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397A -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7397A KR20160097397A KR1020150018327A KR20150018327A KR20160097397A KR 20160097397 A KR20160097397 A KR 20160097397A KR 1020150018327 A KR1020150018327 A KR 1020150018327A KR 20150018327 A KR20150018327 A KR 20150018327A KR 20160097397 A KR20160097397 A KR 20160097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 tube
- portable terminal
- liquid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9/3418—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 G06F19/3406—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 등의 약액량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주사액 제어부를 구비하며,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 상태정보를, 주사액 제어부의 주변을 지나치는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고,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은 상기 약액교체 시기 및 위험상태를 알람하여 주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로드셀을 구비한 주사액 측정부를 장착하여,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주사액 제어부; 주사액 제어부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는 환자 휴대단말;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고,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환자정보 및 주사액 투여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 휴대단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로드셀을 구비한 주사액 측정부를 장착하여,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주사액 제어부; 주사액 제어부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는 환자 휴대단말;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고,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환자정보 및 주사액 투여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 휴대단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링거 등의 약액량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주사액 제어부를 구비하며,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 상태정보를, 주사액 제어부의 주변을 지나치는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고,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은 상기 약액교체 시기 및 위험상태를 알람하여 주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암 등의 질병에 따라서는 링거 등 약액을 소정 속도로 주사를 하거나 하는 것은 상당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한 약액 주사 제어장치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약액 주사 속도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병원에서 상당히 바쁜 간호사 등의 의료전문인이 각 환자를 일일이 모니터링하는 것은 쉽지않다.
따라서 간호사 등의 의료전문인에게 환자의 약액상태 정보가 무의식적으로 자동 전달되고, 약액교체 시기에 맞추어 알람하여 주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8044호의 링거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지면에 형성된 받침대에서 상향으로 전개되는 지지대에 탈거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환자에 투여하는 링거의 수액을 모니터링 하는 링거 거치대 장치와, 이 링거 거치대 장치에 장착되어 링거의 수액을 모니터링 하는 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기와, 이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정보를 최종 단말기에 전송하며 관리하는 링거 모니터링 서버를 구비하는 병원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경우, 모든 이 링거 거치대 장치에 송신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므로 경비가 많이 들며, 또한, 상기 송신기를 통해 링거 모니터링 서버, 병원 메인 서버로만 전송하게 되어 있어, 환자 주변에 있으며, 언제나 환자에게 달려올 수 있는 바쁜 간호사 등의 의료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링거 등의 약액량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주사액 제어부를 구비하며, 주사액 제어부는 약액 상태정보를, 주사액 제어부의 주변을 지나치는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고, 의료 전문인의 스마트폰은 상기 약액교체 시기 및 위험상태를 알람하여 주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액 상태정보 등을 환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링거 등의 약액량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주사액 제어부를 구비하며,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 상태정보를, 주사액 제어부의 주변을 지나치는 의료 전문인의 휴대단말(스마트폰)로 자동 전송하고, 의료 전문인의 휴대단말은 상기 약액교체 시기 및 위험상태(경고상황)를 알람하여 주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약액 상태정보 등을 환자의 휴대단말(스마트폰)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로드셀을 구비하여 약액량을 검출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부터 약액량을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약액 투여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약액량과, 환자별 스케쥴에 따라, 또는 의료전문인의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속도제어 신호에 따라,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조절하여 약액속도를 제어하는 투여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용 애플리케이션과, 의료전문인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지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약액 투여 상태 알림 및 서버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매개체 기능을 포함하고, 의료전문인용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현재 위치나 스케쥴 등 환자 상태를 표시하며 링거 투여량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정기적으로 주사액 저장부의 약액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 부터 수신된 약액량 무게 신호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비교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제어하는 주사액량 제어모듈을 구비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는,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좌우를 관통하도록, 주사액 측정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주사액 측정부 하우징부 내측에서, 삽입된 상기 수평지지봉의 밑에, 로드셀 수납부를 구비하며, 판형태이며 저면에 로드셀을 장착한 로드셀부를, 로드셀 수납부에 수납하며, 로드셀 수납부 바닥 및 로드셀부 저면에 구비된 걸이 고정통공에, 고리모양의 주사액 저장부 걸이를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는, 내측에 반 원통형 홈인, 상부 홈이 구비된 상부 하우징부와, 내측 상면에 반 원통형 홈인, 하부 홈이 구비된 하부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가 결합됨에 의해, 상부 홈과 하부 홈이 결합되어,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삽입되기 위한, 수평지지봉 통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일측 측면에서,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에 힌지부가 장착되며,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다른 일측 측면에, 상부 하우징부를, 하부 하우징부로부터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잠금/해제부를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부는 수평지지봉 거치판과 로드셀 수납부로 이루어지며, 수평지지봉 거치판은 로드셀 수납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으로, 수평지지봉 거치판의 상면에 하부홈이 구비된다.
수평지지봉 통공내에 수평 지지봉(90)을 삽입한 후, 상부 하우징부의 상면에 있는 통공인, 주사액측정부 고정용통공에, 수평지지봉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수평지지봉과 주사액 측정부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수평지지봉 거치판과 로드셀 수납부의 4개로 모서리에 하부하우징 고정통공이 구비되며, 하부하우징 고정통공은 하부하우징 고정나사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다.
로드셀부의 저면과, 로드셀 수납부의 내측 바닥면의 사이에 로드셀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정기적으로 주사액 저장부의 약액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 부터 수신된 약액량 무게 신호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비교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제어하는 주사액량 제어모듈을 구비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액 저장부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의 중간 부분을, 튜브 커프로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함에 따라, 주사액 튜브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튜브내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브 커프를 가압하기위한 공압모터를 더 구비한다.
튜브 커프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는 밸브에 연결되고, 공압모터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튜브인 공기배출구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튜브 커프를 가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제2공기튜브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며, 튜브 커프를 감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공기배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주사액량 제어모듈은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이용하여,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압모터 구동부 및 밸브 구동부로 전송하는 연산처리부를 구비한다.
튜브 커프는, 튜브 커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면에, 암 공기기둥 결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면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를 구비하며, 수 공기기둥 결합부는 1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며, 암 공기기둥 결합부는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로드셀을 구비한 주사액 측정부를 장착하여,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주사액 제어부; 주사액 제어부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는 환자 휴대단말;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고,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환자정보 및 주사액 투여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 휴대단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량 제어모듈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를 구비하여, 검출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며, 메인서버는 수신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의료진이 의료진 휴대단말 상에서, 주사액 투여속도를 설정하면, 의료진 휴대단말은 설정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환자 휴대단말을 통해, 주사액 제어부로 전송한다.
