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376B1 -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 Google Patents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76B1
KR100305376B1 KR1019980056987A KR19980056987A KR100305376B1 KR 100305376 B1 KR100305376 B1 KR 100305376B1 KR 1019980056987 A KR1019980056987 A KR 1019980056987A KR 19980056987 A KR19980056987 A KR 19980056987A KR 100305376 B1 KR100305376 B1 KR 10030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fiber
cover
fi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185A (ko
Inventor
한호섭
이호경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5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3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02B6/3839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for a plurality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6Magnetic means to align ferrule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용튜브 내에 분기된 단심광섬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덮개의 연접면에는 분기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기부재에 설치된 단심용튜브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튜브인출홈과, 상기 결합홈을 중심으로 튜브인출홈 맞은편에 형성되어 단심광섬유를 분기부재에 설치된 단심용튜브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가이드홈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는 분기부재에 설치된 아주 작은 직경의 단심용튜브 내에 단심광섬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취성이 강한 단심광섬유를 쉽게 부러뜨리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본 발명은 다심분리형 광코드에 단심광섬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치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분기부재에 설치된 단심용튜브 내에 단심광섬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 주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섬유가 매개체가 되어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자기장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 중 최근에는 광케이블을 포설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작은 직경 내에 초다심의 광섬유가 삽입된 멀티슬롯형 광케이블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멀티슬롯 광케이블은 원주형의 슬롯로드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그루브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 내에는 다수개의 리본형 광섬유를 적층되게 삽입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슬롯형 광케이블에 내장된 광섬유를 각각의 장비와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멀트슬롯형 광케이블에 내장된 광섬유리본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수개의 단심코드부로 분기시켜야 하며, 이와 같이 다심광섬유가 분기되는 지점에는 다심분리형 광코드가 설치되어 분기되는 광섬유를 보호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섬유리본(60)은 다수개의 단심광섬유(65)가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어 외피에 의해 둘러싸여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를 벗겨내게 되면, 내장된 단심광섬유(65)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분기되는 데, 이러한 분기부에는 일정 형태의 다심분리형 광코드가 설치되어 광섬유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다심분리형 광코드는 상기 케이스(70)의 일측 인입구(73)에는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80)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부(71)의 반대측에는 연질소재의 분기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70)는 상하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부재로서,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7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광섬유리본(60)이 인입되는 인입구(73)가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65)가 배출되는 배출구(75)가 형성된다.
상기 분기부재(40)는 선단부 양측면에 상기 케이스(70)의 내부 공간부(71)의 고정홈(72)에 결합되는 걸림턱(43)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재(40)의 내부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65)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정열홈(4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부재(40)의 정열홈(41) 내부에는 비닐소재로 된 상당 길이의 단심용튜브(50)가 배출구(75) 쪽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단심용튜브(50) 내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155)가 삽입되어 그 끝단에 시스템과 접속되는 일정 형태의 커넥터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다심분리형 광코드에 있어서, 분기부재(40)의 정열홈(41)에 단심용튜브(50)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리본(60)으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65)를 단심용튜브(50) 내에 일일이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심용튜브(50)는 그 내경이 0.9㎜정도의 아주 작은 홀을 갖는 튜브이므로, 이러한 단심용튜브(50) 내에 단심광섬유(65)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삽입하기란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로우며, 숙련자라 하도라도 작업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더구나, 상기 단심광섬유(65)는 주원료가 유리 섬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성이 매우 강해 작은 외력에도 쉽게 부러지게 되므로, 숙련자라 하더라도 불량률이 매우 많이 발생되어 고가인 광섬유의 소모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광섬유리본으로부터 분기된 단심광섬유를 분기부재의 정열홈에 설치된 단심용튜브 내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해 주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성이 강한 단심광섬유를 단심용튜브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해 주므로써, 고가인 단심광섬유를 쉽게 부러뜨리지 않도록 된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의 사용 상태도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 : 결합홈
13 : 튜브인출홈 14 : 가이드홈
19 : 파지홈 20 : 덮개
22 : 결합홈 23 : 튜브인출홈
24 : 가이드홈 29 : 파지홈
30 : 자석 40 : 분기부재
50 : 단심용튜브 65 : 단심광섬유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덮개의 연접면에는 분기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기부재에 설치된 단심용튜브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튜브인출홈과, 상기 결합홈을 중심으로 튜브인출홈 맞은편에 형성되어 단심광섬유를 분기부재에 설치된 단심용튜브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가이드홈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홈은 결합홈으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사이즈가 커지도록 이루어져 단심광섬유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에는 덮개와 부착되어 닫힘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자석이 고정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과 덮개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 반대방향 단부에 소정의 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의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광섬유 삽입용치구는 크게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와 덮개(20)의 연접면에는 분기부재(40)가 삽입되는 결합홈(12)과,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가 외부로 인출되는 튜브인출홈(13)과 단심광섬유(65)를 분기부재(40)의 정열홈(4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4)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몸체(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부재로서, 그 상면(11)의 중앙부에는 분기부재(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홈(12)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12)의 일측면에는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직선 연장된 튜브인출홈(13)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12)을 중심으로 튜브인출홈(13) 맞은편에는 단심광섬유(65)가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가이드홈(14)은 결합홈(12)으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사이즈가 커지도록 이루어져 단심광섬유(65)를 외부에서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후방 양측 단부에는 덮개(20)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7)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10)의 전방단부에는 상부 덮개(20)의 닫혀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원주형 자석(30)이 설치되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18a)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8a) 하부에는 몸체(10) 저면으로부터 자석(30)을 스크류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18b)이 연통 형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덮개(20)와 연접되는 상면(11) 전단부 양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삽입되어 덮개(2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 폭으로 모따기 된 파지홈(19)이 마련된다.
덮개(20)는 그 후단 양측면에 아랫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힌지 아암(27)이 마련되어 상기 덮개(20)가 몸체(10)에 90도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덮개(20)의 저면(21)에는 상기 몸체 상면(11)의 결합홈(12) 및 튜브인출홈(13) 및 가이드홈(14)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홈(22) 및 튜브인출홈(23) 및 가이드홈(24)이 각기 마련된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몸체(10)와 연접되는 전단부 저면(21) 양측에는 상기 몸체(10)의 파지홈(19)과 대칭되는 형상의 파지홈(29)이 마련되어 개폐 동작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삽입되어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의 사용 상태도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부재(40)에 형성된 각각의 정열홈(41) 출구쪽에 소정 길이를 갖는 연질 소재의 단심용튜브(50)를 끼워 고정시킨 후 덮개(20)를 개방시켜 몸체(10)의 결합홈(12)에 분기부재(40)를 삽입하고,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다수개의 단심용튜브(50)를 튜브인출홈(1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정열한다.
이어서, 상기 덮개(20)를 닫게 되면, 상기 몸체(10)와 덮개(20)의 가이드홈(14)(24)은 상기 결합홈(12)(22)에 삽입된 분기부재(40)의 단심용튜브(50)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에 설치된 자석(30)은 상기 덮개(20)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덮개(20)와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분기부재(40)가 설치된 후 광섬유리본으로부터 분기된 각각의 단심광섬유(65)를 상기 가이드홈(14)(24)을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단심광섬유(65)는 가이드홈(14)(24)에 의해 안내되어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에 원활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4)(24)은 외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테이퍼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단심광섬유(65)를 삽입하는 가이드홈(14)(24)의 입구(15)(25)측은 비교적 그 사이즈가 크므로 상기 단심광섬유(65)를 가이드홈(14)(2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14)(24) 내측의 출구(15)(25)는 단심광섬유(65)가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분기부재(40)에 설치된 각각의 단심용튜브(50) 내에 단심광섬유(65)가 삽입 완료되면, 상기 덮개(20)를 열고 분기부재(40)를 꺼내 다심분리형 광코드 내에 조립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는 분기부재에 설치된 아주 작은 내경의 단심용튜브 내에 단심광섬유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는 취성이 아주 강한 단심광섬유를 안내하여 단심용튜브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므로 고가인 단심광섬유를 쉽게 부러뜨리지 않게 된다.

