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024A -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024A
KR20160094024A KR1020150015063A KR20150015063A KR20160094024A KR 20160094024 A KR20160094024 A KR 20160094024A KR 1020150015063 A KR1020150015063 A KR 1020150015063A KR 20150015063 A KR20150015063 A KR 20150015063A KR 20160094024 A KR20160094024 A KR 20160094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power management
cal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094B1 (ko
Inventor
노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1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의 전력 관리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메신저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는 전력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TERMINAL AND POWER MANAGEMENT METHOD OF TERMINAL}
아래 실시예들은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통신하는 기술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기기 등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VoIP는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로 발전하였다. mVoIP는 무선랜, 3G망과 같은 무선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휴대폰으로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mVoIP의 전송 속도는 VoIP보다 느리지만,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됨에 따라 mVoIP 가입자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07-0080060호인 "듀얼 모드 단말기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에는 활성상태의 듀얼 모드 송수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패킷과 응답확인 신호(ACK)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휴면상태(doze)로 전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이 통화 세션은 설정되어 있으나 음성 패킷이나 영상 패킷을 주고받지 않고, 통화 세션과 별개의 세션을 통해 텍스트나 파일을 주고받아도 단말은 파워 세이브 모드에 진입하여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메신저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는 전력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조건 및 상기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단말이 송수신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전력 관리 모드를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후,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슬립(slee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슬립하는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웨이크 업(wake u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통화 채널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은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메신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조건 및 상기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단말이 송수신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전력 관리 모드를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 후,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슬립(slee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슬립하는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웨이크 업(wake u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방법은 상기 통화 채널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통화 세션이 설정되어 있지만 단말이 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이나 영상 패킷을 주고받지 않는 상태에서 통화 세션과 별개의 세션을 통해 텍스트나 파일을 주고받아도 단말은 파워 세이브 모드에 진입하여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의 파워 세이브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교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관리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다른 단말(110)의 파워 관리 모드(power management mode)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및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를 포함한다. 즉, 단말(110)은 단말 자신(110)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해 액티브 모드 및 파워 세이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단말(110)은 기본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한다. 액티브 모드에서 단말(110)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유지한다. 즉, 액티브 모드에서 단말(110)은 데이터 송수신 등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단말은 슬립 상태(sleep state) 및 어웨이크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슬립 상태에서 단말의 전력 소비량은 어웨이크 상태에서 단말의 전력 소비량보다 적다. 또한, 슬립 상태에서 단말의 전력 소비량은 액티브 모드에서 단말의 전력 소비량보다 적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110)은 파워 관리 모드를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110)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120)로 파워 세이브 모드에 진입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120)는 응답(ACK) 메시지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110)은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파워 세이브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단말(110)은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120)는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110)로 비컨(Beacon)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말(110)은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어웨이크 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어웨이크 상태에 있는 단말(110)은 비컨 메시지에 단말(110)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지 나타내는 인디케이션(indication)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비컨 메시지에 인디케이션이 없는 경우, 단말(110)은 슬립 상태로 다시 천이할 수 있다.
비컨 메시지에 인디케이션이 있는 경우, 단말(110)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장비(120)로 PS poll(Power Save poll)을 전송한다. PS poll을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 장비(120)는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교환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10)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22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네트워크(230)를 통해 교환기 또는 서버(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210)은 무선랜(WiFi)을 통해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10)은 무선랜을 통해 상대 단말 및 제3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210)은 무선랜을 통해 통화 호를 교환기 또는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고, 교환기 또는 서버(240)는 통화 호를 상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통화 호를 수신한 상대 단말은 단말(210)과 통화 호 연결될 수 있다.
단말(210)는 WiFi 데이터의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WiFi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단말(210)은 전송할 WiFi 데이터가 있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220)로 전송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장비(22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300)은 동작 모드 전환부(310) 및 전력 관리부(320)를 포함한다.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통화 모드에서 메신저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통화 모드는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메신저 모드는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통화 패킷과 구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적은 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조건은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조건일 수 있다. 또한,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300)이 통화 채널을 통해 상대 단말과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다가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중단되어도 통화 채널은 종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컨트롤 신호의 생성을 기초로 단말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단말이 통화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별개 채널을 사용할 것임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320)는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단말(300)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300)은 상대 단말과 통화 채널을 유지할 수 있고, 통화 채널이 종료되는 경우, 전력 관리부(320)는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메신저 모드로 전환된 단말(300)은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화 패킷이 없고,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300)은 파워 세이브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300)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 모드 및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한다. 액티브 모드의 단말(300)은 어웨이크 상태에 있고, 파워 세이브 모드의 단말(300)은 어웨이크 상태 및 슬립 상태 사이를 전환한다. 파워 세이브 모드의 단말(300)은 깨어있다가 잠드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300)이 송수신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전력 관리부(320)는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채널을 통한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고, 별개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수신이 있는 경우,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300)의 파워 관리 모드는 파워 세이브 모드일 수 있다. 즉, 단말(300)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어웨이크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되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단말(300)은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단말(300)은 단말 자신(300)에게 수신되는 통화 패킷을 감지하거나 단말 자신(300)이 전송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전력 관리부(320)는 단말(300)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300)은 어웨이크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전환부(310)는 단말(300)이 통화 패킷을 수신하거나 통화 패킷을 전송하도록 단말(300)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에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320)는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300)이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한 후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단말(300)이 슬립하도록 단말(300)을 제어한다. 별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300)은 상기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고, 전력 관리부(320)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300)이 웨이크 업(wake up)하도록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기초로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300)은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컨트롤 신호에 따라 전력 관리부(300)는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이 웨이크 업하도록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상대 단말과 통화 채널이 유지되어 있으나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패킷이나 영상 패킷을 주고받지 않고, 통화 채널과 별개의 채널을 통해 상대 단말 및 제3자 중 적어도 하나와 텍스트나 파일을 주고받아도 단말은 파워 세이브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통화 채널을 통해 상대 단말과 통화 패킷을 송수신한다(410). 여기서, 단말의 동작 모드는 통화 모드일 수 있다. 통화 패킷의 송수신 주기는, 예를 들어, 20m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자신의 동작 모드를 통화 모드에서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패킷이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통화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통화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을 기초로 단말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통화 패킷이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통화 패킷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생성된다(420). 메시지 전송은 통화 채널과 구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수행되므로, 단말은 통화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채널은 종료되거나 종료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정을 기초로 단말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통화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정이 있는 경우,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한다(430).