주사액 제어부는,주사액 저장부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의 중간 부분을, 튜브 커프로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함에 따라, 주사액 튜브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튜브내경 제어부를 포함한다.
메인서버는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잔여량 및 주사액 종료시간을 연산한다.
주사액 제어부는,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해 공압모터와 밸브를 더 구비하고, 튜브 커프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압모터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튜브인 공기배출구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튜브 커프를 가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제2공기튜브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며, 튜브 커프를 감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공기배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동된다.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는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검출하여, 검출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2단계; 의료진 휴대단말은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계;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주사액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액 제어부는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며,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링거 등의 약액량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주사액 제어부를 구비하며,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 상태정보를, 주사액 제어부의 주변을 지나치는 의료 전문인의 휴대단말(스마트폰)로 자동 전송하고, 의료 전문인의 휴대단말은 상기 약액교체 시기 및 위험상태(경고상황)를 알람하여 준다.
환자 주변에 있으며, 언제나 환자에게 달려올 수 있는 바쁜 간호사 등의 의료전문가에게 상기 의료전문가가 무의식적인 상태에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며, 상기 정보에 따라 알람 등을 행하여, 의료전문가가 환자의 위급상태 또는 약액교체 시기에 재빨리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약액 상태정보 등을 환자의 휴대단말(스마트폰)을 통해 메인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모든 링거 거치대에 송신기가 부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경비가 절감되게 되며, 환자 자신의 휴대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정보가 누설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로드셀을 구비하여 약액량을 검출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부터 약액량을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약액 투여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약액량과, 환자별 스케쥴에 따라, 또는 의료전문인의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속도제어 신호에 따라,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를 조절하여 약액속도를 제어하는 투여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IV 세팅 때 소리를 듣고 계수를 세어 속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보다 정확하게 속도를 측정하고 제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용 애플리케이션과, 의료전문인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지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약액 투여 상태 알림 및 서버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매개체 기능을 포함하고, 의료전문인용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현재 위치나 스케쥴 등 환자 상태를 표시하며 링거 투여량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의료전문인용 애플리케이션과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을 달리 함에 의해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잘못 약액제어부를 제어할 가능성을 배제하며, 환자에 따라 의료전문가는 맞춤형 약액량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 개인의 휴대단말과 의료진 개인의 휴대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액 측정부는 기존의 링거 거치대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3의 주사액 측정부를 수평지지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상부하우징을 열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수평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로드셀부의 일예이다.
도 9은 도 3의 주사액제어부에서, 튜브 내경 제어부, 공압모터, 밸브를 장착한 부분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는 도8의 부분 확대도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튜브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도 13은 도 1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메인서버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전체적 구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환자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주사액 제어부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메인서버가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3의 주사액 측정부를 수평지지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상부하우징을 열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수평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로드셀부의 일예이다.
도 9은 도 3의 주사액제어부에서, 튜브 내경 제어부, 공압모터, 밸브를 장착한 부분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는 도8의 부분 확대도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튜브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도 13은 도 1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메인서버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전체적 구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환자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주사액 제어부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메인서버가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개념도로, 주사액제어부(50), 환자 휴대단말(300),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 메인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액제어부(50)는 링거 거치대(주사액병 거치대)(91)의 상부에 로드셀을 구비한 주사액 측정부(100)를 장착하여, 정기적으로 주사액 저장부(주사액병, 링거병)(290)에 들은 약액량의 무게(이하 약액량이라 함)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또한, 배터리 잔량 여부도 정기적으로 검출하여, 페어링된 환자 휴대단말(300)을 통해 메인서버(500)로 전송한다.
주사액량 제어모듈(70)내의 연산처리부(200)는 정기적으로 측정된 약액량으로부터 약액량 주사 속도를 검출하며, 검출된 약액량 주사속도와 기설정된 설정 속도(즉,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통해 설정된 속도로, 이 설정 속도 신호는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메인서버(500), 환자 휴대단말(300)을 통해 주사액제어부(50)로 전송된 것임)와 비교하여 공압모터(160) 및 밸브(180)의 속도를 제어하여, 약액량 주사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주사액제어부(50)는 기 페어링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약액량 주사속도를 포함하는 투여상태 정보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환자 개인의 휴대단말로, 소정 환자용 응용프로그램(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이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무선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로부터, 주사액(약액) 투여 상태를 환자 휴대단말(300)의 화면상 디스플레이하고, 주사액 저장부(290)내의 약액(주사액)이 종료됨을 알리거나, 위급상황(예를들어, 주사바늘이 잘못되어 혈액이 역류되는 등), 주사액량 제어모듈(70)내에 장착된 배터리 종료를 알린다. 또한, 환자 휴대단말(300)은 약액량의 무게(이하 약액량이라 함), 약액량 주사속도를 포함하는 투여상태 정보 및 배터리 잔량신호를 주사액제어부(50)로 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 및 배터리 잔량신호를 메인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서버(500)로 부터 수신된 속도 조절 명령(즉, 설정속도)를 주사액제어부(50)로 전송한다.
여기서, 환자 본인의 의료정보로서 본인의 환자 휴대단말(300)을 사용하기 때문에 타인에게 노출된 위험이 적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링거 투여 예상 종료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며, 긴급 상황 시 '간호사 호출 버튼'을 구비한다.
즉, 환자 휴대단말(300)은 링거 투여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로 메인서버(500)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연결 매개체역할을 한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전문인이 개인적으로 휴대한 휴대단말로, 소정 의료전문인용 응용프로그램(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이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주사액제어부(50)의 약액량 주사속도(즉, 설정속도)를 설정하고, 이 신호는 메인서버(500)로 전송하며, 결과적으로 이 신호는 환자 휴대단말(300)를 경유해, 무선으로 주사액제어부(50)로 전송되여, 주사액제어부(50)의 약액량 주사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환자별로 주사액, 주사량, 주사 속도 등의 스케쥴을 작성하여, 주사액제어부(50)를 관리(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무선 수신된 환자별 투여상태 정보로부터, 환자별로 주사액(약액) 투여 상태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화면상 디스플레이하고, 주사액 저장부(290)내의 약액(주사액)이 종료됨을 알리거나, 위급상황(예를들어, 주사바늘이 잘못되어 혈액이 역류되는 등), 주사액량 제어모듈(70)내에 장착된 배터리 종료를 알린다.
