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530A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530A
KR20160093530A KR1020150159933A KR20150159933A KR20160093530A KR 20160093530 A KR20160093530 A KR 20160093530A KR 1020150159933 A KR1020150159933 A KR 1020150159933A KR 20150159933 A KR20150159933 A KR 20150159933A KR 20160093530 A KR20160093530 A KR 2016009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image
wearable device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838B1 (ko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유퍼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퍼스트(주) filed Critical 유퍼스트(주)
Publication of KR2016009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다..
일례로,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상기 안경 구조부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내 특정 물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과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 FOR VISUAL HANDICAP PERS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란 시각계의 손상에 의하여 시기능에 제한이 있는 장애를 말하며, 시력, 시야의 제한 정도에 따라 맹과 저시력으로 구분된다.
첨단 정보통신 장비의 발달과 함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장비 또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시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을 위한 기기나 제도적 장치들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서 확대기, 점자 정보 단말기, 휴대 점자 디스플레이,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장비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 독서 확대기는 저시력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 확대기는 시각 장애인이 일상생활 중에 독서 확대기를 일일이 챙겨다니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정보 단말기, 휴대 점자 디스플레이,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또한 시각 장애인이 직접 챙겨 휴대하기에는 그 크기가 상당히 크며, 분실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 점자, 바코드 등이 없는 상황에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보행신호 안내 음향장치는 시각 장애인에게 횡단보도에서만 시각적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258호(2014.05.30)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등록특허공보 제10-0782103호(2007.11.28) '안경형 모니터'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5531호(2009.10.07)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517호(2014.10.02)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 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는,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상기 안경 구조부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내 특정 물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과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안경 구조부의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안경 구조부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객체 인식부; 미리 저장된 안내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결과에 상응하는 안내 멘트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 정보 선택부;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안내 멘트를 음성 멘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음성 정보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음성 멘트를 착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GPS를 이용하여 도보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보 네비게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보 네비게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함께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인식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색상을 더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색상과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각각 인식하고, 통해 인식된 결과에 따라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영상 촬영을 통해 문서를 스캔하여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로 전송하기 위한 착용형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문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부; 및 상기 스캐너부를 통해 촬영된 스캔 영상을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전송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스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확대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영상 수집을 위한 착용형 단말기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영상 수집을 위한 착용형 단말기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1000)는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와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상황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 장애인용 착용형 장치(1000)에 대한 구성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한 형태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는 안경 구조부(1110)와 시각 정보 안내부(1120)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 구조부(1110)는 림(1110a), 렌즈(1110b), 브릿지(1110c), 코패드(1110d), 템플(1110e) 및 팁(1110f)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안경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림(1110a)의 앤드피스(end piece)에는 촬영부(1121)의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에 탑재되고,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내 특정 물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과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는 촬영부(1121), 객체 인식부(1122), 안내 정보 선택부(1123), 음성 정보 변환부(1124), 스피커부(1125), 도보 네비게이션부(1126),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 및 프로젝터부(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 및 프로젝터부(1128)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종속적인 구성으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생략 시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하였으므로,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 및 프로젝터부(1128)도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촬영부(1121)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부(1121)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프론트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림(1110a)의 앤드피스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부(1122)는 상기 촬영부(1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은 기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인식을 위한 특징 추출 방법에는 객체의 국소 특징(local feature)을 추출하고, 객체 데이터베이스 모델과의 대응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 객체의 특징들과 대상 객체의 국소 특징들을 비교하는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특징 추출 기법은 객체의 국소적인 특징을 이용하기 때문에 객체의 자세(pose), 모양(shape), 크기(size), 가려짐(occlusion) 등의 변수가 있는 상황에서도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국소 특징 추출 기법으로는, "Harris detector, Harris Laplace detector, Hessian Laplace, Harris/Hessian Affine detector, Uniform detector, Shape