사선방향으로의 신축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므로 입체적인 표면을 갖는 신체 부위에의 밀착성이 우수함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표면을 갖는 신체 부위(특히 팔꿈치나 무릎 부위 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정형외과적인 시술이 필요한 부위에 부목을 대주는 작업이 용이하며, 굴곡진 부위에 밀착될 때 접히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신체를 입체적으로 감싸면서도 접히는 부분이 없어 이물감이 적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봉제사(14)는 부목 원단과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나 면사 또는 나일론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평행하게 이격된 봉제사(14)의 간격은 0.5~3cm정도로 하는 것이 적정하나 이의 간격과 봉제선의 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봉제사(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봉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그재그 형태로 봉제하거나 사선 방향으로 봉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정형외과용 부목
12 : 부목 원단
14 : 봉제선
12 : 부목 원단
14 : 봉제선
Claims (3)
-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사용하여 환편기에서 편직한 원통형의 부목 원단을 납작하게 눌러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봉제사로 재봉하여 겉면과 속면이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는 280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 스트레치사를 20~40가닥 정도 합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정형외과용 부목(10)은 0.5~1cm의 두께이고, 5~20cm의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0263A KR101886680B1 (ko) | 2015-02-10 | 2015-02-10 | 정형외과용 부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0263A KR101886680B1 (ko) | 2015-02-10 | 2015-02-10 | 정형외과용 부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857A true KR20160097857A (ko) | 2016-08-18 |
KR101886680B1 KR101886680B1 (ko) | 2018-08-08 |
Family
ID=5687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0263A KR101886680B1 (ko) | 2015-02-10 | 2015-02-10 | 정형외과용 부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66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4122Y1 (ko) | 2016-11-14 | 2017-08-02 | 유신열 | 의료용 부목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8669A (ko) | 2001-09-25 | 2003-04-10 | 주식회사 티앤엘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070016877A (ko) | 2005-08-05 | 2007-02-08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110073721A (ko) | 2009-12-24 | 2011-06-30 | (주)조인엔터프라이즈 | 정형외과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94633A (ko) | 2011-02-17 | 2012-08-27 | (주)조인엔터프라이즈 | 정형외과용 부목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5487A (en) | 1995-06-07 | 1998-03-10 |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 Orthopedic casting tape |
US6929613B2 (en) | 2001-03-29 | 2005-08-16 | Royce Medical Company | Hardenable orthopaedic supports (lobes) |
-
2015
- 2015-02-10 KR KR1020150020263A patent/KR1018866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8669A (ko) | 2001-09-25 | 2003-04-10 | 주식회사 티앤엘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070016877A (ko) | 2005-08-05 | 2007-02-08 |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 정형외과용 부목 |
KR20110073721A (ko) | 2009-12-24 | 2011-06-30 | (주)조인엔터프라이즈 | 정형외과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94633A (ko) | 2011-02-17 | 2012-08-27 | (주)조인엔터프라이즈 | 정형외과용 부목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4122Y1 (ko) | 2016-11-14 | 2017-08-02 | 유신열 | 의료용 부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6680B1 (ko) | 2018-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259302A1 (en) | Surgical product | |
EP0120710B1 (en) | Knitted surgical swabs | |
JP2011509797A (ja) | 医療用包帯カバー、医療用包帯、及び医療用包帯製品 | |
RU2656506C2 (ru) | Эластичный бинт (варианты) | |
CN106714753A (zh) | 孔室成形结构及它们在一次性消费产品中的用途 | |
JPH09500802A (ja) | たて編ギプス包帯生地、たて編ギプス包帯および包帯の製造方法 | |
RU2604396C2 (ru) | Бандаж для тела человека или животного | |
EP0320141B1 (en) | Self-adhering orthopedic splint | |
KR101886680B1 (ko) | 정형외과용 부목 | |
KR200484122Y1 (ko) | 의료용 부목 | |
KR101232725B1 (ko) | 정형외과용 부목 | |
CN109068763B (zh) | 短袜 | |
CN114126555A (zh) | 压缩绷带以及压缩绷带套件 | |
US10993847B2 (en) | Surgical swab composed of non-woven fabric and textile polymer net | |
US20120302931A1 (en) | Splint for orthopedics | |
JP6978208B2 (ja) | 経編地及び伸縮性物品 | |
KR20120094824A (ko) | 정형외과용 부목 | |
CN216021679U (zh) | 一种医用绷带 | |
BR112016024559B1 (pt) | Fralda descartável | |
US20240269007A1 (en) | Bandage for enclosing a leg region or arm region of a living being | |
JP2007511255A (ja) | パラアラミド繊維強化を有する医療用包帯製品および基材 | |
RU2361024C1 (ru) | Эластич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JP2022091191A (ja) | 下着 | |
WO2024200998A1 (en) | Bandages or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BRPI1102387A2 (pt) | processo de manufatura de malha e produtos derivado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