주사액 저장부(링거) 번호 등록 시 자동으로 담당 간호사를 배정하고 배정된 간호사(전문의)의 애플리케이션만 연동되어 주사액 제어를 수행하며, 서버 및 다른 간호사는 조회 시 상태 확인만 가능하고 수액 투여 제어는 불가능하게 하여 수액 투여 제어를 효과적으로 한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투여 제어 기능의 경우, 각 환자별 담당 간호사 (또는 담당의사) 만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별로 환자 상태 조회가 가능, 즉, 환자 위치 & 스케쥴의 관리가 가능하며, 환자 정보 조회(처방 정보, 수액 종류 등)가 가능하며, 링거 투여 상황 조회(잔여량, 종료시간, 투여 속도, 교체시기 등)가 가능하다.
비상 상태 시 환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측으로 비상 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담당 간호사,즉,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에게 알림이 가며 무응답 또는 응답 불가 시에, 메인서버에서 환자와 가장 가까운 간호사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를 호출하고 일정 시간 이내 무응답 시, 가까운 다른 간호사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차례대로 호출하게 되며,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환자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간호사의 신속한 대처를 실현하게 한다.
초기에 배정받은 담당 의료전문인(간호사)가 메인서버로 주사액(링거) 제어권한 양도를 요청하고, 다른 간호사가 요청 수락 시 일시적으로 제어 권한을 양도하게 된다. 이 때 요청을 수락한 간호사 1인만 주사액(링거)를 제어 가능하게 되며 초기 담당 간호사가 제어 권한을 다시 요청하게 되면 제어 권한을 초기 담당 간호사에게 넘어가게 되어 유사시를 대비한 환자 관리에 용이하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애플리케이션은, 환자 상태(위치,스케쥴 등)를 표시하며 링거 투여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환자 정보(이름, 성별, 나이, 질병 정보, 처방 정보, 수액종류 등)를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메인서버(500)는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환자 휴대단말(300)을 통해 수신된 환자별 투여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즉, 메인서버(500)은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전문인(예로 간호사, 의사 등)를 찾는 분석을 행하며, 또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분석을 행하고, 담당 의료전문인이 찾아지면, 메인서버(500)는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뿐만아니라, 환자정보, 주사액 잔여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메인서버(500)는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속도조절명령(설정속도)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으로 전송한다.
메인서버(500)는, 환자 휴대단말(300)에서 환자가 '간호사 호출 버튼'을 누루면, 환자 휴대단말(300)에서 간호사 호출신호가, 담당 간호사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되며, 환자별로 전체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서버(500)는, 환자 정보 관리(당일 투여 링거 종류 알림 & 환자 스케쥴 관리)를 행한다.
즉, 메인서버(500)는, 각 의료전문인(간호사)에 환자 정보 및 투여 정보를 알려주는 모니터링 시스템역할을 한다. 알림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간호사 애플리케이션에 알림 기능을 제공하며, 제어 명령 이외의 모든 상황(환자 및 간호사 위치정보, 투여상황 등) 표시하고,- 서버는 블루투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환자와 간호사간의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기존 병원의 환자관리 서버(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환자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을 한다.
메인서버(500)와 환자 휴대단말(300) 또는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과의 연결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자 휴대단말(300) 및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스마트폰, 휴대폰, PDA, 노트북, 노트패드일 수 있으며, 주사액제어부(50)와 환자 휴대단말(300), 주사액제어부(50)와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통신은, 불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사액제어부(50)와 환자 휴대단말(300), 주사액제어부(50)와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통신은 불루투스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개념도로, 주사액제어부(50), 환자 휴대단말(300),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 병동단말(490), 메인서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의 주사액제어부(50) 및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도 1의 주사액제어부(50) 및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과 동일하게 구동되므로, 여기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의 환자 휴대단말(300)은 환자 개인의 휴대단말로, 소정 환자용 응용프로그램(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이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무선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로부터, 주사액(약액) 투여 상태를 환자 휴대단말(300)의 화면상 디스플레이하고, 주사액 저장부(290)내의 약액(주사액)이 종료됨을 알리거나, 위급상황(예를들어, 주사바늘이 잘못되어 혈액이 역류되는 등), 주사액량 제어모듈(70)내에 장착된 배터리 종료를 알린다.
병동단말(490)은 병실 또는 병동에 구비된 단말로, 소정의 병실 또는 병동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로, 도 1의 환자 휴대단말(300)의 기능을 전부 행한다. 병동단말(490)은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무선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로부터, 주사액(약액) 투여 상태를 환자 휴대단말(300)의 화면상 디스플레이하고, 주사액 저장부(290)내의 약액(주사액)이 종료됨을 알리거나, 위급상황(예를들어, 주사바늘이 잘못되어 혈액이 역류되는 등), 주사액량 제어모듈(70)내에 장착된 배터리 종료를 알린다. 또한, 병동단말(490)은 약액량 주사속도를 포함하는 투여상태 정보를 주사액제어부(50)로 부터 무선 수신하고,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를 메인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속도조절명령(설정속도)를 주사액제어부(5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500)는 주사액제어부(50)로부터 병동단말(490)을 통해 수신된 환자별 투여상태 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메인서버(500)는 병동단말(49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전문인(예로 간호사, 의사 등)를 찾는 분석을 행하고, 담당 의료전문인이 찾아지면, 메인서버(500)는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뿐만아니라, 환자정보, 주사액 잔여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또한, 메인서버(500)는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속도조절명령(설정속도)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으로 전송한다.
병동단말(490)과 메인서버(5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일예이다.
