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62Y1 - 김치 저장고 - Google Patents

김치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62Y1
KR200171162Y1 KR2019990020316U KR19990020316U KR200171162Y1 KR 200171162 Y1 KR200171162 Y1 KR 200171162Y1 KR 2019990020316 U KR2019990020316 U KR 2019990020316U KR 19990020316 U KR19990020316 U KR 19990020316U KR 200171162 Y1 KR200171162 Y1 KR 200171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torage
cross
evaporation pipe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춘식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9002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3Rigid pipes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고안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의
외측에 권취된 증발 파이프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저장실의 접촉되는 증발파이프의 면적을 점접촉에서 면접촉으로 변
경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 저장고 {KIMCHI CONTAINER}
본 고안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관용기에외접되어 냉기 및 온열을 전달하는 열교환기의 접촉 단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김치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 저장고는 김치를 담은 보관 용기를 외부와 단열차단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그 온도를 높이거나 저온이 유지하도록 김치의 숙성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김치를 맛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김치 저장고의 원리를 도시한구성도로서,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저온.저압의 가스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2)를 통과하면서 고온,고압의 가스 상태로 압축되고, 압축된 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그 일측에 설치된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블로워의 흡입력으로 흡입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액체상태로 변환된다. 액체상태로 변환된 냉매는 이어 드라이어(6)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수분과 이 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팽창밸브(8)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으로 변환되고, 증발기(증발파이프)(10)를 통과하면서 고내(12)로 부터 열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고내(12)의온도를 항상 저온으로 유지하여 김치를 보관하게 된다.
도2는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본체(11)와, 본체(11)하부로 냉각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기계실(13)이 구비되어 있고, 기계실(13)의 상부 단열부재(14)내에는 김치를 저장할 수 있는 1조 또는 2조식의 저장실(9)이 설치되며, 이들의 각 저장실(18)은 상하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도어(19)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3,4,5는 일반적인 김치 저장고내에 설치된 보관용기의 정면도와 그에 따른 단면도와 확대도로서, 저장실(18)의 외측에는 미도시한 팽창밸브측에 연결된 증발 파이프(10)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회권취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증발 파이프(1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있어 냉매가 원활히 흐르면서저장실(18)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김치 저장고는 냉매가 압축기(2), 응축기(4)를 경유하는 가운데 고온,고압의 액체상태로 변환되고, 이어 드라이어(6), 팽창밸브(8)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불순물이 제거되어 저온의 냉매 상태로 변환된다. 그리고, 저온상태의 냉매가 증발파이프(10)를 통과하면서 저장실(18)로 부터 열을빼앗아 저온이 유지되도록하며,이러한과정을반복하게 된다.
그러나,팽창밸브를 경유하면서 변환된 냉매가 증발파이프를 통과하면서 그 내측에 설치된 저장실로 부터 열을 빼앗아 저온을 유지하는 과정에 있어 증발 파이프의 일측면만이 저장실의 외측에 선접촉 형식으로 맞닿아 있음으로써, 압축기의 운전량에 비해 낮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관용기의 외측으로 권취되어 있는 열교환기의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그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김치저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원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김치 저장고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김치 저장고내에 설치된 보관 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저장실 20:증발 파이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김치 저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의 외측에 권취된 증발 파이프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를 제공함에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관용기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연계하여 설명하면,도 1내지 도 5에 설명한 바와 같이, 김치 저장고의 개략적인 원리는 압축기(2)를 통해 저온, 저압의 가스를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압축한 다음,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액체상태로 변환시킨다. 액체상태의 냉매는 드라이어(6)와 팽창밸브(8)내를 흐르면서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고 저온, 저압으로 변환되어 증발기(10)를 통과하면서 그 주위에 있는 열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일정한 공간(고내)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케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김치 저장고는 본체(11)의 하부에 압축기(2)와 응축기(4) 및 블로워(5)를 내설하고, 그 상부에 1조 이상의 저장실(18)을 단열부재(14)로 감싸 열을차단하게 한다. 이때, 저장실(18)의 상부와 본체(11)의 상부에는 상하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도어(19)가 개폐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김치 저장고는 팽창밸브(8)를 경유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환된 냉매가 증발 파이프(10)내를 통과시 그 내측에 있는 저장실(18)의 외측면에 단면적이 작은 선접촉으로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열교환율이 낮아지게 된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고안에서 저장실(18)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 맞닿는 증발 파일프(10)의 접촉면을 면접촉이 되도록 증발 파이프(10)를 설치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실(18)에 권취되는 증발 파이프(1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단면은 저장실(18)의 외측면에 맞닿는 접촉면의 높이(H)가 폭(B)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증발 파이프(10)의 단면을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였으나, 타원형이나 반원형등 그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그 어떠한 단면 형상도 사용할 수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팽창밸브에 연결되어 저장실의 외측에 권취된 증발 파이프의 단면을 점접촉에서 면접촉으로 변경하여 그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있도록 있다. 즉, 동일한 압축기의 구동에 대해 고효율을 갖게 된다.

Claims (3)

  1. 김치 저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의 외측에권취된 증발 파이프(20)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저장고.
KR2019990020316U 1999-09-20 1999-09-20 김치 저장고 KR200171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16U KR200171162Y1 (ko) 1999-09-20 1999-09-20 김치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16U KR200171162Y1 (ko) 1999-09-20 1999-09-20 김치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62Y1 true KR200171162Y1 (ko) 2000-03-15

Family

ID=195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316U KR200171162Y1 (ko) 1999-09-20 1999-09-20 김치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07A (ko) * 2001-05-28 2002-12-05 만도공조 주식회사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열전도율이 개선된 증발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07A (ko) * 2001-05-28 2002-12-05 만도공조 주식회사 김치저장고 저장실의 열전도율이 개선된 증발관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7939B (zh) 门体制冰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20060081922A (ko) 냉장고
AU2015201553B2 (en) Rotary Compressor
KR200171162Y1 (ko) 김치 저장고
CN107449203A (zh) 一种带导冷结构的冰箱
KR100681940B1 (ko) 부압 방지 밸브를 갖는 냉장고
KR200210882Y1 (ko) 신축 이음관을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열교환기 구조
KR20020026097A (ko) 직접냉각방식을 적용한 서랍식 김치냉장고
CN207299672U (zh) 一种带导冷结构的冰箱
KR200192874Y1 (ko) 김치의 발효 및 저장장치의 냉각효율 증대장치
KR100433122B1 (ko) 김치저장고 도어의 증발관 설치를 위한 관 구조
KR20010111419A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냉장고
KR200332580Y1 (ko) 2중구조 증발관
KR100652883B1 (ko) 김치저장고의 냉기 차단장치
KR19990048798A (ko) 냉장고의 부압제거장치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KR200251836Y1 (ko) 김치냉장고의모세관및증발기파이프고정용클립구조
KR100436936B1 (ko) 이중 도어 구조를 갖는 김치냉장고
KR100404192B1 (ko)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KR100398636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응축수 배출구조
KR0135133B1 (ko) 두개의 증발기를 갖는 냉장고의 냉장실용 증발기구조
KR100963001B1 (ko) 김치냉장고의 냉각기
KR100416701B1 (ko) 김치저장고 야채실의 드레인 연결구조
KR20020039065A (ko) 김치냉장고의 증발 장치
KR100583403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내 열손실 보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