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67A -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67A
KR20160094167A KR1020150015423A KR20150015423A KR20160094167A KR 20160094167 A KR20160094167 A KR 20160094167A KR 1020150015423 A KR1020150015423 A KR 1020150015423A KR 20150015423 A KR20150015423 A KR 20150015423A KR 20160094167 A KR20160094167 A KR 2016009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virtual camera
cameras
control unit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553B1 (ko
Inventor
전세웅
김영욱
황정훈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APPARATUS OF CONTROLLING OBSERVATION VIEW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은 자동화 처리 시스템에서 점차 일반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인간 노동력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없는 정밀도와 효율을 가지며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로봇은 작업 환경이 민감하거나 위험한 환경에 해당하여 인간 노동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로봇을 비가시권(직접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지역)에서 원격 제어할 때 단순히 2D(Dimensional) 또는 3D 카메라 시각에서 제공하는 영상만 사용하여 주변환경을 직관적으로 인식하였다. 단순 카메라를 통한 원격지 영상 정보 전달은 시인성 문제 및 이로 인한 직관적 원격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3494호는 로봇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에 있어서 원격지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같은 제어 장치에서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 명령과 이동 로봇이 전송한 영상 간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이동 로봇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는지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분별하게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고 로봇의 오작동 및 제어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0705호는 조향 결정 성능이 향상된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로봇 주행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및 공간과의 거리정보를 거리센서(초음파 또는 레이저센서)로 인식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화면상에 영상정보와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인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로봇 전방의 넓은 범위의 상황을 인지하고 원격조종에 필요한 조종자의 조향 방향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349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070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기초로 생성된 어라운드 뷰의 관측 시점을 변경하여 로봇의 이동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가상적인 카메라를 통해 로봇을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할 수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라운드 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해당 방향 이미지들의 정합을 통해 상기 로봇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상기 로봇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곡면을 따라 상기 로봇 객체의 상위 위치와 상기 로봇 객체의 후방 위치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로봇 객체의 위치를 타원의 일 초점으로 맞추고 상기 가상 카메라를 상기 타원의 곡면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제어하여 상기 로봇 객체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기초로 생성된 어라운드 뷰의 관측 시점을 변경하여 로봇의 이동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가상적인 카메라를 통해 로봇을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의 로봇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에서 제공하는 관측 시점에 따른 어라운드 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의 가상 카메라 제어부에서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과 연결되고,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카메라들은 각각의 시점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는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해당 방향 이미지들의 정합을 통해 로봇 또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어라운드 뷰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은 기본 설정된 이미지에 해당하거나 또는 로봇의 원격 조종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는 이미지들 간의 시간적 연관 관계에 따라 합성된 일련의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라운드 뷰는 로봇 객체를 기준으로 로봇 객체의 주위를 360도로 촬상한 것과 같은 일련의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어라운드 뷰에 작업 가이드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 가이드라인은 로봇 객체로부터 일정 반경까지 설정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한다. 로봇의 이동 속도는 로봇에 설치된 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관측 시점은 로봇 객체 및 로봇 객체를 중심으로 바라보는 영상 시점에 해당한다. 가상 카메라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장치로,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재구성하여 어라운드 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로봇 객체의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로봇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이 전진하는 경우 로봇 객체의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로봇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로봇이 후진하는 경우 로봇 객체의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로봇의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격 조종자는 전방 및 후방 각각의 로봇 객체의 관측 시점을 기초로 작업 환경을 인식하여 로봇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가상 카메라를 곡면을 따라 로봇 객체의 상위 위치와 로봇 객체의 후방 위치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 곡면은 로봇을 중심으로 타원으로 형성된 호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가 0인 경우 가상 카메라를 로봇 객체의 상위 위치로 이동시켜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어라운드 뷰를 상위 위치 시점에서의 어라운드 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면 곡면을 따라 가상 카메라를 로봇 객체의 후방 위치로 이동시켜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어라운드 뷰를 후방 위치 시점에서의 어라운드 뷰로 재구성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 객체의 위치를 타원의 일 초점으로 맞추고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곡면을 따라 상위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제어하여 로봇 객체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상위 위치에서 곡면을 따라 후방 위치로 이동시키면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증가하여 로봇 객체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0) 및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 간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의 로봇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은 복수의 시점들에서 로봇 객체(10)의 주위를 각각 촬상하여 복수의 일련 이미지들을 생성한다.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은 로봇이 구동될 때 전원을 공급받아 로봇 객체(10)의 주위를 쵤상할 수 있다. 복수의 시점들은 로봇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은 로봇의 전방, 후방 및 양 측방들 각각에 배치되어 각각의 시점에서 로봇 객체(10)의 주위를 촬상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은 각각의 시점에서 로봇 객체(10) 주위를 190도로 촬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은 로봇의 원격 조종자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각각 움직일 수 있다.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카메라들(210-1, 210-2, 210-3, 210-4)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중 일부가 깨지면 일정 반경 이내에 있는 이미지 픽셀을 기초로 이미지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에서 제공하는 관측 시점에 따른 어라운드 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가 0인 경우 로봇 객체(10)의 위치를 타원의 일 초점으로 맞추고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곡면을 따라 로봇 객체(10)의 상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3의 (a)에 해당).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의 이동 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면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곡면을 따라 로봇 객체(10)의 상위 위치에서 후방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봇의 이동 속도가 최고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곡면을 따라 로봇 객체(10)의 후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3의 (b)에 해당).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타원의 곡면 상에 있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어라운드 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어라운드 뷰는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의 가상 카메라 제어부에서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로봇 객체(10)의 위치를 타원의 일 초점으로 맞추고 가상 카메라를 타원의 곡면을 따라 상위 위치(410)에서 후방 위치(4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상 카메라 제어부(120)는 가상 카메라가 타원의 상위 위치(410)에 배치된 경우보다 타원의 후방 위치(420)에 배치된 경우에 로봇 객체(10)와 가상 카메라 간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증가하여 어라운드 뷰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배율에서의 어라운드 뷰는 가상 카메라가 타원의 상위 위치(410)에 위치한 경우보다 후방 위치(420)에 위치한 경우에 로봇 객체(10)의 크기를 작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가상 카메라 제어부
130: 제어부
210-1, 210-2, 210-3, 210-4: 카메라
10: 로봇 객체

