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089A -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089A
KR20160097089A KR1020150018979A KR20150018979A KR20160097089A KR 20160097089 A KR20160097089 A KR 20160097089A KR 1020150018979 A KR1020150018979 A KR 1020150018979A KR 20150018979 A KR20150018979 A KR 20150018979A KR 20160097089 A KR20160097089 A KR 2016009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shape
learner
shape information
mouth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554B1 (ko
Inventor
손현성
Original Assignee
손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성 filed Critical 손현성
Priority to KR102015001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5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의 학습자가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의 발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또는 길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단계와; c) 발성연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본 발명은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의 학습자가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의 발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 학습자에게 음성언어를 학습하는 기본 정의는 평균적인 기본값을 설정하여 그 기본값에 연습을 통하여 숙달하도록 하므로 외국어 음성학습을 완성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외국어 학습방법은 특허문헌 0001로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외국어 발음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 발음에 대응하는 얼굴 근육 움직임 정보와 함께 입술 모양 정보를 표시하여 정확한 영어 발음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1에서는 학습자의 발음정보가 기저장된 기준발음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평가하고, 특히, 학습자의 성별, 나이 및 신체 등과 상관없이 획일적인 기준발음정보를 미리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모든 학습자들의 발음정보와 비교하여 평가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0001의 외국어 발음학습장치는 기저장된 기준발음정보와 학습자의 신체적 특징이 비슷한 학습자에 한해서 학습효과를 조금 기대할 수 있을 뿐, 신체적 특징이 기저장된 기준발음정보와 다른 대부분의 학습자에게는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신체적 특징으로 인해 많은 연습에도 불구하고 그 평균적인 기본값에 도달할 수 없는 실망감으로 인해 학습자의 학습의지가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bat'라는 단어에서 모음 Aa의 발음 [æ]를 발성할 때 입을 가장 크게 벌려야 하는데 입이 큰 사람과 입이 작은 사람이 크게 벌리는 평균값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절대적인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학습 및 평가한다면 입이 큰 사람은 [æ]음을 학습할 수 있으나 입이 작은 사람은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학습할 수 없게 된다.
공개특허 제2010-0138654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든 학습자의 개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기준값에 의해 학습자의 발성정도를 평가하지 않고, 학습자의 입모양과 얼굴근육 등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개별적인 기준값을 설정하여 외국어의 발성학습 및 평가함으로서, 외국어의 발성학습을 효과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또는 길게한 상태의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단계와;
c) 발성연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b) 단계의 기본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이고, 상기 d) 단계의 발성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인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b) 단계의 기본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 입꼬리의 길이값이고, 상기 d) 단계의 발성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 입꼬리의 길이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또는 길게한 상태의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와, 발성연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된 기본입모양 이미지 및 발성입모양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 또는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이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 또는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준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정도를 평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본입모양정보 및 상기 발성입모양정보는 인중의 높이값 및 인중의 폭값, 나아가 입꼬리의 길이값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 또는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과 입모양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추출부와, 상기 윤곽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인중과 입모양이 윤곽으로부터 기본입모양정보 및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는 입모양정보검출부와, 상기 입모양정보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입모양정보와 상기 발성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정도를 평가하는 발성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외국어발성 학습장치는 모든 학습자의 개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기준값에 의해 학습자의 발성정도를 평가하지 않고, 학습자의 입모양과 얼굴근육 등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개별적인 기준값을 설정하여 외국어의 발성학습 및 평가를 수행함으로서, 외국어의 발성학습을 효과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에서의 원순모음, 평순모음 및 중립순 모음에 관한 입모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syllable-timed language)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는 발성할 때 인중의 높이가 길어져 아래턱과 혀가 앞으로 내밀게 되어 고막이 앞뒤로 비스듬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stressed-timed language)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발성할 때 인중의 높기가 짧아져 아래턱과 혀가 뒤와 위로 당겨져서 압력의 변화로 고막이 바로 서게된다. 이와 같이 음절박자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과 강세박자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발성시 턱, 혀의 위치가 다르고 구강 내의 압력이 달라져 중이에 있는 고막의 방향도 다를 뿐만 아니라 목에 있는 성대의 위치도 다르다. 음절박자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를 배울 때 모국어의 간섭현상으로 인해 발성이 원활히 안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강세박자언어에 맞는 입모양을 한 상태에서 발성연습을 해야한다.
또한, 학습자의 성별, 나이 및 얼굴 근육 등의 신체적 특징과 발성 입모양이 상이하기 때문에, 학습자 모두를 평가하기 위한 획일적인 기준값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발성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자가 발성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 기본입모양정보를 개개인별로 검출 및 설정하여 평가한다. 본 발명의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은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의 제어부(16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PDA, 테블릿PC, 스마트폰 및 전용 학습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는 도 1과 같이, 영상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음성입력부(130), 음성출력부(140), 키입력부(150), 제어부(160), 메모리부(170)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입력부(110)는 학습자의 인중, 입모양을 포함한 얼굴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학습자의 입모양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영상입력부(110)에 입력되는 학습자의 입모양이미지는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다. 상기 학습자의 입모양이미지로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이미지, 학습자의 발성학습시 촬영되어 발성평가를 위한 학습자의 발성입모양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영상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이미지, 발성입모양이미지 및 발성학습정보 등이 출력된다.
