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56A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4156A KR20160094156A KR1020150015403A KR20150015403A KR20160094156A KR 20160094156 A KR20160094156 A KR 20160094156A KR 1020150015403 A KR1020150015403 A KR 1020150015403A KR 20150015403 A KR20150015403 A KR 20150015403A KR 20160094156 A KR20160094156 A KR 201600941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dioxide
- adsorber
- air
- room
- dischar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6—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by using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2—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two be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24F2203/026—Absorption - desorption cyc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2의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11, 121: 카본 모노리스 베드
113, 123: 전기 히터
200: 방열부
310: 응축기
320: 증발기
Claims (12)
- 전기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기, 그리고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장치의 방열부를 포함하고,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되도록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 후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와 상기 방열부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공정, 그리고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복수의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수행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하기 이전의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1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한 후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공정의 전환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 변화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제3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공정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1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이 서로 같아지면 상기 제2 공정으로 전환되며,
상기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높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상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3 공정으로 전환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전기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기, 그리고
실내 냉방을 위한 에어 컨디셔닝 장치의 응축기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되도록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 후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공정, 그리고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복수의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수행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하기 이전의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1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한 후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공정의 전환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 변화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7항에서,
상기 제3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공정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1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이 서로 같아지면 상기 제2 공정으로 전환되며,
상기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높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상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3 공정으로 전환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전기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기,
실내 난방을 위한 히팅 장치의 방열부, 그리고
실내 냉방을 위한 에어 컨디셔닝 장치의 응축기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방열부를 이용하는 제1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과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를 이용하는 제2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과 상기 제2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제1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되도록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 후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와 상기 방열부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공정, 그리고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되도록 상기 실내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 후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 공정, 그리고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9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은 상기 복수의 이산화탄소 흡착기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수행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9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하기 이전의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1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를 통과한 후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과 상기 제2 이산화탄소 배출 공정의 상기 제1 내지 제3 공정의 전환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 변화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 제11항에서,
상기 제3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하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공정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1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제1 및 제2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값이 서로 같아지면 상기 제2 공정으로 전환되며,
