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243A -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243A
KR20160093243A KR1020150013990A KR20150013990A KR20160093243A KR 20160093243 A KR20160093243 A KR 20160093243A KR 1020150013990 A KR1020150013990 A KR 1020150013990A KR 20150013990 A KR20150013990 A KR 20150013990A KR 20160093243 A KR20160093243 A KR 2016009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light emitting
unit
wireless communication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3243A/ko
Publication of KR2016009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통신부와, 보조 통신부로부터 발생된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로부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Light emitt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linked with the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s thereof}
실시 예는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어두운 야간에서, 스마트 폰에 내장된 발광 소자를 플래쉬(flash)로 이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피사체의 주변에 광량이 적을 경우, 스마트 폰에 내장된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량이 한계를 갖는다. 이로 인해,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피사체가 흔들려서 촬영되거나 피사체가 달덩이처럼 한 부분만 밝게 보여 자연스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통신부; 상기 보조 통신부로부터 발생된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및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상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고유 번호에 의해 서로 식별되고,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는 상기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통신부는 사전에 지정된 고유 번호와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에 포함된 고유 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보조 파워 구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보조 전원부에 축적된 상기 파워의 량을 감지하고, 상기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 부족 신호를 상기 보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는 상기 보조 발광부의 점등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등 시점에 상기 파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 또는 주 발광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주 제어부; 상기 주 발광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공급하는 주 전원부; 및 상기 주 전원부로부터 상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와 상기 주 발광 요구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발광부를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생성된 보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생성된 촬영 제어 신호 또는 비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파워 부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주 전원부로부터 상기 보조 전원부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 장치의 발광 방법은,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점등이 요구될 때, 파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발광 장치의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장치의 점등이 요구될 때,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때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고, 즉,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엑서서리로 이용할 수 있어 자신의 해당하는 기능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발광 장치의 개념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n 발광 장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와 2개의 발광 장치 간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일 적용 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의한 발광 장치의 발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의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발광 장치의 개념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는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EN)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 각각은 1 이상의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TM) 각각(Tm)(1 ≤ m ≤ M)은 휴대용 무선 통신 전화기일 수도 있으며, 일종의 스마트 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특정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광이 필요한 어떠한 종류의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를 위해서도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EN) 각각(En)(1 ≤ n ≤ N)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는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제n 발광 장치(En)는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각각(En)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n 발광 장치(En)의 일 실시 예(100)에 의한 블럭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n 발광 장치(En)는 보조 통신부(110), 보조 전원부(120), 보조 발광부(130) 및 보조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통신부(110)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로부터 발생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신한다.
만일,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즉, M이 2이상일 경우, 보조 통신부(110)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로부터 전송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는 고유 번호에 의해 서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는 해당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통신부(110)는 사전에 지정된 고유 번호(이하, '저장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저장 고유 번호와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신한 보조 발광 요구 신호에 포함된 고유 번호(이하, '수신 고유 번호')의 일치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수신 고유 번호가 저장 고유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보조 통신부(110)는 보조 파워 구동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는, 수신 고유 번호가 저장 고유 번호와 일치할 경우, 보조 통신부(110)는 보조 파워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보조 전원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 중에서 사전에 허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고유 번호만을 보조 통신부(110)가 저장 고유 번호로 저장할 경우, 허용된 무선 통신 단말기만이 제n 발광 장치(En)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통신부(110)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120)는 보조 통신부(110)에서 생성된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power)를 보조 발광부(13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보조 전원부(120)는 파워를 내장형 배터리에 저장한 후 공급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 전원부(120)는 외부 예를 들어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로부터 파워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보조 발광부(130)는 보조 전원부(120)로부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한다. 보조 발광부(130)는 제1 내지 제P 보조 발광부(LE1, LE2, ... 및 LE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1 이상의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P 보조 발광부(LE1, LE2, ... 