Contexts, Image Moments, Gradient Location and Orientation Histogram, Geometric Blur,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등이 있으며, 이들 중 SIFT 기법과 SURF 기법은 객체 인식을 위한 특징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는, SIFT 기법과 SURF 기법들이 객체가 다른 것에 의해 가려지거나 물체의 위치나 자세가 달라지더라도 강인하게 객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국소 특징으로 알려진 기법 외에도 어떠한 특징이든 객체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값이라면 국소 특징을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KLT(Kanade-Lucas-Tomasi) 특징 기법이 한 객체의 국소 특징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객체 인식부(1122)는 영상 내에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시각 장애인이 보지 못하는 물리적 장애 요소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인식부(1122)는 상기 촬영부(1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 신호등의 적색과 녹색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객체 인식부(1122)는 시각 장애인의 도보 환경에서 물리적 장애 요소를 인식하여 판단할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를 건너는 상황에서도 신호등의 색상을 인식함으로써 신호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객체 인식부(1122)는 횡단보도의 신호등에서 녹색 점등의 잔여 시간 표시등을 인식하여,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알려주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1123)는 미리 저장된 안내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객체 인식부(1122)를 통해 인식된 결과에 상응하는 안내 멘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1123)를 통해 계단이 인식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안내 프로그램으로부터 '계단'이라는 인식 결과에 상응하여 안내 멘트를 선택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1123)는 상기 도보 네비게이션부(1126)와 연동하여 길 안내 멘트와 더불어 해당 경로 상에 장애물이나 특정 물체를 인식하여 함께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 정보 변환부(1124)는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1123)를 통해 선택된 안내 멘트를 음성 멘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1123)를 통해 선택된 안내 멘트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상기 스피커부(11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음성 데이터로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부(1125)는 상기 음성 정보 변환부(1124)를 통해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음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부(1125)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팁(1100f) 부분에 설치되어 착용자가 보다 잘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보 네비게이션부(112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도보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착용자가 설정한 출발점과 도착점에 기초한 도보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는 상기 음성 정보 선택부(1123)와 연동하여 도보 경로 정보와 함께 도보 경로 상의 장애물이나 특정 사물 정보와 같은 주변 환경 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는 GPS를 이용하여 도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 감지 및 신호등 보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는 도보 경로 상에서의 안정 블록 유도 기능과 신호등의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안전 유도 블록을 벗어날 경우 경고음 등을 출력하여 착용자가 안전 블록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전방에 장애물을 미리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착용자가 전방의 장애물을 대처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에서 3초 이상 서 있을 경우, 전방의 횡단보도의 신호 색을 분석하여 현재 컬러(신호상태)와 변경되었을 때의 컬러(변경된 신호상태)를 알려주고, 남을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 인식부(1122), 안내 정보 선택부(1123), 음성 정보 변환부(1124)는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소형 모듈로서 제작되어 상기 안경 구조부(111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로부터 스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로부터 스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할 한다.
상기 프로젝터부(1128)는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1127)를 통해 수신된 스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렌즈(1110b)를 통해 확대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터부(1128)는 스캔 영상 내에 있는 문서를 특정 위치에서부터 확대 표시하고, 읽기 방향으로 이동해가며 확대된 문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안경의 렌즈(1100b) 상에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광을 투사하는 프로젝트 기술은 기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1100b)는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있따. 예를 들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반지, 팔지 및 시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가 반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와 접속되고, 영상 촬영을 통해 문서를 스캔하여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1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스캐너부(1210), 영상 데이터 전송부(1220) 및 전원 스위치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부(1210)는 문서 등을 촬영하여 스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부(1210)는 페이지 단위의 스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페이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스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부(122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캐너부(1210)를 통해 생성된 스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실시간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부(122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포트를 통해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스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1230)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0, 1200)는 시각 장애 등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 장애 등급이 높은 자의 경우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를 이용하여 도보나 길 찾기 등의 일상 생활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력 장애 등급이 낮은 자의 경우 즉 시력이 좋지 않은 시각 장애인의 경우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함께 이용하여 문서를 스스로 읽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안경 구조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외부 환경을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 및 판단하여 음성으로 즉시 안내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지, 시계나 팔찌 형태의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문서를 스캔하여 확대 표시함으로써, 시각 장애 등급이 비교적 낮은 즉, 시력이 좋지 않은 자까지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착용형 장치 1100: 제1 착용형 단말기
1110: 안경 구조부 1120: 시각 정보 안내부
1121: 촬영부 1122: 객체 인식부
1123: 안내 정보 선택부 1124: 음성 정보 변환부
1125: 스피커부 1126: 도보 네비게이션부
1127: 영상 데이터 수신부 1128: 프로젝터부
1200: 제2 착용형 단말기 1210: 스캐너부
1220: 영상 데이터 전송부

Claims (8)

  1.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상기 안경 구조부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내 특정 물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과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안경 구조부의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안경 구조부의 착용자 시점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객체 인식부;
