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537A -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537A
KR20160104537A KR1020150159913A KR20150159913A KR20160104537A KR 20160104537 A KR20160104537 A KR 20160104537A KR 1020150159913 A KR1020150159913 A KR 1020150159913A KR 20150159913 A KR20150159913 A KR 20150159913A KR 20160104537 A KR20160104537 A KR 2016010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wearable terminal
vo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551B1 (ko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유퍼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퍼스트(주) filed Critical 유퍼스트(주)
Publication of KR2016010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21
    • G06F19/3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상세히 중계 및 송출하여 외부의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반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음성을 직접 입력 받고,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음성을 외부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착용형 단말기; 안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제2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 받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외부 관리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A SYSTEM FOR REAL TIME RELAYING AND TRANSMIT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앰뷸런스 등을 통해 환자를 긴급 이송하는 상황이나 수술 현장에서 더욱 정확한 진찰이나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황이나 현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발생한 판교 축제 사고, 세월호 침몰 사고나 산불 등의 경우 현장 상황에 대하여 전문가와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더욱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사고 현장이나 수술 현장 등을 외부의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장비가 갖추어 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현장에 설치된 CCTV 등과 같은 촬영 장치를 통해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나, 특히 수술 현장의 경우 환부를 정확히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촬영 장치로는 외부의 전문가가 현장 상황을 정확히 실시간 공유하는데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258호(2014.05.30)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등록특허공보 제10-0782103호(2007.11.28) '안경형 모니터'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262호(2015.05.21)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5531호(2009.10.07)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517호(2014.10.02)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상세히 중계 및 송출하여 외부의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은, 반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음성을 직접 입력받고,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음성을 외부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착용형 단말기; 안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제2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받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외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 상기 제1 음성을 직접 입력받기 위한 제1 마이크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와 상기 외부 관리부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상기 외부 관리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터리부; 및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배터리부로 외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반지, 시계 및 팔찌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 상기 외부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2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안경의 착용자 시점에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외부 관리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2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터리부; 및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배터리부로 외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관리부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관리부는,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 받기 위한 제2 마이크부; 상기 제2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음성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또는 환자 진찰이 있는 경우 의료 전문가가 확인 가능한 모든 관련 상황을 영상과 음성을 통해 제3의 관련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제3의 관련 전문가와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더욱 정확한 진찰이 이루어지거나 더욱 나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재 진압이나 대형 사고 현장의 경우 제3의 전문가가 현장에 없더라도 현장 상황을 영상과 음성을 통해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제3의 관련 전문가와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무 집행 상황의 경우, 현장의 상황을 영상과 음성으로 기록함으로써 사후의 법적 증거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우측 상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우측 하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좌측 상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우측 상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우측 하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를 좌측 상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100)은 제1 착용형 단말기(110), 제2 착용형 단말기(120) 및 외부 관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는 반지 구조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휴대 장치로,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음성을 직접 입력 받고, 제1 영상과 제1 음성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와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각각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는 제1 촬영부(111), 제1 마이크부(112),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112),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113), 제1 메모리부(114), 제1 배터리부(115), 포트부(116) 및 전원 스위치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부(111)는 제1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 수단으로, 예를 들어 휴대용 내시경이나 휴대용 초음파 촬영기와 같은 촬영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부(111)는 사고 현장에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나 환자의 환부 또는 체내 등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부(112)는 제1 음성을 직접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 즉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제1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112)는 상기 제1 촬영부(111)를 통해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와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각각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별도의 관리 서버를 구비하여 수신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112)는 상기 제1 촬영부(111)를 통해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통신 방식의 경우 상기 포트부(116)에 데이터 케이블 등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촬영부(111)를 통해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를 착용한 착용자가 활동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113)는 상기 제1 마이크부(112)를 통해 변환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113)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부(114)는, 상기 제1 촬영부(111)를 통해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부(114)는 상기 포트부(116)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와 상기 외부 관리부(130) 간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부(114)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후에 필요에 따라 저장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부(115)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에 내장되거나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부(115)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충방전 및 과충방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요소를 모두 포함한 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부(116)는 데이터 케이블이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1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116)는 상기 제1 배터리부(11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터리부(115)와 외부 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배터리부(11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이거나,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에 외부 전원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117)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를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117)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를 턴온시키는 경우 램프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고, 오프시키는 경우 램프의 불이 꺼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의 온/오프 상태를 착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가 손에 착용할 수 있는 반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는 상황에 맞게 그 형태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술이나 진료 환경에서는 휴대용 초음파 촬영기나 내시경의 형태로 실시 가능하며, 사고나 공무 집행 등의 상황에서는 팔찌, 시계, 단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는 안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부터 제2 음성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경은 림(120a), 렌즈(120b), 