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819A -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 Google Patents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819A
KR20160093819A KR1020150014636A KR20150014636A KR20160093819A KR 20160093819 A KR20160093819 A KR 20160093819A KR 1020150014636 A KR1020150014636 A KR 1020150014636A KR 20150014636 A KR20150014636 A KR 20150014636A KR 20160093819 A KR20160093819 A KR 2016009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filter
sunlight
housing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1719B1 (en
Inventor
윤태호
기윤종
박희주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719B1/en
Publication of KR2016009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8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The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enables the removal of organic materials with an offensive odor from an indoor space and the disinfection of bacteria or viruses by using solar energy.

Description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본 발명은 광촉매를 이용하는 살균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수집부를 통하여 수집된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투명재질의 장치에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하여 광촉매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살균정화를 가능케 하는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st, which uses sunlight collected through a sunlight collecting unit as an energy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nd purifying a photocatalyst.

최근 웰빙(Well-being)이 유행하여 삶의 질 향상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건물 또는 차량 등의 내부 생활환경에 대한 문제점의 인식도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여러 생활환경 문제 가운데 공기에 대해서는 환경오염에 따르는 여러 오염물질이 특별한 정화 장치 없이 실내로 바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세균 및 악취가 있다. 이는 거주자 또는 차량탑승자의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눈, 피부 자극 및 두통과 같은 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세균 및 곰팡이 번식과 악취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정화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기존의 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 장치는 자체 제거능력이 없으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 후 제거 능력을 상실한다. 이로 인해 필터에 포화된 오염물질은 다시 탈리되어 건물 또는 차량의 내부의 오염도를 높일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필터에 걸러진 세균들은 필터에서 증식하여 악취를 유발하고 강한 풍압에 의하여 떨어져 나와 건물 또는 자동차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해 기존에는 플라즈마 또는 UV-C(Ultraviolet-C)램프 등을 사용하여 자외선과 오존에 의한 살균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설치가 간편하고 살균력과 유기물 제거 능력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오존은 살균력은 좋으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실내공간에 일정 농도 이상이 유입되어서는 안되고, 실내 오존의 농도가 50PPM이상이 될 때는 사람이 1시간내 사망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건물 또는 자동차 내부에 오존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Recently, well-being is prevalent and much attention and investment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means that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related to the internal living environment such as buildings or vehicles has increased. Among the various living environmental problems, pollutant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r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room without special purification device. These pollutants inclu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bacteria and odors. This causes diseases such as allergies to occupants or occupants, respiratory illnesses, eyes, skin irritation and headaches, as well as bacterial and fungal breeding and odor problem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are widely used. However,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the conventional air filter has no ability to remove itself, so that it can not be remov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s a result, the pollutant saturated in the filter is desorbed again, which raise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pollution inside the building or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bacteria filtered by the filter proliferate in the filter, causing a malodo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air is blown off due to strong wind pressure and contaminates the air inside the building or the automobile. In order to sterilize bacteria or virus, conventionally, a device for removing sterilization and contaminants by ultraviolet rays and ozone is used by using a plasma or UV-C (Ultraviolet-C) lamp. It has the advantages of easy installation and good sterilizing power and organic removal ability. However, since ozone is a harmful substance to the human body which has a good sterilizing power, it should not be allowed to enter into the indoor space more than a certain concentration. If the indoor ozo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50PPM, the person may die within 1 hour. Therefore, the use of ozone in buildings or automobiles can be very dangerous.

예를 들어,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운송수단으로써 자동차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르는 실내 공간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제조 과정에는 다양한 화학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의 사용으로 인한 오염물질이 제조 후에도 오랜 기간 배출되게 된다. 자동차 실내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부분들은 대쉬보드, 천장, 시트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물질과 인조가죽과 접착제 등에서 배출되는 포름알데히드, 에어컨이나 히터, 오염된 시트에서 발생하는 세균과 악취 문제이다. For example, automobiles can be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essential to modern man. These cars have become one of the indoor spaces for many years to come. A variety of chemical products a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ch automobiles, and pollutants resulting from the use of these products are discharg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production. Significant problems in the automobile interior ar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materials emitted from dashboards, ceilings, and sheets, formaldehyde emitted from artificial leather and adhesives, germs and odors from air conditioners, heaters, and contaminated sheets to be.