단말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한다(440). 단말은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메시지 전송 후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동작 모드가 메신저 모드인 경우, 단말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동작 모드가 메신저 모드인 경우, 단말은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한다(450).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 모드 및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한다. 통화 모드에서 단말은 주기적으로 통화 패킷을 수신해야 하므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 모드일 수 있다. 액티브 모드는 단말이 항상 깨어있는 상태이다.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통화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하였으므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파워 세이브 모드일 수 있다. 즉,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에서 메신저 모드로 전환된 경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단말은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할 수 있다(460). 단말은 깨어있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은 어웨이크 상태로 천이된다(470). 어웨이크 상태에 있는 단말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480).
메시지 수신 후, 단말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다시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490).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대 단말과 단말 사이에는 통화 채널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상대 단말이 단말로 전송하는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통화 패킷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감지를 기초로 자신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감지를 기초로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상기 감지를 기초로 동작 모드를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동작한다(510).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은 단말 자신의 동작 모드를 메신저 모드로 전환한다(520). 메신저 모드는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한다(530). 통화 모드에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 모드이다. 즉, 통화 모드에서 단말은 항상 어웨이크 상태에 있다. 메신저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은 전력을 관리하기 위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어웨이크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의 송수신, 이미지 정보의 송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 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는 파워 세이브 모드이다.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단말은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은 어웨이크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기술된 사항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메신저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는 전력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조건 및 상기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단말이 송수신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전력 관리 모드를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후,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슬립(slee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슬립하는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웨이크 업(wake u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통화 채널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단말.
  7.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화 채널을 통해 통화 패킷을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통화 채널과 구별되는 별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 모드로 정의되는 메신저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신저 모드로의 전환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를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통화 채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 패킷의 송수신이 없는 조건 및 상기 별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단말이 송수신할 통화 패킷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전력 관리 모드를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메신저 모드에서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후,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슬립(slee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하는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웨이크 업(wake up)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채널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KR1020150015063A 2015-01-30 2015-01-30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25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63A KR102252094B1 (ko) 2015-01-30 2015-01-30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63A KR102252094B1 (ko) 2015-01-30 2015-01-30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24A true KR20160094024A (ko) 2016-08-09
KR102252094B1 KR102252094B1 (ko) 2021-05-13

Family

ID=5671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63A KR102252094B1 (ko) 2015-01-30 2015-01-30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0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434A (ja) * 2000-09-12 2002-03-29 Nec Corp 移動端末、移動端末の消費電力低減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80016302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KR20090022167A (ko) * 2007-08-29 2009-03-0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블루투스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434A (ja) * 2000-09-12 2002-03-29 Nec Corp 移動端末、移動端末の消費電力低減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80016302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KR20090022167A (ko) * 2007-08-29 2009-03-0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블루투스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공개번호 제10-2007-0080060호인 "듀얼 모드 단말기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에는 활성상태의 듀얼 모드 송수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패킷과 응답확인 신호(ACK)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휴면상태(doze)로 전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094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792B1 (ko) Ussd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1201037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이진 마킹을 사용한 명시적 혼잡 통지 기반의 레이트 적응
EP2479925B1 (en) Dynamic power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170057285A (ko) 무선 전력 및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협업 요구 기반 듀얼 모드 Wi-Fi 네트워크 제어
US9332550B2 (en) Controlling fast dormancy
KR20090115479A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이를위한 시스템
JP7247374B2 (ja) モニタリング方法、シグナリング下り送信方法及び装置、通信機器及び記憶媒体
KR101944556B1 (ko) 무선부에서의 절전 모드 제어 방법
WO2017091994A1 (zh) 数据发送方法、装置和终端
JP4732523B2 (ja) 通信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WO2022268068A1 (zh) 无线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0801625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in a multi protocol revision based evolution data only/evolution data optimized (evdo) communication systems
EP2733996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WO2023040893A1 (zh) 连续lbt失败处理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201401451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상태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34455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省電力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WO2021128925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94024A (ko) 단말 및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WO2014087553A1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05046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3116836A1 (zh) 图像帧的获取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3124494A1 (zh) 网络切换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TWI757831B (zh) 能因應接收到的封包資料類型變化而適應性切換操作模式的多成員藍牙裝置中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WO2023179357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3217248A1 (en)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ccess services provided by radio access network and relat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