상기 제2 공정이 수행되는 중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기의 온도가 점차 높아져 미리 설정된 온도 상한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3 공정으로 전환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403A KR20160094156A (ko) | 2015-01-30 | 2015-01-30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US15/009,815 US9815022B2 (en) | 2015-01-30 | 2016-01-28 | Device for exhausting carbon dioxide associated with heating or air-conditioning device |
CN201610069094.7A CN105833660A (zh) | 2015-01-30 | 2016-02-01 | 与加热装置或空调装置结合的用于排出二氧化碳的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403A KR20160094156A (ko) | 2015-01-30 | 2015-01-30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9144A Division KR20170117984A (ko) | 2017-10-10 | 2017-10-10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4156A true KR20160094156A (ko) | 2016-08-09 |
Family
ID=5655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403A Ceased KR20160094156A (ko) | 2015-01-30 | 2015-01-30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815022B2 (ko) |
KR (1) | KR20160094156A (ko) |
CN (1) | CN10583366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5104B1 (ko) * | 2017-03-27 | 2018-05-08 | 한국화학연구원 | 대기 차단 공간에서의 생존을 위한 정화 공기와 담수의 생산방법 및 그 시스템 |
WO2018182211A1 (ko) * | 2017-03-27 | 2018-10-04 | 한국화학연구원 | 대기 차단 공간에서의 생존을 위한 공기정화방법과 이를 이용한 정화 공기와 담수의 생산방법 및 그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64012A2 (en) * | 2023-02-03 | 2024-08-08 | Carbon Holdings Intellectual Propert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dehumidifying and purifying air through coal-based electrothermal swing adsorp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89955A1 (en) | 2010-05-31 | 2011-12-01 | Seibu-Giken Co., Ltd. | Desiccant air-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5118B1 (ko) | 2001-12-21 | 2007-10-08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산화촉매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제거장치 |
KR20050063253A (ko) | 2003-12-22 | 2005-06-2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전기변동흡착법을 이용한 매립지 가스의 분리 공정과 그장치 |
KR100856709B1 (ko) | 2007-02-12 | 2008-09-04 | 주식회사 애니텍 |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
JP4492630B2 (ja) | 2007-03-27 | 2010-06-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除湿装置 |
KR100836021B1 (ko) | 2008-03-05 | 2008-06-09 | 주식회사 엘레베콘코리아 |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
CN102470314B (zh) * | 2009-07-27 | 2014-09-17 | 川崎重工业株式会社 | 二氧化碳分离方法及装置 |
US8157892B2 (en) * | 2010-05-17 | 2012-04-17 | Enverid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efficiency air-conditioning |
EP2734048B1 (en) * | 2011-07-18 | 2017-04-05 | Carrier Corporation | Control of atmosphere within a closed environment |
EP2734285B1 (en) * | 2011-07-18 | 2018-06-13 | Carrier Corporation | Scrubber system with moving adsorbent bed |
CN102494432B (zh) * | 2011-12-12 | 2014-06-25 | 常州大学 | 三效吸附制冷循环系统 |
US20150078964A1 (en) * | 2012-04-10 | 2015-03-19 | Enverid Systems, Inc. |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er assembly |
CN108096991A (zh) * | 2012-05-22 | 2018-06-01 | 恩沃德系统公司 | 对室内空气的洗涤的吸附剂的高效利用 |
US9950290B2 (en) * | 2012-07-18 | 2018-04-24 | Enverid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generating adsorbents for indoor air scrubbing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5403A patent/KR20160094156A/ko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01-28 US US15/009,815 patent/US9815022B2/en active Active
- 2016-02-01 CN CN201610069094.7A patent/CN105833660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89955A1 (en) | 2010-05-31 | 2011-12-01 | Seibu-Giken Co., Ltd. | Desiccant air-conditio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5104B1 (ko) * | 2017-03-27 | 2018-05-08 | 한국화학연구원 | 대기 차단 공간에서의 생존을 위한 정화 공기와 담수의 생산방법 및 그 시스템 |
WO2018182211A1 (ko) * | 2017-03-27 | 2018-10-04 | 한국화학연구원 | 대기 차단 공간에서의 생존을 위한 공기정화방법과 이를 이용한 정화 공기와 담수의 생산방법 및 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833660A (zh) | 2016-08-10 |
US20160220944A1 (en) | 2016-08-04 |
US9815022B2 (en) | 2017-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8748B1 (ko) | 드레인리스 공기 조화 장치 | |
KR101723460B1 (ko) | 제습 시스템 | |
KR100711625B1 (ko) | 공기조화장치 | |
KR101528640B1 (ko) |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장치의 운전제어방법 | |
US20140230475A1 (en) | Humidity control apparatus | |
KR20160094156A (ko)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
CN105276714B (zh) | 除湿系统及除湿方法 | |
JP5355501B2 (ja) | 空調システム | |
KR20170117984A (ko) |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와 연동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방법 | |
JP5843635B2 (ja) | 静止型デシカント空調機および運転方法 | |
KR20050074695A (ko) |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JP5772479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4333986B2 (ja) | 空気調和機 | |
JP7444344B1 (ja) | Co2吸着装置 | |
CN205065993U (zh) | 除湿系统 | |
JP2009109143A (ja) | 調湿装置 | |
KR100437273B1 (ko) |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노점조절장치 | |
JP2010286197A (ja) | 調湿装置 | |
JP6754578B2 (ja) | 除湿システム | |
KR200291010Y1 (ko) |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노점조절장치 | |
JP4379512B2 (ja) | 空気調和機 | |
JP3070342B2 (ja) | 空質調節機 | |
KR102002217B1 (ko) | 외기 조절 시스템 | |
KR102122430B1 (ko) | 냉매증기 유로 확보를 위한 댐퍼식 밸브 적용 흡착식 냉동기 | |
CN119998598A (zh) | 空气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0217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0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