자동차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차량 내에 항균 필터를 장착하여 활용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항균 필터는 단지 먼지를 걸러주거나 일정 부분의 유기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새 필터로 교체하여 장착하면 아주 짧은 시간 효과를 볼 수 있다. 일반적인 항균 필터의 교체 주기로 볼 때 대부분의 시간에는 항균필터는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오히려 이곳에서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하여 악취와 오염물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항균필터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필터 자체에 카본이나 은을 포함시켜 흡착력의 상승이나 자체 항균력을 높이고 있으나 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며, 일부 차종에서는 별도의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를 채택하고 있으나 저온 플라즈마에서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 조절이 어렵고 실내의 오존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여타의 별도의 공기 정화기를 설치하는 운전자도 있으나 자동차의 특성상 별도의 공기정화기의 설치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The interior of the car is equipped with an antibacterial filter in the vehicle as a way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However, these antibacterial filters only have the function of filtering dust or adsorbing certain organic matter, so if you replace with a new filter, you can get a very short time effect. In general, the antimicrobial filter does not exhibit its re-function in most of the time, and bacterial and fungal growth occurs here, which causes odor and pollutant increase.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antibacterial filter, carbon or silver is added to the filter itself to raise the adsorption power or increase the self-antibacterial power, bu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In some vehicles,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low temperature plasma is adopte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ozone generated in the low-temperature plasma and the ozone in the room is adversely affected to the human body. There are drivers who install other air cleaners, but there are spac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separate air cleaners due to the nature of the car.

이에 따라, 건물 또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제거 및 세균의 살균을 동시에 가능한 살균정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in a building or an automobile room and sterilizing bacteria.

본 발명은 태양광 수집부, 광촉매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태양광 살균정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voltaic sterilizing apparatus including a solar collecting unit, a filter unit including a photocatalyst, and a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는 태양광을 수집하기 위한 태양광 수집부,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살균하거나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및 태양광 수집부 및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필터부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태의 필터 및 공기의 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팬은 태양광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써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is provided.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includes a sunlight collector for collecting sunlight, a filter for sterilizing or purify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unlight collector and the filter unit ,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of a certain type including a photocatalyst and a fan for assisting circulation of the air, and the fan can be driven by using the solar light collected by the solar collector as an energy source.

또한, 태양광 수집부는,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부와 집광부를 통하여 획득된 태양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lar collector may include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sunlight 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unlight obtained through the condenser into an electric signal.

또한, 하우징은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sunlight.

또한, 필터는 육면체, 원형 기둥, 판상, 그물망(mesh), 구(sphere) 또는 허니컴(honeycomb)의 형태이고, 필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촉매가 포함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Further, the filter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 circular column, a plate, a mesh, a sphere or a honeycomb, and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lter may include or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또한, 하우징은 제 1 하우징부, 제 2 하우징부 및 제 3 하우징부로 분리가능하고, 제 1 하우징부는 제 1 통풍구 및 태양광 수집부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제 2 하우징부는 제 2 통풍구 및 필터부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제 3 하우징부는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의 결합 시,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 가능하고, 제 3 하우징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housing is separable into a first housing part, a second housing part and a third housing part, wherein the first housing part includes a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solar collector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housing part includes a second ventilation hole and a filter part And the third housing part may be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when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are coupled, and the third housing part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

광촉매 필터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OH라디칼의 경우 산화력은 오존보다 높아 유기물질의 제거,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살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체 제거능력을 가지고 있어 오염물질이 필터로부터 다시 탈리되어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e case of OH radicals generated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oxidizing power is higher than ozone, which can remove organic substances, sterilize bacteria and viruses,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not toxic. In addition, it has self-removing ability, so that there is no problem that pollutants are removed from the filter again.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를 사용하면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내의 악취를 풍기는 유기물의 제거와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When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remove odor-emitting organics and sterilize bacteria or viruses by using solar energy.

도 1은 광촉매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의 정면, 평면, 좌측면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의 분해 개략도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purifying air using a photocatalytic filter.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shape of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plane, and the left side.
FIG. 2B is a bottom view of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a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광촉매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purifying air using a photocatalytic filter.