및 LEP) 각각(LEp)(1 ≤ p ≤ P)은 기판(미도시)과,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와 광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의 상면에는 광원과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은 기판 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는데, 광원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원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 레드 인광(Red phosphor) 및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제어부(140)는 보조 전원부(120)에 축적된 파워의 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만일, 보조 전원부(120)에 축적된 파워의 량이 보조 발광부(130)를 점등시키기에 부족할 경우, 보조 제어부(140)는 파워 부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조 제어부(140)는 보조 통신부(110)로부터 보조 전원부(120)로 공급되는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 부족 신호를 보조 통신부(110)의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n 발광 장치(En)로부터 파워 부족 신호가 전송되어 수신되면,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는 제n 발광 장치(En)를 이용할 수 없음을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보조 통신부(110), 보조 전원부(120) 또는 보정 제어부(14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제n 발광 장치(En)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n 발광 장치(En)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다양한 형태로 탈부착될 수 있으며, 실시 예는 탈부착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와 2개의 발광 장치(E1, E2) 간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는 디스플레이부(202),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키패드(204) 및 장착홈(20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n 발광 장치(En)에 파워가 부족하여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2개의 발광 장치(E1, E2)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장착홈(206)에 부착될 수도 있고 장착홈(206)으로부터 탈착될 수도 있으나, 실시 예는 제n 발광 장치(En)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 각각(Tm)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일 실시 예(200)에 의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주 제어부(220), 주 전원부(230) 및 주 발광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키패드(204) 형태나 터치 스크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2)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실시 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의 특정한 배치 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생성된 보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발광 장치의 사용을 요청하는 보조 요청 신호가 주 제어부(2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제어부(22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주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주 제어부(220)는 생성된 주 발광 요구 신호를 주 전원부(230)로 출력하고,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제n 발광 장치(En)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제어부(22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만을 생성하거나 주 발광 요구 신호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주 전원부(230)는 주 제어부(220)로부터 받은 주 발광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주 발광부(240)로 공급할 수 있다.
주 발광부(240)는 주 전원부(230)로부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다. 즉, 주 전원부(230)로부터 점등하기에 충분한 파워가 공급될 경우 주 발광부(240)는 발광할 수 있고, 주 전원부(230)로부터 점등하기에 부족한 파워가 공급될 경우 소등되거나 점등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발광부(130)가 P개의 보조 발광부(LE1, LE2, ... 및 LEP)를 포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 발광부(240)는 X개의 주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1 이상의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주 제어부(22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와 주 발광 요구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보조 발광부(130)와 주 발광부(240)를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다. 또는, 주 제어부(22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에 보조 발광부(130)의 점등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보조 제어부(140)는 보조 통신부(110)를 통해 점등 시점에 대한 정보를 담은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받고, 보조 전원부(120)를 제어하여 점등 시점에 파워가 보조 발광부(1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거하여, 보조 발광부(130)와 주 발광부(240)는 동시에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부(220)는 제n 발광 장치(LEn)로부터 전송된 파워 부족 신호에 응답하여, 주 전원부(230)로부터 보조 전원부(120)로 파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주 전원부(230)는 주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출력단자 OUT3을 통해 보조 전원부(120)에서 필요한 파워를 공급하고 보조 전원부(12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필요한 파워를 주 전원부(230)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n 발광 장치(LEn)는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L1, L2, ... 및 LN)가 연계된 상태에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L1, L2, ... 및 LN)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n 발광 장치(En)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부착될 경우, 제n 발광 장치(En)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전원부(120) 및 보조 발광부(13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보조 통신부(110)와 보조 제어부(140)의 역할은 도 4에 도시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주 제어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n 발광 장치(En)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에 부착될 경우, 제n 발광 장치(En)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발광부(13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보조 통신부(110)와 보조 제어부(140)의 역할은 도 4에 도시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주 제어부(220)에서 수행되고, 보조 전원부(120)의 역할은 주 전원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E1, E2, ... 및 EN)와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의 일 적용 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경우, 이해를 돕기 위해, M=1이고 N=2라고 가정하였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M이 2이상이거나 N이 2보다 작거나 큰 경우에도 아래의 설명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무선 통신 단말기(T1)가 피사체(O)를 촬영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주 발광부(240)는 피사체(O) 주위의 조도를 밝게 하기 위한 일종의 플래쉬(flash)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발광 장치(E1, E2) 각각의 보조 발광부(130)는 주 발광부(240)와 동시에 점등함으로써 제1 무선 통신 단말기(T1)를 위한 플래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 장치(E1, E2)가 존재함으로써, 더욱 밝은 조도 환경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T1)가 피사체(O)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 장치(E1, E2)를 주 발광부(240)의 보조적인 플리쉬로서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1 무선 통신 장치(T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촬영 제어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주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촬영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장치(T1, T2, ... 및 TM)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비상용 전원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1 무선 통신 장치(T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비상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주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제n 발광 장치(En)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발광 장치에서 수행되는 실시 예에 의한 발광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발광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발광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6은 실시 예에 의한 발광 장치(100)의 발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제310 단계). 제310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통신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발광 장치(En)의 점등을 요구하는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할 경우, 주 제어부(22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제n 발광 장치(En)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보조 통신부(110)는 보조 발광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함으로써, 제31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점등이 요구될 때, 파워를 보조 발광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제320 단계). 제320 단계는 보조 전원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한 보조 통신부(110)로부터 보조 파워 구동 신호가 발생될 경우, 보조 전원부(120)는 보조 발광부(130)의 점등을 위해 필요한 파워를 보조 발광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320 단계 후에, 보조 발광부(130)는 점등할 수 있다(제330 단계).