Claims (4)

  1.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와 덮개(20)의 연접면에는 분기부재(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12)(22)과, 상기 결합홈(12)(22)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 튜브인출홈(13)(23)과, 상기 결합홈(12)(22)을 중심으로 튜브인출홈(13)(23) 맞은편에 형성되어 단심광섬유(65)를 분기부재(40)에 설치된 단심용튜브(5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가이드홈(14)(24)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4)(24)은 결합홈(12)(22)으로부터 외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사이즈가 커지도록 이루어져 단심광섬유(65)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덮개(20)와 부착되어 닫힘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자석(30)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11)과 덮개(20)의 저면(21)에는 힌지결합부 반대방향 단부에 소정의 파지홈(19)(29)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2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KR1019980056987A 1998-12-18 1998-12-18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KR10030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87A KR100305376B1 (ko) 1998-12-18 1998-12-18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987A KR100305376B1 (ko) 1998-12-18 1998-12-18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185A KR20000041185A (ko) 2000-07-15
KR100305376B1 true KR100305376B1 (ko) 2001-09-29

Family

ID=1956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987A KR100305376B1 (ko) 1998-12-18 1998-12-18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01B1 (ko) * 2015-02-06 2017-09-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972Y1 (ko) * 2014-01-14 2015-08-13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마이크로 덕트 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01B1 (ko) * 2015-02-06 2017-09-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185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238B2 (ja) 光ファイバプラグと光ファイバレセプタクルの組立体
US8662760B2 (en) Fiber optic connector employing optical fiber guide member
EP0183820B1 (en) High precision fiber optic connectors
US4387863A (en) Spool assembly
US20180231722A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US5694507A (en) Holder for inserting an optical fiber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751392B1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or assemblies
KR102305131B1 (ko) 다심 광섬유 코드 보호용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한 분기키트
KR100305376B1 (ko)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US6305850B1 (en) Multifiber alignment adapter and associated fiber optic connector subassembly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KR100272770B1 (ko) 광접속용 초다심 광커넥터조립체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JPH04235508A (ja) 光コネクタ
CN210666107U (zh) 套圈以及光纤连接器
KR100544782B1 (ko)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KR100305377B1 (ko)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0301685B1 (ko) 광케이블접속용페룰의심선구멍가열장치
KR200267348Y1 (ko)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KR100374702B1 (ko) 다심 광섬유 분리기
KR19980066238U (ko) 광커넥터의 결속장치
EP3206066A1 (en) Preconne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KR19990061184A (ko) 광접속용 초다심 광커넥터 조립체
KR20000012853U (ko) 광분배기의 단심코드부 정렬장치
KR19980058292U (ko) 광섬유 고정용 가변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