상기 음성입력부(130)는 학습자의 발성연습시 학습자의 발성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부(130)에 의해 입력된 음성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출력부(140)는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발성학습정보, 학습자의 음성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50)는 학습자 정보 및 단계별 발성학습정보 등을 선택하고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선택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상에 구비되는 터치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학습자정보 설정, 학습자의 발성평가 등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윤곽추출부(161), 입모양정보검출부(162), 설정부(163) 및 발성평가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윤곽추출부(161)는 상기 영상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이미지 또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이미지로부터 학습자의 인중 등의 윤곽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이미지 또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이미지로부터 학습자의 인중 등의 윤곽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이웃한 픽셀과의 색상의 차이를 통해 추출할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윤곽추출부(161)는 학습자의 인중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입모양의 윤곽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모양정보검출부(162)는 상기 윤곽추출부(161)에 의해 추출된 학습자의 인중 등의 윤곽으로부터 학습자의 인중의 높이값(PH)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 또는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기본입모양정보 또는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에는 상기 학습자의 인중의 높이값(PH) 뿐만 아니라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설정부(163)는 상기 입모양정보검출부(162)로부터 검출된 상기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이미지의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발성평가부(164)는 해당 학습자의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준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정도를 평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준입모양정보가 동일한 경우 발성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유사한 경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며, 크게 차이가 나는 겨우 보통으로 평가한다.
본 발명의 외국어발성 학습방법은 상기 외국어발성 학습단말기(10)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입력단계,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정보 설정단계,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입력단계 및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입력단계는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 또는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길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입모양 이미지를 상기 영상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이다.
언어는 음성의 측면에서 영어 등의 강세박자언어와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로 분류된다. 여기서 일컫는 외국어는 영어 등의 강세박자언어 또는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가 될 수 있고,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음성언어를 말한다.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가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를 발성학습하고자 할 경우 강세박자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의 턱, 혀 및 성대의 위치를 비슷하게 할 수 있도록,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학습자가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도록 입모양을 할 경우 강세박자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과 같이 아래턱과 혀가 뒤와 위로 당겨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가 한국어와 같은 음절박자언어를 발성학습하고자 할 경우,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길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인중의 높이는 코의 아랫부분과 윗입술 사이의 길이를 말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에서의 원순모음, 평순모음 및 중립순 모음에 관한 입모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더욱 효과적으로 발성연습 및 평가를 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영어와 같은 강세박자언어의 발성연습 및 평가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입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원순모음, 평순모음 및 중립순 모음별 학습자의 입모양 이미지를 각각 기본입모양이미지로 입력받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자가 한글과 같은 음절박자언어를 발성연습 및 평가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원순모음 및 평순모음별 학습자의 입모양 이미지를 각각 기본입모양이미지로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세박자언어 중 대표 언어인 영어의 경우 입술의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 평순모음, 중립순 모음으로 분류되고, 원순모음에는
Figure pat00001
등이 해당되고, 평순모음에는
Figure pat00002
등이 해당되며, 중립순모음에는
Figure pat00003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영어의 발성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의 원순모양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고,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하고 입술을 비교적 평평하게 한 상태의 평순모양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으며,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하고 입술을 보통 상태의 중립순모양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음절박자언어인 한국어의 경우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과 평순모음으로 분류되고, 원순모음에는
Figure pat00004
등이 해당되고, 평순모음에는
Figure pat00005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발성연습 및 평가를 하고자 하는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길게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한 상태의 원순모양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고,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길게 하고 입술을 비교적 평평하게 한 상태의 평순모양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 설정단계는 상기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160)의 윤곽추출부(161)를 통해 인중의 윤곽선 등을 추출한 후 상기 제어부(160)의 입모양정보검출부(162)를 통해 인중의 높이값(PH)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60)의 설정부(163)에 의해 검출한 인중의 높이값(PH)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한다.
상기 윤곽추출부(161)를 통해 상기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 뿐만 아니라 입모양의 윤곽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입모양정보검출부(162)를 통해 인중의 높이값(PH) 이외에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성입모양 입력단계는 상기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발성학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PH)을 포함한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학습자가 상기 키입력부(150)를 통해 발성학습단계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발성학습정보 중 선택된 발성학습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한다. 상기 발성학습정보에는 외국어 음소, 단어 및 문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발성학습정보를 통해 발성학습할 경우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가 상기 영상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60)의 윤곽추출부(161)는 인중 등의 입모양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의 입모양정보검출부(162)는 상기 윤곽추출부(161)로부터 추출된 인중 등의 입모양의 윤곽선으로부터 인중의 높이값(PH)을 포함한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에는 인중의 높이값(PH),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발성평가단계는 상기 발성입모양 입력단계에 의해 검출된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정보 설정단계로부터 설정된 기준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영어 등의 강세박자언어를 발성학습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 및 상기 기준입모양정보로서 인중의 높이값(PH)이 포함된 경우,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의 인중의 높이값(PH)이 상기 기준입모양정보의 인중의 높이값(PH)과 동일하거나 짧은 경우 매우 우수라 평가하고, 3mm 이하로 긴 경우 우수로 평가하고, 3mm 초과로 긴 경우 보통으로 평가한다.
