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736A -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736A
KR20160094736A KR1020150016129A KR20150016129A KR20160094736A KR 20160094736 A KR20160094736 A KR 20160094736A KR 1020150016129 A KR1020150016129 A KR 1020150016129A KR 20150016129 A KR20150016129 A KR 20150016129A KR 20160094736 A KR20160094736 A KR 2016009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opening
flange
defrost wat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옥
윤석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01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736A/ko
Publication of KR2016009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이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서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배수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평상시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이 배수되려고 흘러 모이는 제상수에 의한 부력을 통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하고, 고 내에 부압 발생시 압력 차이로 인해 개폐판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상수의 배수와 도어 개방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DRAINING DEVICE FOR DEFROSTED WAT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D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이 배수되려고 흘러 모이는 제상수에 의한 부력을 통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하고, 고 내에 부압 발생시 압력 차이로 인해 개폐판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상수의 배수와 도어 개방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에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실과, 결빙온도를 약간 상회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실을 구비한다.
냉장고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각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냉각 사이클을 수행하는 증발기는 주변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는 주변 온도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성에가 발생하고,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장고는 제상운전을 실행하게 된다.
제상운전 중 발생하는 제상수는 드레인 호스를 통하여 기계실에 설치되는 증발 트레이로 집수되어 증발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드레인 호스는 저장실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기계실을 서로 연통시키게 되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구조가 제작되기 때문에 압력차이로 인해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1143호(공개일: 2009.12.28. 발명의 명칭: 냉장고)에는 도어의 개폐시 공기가 트레인 호스 하단의 차단부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평상시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이 배수되려고 흘러 모이는 제상수에 의한 부력을 통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하고, 고 내에 부압 발생시 압력 차이로 인해 개폐판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상수의 배수와 도어 개방력의 저감을 실현하고자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는: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배수안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플랜지로 흐른 상기 제상수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유격됨으로써 상기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을 막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홀을 통공할 수 있다.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개폐판의 유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은 상기 스토퍼를 삽입한 채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개방홀을 통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은 상기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판은 자중을 줄이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는 제상수 트레이; 및 상기 제상수 트레이의 배수를 허용하고, 상기 제상수 트레이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배수 장치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로부터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배수안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플랜지로 흐른 상기 제상수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유격됨으로써 상기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고, 상기 제상수 트레이와 상기 드레인 호스에 부압(negative pressure) 발생시 상기 플랜지와 유격되며 외기를 유입시켜 평압을 실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력을 저감시키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종래 기술과 달리 평상시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이 배수되려고 흘러 모이는 제상수에 의한 부력을 통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할 수 있고, 고 내에 부압 발생시 압력 차이로 인해 개폐판이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상수의 배수와 도어 개방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내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개폐판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가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가 압력 평형을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개폐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내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개폐판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가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가 압력 평형을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저장실(22)을 구비한 본체(20)와, 저장실(22)을 개폐하도록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0)는 내부 하측에 제상수 트레이(40)를 구비한다. 제상수 트레이(40)는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거치는 동안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상수 트레이(40)는 제상수 배수 장치(100)를 연결한다. 제상수 배수 장치(100)는 제상수 트레이(40)에 집수된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고, 제상수 트레이(40)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상수 배수 장치(100)는 드레인 호스(110) 및 배수안내유닛(120)을 포함한다.
드레인 호스(110)는 제상수 트레이(40)로부터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드레인 호스(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상수 트레이(40)의 하측에 연결된다. 특히, 제상수 트레이(40)로부터 제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드레인 호스(110)가 제상수 트레이(40)에 연결된다. 물론, 드레인 호스(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나뉘어져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배수되는 제상수는 증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 등에 집수된 후 처리된다.
드레인 호스(110)는 제상수의 배수를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기와 고온 다습한 기계실의 공기가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증발기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배수안내유닛(120)이 더 포함된다. 배수안내유닛(120)은 드레인 호스(110)의 내측에서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드레인 호스(110)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배수안내유닛(120)은 플랜지(122) 및 개폐판(124)을 포함한다.
플랜지(122)는 드레인 호스(110)의 내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22)의 너비 및 두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개폐판(124)은 드레인 호스(11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자중에 의해 플랜지(122)에 접하여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개폐판(124)은 플랜지(122)로 흐른 제상수에 의한 부력으로 플랜지(122)와 유격됨으로써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플랜지(122)는 드레인 호스(110)의 내측을 막도록 형성되고, 개폐판(124)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홀(123)을 통공한다. 이때, 연통홀(123)의 개수 및 크기(직경)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배수안내유닛(120)은 스토퍼(13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130)는 플랜지(122)로부터 개폐판(124)의 유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130)는 드레인 호스(110) 내측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플랜지(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스토퍼(130)는 플랜지(122)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스토퍼(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편의상, 스토퍼(130)는 걸림돌기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도시하고, 개폐판(124)은 스토퍼(130)를 삽입한 채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개방홀(125)을 통공한다.
또한, 개폐판(124)은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상수가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흐르며 배출되려고 할 때, 개폐판(124)이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단시간에 상승되며 드레인 호스(110)를 개방하는 개방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개폐판(124)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0.6 내지 0.9 정도의 비중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물론, 개폐판(124)은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체(20) 특히, 제상수 트레이(40)와 드레인 호스(110) 내부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하게 되면, 본체(20)에 닫혀있는 도어(30)는 개방을 위해 개방력이 크게 필요하게 된다.
이때, 제상수 트레이(40)와 드레인 호스(110)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개폐판(124)은 압력차에 의해 제상수 트레이(40)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플랜지(122)와 유격되기 때문에, 외기가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제상수 트레이(40)와 드레인 호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체(20) 내부 압력이 평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20) 내부를 밀폐하고 있는 도어(30)의 개방력이 저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배수 장치의 개폐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124)은 드레인 호스(11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자중에 의해 플랜지(122)에 접하여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개폐판(124)은 플랜지(122)로 흐른 제상수에 의한 부력으로 플랜지(122)와 유격됨으로써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개폐판(124)은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중을 줄이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상수가 드레인 호스(110)를 통해 흐르며 배출되려고 할 때, 개폐판(124)은 비중과 자중이 작아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단시간에 상승되며 드레인 호스(110)를 개방하는 개방 응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냉장고 20: 본체
22: 저장실 30: 도어
40: 제상수 트레이 100: 제상수 배수 장치
110: 드레인 호스 120: 배수안내유닛
122: 플랜지 124: 개폐판
130: 스토퍼 140: 중공부