이하,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실시 예에 의한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7은 실시 예에 의한 제m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제410 단계). 제410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주 제어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m)의 사용자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요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면 보조 요청 신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주 제어부(220)는 보조 요청 신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보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주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만일, 사용자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발광 장치를 점등시킨다(제420 단계). 제420 단계는 주 제어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주 제어부(220)는 보조 요청 신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로부터 수신되면,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자 OUT3을 통해 해당하는 발광 장치로 송신한다. 이때,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한 발광 장치는 점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M 무선 통신 단말기(T1, T2, ... 및 TM) 각각은 제1 내지 제N 발광 장치(E1, E2, ... 및 EN) 중 적어도 하나를 자신의 기능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능 등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 즉, 엑서서리(accessary)로서 이용함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해당하는 기능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기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어둡거나 광량이 부족한 공간에 피사체가 놓여 있을 경우 발광 장치를 플래쉬로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화질의 자연스럽고 그림자 없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발광 장치를 비상용 조명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 장치 110: 보조 통신부
120: 보조 전원부 130: 보조 발광부
140: 보조 제어부 200: 무선 통신 단말기
202: 디스플레이부 204: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키패드
206: 장착홈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주 제어부 230: 주 전원부
240: 주 발광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통신부;
    상기 보조 통신부로부터 발생된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및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상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고유 번호에 의해 서로 식별되고,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는 상기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부는 사전에 지정된 고유 번호와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에 포함된 고유 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보조 파워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에 축적된 상기 파워의 량을 감지하고, 상기 보조 파워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 부족 신호를 상기 보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는 상기 보조 발광부의 점등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등 시점에 상기 파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발광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발광 장치와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 또는 주 발광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주 제어부;
    상기 주 발광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를 공급하는 주 전원부; 및
    상기 주 전원부로부터 상기 파워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와 상기 주 발광 요구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 발광부를 동시에 점등시키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생성된 보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생성된 촬영 제어 신호 또는 비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파워 부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주 전원부로부터 상기 보조 전원부로 파워를 공급하는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16.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발광 장치의 발광 방법에 있어서,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점등이 요구될 때, 파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의 발광 방법.
  17.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발광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점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장치의 점등이 요구될 때, 상기 보조 발광 요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50013990A 2015-01-29 2015-01-29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60093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90A KR20160093243A (ko) 2015-01-29 2015-01-29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90A KR20160093243A (ko) 2015-01-29 2015-01-29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243A true KR20160093243A (ko) 2016-08-08

Family

ID=5671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990A KR20160093243A (ko) 2015-01-29 2015-01-29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32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3862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EP2704529A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CN105101530B (zh) 以同步于ac电源频率为基础的调控系统与调控方法
US11096255B2 (en) Ambient light sensing lighting system
JP2020057613A5 (ko)
JP201015313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6945156B2 (ja) 照明システムの制御パラメータ入力方法および操作端末
CN112859488A (zh) 电子设备及外置闪光灯的校色系统
US20110292251A1 (en) Camera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n
JP2012074378A (ja) 多色光源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11096260B2 (en) Ambient light sensing lighting strobe system
CN110945425A (zh) 通信装置、控制通信装置的方法和通信系统
CN110866520B (zh) 照明器具的组设定方法以及照明系统
CN112731736A (zh) 校色检测设备及外置闪光灯的校色系统
US9625788B2 (en) Flash illumination device for use with electronic apparatus or mobile device
WO2015136644A1 (ja) 発光装置、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3243A (ko) 발광 장치, 그 장치의 동작 방법, 그 장치와 연계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JP2020064730A (ja) Led照明システム
KR101826752B1 (ko) 조명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145949A (ja) 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写真撮影システム
CN205565101U (zh) 可插接电子设备、移动通信终端及电源接线插板
KR102366728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600429A (zh) 一种显示屏及其电子设备
CN103517516B (zh) 照明系统
CN207117703U (zh) 发光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