나아가 상기 발성입모양정보 및 상기 기준입모양정보로서 인중의 높이값(PH) 뿐만 아니라 인중의 폭값(PW), 입꼬리의 길이값(ML)이 포함된 경우 입구조의 특성상 인중의 높이값(PH)과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은 반비례하기 때문에, 인중의 높이값(PH) 차이에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의 차이를 반영할 경우 더욱 정확하게 발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발성 정도를 평가시 인중의 높이값(PH), 인중의 폭값(PW) 및 입꼬리의 길이값(ML)에 대한 차이 값의 비중 값을 달리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10: 단말기,
110: 영상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음성입력부,
140: 음성출력부,
150: 키입력부,
160: 제어부,
170: 메모리부,
180: 전원공급부

Claims (9)

  1. a)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또는 길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단계와;
    c) 발성연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기본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발성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기본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 입꼬리의 길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발성입모양정보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인중의 높이값 및 폭값, 입꼬리의 길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6. 인중의 높이를 최대한 짧게 또는 길게 한 상태의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와, 발성연습하는 학습자의 발성입모양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된 기본입모양 이미지 및 발성입모양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 또는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의 높이값을 포함한 기본입모양정보 또는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발성입모양정보와 상기 기준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 정도를 평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입모양정보 및 상기 발성입모양정보는 인중의 높이값 및 인중의 폭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입모양정보 및 상기 발성입모양정보는 인중의 높이값, 인중의 폭값 및 입꼬리의 길이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 이미지 또는 발성입모양 이미지로부터 인중과 입모양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추출부와, 상기 윤곽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인중과 입모양이 윤곽으로부터 기본입모양정보 및 발성입모양정보를 검출하는 입모양정보검출부와, 상기 입모양정보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학습자의 기본입모양정보를 해당 학습자의 기준입모양정보로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입모양정보와 상기 발성입모양정보를 비교하여 발성 정도를 평가하는 발성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발성 학습장치.
KR1020150018979A 2015-02-06 2015-02-06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KR10166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79A KR101668554B1 (ko) 2015-02-06 2015-02-06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79A KR101668554B1 (ko) 2015-02-06 2015-02-06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89A true KR20160097089A (ko) 2016-08-17
KR101668554B1 KR101668554B1 (ko) 2016-10-24

Family

ID=5687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979A KR101668554B1 (ko) 2015-02-06 2015-02-06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205A1 (zh) * 2018-04-09 2019-10-17 深圳市鹰硕技术有限公司 外语教学评价信息生成方法以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189B2 (ko) * 1985-05-17 1991-10-09
KR100680278B1 (ko) * 2005-12-28 2007-0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술모양 추출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8654A (ko) 2009-06-25 2010-12-31 유혜경 외국어 발음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3172411A (ja) * 2012-02-22 2013-09-02 Nec Corp 音声認識システム、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5189B2 (ja) 2003-02-05 2009-1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認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189B2 (ko) * 1985-05-17 1991-10-09
KR100680278B1 (ko) * 2005-12-28 2007-0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술모양 추출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8654A (ko) 2009-06-25 2010-12-31 유혜경 외국어 발음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3172411A (ja) * 2012-02-22 2013-09-02 Nec Corp 音声認識システム、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205A1 (zh) * 2018-04-09 2019-10-17 深圳市鹰硕技术有限公司 外语教学评价信息生成方法以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554B1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3646B (zh) 多模态情感辨识系统及方法
Luettin Visual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KR20150024180A (ko) 발음 교정 장치 및 방법
Tran et al. Improvement to a NAM-captured whisper-to-speech system
US11145222B2 (en) Language learning system, language learning suppor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60321953A1 (en)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system utilizing three-dimensional multimedia and pronunciation learning support method thereof
Moore et al. Word-level emotion recognition using high-level features
US108398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30082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igital human, and electronic device
KR101187600B1 (ko)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의 3차원 실시간 입술 특징점 추출을 이용한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방법
TWI294107B (en) A pronunciation-scored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voice and image in the e-learning
KR20140071070A (ko)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20100138654A (ko) 외국어 발음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50024295A (ko) 발음 교정 장치
KR101668554B1 (ko) 외국어발성 학습방법 및 그 장치
JP2012047998A (ja) 発話学習支援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i et al. Cross linguistic comparison of Mandarin and English EMA articulatory data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JP2008146268A (ja) 映像を用いた発音の推定方法
JP2007148170A (ja) 外国語学習支援システム
Iribe et al. Improvement of animated articulatory gesture extracted from speech for pronunciation training
KR101854379B1 (ko) 무의식적 절차 기억 강화를 통한 영어 학습 방법
CN106971647A (zh) 一种结合肢体语言的口语训练方法及系统
US201400191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ocal organs animation using stress of phonetic value
US9437190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s utte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