Claims (9)

  1.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배수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플랜지로 흐른 상기 제상수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유격됨으로써 상기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을 막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개폐판의 유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스토퍼를 삽입한 채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개방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제상수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자중을 줄이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
  8.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집수하는 제상수 트레이; 및
    상기 제상수 트레이의 배수를 허용하고, 상기 제상수 트레이 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상수 배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배수 장치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로부터 제상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서 상기 제상수의 부력에 의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개방하여 배수 유도하는 배수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안내유닛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드레인 호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에 접하여 상기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기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플랜지로 흐른 상기 제상수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유격됨으로써 상기 제상수의 배수를 허용하고, 상기 제상수 트레이와 상기 드레인 호스에 부압(negative pressure) 발생시 상기 플랜지와 유격되며 외기를 유입시켜 평압을 실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력을 저감시키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16129A 2015-02-02 2015-02-02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60094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29A KR20160094736A (ko) 2015-02-02 2015-02-02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29A KR20160094736A (ko) 2015-02-02 2015-02-02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36A true KR20160094736A (ko) 2016-08-10

Family

ID=5671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29A KR20160094736A (ko) 2015-02-02 2015-02-02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7042B2 (en) 2018-12-18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ain hose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7042B2 (en) 2018-12-18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ain hose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934A1 (en) Refrigerator
KR20110006997A (ko) 냉장고
KR20160094736A (ko) 제상수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715804B1 (ko) 냉장고의 제빙시스템 및 제빙방법
KR20090130526A (ko) 냉장고
KR20050023863A (ko) 하부에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214621B1 (ko) 냉장고의 드레인 파이프
ITPD20130166A1 (it) Apparato di refrigerazione
US20160370056A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24766A (ko) 제빙 유닛
KR100398636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0339577B1 (ko) 냉장고 콘트롤박스의 결빙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8798A (ko) 냉장고의 부압제거장치
KR200297297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배수구 개폐수단
KR102653612B1 (ko) 공기 압축기용 수분 분리 및 배출장치
KR0117771Y1 (ko) 냉장고의 내외 압력 평형장치
KR101328593B1 (ko) 냉장고 제상수 처리 장치
KR100266600B1 (ko) 냉장고 제상호스의 열유입방지장치
KR200171162Y1 (ko) 김치 저장고
KR20010047665A (ko)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20110056943A (ko) 냉장고
KR100343739B1 (ko)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KR20010036857A (ko) 냉동시스템의 냉매흐름 제어장치
KR0117189Y1 (ko) 냉장고의 압력평형장치
KR20120061525A (ko) 소형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