도 1에서와 같이 오염된 공기는 광촉매 필터를 통과하며 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필터는 자외선 램프 등을 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정화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팬 등을 이용하여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염된 공기는 광촉매 필터를 통과하며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팬 등의 기류 발생 장치를 통과하며 건물 또는 차량 등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1, the contaminated air can be purified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Such a photocatalytic filter can be activated through an ultraviolet lamp or the like. Air flow can be generated using a fan or the like in order to smooth the flow of purified air. In other words, the contaminated air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s purified, and 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stream generating device such as a fan and can be circulated inside a building or a vehicle.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정면, 평면, 좌측면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저면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shape of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plane, and the left side. 2B is a bottom view of the photocatalyst disinf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는 태양광을 수집하기 위한 태양광 수집부(100),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살균하거나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200), 및 태양광 수집부 및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하고, 필터부(200)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태의 필터 및 공기의 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은 태양광 수집부(100)에 의하여 수집된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써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ollector 100 for collecting sunlight, a filter unit 200 for sterilizing or purify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pparatus, And a housing 300 for receiving the sunlight collecting part and the filter part. The filter part 200 may include a filter of a certain type including a photocatalyst, and a fan for assisting circulation of the air. Also, the fan can be driven using the sunlight collected by the solar collector 100 as an energy sou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는 운전자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부피가 너무 크지 않게 제작될 수 있고, 자동차 실내와의 어울림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형태 또는 재질로써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는 자동차 미니어처 등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태양광 흡수도가 높아지도록 투명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는 다양한 크기, 형태 또는 재질로써 제작될 수 있다.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so that the volume is not too larg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er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shape or material . For example,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iniature automobile or the like, o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increase solar absor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photocatalyst disinf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shapes, or material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수집부(100)는,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부와 집광부를 통하여 획득된 태양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는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유기 박막 태양전지, 유기 폴리머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가 발생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수집부(100)로써 사용 가능하고, 전술한 예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olar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sunlight and a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sunlight obtain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unit into an electric signal. Further, the light condensing unit may include a solar cell. The solar cel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 solar cell, a dye sensitized solar cell, a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an organic thin film solar cell, an organic polymer solar cell, an organic solar cell and a perovskite solar cell, If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using light, it can be used as the solar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또한, 변환부에서는 태양광에 의하여 집광부 내에서 발생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부는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전지는 MF(Maintenance Free)축전지, 내사이클 축전지, 내진동 축전지, AGM(Absorbent Glass Mat)축전지, HD(Heavy Duty)축전지 및 S형 축전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변환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conversion unit can convert the light energy into electric energy by generating a current bas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in the light collecting unit by the sunlight. Such a conver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intenance free (MF) batteries, internal-cycle batteries, vibration-resistant storage batteries, AGM (Absorbent Glass Mat) accumulators, HD (Heavy Duty) accumulators and S- So long as the electric energy can be sto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00)은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재질은 아크릴, 석영,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 투명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E(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PC(Polycarbonate), K-resin(Styrene Butadiene Copolymers),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투명 Noryl, PEI(Poly Ethylene Imine), PES(Polyether Sulfone), PSU(Poly Sulfone), PPSU(Poly Phenylene Sulfone), SAN(Styrene Acrylonitrile Plastic), 투명 PA(Polyamide), A-PET(Poly Acrylic aci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Glycol), PCT-G(Poly 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yalate-Glycol) 및 PAR(Polya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태양광이 투과가 될 수 있는 소재이면 하우징(300) 구성 소재로써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300)의 재질은 전술한 예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우징(300)은 자외선 차단이 최소화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300)을 통하여 자외선이 출입이 가능하므로, 하우징(300) 내의 광촉매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하우징(300)에 포함된 태양광 수집부(100)에서도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sunlight. For example,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quartz, general purpose polystyrene (GPPS), transparent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styrene butadiene copolymers ,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Imine (PEI), Polyether Sulfone (PES), Poly Sulfone (PSU), Poly Phenylene Sulfone (PPSU), Styrene Acrylonitrile Plastic (SAN)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Glycol (PET-G), Poly 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Glycol (PCT-G), and Polyarylate The housing 300 can be used as a constituent material. In other words, the material of the housing 30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minimized ultraviolet shielding property. Ultraviolet rays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housing 300 so that the photocatalyst in the housing 300 can be activated and the sunlight collector 100 included in the housing 300 can effectively collect sunlight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240)는 육면체, 원형 기둥, 판상, 그물망(mesh), 구(sphere) 또는 허니컴(honeycomb)의 형태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필터(2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터(240)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촉매가 포함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 circular column, a plate, a mesh, a sphere, or a honeycomb,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filter 2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lso,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lter 240 may include or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또한, 필터(240)의 내부에는 구(sphere) 형태, 큐브 형태 등의 광촉매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터(240)의 내부는 예컨대 세라믹 소재 등의 허니컴(honeycomb) 형태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고, 각각의 허니컴에 광촉매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광촉매가 필터(240) 내부의 허니컴에 코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터(24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직포가 수용될 수 있고, 부직포의 표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 photocatalyst such as a sphere or a cube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240. The inside of the filter 240 may be partitioned into a honeycomb form such as a ceramic material, and each honeycomb may be filled with a photocatalyst. In addition, the photocatalyst in powder form may be coded on the honeycomb inside the filter 240.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240, and a photocatalyst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촉매"는 빛 에너지에 의해 작용되는 촉매로서, 이산화티탄(TiO2), 아파타이트(Apatide), 노나믹(nonamic) 및 퓨어 센트(Pure Se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term "photocatalyst" is a catalyst that is acted upon by light energy an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dioxide (TiO2), Apatide, nonamic, and Pure Sen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240)는 빛 에너지를 받아 산화제인 OH라디칼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Trimethylamine,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및 Formaldehyde 등의 유기물 제거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그람음성균, 대장균, MRSA(Methici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Serratia marcescens 및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 A 등의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filter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OH radicals as an oxidant by receiving light energy and can remove organic materials such as trimethylamine,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sulfide, acetaldehyde, and formaldehyde in the air. In addition, bacteria or viruses such as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aphylococcus aureus, Serratia marcescens and influenza (influenza) virus A which may be contained in the air can be steril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00)은 제 1 하우징부(310), 제 2 하우징부(320) 및 제 3 하우징부(330)로 분리가능하고, 제 1 하우징부(310)는 제 1 통풍구(210) 및 태양광 수집부(100)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제 2 하우징부(320)는 제 2 통풍구(220) 및 필터부(200)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제 3 하우징부(330)는 제 1 하우징부(310)와 제 2 하우징부(320)의 결합 시, 제 1 하우징부(310)와 제 2 하우징부(32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 가능하고, 제 3 하우징부(33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ble into the first housing part 310,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nd the third housing part 330, and the first housing part 310, The second housing part 320 inclu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and the filter part 20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includes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and the space for receiving the sunlight collecting part 100,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when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re coupled, The portion 3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제 2 통풍구(220)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촉매(240)를 통하여 살균 또는 정화된 공기는 팬(230)을 통하여 제 1 통풍구(21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통풍구(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 2 하우징부(320)의 바닥 면 및 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정화시킬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제 2 하우징부(320)의 바닥 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통풍구(220)를 마련해둠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로써, 제 2 하우징부(320)의 바닥 면에 제 2 통풍구(220)가 마련된다면, 팬(230)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은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 내에서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부(320)의 측면에 제 2 통풍구(220)가 마련된다면, 팬(230)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은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 내에서 좌우로 형성될 수 있다. 팬(230)의 형태 또는 제 2 통풍구(220)의 위치에 따라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 내의 공기의 흐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can suck ambient air, and the air sterilized or purified through the catalyst 240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ventilation hole 210 through the fan 230.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may be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since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320 for sucking the air to be cleaned, the air cleaning efficiency can be enhanced. For example, i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320, the flow of air by the fan 230 may be formed vertically in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I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320, the flow of air by the fan 230 may be formed in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to the left and right. The flow of air in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pparatus 1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an 230 or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분해 개략도이다.3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a photocatalytic steril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 2 하우징(320)의 제 2 통풍구(220)를 통하여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내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내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필터(240)를 통과하며 정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필터(240)는 필터(240)의 내부에 광촉매를 포함하거나 광촉매가 필터(240)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우징(330)을 투과하여 유입되는 태양광에 의하여 필터(240)의 광촉매는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화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필터(240)와 접촉된 공기는 정화될 수 있다.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내로의 태양광의 유입은 제 1 하우징부(310), 제 2 하우징부(320) 또는 제 3 하우징부(330)을 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부(310) 및 제 2 하우징부(320)를 유색의 소재로서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제 3 하우징부(330)를 태양광이 투광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광촉매의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240)는 투명 재질의 제 3 하우징(330)을 통해 들어오는 태양광을 받아 산화제인 OH라디칼을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OH라디칼은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내에 들어온 오염된 공기의 유기물,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를 살균 또는 정화시킬 수 있다. Contaminat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photocatalytic sterilization apparatus 10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220 of the second housing 320.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photocatalytic sterilization apparatus 10 can be purified through the filter 240.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240 may include a photocatalyst in the filter 240, or a photocatalyst may b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240. The photocatalyst may be coated on the filter 240 by the sunlight passing through the housing 330, The photocatalyst of the photocatalyst 240 can be activated. In other words, the air contacted with the filter 240 including the photocatalyst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of sunlight can be purified. The inflow of sunlight into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can be conducted through the first housing part 310, the second housing part 320, or the third housing part 330. For example, even if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re made of a colored material, the third housing part 3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sunlight, Can be actively induced. The photocatalytic filter 240 receives the sunlight coming in through the third housing 33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generates OH radicals as an oxidant. The OH radicals generated are generated in the photocatalytic sterilization apparatus 10, The bacteria or viruses can be sterilized or purified.