Claims (6)

  1.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라운드 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해당 방향 이미지들의 정합을 통해 상기 로봇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상기 로봇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가상 카메라를 곡면을 따라 상기 로봇 객체의 상위 위치와 상기 로봇 객체의 후방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로봇 객체의 위치를 타원의 일 초점으로 맞추고 상기 가상 카메라를 상기 타원의 곡면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제어하여 상기 로봇 객체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6.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로봇;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로봇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어라운드 뷰 상에 있는 로봇 객체를 바라보는 관측 시점을 생성하는 가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가상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KR1020150015423A 2015-01-30 2015-01-30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KR10197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23A KR101975553B1 (ko) 2015-01-30 2015-01-30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23A KR101975553B1 (ko) 2015-01-30 2015-01-30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67A true KR20160094167A (ko) 2016-08-09
KR101975553B1 KR101975553B1 (ko) 2019-05-07

Family

ID=5671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423A KR101975553B1 (ko) 2015-01-30 2015-01-30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534A (ko) * 2017-02-28 2018-09-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705A (ko) 2009-11-30 2011-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 결정 성능이 향상된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
KR20140019575A (ko) * 2012-08-06 2014-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413231B1 (ko) * 2013-02-18 2014-06-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KR20140103494A (ko)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 명령과 이동 로봇이 전송한 영상 간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705A (ko) 2009-11-30 2011-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 결정 성능이 향상된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
KR20140019575A (ko) * 2012-08-06 2014-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413231B1 (ko) * 2013-02-18 2014-06-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KR20140103494A (ko)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로봇에 대한 제어 명령과 이동 로봇이 전송한 영상 간 매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534A (ko) * 2017-02-28 2018-09-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53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9132B2 (en) Displaying images according to head posture and camera posture
US9327396B2 (en) Tele-op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12142510A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хирургическая системы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EP33629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 image visualization
US201201130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CN105787447A (zh) 一种无人机基于双目视觉的全方位避障的方法及系统
CN105681747A (zh) 一种远程呈现交互操作轮椅
KR102570780B1 (ko) 화상 처리 장치, 이동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Tripicchio et al. A stereo-panoramic telepresenc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JP2011101915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975553B1 (ko)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KR101975556B1 (ko) 로봇의 관측 시점 제어 장치
JP2012179682A (ja)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移動ロボット制御装置、該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移動制御方法及び移動制御プログラム
US20200150848A1 (en) Real time surveilling of agricultural machines
JP2004128646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CN107363831B (zh) 基于视觉的遥操作机器人控制系统及方法
CN105583801A (zh) 带虚拟现实功能的机器人头部控制系统
KR101566964B1 (ko) 이동 물체를 추적할 수 있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07247424A (zh) 一种基于激光距离传感器的ar虚拟开关及其方法
CN111699077B (zh) 用于机器人的基于视觉的操作
KR102480986B1 (ko) 복합현실 표시장치를 이용한 멀티 유저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27102A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移動体、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amezaki et al. Video presentation based on multiple-flying camera to provide continuous and complementary images for teleoperation
US20240177436A1 (en) Wear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notification method
KR101179273B1 (ko) 촬상장치에 대한 촬상방향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