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142A - 안전대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대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142A
KR20160094142A KR1020150015363A KR20150015363A KR20160094142A KR 20160094142 A KR20160094142 A KR 20160094142A KR 1020150015363 A KR1020150015363 A KR 1020150015363A KR 20150015363 A KR20150015363 A KR 20150015363A KR 20160094142 A KR20160094142 A KR 2016009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pair
rail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형
정용준
정필승
김경범
김규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5001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142A/ko
Publication of KR2016009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를 거치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로의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지지되고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 및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넓은 작업범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안전대 거치 장치 { A MOUNTING APPARARUS FOR SAFETY BELT }
본 발명은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를 거치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교량의 궤간정정, 면맞춤, 줄맞춤, 교량부속품 보수 등 선로 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나 판단 착오로 교량에서 추락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대, 즉, 높이 또는 깊이 2 미터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안전 벨트 등의 보호구를 지상에서 착용 후 교량에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철도 교량 일측에 견고히 지지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안전대를 거치하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추락 사고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안전 벨트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일단을 안전대 거치 장치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시에는 별도의 안전대 거치 장치를 이용하기 보다는 안전난간이나 레일을 안전대 거치 장치로 사용하여 지지로프 등을 이용하여 안전대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13197호(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더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작업공간을 확장시킴에 따라 작업자가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궤도공사 등의 작업을 시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지상에서 미리 조립한 후에 거더 상부에 설치가 가능하며,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물의 손상 없이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에 안전대를 설치하여 추락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의 안전대 거치 장치는 교량 상에서 안전대를 설치하더라도 지지로프 등의 길이에 따라 작업 범위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레일이나 안전난간 등을 안전대 거치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연결 고리 등의 규격에 따라 그 안전대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1319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 교량의 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에 지지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추락사고의 위험 방지와 아울러 보다 확대된 작업범위를 확보하게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다 용이하게 레일에 지지 설치 가능하고, 레일에 지지되는 힘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안전대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연결 고리 등의 규격에 상관 없이 안전대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안전대 거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는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를 거치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로의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지지되고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 및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수평지지부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의 양 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및 양 쪽 레일 내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평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변위조절부는 턴버클 방식으로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는 양 쪽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및 수평지지부에 대하여 수직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지지변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지지부는 수직지지변위조절부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양 쪽 레일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직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변위조절부는 일단이 수직지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수평지지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샤프트, 및 수평지지부에 대한 지지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는 철도 교량의 선로를 구성하는 레일에 지지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추락사고의 위험 방지와 아울러 보다 확대된 작업범위를 확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지지변위조절부를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레일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는 지지변위조절부를 구비하여 레일에 지지되는 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는 지지변위조절부 등의 설계 시 그 규격 조절을 통하여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연결 고리 등의 규격에 상관 없이 안전대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대 거치 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대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대 거치 장치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대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는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를 거치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10)와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수평지지부(10)는 선로의 양 쪽 레일(1) 내측면(1a)에 지지되고 양 쪽 레일(1) 내측면(1a)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수평지지부(10)는 선로의 양 쪽 레일(1) 내측면(1a)를 가압하여 지지력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연결고리를 수평지지부(10)일측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추락하게 되면 수평지지부(10)가 양 쪽 레일(1)의 내측면(1a), 좌측 레일(1)의 상측절곡면(1b), 및 우측 레일(1)의 하측절곡면(1b)에 지지되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 등을 지지하게 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평지지부(10)의 일측에 지지로프의 연결고리를 걸 수 있는 체결홀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수평지지부(10)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를 설치하고 이에 안전대를 설치함으로써 1회의 설치 만으로도 교량 전체에서의 작업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양 쪽 레일(1) 내측면(1a)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수평지지부(10)는 후술할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11), 및 양 쪽 레일(1) 내측면(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각각의 바디(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평휠(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바디(11)는 후술할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수평휠(12)을 회전 가능하게 물어잡는 브라켓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수평지지부(10)는 수평휠(11)이 레일(1)의 내측면(1a)을 가압하여 상대적으로 지지되고, 동시에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수평지지부(10)의 작업범위 확대 및 추락 사고 예방이라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의 일측에 지지로프 연결고리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단순히 바디(11)의 제작 시 그 굵기를 조절하여 바디(11) 자체에 연결고리를 걸어 사용할 수도 있다.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10)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수평지지부(10) 사이의 변위를 조절한다.
즉,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10)의 간격을 조절하여, 특히 그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수평지지부(1)가 레일(1) 내측면(1a)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가 선로 상에서 양 쪽 레일(1)에 반복적인 접근을 할 필요없이 처음에 대략적인 수평지지부(10)의 위치를 정한 후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아울러 사용 후의 탈착 또한 쉬워진다. 지지력의 용이한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는 턴버클 방식으로 한 쌍의 수평지지부(10) 사이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는 한 쌍의 바디(10) 각각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결합되는 나사부(21)와, 나사부(21)를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양 쪽 나사부(21)의 위치를 조절하는 턴버클(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에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의 연결고리를 걸어 안전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대 거치 장치는 수직지지부(30)와 수직지지변위조절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30)는 양 쪽 레일(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1d)에 지지되고, 상면(1d)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수직지지부(30)는 수평지지부(10)의 수평지지력과 아울러 보조적인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즉, 작업자가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추락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추락하게 되면 수평지지부(10)가 양 쪽 레일(1)의 내측면(1a), 좌측 레일(1)의 상측절곡면(1b), 및 우측 레일(1)의 하측절곡면(1c)에 지지되고, 수직지지부(30)가 우측 레일(1)의 상면(1d)에 지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와 연결된 지지로프 등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각 교량의 추락 사고 위험 지역이 좌 우측 어느 방면에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직지지부(30) 어느 좌 우측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수직지지부(30)는 후술하는 수직지지변위조절부(4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양 쪽 레일(1)의 상면(1d)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직휠(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휠(31)의 경우, 레일(1)의 상면(1d)을 가압하여 상대적으로 지지되고, 아울러, 수평휠(12)의 이동과 동시에 레일(1)의 상면(1d)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범위가 넓어지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수직지지변위조절부(40)는 수평지지부(10)에 대하여 수직지지부(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직지지변위조절부(40)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가 수평지지부(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부(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술하면, 작업자는 1차적으로 수평지지변위조절부(20)를 조작하여 수평지지부(10)가 레일(1)의 내측면(1a)에 지지되게 하고, 이후 수평지지부(10)의 위치에 대하여 수직지지부가 레일(1)의 상면(1d)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변위조절부(40)를 조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직지지변위조절부(40)는 일단이 수직지지부(30)를 구성하는 수직휠(31)에 고정 결합되고 수평지지부(10)를 구성하는 바디(11)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샤프트(41), 및 수평지지부(10)에 대한 지지샤프트(4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너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지지샤프트(41)를 조절하여 수직휠(31)을 레일(1) 상면(1d)의 중앙에 위치시킨 후 지지샤프트(41) 상의 한 쌍의 지지너트(42)를 바디(11) 측으로 서로 조여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거치 장치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넓은 작업범위를 확보함과 아울러, 레일에의 설치 및 탈착과 레일과의 지지력 조절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와 관련된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레일 1a: 내측면
1b: 상측절곡면 1c: 하측절곡면
1d: 상면
10: 수평지지부 11: 바디
12: 수평휠
20: 수평지지변위조절부 21: 나사부
22: 턴버클
30: 수직지지부 31: 수직휠
40: 수직지지변위조절부 41: 지지샤프트
42: 지지너트