제 1 하우징부(310)는 제 1 통풍구(210)와 태양광 수집부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하우징부(310)는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상면부로써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부(320)는 제 2 통풍구(220)와 필터(240)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하우징부(320)에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 2 통풍구(220)를 포함할 수 있고, 광촉매를 수용하는 필터(2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3 하우징부(330)는 제 1 하우징부(310)와 제 2 하우징부(320)의 결합 시, 제 1 하우징부(310)와 제 2 하우징부(32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하우징부(33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part 310 may include a first ventilation hole 210 and a solar collector accommodation space. The first housing part 310 may serve as a cover for the top surface of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The second housing part 320 may inclu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220 and the filter 240. In other words, the second housing part 320 may include a second ventilation hole 220 for sucking polluted air, and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the filter 240 that receives the photocatalyst. The third housing part 3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when the first housing part 3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 Also,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housing part 3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 1 하우징부(310)의 수용 공간에 장착된 태양광 수집부(100)에 의하여 수집된 태양광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팬(230)의 구동 전원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에 의하여 살균 또는 정화된 공기는 팬(230)에 의하여 생성된 기류를 타고 제 1 통풍구(210)를 통하여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sunlight collected by the solar collector 100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310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and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the fan 230. [ The air sterilized or purified by the photocatalyst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hotocatalytic sterilization apparatus 10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210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10)에 의한 오염된 공기의 살균, 정화를 위한 기류는 도 3의 점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표현된 기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 1 통풍구(210) 및 제 2 통풍구(220)의 위치, 팬(230)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flow for sterilizing and purifying contaminated air by the photocatalytic sterilizing and purif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represented in FIG. 3 is illustrative and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s 210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s 220, and the shape of the fan 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with respect to the apparatus is 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100: 태양광 수집부
200: 필터부
210: 제 1 통풍구
220: 제 2 통풍구
230: 팬
240: 필터
300: 하우징
310: 제 1 하우징
320: 제 2 하우징
330: 제 3 하우징
10: Photocatalytic disinfection device
100: Solar collector
200:
210: first vent
220: Second ventilation hole
230: Fan
240: filter
300: housing
310: first housing
320: second housing
330: third housing