브릿지(120c), 코패드(120d), 템플(120e) 및 팁(120f)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안경의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는 상기 안경에 설치된 제2 촬영부(121),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 프로젝터부(123),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 제1 스피커부(125),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 제2 메모리부(127), 제2 배터리부(128) 및 전원 연결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에서 상기 제2 촬영부(121)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는 생략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촬영부(121)는 상리 림(120a)의 앤드피스와 상기 템플(120e)에 걸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촬영부(121)의 카메라 렌즈는 상기 안경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촬영부(121)는 제2 영상을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안경의 착용자 시점 즉 착용자 1인칭 시점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젝터부(12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통신 방식의 경우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의 포트부(116)에 데이터 케이블 등을 연결하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를 착용한 착용자가 활동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프로젝터부(123)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소정 변환과정을 거친 후 상기 안경의 렌즈(120b) 상에 표시되도록 프리즘을 통해 상기 렌즈(120b)에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120b)는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123)는 상기 코패드(120d) 내부에 설치되어 두 개의 렌즈(120b)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제1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부(123)는 투사되는 제1 영상이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상기 렌즈(120b)에 해당 영상을 반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렌즈(120b)의 일정 부분에만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렌즈(120b)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제1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광을 것 또한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는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스피커부(125)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부(125)는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변환과정을 거친 후 착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부(125)는 상기 안경의 팁(120f)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관리부(130)에서 전송되는 제2 음성을 착용자가 보다 잘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는 상기 제2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관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별도의 관리 서버를 구비하여 수신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관리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부(127)는 상기 제2 촬영부(121)를 통해 촬영된 제2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와 상기 외부 관리부(130) 간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2 메모리부(127)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후에 필요에 따라 저장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터리부(128)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에 내장되거나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배터리부(128)는 상기 안경의 템플(120e) 내에 탑재 또는 내장될 수 있으며, 교체를 위해 상기 안경 구조물에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터리부(128)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충방전 및 과충방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요소를 모두 포함한 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연결부(129)는 상기 제2 배터리부(12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터리부(128)와 외부 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 배터리부(128)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이거나,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에 외부 전원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122),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는 하나의 통신 모듈 또는 IC(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경의 템플(120e)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 받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는 실제 현장에 투입된 가령 의사, 소방관, 경찰 등의 전문가가 착용하는 장비라면,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수술, 사건 또는 사고 현장에 대한 기술적 조언 또는 지시를 줄 수 있는 외부의 또 다른 전문가가 관리하기 위한 장비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제2 마이크부(131),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132),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134), 디스플레이부(135),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136) 및 제2 스피커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에 상기 제2 촬영부(121)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133)는 상기 제2 촬영부(121)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126)와 같이 선택적인 사항이므로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제2 마이크부(131)는 제2 음성을 직접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 즉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 전문가의 음성을 직접 입력하여 제2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132)는 상기 제2 마이크부(131)를 통해 변환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132)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133)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133)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별도의 관리 서버를 구비하여 수신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134)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134)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별도의 관리 서버를 구비하여 수신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5)는 상기 제2 및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133, 134)를 통해 수신되는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재생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관리자가 현장의 상황을 해당 영상을 통해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136)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1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스피커부(137)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136)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피커부(137)는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136)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변환과정을 거친 후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의 착용자의 음성을 외부 전문가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는 실제 현장에 투입된 가령 의사, 소방관, 경찰 등의 전문가가 착용하는 장비라면, 상기 외부 관리부(130)는 수술, 사건 또는 사고 현장에 대한 기술적 조언 또는 지시를 줄 수 있는 외부의 또 다른 전문가가 관리하기 위한 장비이므로, 현장 전문가와 외부의 다른 전문가가 현장의 상황을 공유함으로써 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문제의 해결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장 전문가는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단말기(110, 120)의 상기 제1 마이크부(112),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114),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124)와 제1 스피커부(125)를 포함하는 음성 채팅 수단을 이용하고, 외부 전문가도 상기 외부 관리부(130)의 상기 제2 마이크부(131),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132),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136), 제2 스피커부(137)를 포함하는 음성 채팅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공유뿐만 아니라, 음성 채팅을 통한 의사 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협업 또는 업무 협조를 통해 수술, 사고 또는 사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의 제1 메모리부(115),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의 제2 메모리부(127), 그리고 상기 외부 관리부(130)의 관리 서버에 각각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수술, 사고 또는 사건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또는 환자 진찰이 있는 경우, 의료 전문가가 확인 가능한 모든 관련 상황을 영상과 음성을 통해 제3의 관련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제3의 관련 전문가와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다 정확한 진찰이 이루어지거나 보다 나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재 진압이나 대형 사고 현장의 경우, 제3의 전문가가 현장에 없더라도 현장 상황을 영상과 음성을 통해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제3의 관련 전문가와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무 집행 상황의 경우, 현장의 상황을 영상과 음성으로 기록함으로써 사후의 법적 증거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중계 및 송출 시스템 110: 제1 착용형 단말기
111: 제1 촬영부 112: 제1 마이크부
113: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 114: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
115: 제1 메모리부 116: 제1 배터리부
117: 포트부 118: 전원 스위치부
120: 제2 착용형 단말기 120a: 림
120b: 렌즈 120c: 브릿지
120d: 코패드 120e: 템플
120f: 팁 121: 제2 촬영부
122: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 123: 프로젝터부(프리즘)
124: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 125: 제1 스피커부
126: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 127: 제2 메모리부
128: 제2 배터리부 129: 전원 연결부
130: 외부 관리부 131: 제2 마이크부
132: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 133: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
134: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 135: 디스플레이부
136: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 137: 제2 스피커부