주사액제어부(50)는 주사액 측정부(100), 주사액량 제어모듈(70), 튜브 내경 제어부(40), 공압모터(160), 밸브(180), 부저(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액 측정부(100)는 내측에 로드셀(110)을 구비하되, 로드셀(110)은 주사액 저장부 걸이(135)에 걸리는 하중(무게)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하중은 주사액 저장부(290)의 무게로서, 주사액 저장부(290)내의 주사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주사액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주사액량은 신호선(285)를 통해 주사액량 제어모듈(70)로 전달된다. 주사액 측정부(100)의 양측을 관통하는 수평지지봉 통공(113)에, 링거 거치대(91)의 상부의 수평 지지봉(90)이 삽입되어, 링거 거치대(91)에 주사액 측정부(100)가 고정된다. 주사액 측정부(100))는 판형 로드셀 거치대의 일면에 로드셀(110)이 장착되고, 판형 로드셀 거치대의 내측에 A/D 변환부(140)가 내장된 로드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은 주사액제어부(5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듈로서, 링거 거치대(91)의 수직 지지봉(95)에 고정, 장착된다. 즉,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은 공압모터(160)와 밸브(80)와 함께, 링거 거치대(91)의 수직 지지봉(95)에 고정된 'ㄱ'자형의 거치대(287)위에 장착된다.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은 A/D 변환부(155), 모터구동부(170), 밸브구동부(190), 연산처리부(200), 송수신부(210),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의 연산처리부는, 주사액 측정부(100)의 로드셀부(130)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된 약액량(의 무게)로부터 약액량 주사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약액량 주사속도와 기설정되거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설정 속도와 비교하여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즉,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구동부(170)와 밸브구동부(190)로 전송하여 공압모터(160) 및 밸브(180)를 제어하게 한다.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의 연산처리부는, 로드셀부(130)로부터 수신된 약액량신호, 약액량 주사속도 등의 투여상태 정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환자 휴대단말(300) 및 병동단말(490)로 전송한다. 또한, 주사액제어부(50)와 페어링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송수신부(210)를 통해 감지하면, 연산처리부는 자동적으로 투여상태 정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튜브내경 제어부(40)는 주사액 저장부(290)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280)의 소정 부분을 튜브 커프(47)에 의해 조여서, 주사액 튜브(280)의 내경을 조절함에 의해, 환자의 체내로 흘러들어가는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한다. 튜브 내경 제어부(40)는 주사액 튜브(280)의 소정 부분을 튜브 커프(47)로 감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47)가 공기로 부풀어 오르거나, 공기가 줄어듬에 따라, 주사액 튜브(280)의 내경이 조절된다. 튜브 커프(47)의 공기조절은 공압모터(160) 및 밸브(180)에 의해 행하여 진다.
공압모터(160)는 튜브 커프(47)의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로 보내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즉, 튜브 커프(47)의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의 공기를 가압한다. 따라서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가 결합된 상태의 사이에 끼어 있는 주사액 튜브(280)는, 가압에 따라, 내경이 좁아지게 된다.
밸브(18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45)를, 공압모터(160)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37)과 연결하거나, 또는 공기배출구(36) 중 하나와 연결시킨다. 그러므로, 가압하고자 할때, 즉, 공압모터(160)가 가압하는 동안은,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45)는, 공압모터(160)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37)와 연결되도록 밸브(180)가 구동된다. 감압하고자 할때,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공기 튜브(45)를 공기배출구(36)로 연결되도록 밸브(180)가 구동되어,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공기 튜브(45)의 공기를, 공기배출구(36)를 통해, 외부로 토출함에 의해,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는 감압되게 된다.
부저(221)은 위급상황일 경우 부저(알람)을 울려서 주변에 알린다.
미도시되었지만, 주사액량 제어모듈(70)의 하우징의 일측에 배터리의 잔량부족(low 배터리)을 나타내는 LE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주사액 측정부를 수평지지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상부하우징을 열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수평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고, 도 7은 도 4의 주사액 측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로드셀부의 일예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주사액 측정부(100)는, 주사액 측정부(100)의 좌우를 관통하는 통공인, 수평지지봉 통공(113)이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봉 통공(113)에는 링거 거치대(91)의 수평 지지봉(90)이 삽입된다. 주사액 측정부(100)는 상부 하우징부(111)와 하부 하우징부(121)을 구비하며, 주사액 측정부(100)의 일측에는 힌지부(116)가 있다. 즉, 힌지부(116)는 상부 하우징부(111)와 하부 하우징부(121)를 연결하여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주사액 측정부(100)의 다른 일측(정면측)에는, 상부 하우징부(111)와 하부 하우징부(121)를 닫아 잠그거나, 열기 위한 잠금/해제부(122)가 있다. 잠금 해제부(122)는 하부 하우징부(121)의 일측(정면측) 측면에 장착되어, 상부 하우징부(111)의 잠금 결합부(112)와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잠금/해제부(122) 및 잠금 결합부(112)는 서로 결합되어 잠거지고, 이 결합을 해제함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다.
도 5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봉 통공(113)은, 상부 하우징부(111)의 내측에 있는 반 원통형 홈인, 상부 홈(117)과, 하부 하우징부(121)의 내측에 있는 반 원통형 홈인, 하부 홈(127)이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상부 홈(117)과 하부 홈(127)은 주사액 측정부(100)의 내측에서 좌우를 가로지르는 홈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주사액 측정부(100)는 잠금 해제부(122)에 의해, 상부 하우징부(111)와 하부 하우징부(121)를 닫아 잠근 후, 주사액 측정부(100)의 상면, 즉, 상부 하우징부(111)의 상면에 있는 통공인, 주사액측정부 고정용통공(114)에 수평지지봉 고정나사(115)를 삽입하여 고정하여, 주사액 측정부(100)를 수평 지지봉(90)에 고정한다. 즉, 수평 지지봉(90)의 반경보다, 수평지지봉 통공(113)의 반경이 더 클 경우, 수평지지봉 통공(113)내에 수평 지지봉(90)을 삽입한 후, 수평지지봉 고정나사(115)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하우징부(121)는, 수평지지봉 거치판(128)과, 로드셀 수납부(129)를 구비한다.
수평지지봉 거치판(128)은 수평지지봉을 지지하기 위한 판으로, 상면의 좌우를 가로지르는 반 원통형 홈인, 하부 홈(127)이 있으며, 하부 홈(127)은 상부 홈(117)과 결합되어, 수평지지봉 통공(113)을 이룬다. 수평지지봉 거치판(128)의 위에는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을 다수개 구비하며,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은 하부하우징 고정나사(132)와 결합되어, 수평지지봉 거치판(128)과, 로드셀 수납부(129)를 서로 고정한다.
로드셀 수납부(129)의 안에는 수평지지봉 거치판(128)의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로드셀 수납부(129)의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이 있으며, 이는 하부하우징 고정나사(132)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은 4개로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
로드셀 수납부(129)의 안의 저면 중앙부에는 주사액 저장부 걸이(135)의 끝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인, 걸이 고정통공(136)을 구비한다. 로드셀 수납부(129)의 안에 로드셀부(130)를 장착하되, 로드셀부(130)의 걸이 고정통공(136)이, 로드셀 수납부(129)의 걸이 고정통공(136)과 대응되도록 장착하고, 로드셀 수납부(129)의 저면의 걸이 고정통공(136)으로부터 주사액 저장부 걸이(135)의 끝부분의 나사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로드셀부(130)는 판형태로 저면에 로드셀(110)이 배치된다. 즉, 로드셀부(130)의 저면과, 로드셀 수납부(129)의 내측 바닥면의 사이에 로드셀이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로드셀부(130)는, 도 8에서와 같이, 일면에 로드셀(110)이 장착되고, 그의 내측에 A/D 변환부(140)가 내장된다.