Claims (5)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을 수집하기 위한 태양광 수집부;
상기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살균하거나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태양광 수집부 및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소정의 형태의 필터 및 상기 공기의 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태양광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써 사용하여 구동되는 것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A photocatalyst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olar collector for collecting sunlight;
A filter unit for sterilizing or purify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apparatus; And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olar collector and the filter unit,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of a predetermined type including a photocatalyst and a fan for assisting circulation of the air,
Wherein the fan is driven by using sunlight collected by the sunlight collector as an energy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수집부는, 상기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부와 상기 집광부를 통하여 획득된 태양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ar collector includes a ligh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sunlight and a converting part for converting sunlight obtain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art into an electric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sun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육면체, 원형 기둥, 판상, 그물망(mesh), 구(sphere) 또는 허니컴(honeycomb)의 형태이고,
상기 필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촉매가 포함되거나 코팅되어 있는 것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 circular column, a plate, a mesh, a sphere or a honeycomb,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lter includes or i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부, 제 2 하우징부 및 제 3 하우징부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제 1 통풍구 및 상기 태양광 수집부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부는 제 2 통풍구 및 상기 필터부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의 결합 시,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상기 제 2 하우징부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3 하우징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광촉매 살균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separable into a first housing part, a second housing part, and a third housing part, the first housing part including a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solar collector accommodation space, the second housing part including a second ventilation hole and Wherein the third housing part is insertable between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when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second housing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ousing p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150014636A 2015-01-30 2015-01-30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KR101711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36A KR101711719B1 (en) 2015-01-30 2015-01-30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36A KR101711719B1 (en) 2015-01-30 2015-01-30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19A true KR20160093819A (en) 2016-08-09
KR101711719B1 KR101711719B1 (en) 2017-03-02