Claims (9)

  1.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음성을 직접 입력 받고,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1 음성을 외부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착용형 단말기;
    안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제2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착용형 단말기; 및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실시간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받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외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영부;
    상기 제1 음성을 직접 입력받기 위한 제1 마이크부;
    상기 제1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와 상기 외부 관리부로 각각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상기 외부 관리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1 음성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터리부; 및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배터리부로 외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는 반지, 시계 및 팔찌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이 상기 안경의 렌즈를 통해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
    상기 외부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2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제1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안경의 착용자 시점에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외부 관리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는,
    상기 제2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터리부; 및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배터리부로 외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리부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리부는,
    상기 제2 음성을 직접 입력 받기 위한 제2 마이크부;
    상기 제2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음성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제2 음성 데이터 전송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제3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제2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20150159913A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1906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313 2015-01-29
KR20150014313 201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37A true KR20160104537A (ko) 2016-09-05
KR101906551B1 KR101906551B1 (ko) 2018-10-12

Family

ID=567119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21A KR20160093529A (ko)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33A KR101765838B1 (ko)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13A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21A KR20160093529A (ko)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33A KR101765838B1 (ko)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60093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6959A1 (en) * 2020-11-19 2022-05-27 Kaganovsky Liliya Shoshi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enabled 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48B1 (ko) * 2018-06-15 2019-08-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73634B1 (ko) * 2019-08-21 2020-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4744B1 (ko) * 2019-08-28 2021-07-30 구본준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102351584B1 (ko) * 2019-12-02 2022-01-17 이우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2294152B1 (ko) * 2019-12-26 2021-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
JP2022081342A (ja) * 2020-11-19 2022-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ガネ型情報機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57910B1 (ko) * 2020-11-19 2022-10-24 김동건 시각장애인을 위한 패션 선글라스
KR102471586B1 (ko) * 2021-04-02 2022-11-28 (주)케이아이오티 Uv카메라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459095B1 (ko) * 2021-04-02 2022-10-27 (주)케이아이오티 안전성이 개선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633725B1 (ko) 2022-01-12 2024-02-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090105531A (ko)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055262A (ko) 2013-11-13 2015-05-21 서원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160A (ja) * 2001-09-29 2003-04-11 Toshiba Corp 緊急救助支援システム、緊急救助機能付き携帯端末、緊急救助情報受信無線端末及び緊急救助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090105531A (ko)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055262A (ko) 2013-11-13 2015-05-21 서원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6959A1 (en) * 2020-11-19 2022-05-27 Kaganovsky Liliya Shoshi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enabled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530A (ko) 2016-08-08
KR101765838B1 (ko) 2017-08-10
KR101906551B1 (ko) 2018-10-12
KR20160093529A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551B1 (ko)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US11395076B2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KR101103516B1 (ko) 스마트 소방 헬멧
US10838203B2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facial mapping
JP2016505889A (ja) 安全機能ゾーンを有する通信眼鏡
EP3759944A1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US20050275714A1 (en) Eyeglass interface device and security system
KR1013214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TW581668B (en) Endoscopic device
KR101580559B1 (ko) 의료 영상 및 정보 실시간 상호전송 및 원격 지원 장치
JP6770981B2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KR20090105531A (ko)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KR102047988B1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US201803455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telepresence of a remote user
KR200480257Y1 (ko)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US1042440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cribing information using wearable technology
KR2015001897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US11037519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based on detection value, program,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KR10168682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장치
CN107848125A (zh) 机器人和机器人系统
US20110124974A1 (en) Mobile medical communications system
US11716580B2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WO2019119022A1 (en) Augmented visual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person working at a remote workplace, method and headwear for use therewith
WO2021204036A1 (zh) 睡眠风险监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65135B1 (ko) 다자간 화상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원격 진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1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31

Effective date: 201808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