여기서, A/D 변환부(140)는 로드셀부(130)에 구비되거나, 주사액량 제어모듈(70)에 구비될 수 있다.
주사액 저장부 걸이(135)는 '물음표'와 같은 형태(후크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에 나사산들을 구비하여, 로드셀 수납부(129) 및 로드셀부(130)의 걸이 고정통공(136)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주사액 측정부(100)는, 도 7에서와 같이, 로드셀 수납부(129)에 로드셀부(130)를 삽입하고, 로드셀 수납부(129) 및 로드셀부(130)의 걸이 고정통공(136)에 주사액 저장부 걸이(135)의 일단부를 고정한다.
그 다음, 로드셀 수납부(129)의 상부에 수평지지봉 거치판(128)을 장착하고, 로드셀 수납부(129)와 수평지지봉 거치판(128)의 하부하우징 고정통공(131)에 하부하우징 고정나사(132)를 삽입하여, 평지지봉 거치판(128)과, 로드셀 수납부(129)를 서로 고정한다.
그 다음, 하부하우징의 일측면, 즉, 로드셀 수납부(129)의 일측면에 잠금/해제부(122)를 장착하고, 상부하우징의 일측면에 잠금 결합부(112)를 장착한다.
그 다음, 상부 하우징부(111)의 다른 일측과 하부 하우징부(121)의 다른 일측에 힌지부(116)를 장착한다. 여기서, 힌지부(116)는 경첩으로 다수의 나사들에 에 의해 상부 하우징부(111)의 다른 일측과 하부 하우징부(121)의 다른 일측에 장착한다.
도 9은 도 3의 주사액제어부에서, 튜브 내경 제어부, 공압모터, 밸브를 장착한 부분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는 도8의 부분 확대도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튜브 커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튜브 커프는 외측에 벨크로어를 장착하여, 주사액 튜브(280)를 감싼후 외측의 벨크로어에 의해 고정된다.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과 수직을 이루도록 주사액 튜브(280)가 튜브 커프에 삽입된다.
여기서 미도시되었지만, 공기저장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공기저장부(미도시)는 공압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공압모터(160)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37)는 밸브(180)으로 연결되고, 공기배출구(36)도 밸브(180)로 연결되며, 튜브 커프(47)(즉,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45)도 밸브(180)와 연결된다.
밸브(180)는 밸브구동부(190)에 의해, 제1공기 튜브(45)를, 제2공기튜브(37)와 공기배출구(36)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킨다. 즉, 튜브 커프(47)(즉,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를 가압하고자 할 경우는, 제1공기 튜브(45)를 제2공기튜브(37)와 연결시키고, 튜브 커프(47)(즉,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와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를 감압하고자 할 경우는, 제1공기 튜브(45)를 공기배출구(36)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밸브(180)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경우에 따라서, 밸브(180)는 막구조로서, 흐르는 공기압을 감지하고, 소정 공기압 이상일 경우는 제1공기 튜브(45)를 제2공기튜브(37)와 연결시키고, 소정 공기압 미만일 경우는 제1공기 튜브(45)를 공기배출구(36)와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튜브 커프(47)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면에, 암 공기기둥 결합부(31)를 다른 일면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를 구비하며, 암 공기기둥 결합부(31)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32)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암 공기기둥 결합부(31)는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되,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공간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32)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수 공기기둥 결합부(32)는 1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며, 이 직선형 공기저장부, 암 공기기둥 결합부(31) 내에 삽입된다.
암 공기기둥 결합부(31) 및 수 공기기둥 결합부(32)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45)는 밸브(180)에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주사액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 주사액 측정부(100), 배터리 잔량 체크부(150), A/D변환부(155), 공압모터(160), 모터구동부(170), 밸브(180), 밸브구동부(190), 연산처리부(200), 송수신부(210), 알람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액 측정부(100)는 로드셀(110)를 이용하여, 주사액 저장부(주사액병, 링거병)(290)에 들은 약액량의 무게(이하 약액량이라 함)를 정기적으로 검출하고 A/D변환부(140)을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부(200)로 전송한다.
배터리 잔량 체크부(150)는 주사액량 제어모듈(70) 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배터리 잔량 신호를 A/D변환부(155)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처리부(200)로 전송한다.
모터구동부(170)는 연산처리부(200)으로부터 수신된 공압모터 제어신호에 의해 공압모터(160)를 구동시킨다.
밸브구동부(190)는 연산처리부(200)으로부터 수신된 밸브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180), 즉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킨다.
연산처리부(200)는 주사액 측정부(100)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된 약액량(의 무게)로부터 약액량 주사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약액량 주사속도와 기설정되거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설정 속도와 비교하여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구동부(170)와 밸브구동부(190)로 전송한다.
연산처리부(200)는, 로드셀부(130)로부터 수신된 약액량신호, 약액량 주사속도 등의 투여상태 정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환자 휴대단말(300) 및 병동단말(490)로 전송한다. 또한, 주사액제어부(50)와 페어링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송수신부(210)를 통해 감지하면, 연산처리부(200)는 자동적으로 투여상태 정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연산처리부(200)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150)에서 검출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A/D변환부(155)를 통해 수신하며, 수신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환자 휴대단말(300)과 병동단말(490)로 전송한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메인서버(5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연산처리부(200)는, 주사액제어부(50)와 페어링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송수신부(210)를 통해 감지하면, 연산처리부(200)는 자동적으로 투여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신호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송수신부(210)는 환자 휴대단말(300) 또는 병동단말(490)을 통해 수신되는 메인서버(500)로부터의 정보(예를들어 주사액 제어신호등)을 수신하여 연산처리부(200)로 전송하고, 또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이 근접됨을 감시하여, 근접되면, 연산처리부(200)에 알린다.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투여상태 정보, 배터리 잔량 신호 등을 환자 휴대단말(300) 또는 병동단말(490) 또는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알람부(220)는 부저(221), LED등 으로, 이루어져, 주사액 교체시기를 알리거나, 배터리 교체시기를 알리거나, 위험상태를 알린다.
도 13은 도 1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모식도이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주사액 제어부(50)로 연결(페어링)요청을 행하여, 페어링을 행한다.
페어링이 행하여지면, 주사액 제어부(50)는 정기적으로 검출되는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주사액 제어부(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메인서버(500)으로 전송한다.
메인서버(500)은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전문인(예로 간호사, 의사 등)를 찾는 분석을 행한다.
