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505A -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 Google Patents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505A
KR20160097505A KR1020150019241A KR20150019241A KR20160097505A KR 20160097505 A KR20160097505 A KR 20160097505A KR 1020150019241 A KR1020150019241 A KR 1020150019241A KR 20150019241 A KR20150019241 A KR 20150019241A KR 20160097505 A KR20160097505 A KR 2016009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natural aggregate
aggregate
natural
block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Priority to KR10201500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505A/ko
Publication of KR2016009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natural stones, e.g. sett 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골재(11)와 시멘트(1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1 블록층(10)과, 골재(21)와 시멘트(2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2 블록층(20)을 포함하는 천연골재 블록(100)으로서,
상기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천연골재(11)는 상기 골재(21) 대비 크기가 작으며,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용 홀(33)에는 착탈 가능한 컵포트(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Natural aggregate lawn block using a dedicated removable cup port}
본 발명은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 하천변, 운동장, 주차장 등의 대단위 면적의 바닥에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바닥을 형성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지면을 완전히 덥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녹지 공간이 조성될 수가 없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지 못하는 등 자연친화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혹서기시 급격히 상승한 지열을 흡수하지 못하여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 주차된 차량이 손상되고 열섬효과를 일으켜 보행자들에게 큰 불편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바닥을 형성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잔디 블록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잔디블록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된 잔디블록에 잔디가 식생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우천 시 빗물을 흡수하고 흐르게 하여 근접한 식물이 성장할 수 있게 하고, 혹서기시 상승하는 지열을 지면이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잔디블록은 단순히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좌우로의 유동을 줄이기는 하지만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을 막지 못하여 블록의 안전성이 부실하고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하천변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하천 범람으로 인해 토사 뿐 아니라 잔디블록도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46814호(공고일자 2006.11.23.)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단지, 하천변, 운동장, 주차장 등의 대단위 면적의 바닥에 설치되는 블록을 친환경적인 천연골재로 제조하고, 블록의 중심에는 작은 나무, 꽃, 잔디 등을 심을 수 있게 하여 주위 경관과 어우러질 수 있게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을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골재(11)와 시멘트(1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1 블록층(10)과, 골재(21)와 시멘트(2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2 블록층(20)을 포함하는 천연골재 블록(100)으로서, 상기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천연골재(11)는 상기 골재(21) 대비 크기가 작으며,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용 홀(33)에는 착탈 가능한 컵포트(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에 의하면, 블록의 상부는 작은 천연골재들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천연골재들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골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투수성이 우수하다.
또한, 블록의 표면은 천연골재들로 이루어지고 천연골재들이 표면에서 도드라지도록 워싱처리가 이루어져 있으며, 블록의 중심에는 작은 나무, 꽃, 잔디 등을 심을 수 있어 아파트단지, 하천변, 운동장, 주차장 등의 대단위 면적의 바닥에 설치시 인공 골재를 사용하는 블록에 비해 주위 경관과 어우러져 미려하다.
또한, 블록의 외곽에는 균일한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블록 설치시 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블록의 표면에는 작은 나무, 꽃, 잔디 등이 심어진 컵포트로 물을 유도할 수 있는 물길홈이 형성되어 있어 컵포트에 직접 물을 주지 않아도 물길홈을 통해 물이 컵포트로 유도되어 물이 원활하게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의 단면도로서, 컵포트와 블록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의 구성들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을 다수개 설치하여 문양을 도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이하, '천연골재 블록(100)'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골재 블록(100)은 천연골재(11)와 시멘트(1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1 블록층(10)과, 골재(21)와 시멘트(2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2 블록층(20)을 포함하는 천연골재 블록(100)으로서, 상기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천연골재(11)는 상기 골재(21) 대비 크기가 작으며,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용 홀(33)에는 착탈 가능한 컵포트(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블록층(10)의 표면은 워싱처리 되어 시멘트(12) 보다 천연골재(11)가 도출되고,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은 직사각 형태이고, 상기 돌기(31)는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네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포트(40)는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골재 블록(100)은 제1 블록층(10)과, 제2 블록층(20)으로 이루어진 블록(30)과, 상기 블록(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식생용 홀(3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컵포트(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3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층(10)은 천연골재(11)와 시멘트(1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이고, 제2 블록층(20)은 골재(21)와 시멘트(2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천연골재(11)는 상기 골재(21) 대비 크기가 작다.
천연골재(11)라 함은 생산지에 관계없이 자연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골재이며, 강모래, 강자갈, 바다모래, 바다 자갈, 육상모래, 육상자갈, 산모래, 산자갈 등이 있다.
골재(21)는 제1 블록층(10)과 동일한 천연골재(다만 크기는 커야한다)일 수 있고, 암석을 파쇄하여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공골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부는 작은 천연골재들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천연골재들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골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투수성이 우수하다.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31)는 블록(30)의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돌출된 상태로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좌우에 각각 2개씩 형성되며, 좌측의 돌기(31) 간의 간격이 넓으면 우측의 돌기(31) 간의 간격이 좁고, 전방의 돌기(31) 간의 간격이 넓으면 후방의 돌기(31) 간의 간격이 좁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다른 천연골재 블록(100)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천연골재 블록(100)의 외곽에는 균일한 크기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블록 설치시 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고, 상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용 홀(33)에는 착탈 가능한 컵포트(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컵포트(40)를 코코넛 껍질로 제조하면 통풍과 물 이동이 원활하여 꽃, 잔디, 작은 나무 등의 식생에 용이하고, 친환경적이다.
식생용 홀(33)은 컵포트(40)와 블록(30)과의 착탈을 위한 구성으로, 컵포트(40)에는 작은 나무, 꽃, 잔디 등을 심을 수 있다. 그리고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부 표면에는 컵포트로 물을 유도할 수 있는 물길홈(32)이 형성되어 있어 컵포트(40)에 직접 물을 주지 않아도 물길홈을 통해 물이 컵포트(40)로 유도되어 물이 원활하게 공급된다. 또한, 천연골재 블록(100)은 제1 블록층(10)의 표면이 워싱처리 되어 시멘트(12) 보다 천연골재(11)가 도출되고 있므로, 천연골재들이 블록(30)의 표면에서 도드라지게 되고, 블록의 중심에는 작은 나무, 꽃, 잔디 등을 심을 수 있어 아파트단지, 하천변, 운동장, 주차장 등의 대단위 면적의 바닥에 설치시 인공 골재를 사용하는 블록에 비해 주위 경관과 어우러져 미려하다.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데 제조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천연골재 블록
10: 제1 블록층
11: 천연골재
12: 시멘트
20: 제2 블록층
21: 골재
22: 시멘트
30: 블록
31: 돌기
32: 물길홈
33: 식생용 홀
40: 컵포트