Claims (6)

  1. 철도 교량의 선로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를 거치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로의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양 쪽 레일 내측면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는 수평지지변위조절부;
    를 포함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변위조절부의 양 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및
    상기 양 쪽 레일 내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평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변위조절부는,
    턴버클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부 사이의 변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쪽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수직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지지변위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변위조절부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양 쪽 레일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직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변위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샤프트;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대한 상기 지지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 거치 장치.

KR1020150015363A 2015-01-30 2015-01-30 안전대 거치 장치 KR20160094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63A KR20160094142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대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63A KR20160094142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대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42A true KR20160094142A (ko) 2016-08-09

Family

ID=5671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363A KR20160094142A (ko) 2015-01-30 2015-01-30 안전대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1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9737A (zh) * 2020-01-08 2020-05-12 贵州省质安交通工程监控检测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式桥梁外观检测装置
KR102122085B1 (ko) * 2019-10-28 2020-06-12 (주)애니우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197A (ko) 2012-07-20 2014-02-05 주식회사 두인에스앤디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와 그 조립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197A (ko) 2012-07-20 2014-02-05 주식회사 두인에스앤디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와 그 조립 및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85B1 (ko) * 2019-10-28 2020-06-12 (주)애니우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WO2021085659A1 (ko) * 2019-10-28 2021-05-06 (주)애니우드 확장형 인도교를 위한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CN111139737A (zh) * 2020-01-08 2020-05-12 贵州省质安交通工程监控检测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式桥梁外观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135B2 (en) Anchoring system for anchoring a climbing head of a climbing scaffold to a concrete slab
US20180264297A1 (en) An anchor
KR101652001B1 (ko) 스프링로드식 바퀴구조체
KR20160094142A (ko) 안전대 거치 장치
KR101172650B1 (ko)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MX2013000055A (es) Carrito de anclaje y sistema anti - caidas y metodo para implementarlo.
US20120292461A1 (en) Mounting for holding elongate objects in position relative to a structure
JP2015101472A (ja) 乗客コンベア用フレーム支持構造
JP4688825B2 (ja) 防振架台
JP3159615U (ja) 橋梁設備の変位制限構造体
KR20200036436A (ko) 작업자 안전장치
KR20120007952U (ko) 곡외판용 매그스위치 발판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CN104401889A (zh) 附墙架及具有其的施工升降机
CN106247136A (zh) 一种监控摄像头上俯角可调的安装支架
CN103147567B (zh) 自锁式脚手架固定装置
KR10169772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US9834302B2 (en) Aircraft landing gear provided with an adjustable roller
KR101323758B1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US20180058015A1 (en) Rail alignment tool
KR101490620B1 (ko) 조형물 설치작업용 보조 장치
KR101558818B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KR102338633B1 (ko) 탈부착 안전 난간
KR20220146022A (ko) 행거형 블럭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