메인서버(500)는 수신된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뿐만아니라, 환자정보, 주사액 잔여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속도조절이 필요할 경우, 담당 의료전문인은,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을 통해 속도를 재설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속도조절 명령(즉, 속도 설정신호)을 메인서버(50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500)는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속도조절 명령(즉, 속도 설정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환자 휴대단말(300)은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속도조절 명령(즉, 속도 설정신호)를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주사액 제어부(50)의 연산처리부(200)는 수신된 속도조절 명령(즉, 속도 설정신호)에 따라 주사액 속도를 조절하도록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구동부(170)와 밸브구동부(190)로 전송하여 주사액 속도를 제어한다.
도 14는 도 1의 메인서버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연결 단계로, 메인서버(500)를 환자 휴대단말(300)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과 무선 인터넷 등으로 연결한다(S205).
모니터링단계(210)로, 주사액 제어부(50)에서 검출된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를 통해 수신하고(S215),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정보 등과 함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S220).
긴급상황여부 판단단계로,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인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분석하여 긴급상황인지를 체크하고 긴급상황이 아니면, 모니터링단계(210)로 되돌아간다.
긴급상황여부 판단단계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또는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긴급상황 알림(호출)신호가 수신되었다면(S230), 담당 의료진을 호출하는 의료진 호출신호를 담당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한다.
투여종료 여부판단단계로, 발생한 긴급상황이 주사액 투여종료인지 여부를판단하고(S240), 투여종료이라면 주사액 저장부(290)을 제거하고 주사를 종료하도록 하는 주사액 제거 신호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하고(S245) 종료한다.
주사액 교체여부 판단단계로, 투여종료 여부판단단계(S240)에서 투여종료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주사액 저장부(290)을 교체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0), 주사액 저장부(링거, 수액 등)(290)을 교체해야 하는 것이 맞다면, 주사액 저장부(290)를 새로운 주사액 저장부(290)로 교체하도록 하는 주사액 교체신호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하고(S255), 모니터링단계(210)로 되돌아간다.
주사액 교체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사액 저장부(290)을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면, 그 이외의 다른 문제이므로, 기타 문제를 해결하도록하는 문제해결 신호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하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0),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으면, 다시, 문제해결 신호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전송하고(S265), 상기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판단되면, 모니터링단계(210)로 되돌아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전체적 구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초기설정단계로, 카운터, 타이머 등을 리셋하고, 메인서버(500)를 환자 휴대단말(300)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과 무선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고, 주사액 제어부(50)와 환자 휴대단말(300)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를 페어링(연결)한다(S305).
주사액 제어부(50)는,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고(S310), 이를 환자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며, 검출된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설정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공압모터 및 밸브를 제어한다(S315).
환자 휴대단말(300)은, 주사액 제어부(50)로부터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하고(S320), 환자가 비상벨(응급상황 알림) 키를 누루면 응급상황 알림신호(비상벨신호)를 생성하여 메인서버(500)으로 전송하고, 주사액 제어부(50) 또는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S330).
메인서버(500)는 데이터, 즉,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주사액 교체여부,투여종료여부, 기타 다른문제 등) 여부를 분석하고(S335),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S340), 데이터베이스(환자관리 시스템)에 환자별로 저장함과 동시에(S345),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으로 전송한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응급상황신호(응급상황관련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자정보,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와 배터리 잔량 신호 등을 수신하고(S350), 응급상황일 경우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에서 비상벨을 울리고(S355), 주사액 저장부(링거)(290)를 교체해야 할 경우는 주사액 교체 알람을 울리며(S360),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상 디스플레이하고(S365), 투여속도가 적절한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의에 대해 적절하다는 답변이 입력되면 투여속도에 대한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행한다. 만약 상기 상기 질의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답변이 입력되고, 의료전문인으로부터 설정속도가 입력되면, 공압모터 및 밸브를 제어하라는 명령, 즉 속도조절명령 신호를 메인서버(50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500)는 환자 휴대단말(300)을 통해서,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한다.
도 16은 도 15의 환자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초기설정단계로, 환자 휴대단말(300)과 메인서버(500)를 연결하고, 환자 휴대단말(300)과 주사액 제어부(50)를 연결한다(S410).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메인서버(500) 또는 주사액 제어부(5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20), 수신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데이터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비상벨신호 발생여부 판단단계로,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는 단계로, 환자 휴대단말(300) 상에서 환자가 비상벨 키를 눌러 비상벨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S430), 비상벨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비상벨신호가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데이터표시단계로,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환자 휴대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440).
데이터 송신단계로,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주사액 제어부(50)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메인서버(50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500)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하며, 비상벨 신호가 발생되었다면, 비상벨신호를 메인서버(500) 및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한다(S450)
도 17은 도 15의 주사액 제어부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초기설정단계로, 주사액 제어부(50)과 환자 휴대단말(300)을 페어링(연결)한다(S510).
데이터 검출단계로, 로드셀(110)을 통해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를 검출하고(S520), 배터리 잔량 체크부(150)을 통해 배터리 잔량 신호를 검출한다(S530).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로, 데이터 검출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지며,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570), 수신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데이터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부저, 공압모터, 밸브의 구동단계로, 데이터 수신여부 판단단계(S570)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가 비상벨 신호일 경우 부저(221)를 울리며, 수신된 데이터가 공압모터 제어신호라면 상기 공압모터 제어신호에 따라 공압모터를 제어하고(S550), 수신된 데이터가 밸브 제어신호라면 상기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공압밸브)(180)를 제어한다(S550).
데이터 송신단계로, 데이터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약액량의 무게(즉, 약액량 주사속도) 신호 및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도 18은 도 15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데이터 수신연부 판단단계로,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저장된 환자정보에 따라, 담당 환자별로 메인서버(5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610), 수신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데이터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제어신호(명령어) 생성여부 판단단계로, 데이터 수신연부 판단단계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면, 의료전문인이 공압 모터 또는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키를 설정함에 의해, 모터 밸브 명령어, 즉,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30),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있다면, 데이터 송신단계(S660)로 간다.
데이터 연산단계로, 제어신호(명령어) 생성여부 판단단계에서 공압모터 제어신호 또는 밸브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있지 않다면,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주사액의 잔여량, 종료시간, 투여속도 등을 연산한다.(S640).
데이터 표시단계로, 데이터 연산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650).
데이터 송신단계로, 공압모터 제어신호 또는 밸브 제어신호를 메인서버(500)으로 전송한다(S660). 메인서버(500)는 이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300)를 경유하여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한다.