Family

ID=5671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636A KR101711719B1 (en) 2015-01-30 2015-01-30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7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07B1 (en) 2017-11-29 2019-05-15 옥진우 Sterilization device of wear and carry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980A (en) * 1992-07-02 1993-07-20 Nippondenso Co Ltd Deodorizing device
JP2652743B2 (en) * 1992-07-02 1997-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Deodorizer
JP2000000293A (en) * 1998-06-15 2000-01-07 Denso Corp Air cleaner for vehicle
JP2009297700A (en) * 2008-06-17 2009-12-24 Saneiji:Kk Air cleaner having co decomposi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980A (en) * 1992-07-02 1993-07-20 Nippondenso Co Ltd Deodorizing device
JP2652743B2 (en) * 1992-07-02 1997-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Deodorizer
JP2000000293A (en) * 1998-06-15 2000-01-07 Denso Corp Air cleaner for vehicle
JP2009297700A (en) * 2008-06-17 2009-12-24 Saneiji:Kk Air cleaner having co decomposit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07B1 (en) 2017-11-29 2019-05-15 옥진우 Sterilization device of wear and carry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719B1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698B1 (en)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KR101515786B1 (en)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odule for air cleaner with function for concentrating and diffusing of uv rays
WO2015053426A1 (en) Air sterilization/purification device having elliptical tube-shaped photocatalyst module and ion cluster generation module
CN201135626Y (en) Air purifier
KR20120119475A (en) Multiple air cleaning devices
KR100546050B1 (en) Automotive Air Filter
KR100627857B1 (en) A negative ion air cleaner added ultraviolet photocatalyst sterilizer
KR20220052872A (en) Virus sterilization fine dust air purifier with virus sterilization, fine dust removal and deodorization function
KR200493278Y1 (en) Automotive indoor air purifier
CN1486778A (en) Photocatalytic air purifier
KR101711719B1 (en) Steriliz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CN212855052U (en) Ship cabin air purification device
CN103398423A (en) Air purifier
CN203010785U (en) Air purifier
KR200357824Y1 (en) Air sterilizer
KR102456705B1 (en) Clean air system for virus removal
CN212796465U (en) Air purification device of air outlet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CN212057557U (en) Special fan for elevator with virus and bacteria killing and air purifying functions
CN113124526A (en) Fresh air sterilization treatment device
KR102594289B1 (en) 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with the ability to remove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CN215983074U (en) Indoor air purification device
CN217303120U (en) Ultraviolet air purifier
CN218511114U (en) Air sterilizing purifier
CN214112238U (en) Improved vehicle-mounted air purifier
KR102495732B1 (en) Air purifier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