    미리 저장된 안내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결과에 상응하는 안내 멘트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 정보 선택부;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안내 멘트를 음성 멘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음성 정보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음성 멘트를 착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GPS를 이용하여 도보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보 네비게이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보 네비게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함께 주변 환경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인식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색상을 더 인식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색상과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각각 인식하고, 통해 인식된 결과에 따라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정보에 대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영상 촬영을 통해 문서를 스캔하여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로 전송하기 위한 착용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문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부; 및
    상기 스캐너부를 통해 촬영된 스캔 영상을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전송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스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캔 영상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확대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33A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1765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313 2015-01-29
KR20150014313 201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530A true KR20160093530A (ko) 2016-08-08
KR101765838B1 KR101765838B1 (ko) 2017-08-10

Family

ID=567119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13A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20150159933A KR101765838B1 (ko)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21A KR20160093529A (ko)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13A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21A KR20160093529A (ko)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065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48B1 (ko) * 2018-06-15 2019-08-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73634B1 (ko) * 2019-08-21 2020-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5835A (ko) * 2019-08-28 2021-03-10 구본준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20210068970A (ko) * 2019-12-02 2021-06-10 이우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20210082586A (ko) * 2019-12-26 2021-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
CN114554178A (zh) * 2020-11-19 2022-05-27 佳能株式会社 眼镜型可穿戴信息设备、相关方法,以及存储介质
KR20220137332A (ko) * 2021-04-02 2022-10-12 (주)케이아이오티 Uv카메라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20138061A (ko) * 2021-04-02 2022-10-12 (주)케이아이오티 안전성이 개선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978A (ko) * 2020-11-19 2023-07-11 릴리야 쇼시 카가노브스키 스위치 활성 통신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57910B1 (ko) * 2020-11-19 2022-10-24 김동건 시각장애인을 위한 패션 선글라스
KR102633725B1 (ko) 2022-01-12 2024-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090105531A (ko)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160A (ja) * 2001-09-29 2003-04-11 Toshiba Corp 緊急救助支援システム、緊急救助機能付き携帯端末、緊急救助情報受信無線端末及び緊急救助支援方法
KR20150055262A (ko) 2013-11-13 2015-05-21 서원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090105531A (ko)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48B1 (ko) * 2018-06-15 2019-08-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73634B1 (ko) * 2019-08-21 2020-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33903A1 (ko) * 2019-08-21 2021-02-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5835A (ko) * 2019-08-28 2021-03-10 구본준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20210068970A (ko) * 2019-12-02 2021-06-10 이우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20210082586A (ko) * 2019-12-26 2021-07-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
CN114554178A (zh) * 2020-11-19 2022-05-27 佳能株式会社 眼镜型可穿戴信息设备、相关方法,以及存储介质
US11852810B2 (en) 2020-11-19 2023-12-26 Canon Kabushiki Kaisha Glasses-type wearable information device, method for glasses-type wearable infor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554178B (zh) * 2020-11-19 2024-05-24 佳能株式会社 眼镜型可穿戴信息设备、相关方法,以及存储介质
KR20220137332A (ko) * 2021-04-02 2022-10-12 (주)케이아이오티 Uv카메라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20138061A (ko) * 2021-04-02 2022-10-12 (주)케이아이오티 안전성이 개선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37A (ko) 2016-09-05
KR101906551B1 (ko) 2018-10-12
KR20160093529A (ko) 2016-08-08
KR101765838B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838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US201902949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ackground change to determine context
US11825012B2 (en) Server, client terminal,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242681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사용한 3차원 얼굴과 공간 정보 인식 방법 및 시스템
JP2006251596A (ja) 視覚障害者支援装置
US10867527B2 (en) Process and wearable device equipped with stereoscopic vision for helping the user
KR102047988B1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EP2629241A1 (en) Control of a wearable device
KR2019011126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거리 측정 단말기
KR101230341B1 (ko) 시각 지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Imtiaz et al. Wearable scene classific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KR20210080140A (ko)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721069A (zh) 一种基于多模态数据进行视觉定位的盲人辅助眼镜
EP3882894B1 (en) Seeing aid for a visually impaired individual
KR20100019118A (ko) 점자 네비게이션
KR20170079703A (ko) 장면을 연출하는 시각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Wu et al. Construction of Smart Glasses Assisted Road Sign Recognition System
Veena et al. Smart Navigation Aid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a Deep Learning Model
KR20210106189A (ko) 시각 장애인 보행 보조 장치 및 시스템
CN114627852A (zh) 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184089A (ja) 情報認識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