도 19는 도 15의 메인서버가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데이터 수신연부 판단단계로, 메인서버(500)는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710), 수신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데이터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비상벨 알람단계로, 수신된 데이터가 비상벨 신호이라면, 메인서버(500)는 비상벨 알람을 울리며, 동시에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비상벨 신호를 전송한다(S720).
주사액 교체 알람단계로, 수신된 데이터가 주사액(링거) 교체 신호이라면, 메인서버(500)는 주사액(링거) 교체 알람을 울리며, 동시에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로 주사액 교체 신호를 전송한다(S730).
데이터 표시단계로, 메인서버(500)는 환자 휴대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 즉, 환자정보, 주사액 투여상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S740).
투여속도 판단단계로, 데이터 표시단계 후, 투여속도 적절여부를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환자의 스케쥴에 맞추어 판단하고, 적절하다면 계속하여 투여속도 적절여부를 모니터링한다.
투여속도 판단단계에서 투여속도가 를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환자의 스케쥴에 맞지 않아, 비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공압 모터 제어신호와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휴대단말(300)를 경유하여 주사액 제어부(50)로 전송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의료전문인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다.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은 소정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면, 의료전문인 휴대단말(400)의 화면상에 주사액(링거)의 투여속도 조절을 위한 '느리게' 버튼과 '빠르게' 버튼을 이용하여 투여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이름 등의 환자정보가 표시되고, 하부에는 현재 주사액의 잔량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1 : 암 공기기둥 결합부 32 : 수 공기기둥 결합부
36 : 공기배출구 37 : 제2공기튜브
40 : 튜브 내경 제어부 45 : 제1공기 튜브
47 : 튜브 커프 50 : 주사액제어부
70 : 주사액량 제어모듈 90 : 수평 지지봉
91 : 링거 거치대 95 : 수직 지지봉
100 : 주사액 측정부 110 : 로드셀
111 : 상부 하우징부 112 : 잠금 결합부
113 : 수평지지봉 통공 114 : 주사액측정부 고정용통공
115 : 수평지지봉 고정나사 116 : 힌지부
117 : 상부 홈 121 : 하부 하우징부
122 : 잠금 해제부 127 : 하부 홈
128 : 수평지지봉 거치판 129 : 로드셀 수납부
130 : 로드셀부 131 : 하부하우징 고정통공
132 : 하부하우징 고정나사 135 : 주사액 저장부 걸이
136 : 걸이 고정통공 140, 155 : A/D 변환부
150 : 배터리 잔량 체크부 160 : 공압모터
170 : 모터구동부 180 : 밸브
190 : 밸브구동부 200 : 연산처리부
210 : 송수신부 220 : 알람부
221 : 부저 280 : 주사액 튜브
285 : 신호선 287 : 거치대
290 : 주사액 저장부 300 : 환자 휴대단말
400 : 의료전문인 휴대단말 490 : 병동단말
500 : 메인서버
36 : 공기배출구 37 : 제2공기튜브
40 : 튜브 내경 제어부 45 : 제1공기 튜브
47 : 튜브 커프 50 : 주사액제어부
70 : 주사액량 제어모듈 90 : 수평 지지봉
91 : 링거 거치대 95 : 수직 지지봉
100 : 주사액 측정부 110 : 로드셀
111 : 상부 하우징부 112 : 잠금 결합부
113 : 수평지지봉 통공 114 : 주사액측정부 고정용통공
115 : 수평지지봉 고정나사 116 : 힌지부
117 : 상부 홈 121 : 하부 하우징부
122 : 잠금 해제부 127 : 하부 홈
128 : 수평지지봉 거치판 129 : 로드셀 수납부
130 : 로드셀부 131 : 하부하우징 고정통공
132 : 하부하우징 고정나사 135 : 주사액 저장부 걸이
136 : 걸이 고정통공 140, 155 : A/D 변환부
150 : 배터리 잔량 체크부 160 : 공압모터
170 : 모터구동부 180 : 밸브
190 : 밸브구동부 200 : 연산처리부
210 : 송수신부 220 : 알람부
221 : 부저 280 : 주사액 튜브
285 : 신호선 287 : 거치대
290 : 주사액 저장부 300 : 환자 휴대단말
400 : 의료전문인 휴대단말 490 : 병동단말
500 : 메인서버
Claims (30)
- 정기적으로 주사액 저장부의 약액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 부터 수신된 약액량 무게 신호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비교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제어하는 주사액량 제어모듈을 구비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는,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좌우를 관통하도록, 주사액 측정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주사액 측정부 하우징부 내측에서, 삽입된 상기 수평지지봉의 밑에, 로드셀 수납부를 구비하며,
판형태이며 저면에 로드셀을 장착한 로드셀부를, 로드셀 수납부에 수납하며,
로드셀 수납부 바닥 및 로드셀부 저면에 구비된 걸이 고정통공에, 고리모양의 주사액 저장부 걸이를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는,
내측에 반 원통형 홈인, 상부 홈이 구비된 상부 하우징부와,
내측 상면에 반 원통형 홈인, 하부 홈이 구비된 하부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가 결합됨에 의해, 상부 홈과 하부 홈이 결합되어,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삽입되기 위한, 수평지지봉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일측 측면에서,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에 힌지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다른 일측 측면에, 상부 하우징부를, 하부 하우징부로부터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잠금/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부는 수평지지봉 거치판과 로드셀 수납부로 이루어지며,
수평지지봉 거치판은 로드셀 수납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으로, 수평지지봉 거치판의 상면에 하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수평지지봉 통공내에 수평 지지봉(90)을 삽입한 후, 상부 하우징부의 상면에 있는 통공인, 주사액측정부 고정용통공에, 수평지지봉 고정나사를 삽입하여, 수평지지봉과 주사액 측정부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수평지지봉 거치판과 로드셀 수납부의 4개로 모서리에 하부하우징 고정통공이 구비되며, 하부하우징 고정통공은 하부하우징 고정나사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로드셀부의 저면과, 로드셀 수납부의 내측 바닥면의 사이에 로드셀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정기적으로 주사액 저장부의 약액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주사액 측정부, 상기 주사액 측정부로 부터 수신된 약액량 무게 신호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비교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제어하는 주사액량 제어모듈을 구비한 주사액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사액 저장부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의 중간 부분을, 튜브 커프로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함에 따라, 주사액 튜브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튜브내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튜브 커프를 가압하기위한 공압모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튜브 커프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는 밸브에 연결되고,
공압모터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튜브인 공기배출구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튜브 커프를 가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제2공기튜브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튜브 커프를 감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공기배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주사액량 제어모듈은 연산된 주사액 투여속도와 설정속도를 이용하여,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공압모터 구동부 및 밸브 구동부로 전송하는 연산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튜브 커프는,
튜브 커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면에, 암 공기기둥 결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면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를 구비하며,
수 공기기둥 결합부는 1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며,
암 공기기둥 결합부는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직선형 공기저장부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수 공기기둥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로드셀을 구비한 주사액 측정부를 장착하여,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주사액 제어부;
주사액 제어부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는 환자 휴대단말;
환자 휴대단말로부터 주사액량의 무게를 수신하고,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투여속도를 연산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환자정보 및 주사액 투여속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 휴대단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량 제어모듈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를 구비하여, 검출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며,