Claims (3)

  1. 천연골재(11)와 시멘트(1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1 블록층(10)과, 골재(21)와 시멘트(22)를 포함하는 재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제2 블록층(20)을 포함하는 천연골재 블록(100)으로서,
    상기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천연골재(11)는 상기 골재(21) 대비 크기가 작으며,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둘레에는 다른 천연골재 블록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3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를 잇는 물길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물길홈(32)의 일측에는 천연골재 블록(1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식생용 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생용 홀(33)에는 착탈 가능한 컵포트(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층(10)의 표면은 워싱처리 되어 시멘트(12) 보다 천연골재(11)가 도출되고,
    제1 블록층(10)은 제2 블록층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은 직사각 형태이고,
    상기 돌기(31)는 상기 천연골재 블록(100)의 네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포트(40)는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KR1020150019241A 2015-02-09 2015-02-09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KR20160097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41A KR20160097505A (ko) 2015-02-09 2015-02-09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41A KR20160097505A (ko) 2015-02-09 2015-02-09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505A true KR20160097505A (ko) 2016-08-18

Family

ID=5687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41A KR20160097505A (ko) 2015-02-09 2015-02-09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5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14B1 (ko) 2005-10-12 2006-11-23 이석안 식생용 보도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14B1 (ko) 2005-10-12 2006-11-23 이석안 식생용 보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6454A (zh) 一种卵石铺地及其铺设方法
US9157197B2 (en) Functional roa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27102B1 (ko) 수목보호용 보호덮개 시공방법
KR20160097505A (ko) 착탈형 컵포트를 이용한 천연골재형 잔디 블록
CN203795265U (zh) 生态嵌草地坪构造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1041174B1 (ko) 식생골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0453Y1 (ko) 인조잔디 식재용 보도블록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US9493915B2 (en) Tree well and related methods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JP4969957B2 (ja) 植栽ブロック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20130058489A (ko) 희토류 선광테링(선광 후 폐기물)을 이용 투수용과 내장용 친환경 블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8303641A (ja) 防草施工方法
CN204139014U (zh) 基于绿化隐形的消防车道系统
JP6186123B2 (ja) 緑化構造
CN204940074U (zh) 一种碎石混铺景观道路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KR101328634B1 (ko) 식생 미관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550454B1 (ko) 콘크리트 정원 조성방법 및 그 콘크리트 정원
KR101186671B1 (ko) 띠녹지용 가로수 보호덮개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JPH0653628U (ja) 修景法面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