메인서버는 수신된 배터리 잔량 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의료진이 의료진 휴대단말 상에서, 주사액 투여속도를 설정하면, 의료진 휴대단말은 설정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환자 휴대단말을 통해, 주사액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 저장부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의 중간 부분을, 튜브 커프로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함에 따라, 주사액 튜브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튜브내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주사액량의 무게로부터 주사액 잔여량 및 주사액 종료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해 공압모터와 밸브를 더 구비하고,
튜브 커프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압모터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튜브인 공기배출구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튜브 커프를 가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제2공기튜브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며,
튜브 커프를 감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공기배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는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는,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좌우를 관통하도록, 주사액 측정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주사액 측정부 하우징부 내측에서, 삽입된 상기 수평지지봉의 밑에, 로드셀 수납부를 구비하며,
판형태이며 저면에 로드셀을 장착한 로드셀부를, 로드셀 수납부에 수납하며,
로드셀 수납부 바닥 및 로드셀부 저면에 구비된 걸이 고정통공에, 고리모양의 주사액 저장부 걸이를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는,
내측에 반 원통형 홈인, 상부 홈이 구비된 상부 하우징부와,
내측 상면에 반 원통형 홈인, 하부 홈이 구비된 하부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가 결합됨에 의해, 상부 홈과 하부 홈이 결합되어, 링거 거치대 상부의 수평지지봉이 삽입되기 위한, 수평지지봉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제24항에 있어서,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일측 측면에서, 상부 하우징부와 하부 하우징부에 힌지부가 장착되며,
주사액 측정부의 하우징부의 다른 일측 측면에, 상부 하우징부를, 하부 하우징부로부터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잠금/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 -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 저장부에 들어 있는 주사액량의 무게를 검출하여, 검출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2단계;
의료진 휴대단말은 수신된 주사액량 무게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계;
메인서버는 수신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투여속도 제어신호를 주사액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환자 휴대단말로 전송하며, 환자 휴대단말은 수신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는 수신된 배터리 잔량신호를 의료진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주사액 저장부에 일단이 연결된 주사액 튜브의 중간 부분을, 튜브 커프로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함에 따라, 주사액 튜브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사액 투여속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튜브내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주사액 제어부는,
튜브 커프를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해 공압모터와 밸브를 더 구비하고,
튜브 커프와 연결된 제1공기 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압모터와 연결된 제2공기튜브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튜브인 공기배출구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튜브 커프를 가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 제2공기튜브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며,
튜브 커프를 감압시, 상기 밸브는, 제1공기 튜브와공기배출구가 연결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주사액 투여속도 제어신호는 공압모터 제어신호 및 밸브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제어시스템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8327A KR101777701B1 (ko) | 2015-02-06 | 2015-02-06 |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8327A KR101777701B1 (ko) | 2015-02-06 | 2015-02-06 |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397A true KR20160097397A (ko) | 2016-08-18 |
KR101777701B1 KR101777701B1 (ko) | 2017-09-14 |
Family
ID=5687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8327A KR101777701B1 (ko) | 2015-02-06 | 2015-02-06 |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770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5750A (ko) * | 2017-06-13 | 2018-12-21 | 폴스타헬스케어(주) | 스마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US10238800B2 (en) | 2016-11-21 | 2019-03-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
KR20200071897A (ko) | 2018-12-11 | 2020-06-22 | 폴스타헬스케어(주) |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680166B1 (ko) * | 2023-12-29 | 2024-07-01 |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 포토센서와 점적통을 갖는 IoT 스마트레귤레이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5376B1 (ko) * | 1998-12-18 | 2001-09-29 | 김진찬 |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
KR200219748Y1 (ko) * | 2000-11-04 | 2001-04-02 | 김석년 | 수액 자동 차단장치 |
-
2015
- 2015-02-06 KR KR1020150018327A patent/KR10177770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38800B2 (en) | 2016-11-21 | 2019-03-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
KR20180135750A (ko) * | 2017-06-13 | 2018-12-21 | 폴스타헬스케어(주) | 스마트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200071897A (ko) | 2018-12-11 | 2020-06-22 | 폴스타헬스케어(주) |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680166B1 (ko) * | 2023-12-29 | 2024-07-01 | 성원메디칼 주식회사 | 포토센서와 점적통을 갖는 IoT 스마트레귤레이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7701B1 (ko) | 2017-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7701B1 (ko) |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 |
US20130144206A1 (en) | Medical Device With Contextual Awareness | |
EP2332597B1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luid receptacle | |
US20040030581A1 (en) | Heart monitoring device | |
US2023004091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nically Monitoring Urine Output | |
US9743781B2 (en) | Multi-functional homecare device | |
US20160331894A1 (en) | Fluid Level Monitoring System | |
WO2015161591A1 (zh) | 人体生命、健康、运动管理服务系统及方法 | |
US2015025764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a body function and/or a body property | |
KR20180043648A (ko) |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1413945B1 (ko) | 수액량 감지장치 | |
CN112205967A (zh) | 一种麻醉监管系统及应用其的床 | |
KR20200017945A (ko) | 스마트 수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070093238A (ko) |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 |
CN103212137B (zh) | 双点滴监测器 | |
CN105246527A (zh) | 用于验证药泵和液体供给器的配对的系统与方法 | |
US10276038B2 (en) | Remote no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 |
KR20100134151A (ko) |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 |
JP7334070B2 (ja) | 点滴監視装置、点滴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 |
JP6253076B2 (ja) | 転倒予防装置 | |
GB2575349A (en) | Hydration monitors and systems | |
CN101553169A (zh) | 病人监视系统 | |
KR20170070596A (ko) | 링거 관리 장치, 운영 서버, 및 이들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 |
KR200416092Y1 (ko) | 약물주입기용 경보장치 | |
CN211096679U (zh) | 一种护士用输液远程监控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