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798A - 질성형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질성형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798A
KR20160092798A KR1020150013651A KR20150013651A KR20160092798A KR 20160092798 A KR20160092798 A KR 20160092798A KR 1020150013651 A KR1020150013651 A KR 1020150013651A KR 20150013651 A KR20150013651 A KR 20150013651A KR 20160092798 A KR20160092798 A KR 2016009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al
implant
shape memory
vaginal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322B1 (ko
Inventor
박예규
Original Assignee
박예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규 filed Critical 박예규
Priority to KR102015001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322B1/ko
Priority to PCT/KR2016/000940 priority patent/WO2016122227A1/ko
Publication of KR2016009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91Three-dimensional shapes helically-coiled or spirally-coiled, i.e. having a 2-D spiral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여성의 질벽의 피하층에 이식되고 질벽을 감싸는 개곡선 형태로 형성된 임플란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질성형용 임플란트{IMPLANT FOR PLASTIC OPERATION OF VIRGINA}
본 발명은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질벽에 시술되어 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질성형 수술은 출산과 잦은 성관계 등으로 인하여 느슨해진 질벽과 골반 안쪽 근육들을 예전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성형술이다.
이러한 질성형을 위해서는 질벽의 일부를 절개한 후 봉합함으로써 질의 직경을 줄여주는 수술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개법의 경우 질 분비물이 감소하는 부작용과, 성감대인 지스팟이 감소하는 부작용과, 질이 폐쇄되는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수술법은 비용이 고가이고 회복기간이 두 달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질벽의 외벽에 일정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52171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가 질벽(B)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출산과 잦은 성관계로 인해 질벽(B)이 느슨하게 늘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의 (b)는 느슨해진 질벽(B)의 외부에 질성형용 임플란트(10)가 결합되어 질벽(B)을 조여주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때,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끈 형태로 형성되어, 질벽(B)을 감싸고 양단부가 의료용 실(20)로 결합되어 매듭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는 양단부(11,13)에 실(20)을 묶기가 용이하지 않아 수술이 힘들고, 묶어 놓은 실(20)이 질벽(B)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풀려 재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실(20)에 의해 묶어놓은 매듭이 피시술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으며, 출산 등을 위해서 시술해 놓은 임플란트(10)를 제거하려면 질성형용 임플란트(10)를 끊거나 실(20)을 끊어 매듭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겪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는 질성형용 임플란트(10)가 삽입된 좁은 구간에서만 질의 직경이 작아진 효과를 볼 수 있고, 질성형용 임플란트(10)가 탄성을 갖는다고 해도 직경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내에서만 변형되므로 성관계시 동적으로 반응하는 생체근육과 다른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를 시술받더라도 성감이 향상되는 것이 기대에 못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질벽에 시술되어 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단부에 비드를 채용하여 성감의 국지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기억효과를 이용하여 체온의 변화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어 성관계시 동적반응에도 능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질벽의 일 부분이 아니라 질벽 전체의 부분에서 직경이 작아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단부를 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시술과 제거가 용이한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성형용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여성의 질벽의 피하층에 이식되고 질벽을 감싸는 개곡선 형태로 형성된 임플란트 본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 본체는 나선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길이방향으로 복수회 나선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질 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일단 또는 타단에,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는 비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드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일단 또는 타단과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형상기억폴리머(Shape Memory Polymers)로 형성되고,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체온 보다 높은 온도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중심에 형상기억합금(Shaped Memory Alloy)이 구비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외부를 상기 형상기억폴리머가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질벽에 시술되어 탄성을 제공하므ㅇ로써 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단부에 비드를 채용하여 성감의 국지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폴리머를 이용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므로 성관계시 체온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성적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질벽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될 수도 있어 질벽의 일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질벽 근육 전체를 보완할 수 있어 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개구가 형성된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종래 실에 의해 매듭을 형성하던 과정이 생략되어 시술과정이 간단하고 시술시간도 짧아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이 없으므로 실이 풀려 재수술할 우려도 없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을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거과정도 간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가하는 탄성력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를 질벽에 삽입하는 삽입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단에 비드가 형성된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단에 비드가 형성된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여성의 질벽의 피하층에 이식되고 질벽을 감싸는 개곡선의 구조를 가진다. 즉, 임플란트본체(110)는 선형이되 양단(120,130)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개구(140)를 형성한다. 이렇게 양단(120,130)이 서로 만나지 않으므로, 임플란트본체(110)는 질벽(B)을 감싸고 상기 임플란트본체(110) 자체의 탄성으로 질벽(B)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가 서로 실(20)에 의해 결합되던 것과 달리 양단부(120,13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질성형용 임플란트본체(110)는 전체적으로 "C"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양단부(120,130)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의 시술시에 실(20)을 결합하기 위한 시술과정이 생략되 시술시간이 간편해질 수 있고 실(20)이 풀어지는 위험도 없다. 또한, 종래 질성형용 임플란트(10)의 시술후 형성되는 매듭부분이 없어 피시술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원형 뿐만 아니라 나선형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본체(110)의 일단(120)과 타단(130) 사이가 일정 높이(h) 이격되게 배치된다.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비교할 때, 원형의 경우 개구(140) 만큼의 거리를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을 감싸주지 못하게 되나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높이차(h)에 의해 개구(140)가 형성되므로 질벽(B)의 외주연 전체를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감싸줄 수 있어 질벽(B)의 전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이 동일 중심점으로 향하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가되므로 성관계시 성감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형상기억폴리머(Shape Memory Ploymers; SMPs)에 의해 형성된다. 형상기억폴리머는 고온에서 임의의 형태로 형상을 만들어 형상을 기억시킨 다음 냉각하고, 다시 저온에서 변형을 시키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지만, 일정 온도이상(유리전이온도)로 가열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직경이 고정되지 않고 온도에 의해 가변되므로 성관계시 질내벽의 근육운동과 열에 능동적으로 변화되어 성관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직경이 가변되며 질벽을 가압하는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형상기억폴리머의 분말(powder)이나 펠렛(pellet)등을 용융주조하여 초기형상(400)을 형성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형상기억폴리머의 가교를 위하여 가교제를 사용하거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초기형상(400)은 피시술자가 희망하는 질벽(B)의 직경(R1) 보다 작게 형성된다. 고온에서 R3의 직경으로 초기형상(400)을 형성하고, 냉각한 후 다시 저온에서 피시술자가 희망하는 질벽(B)의 직경(R1)으로 형상을 변형한다.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저온상태에서 R1의 직경을 유지하므로 R2의 직경으로 느슨해진 질벽(B)을 감싸 R1의 직경으로 수축시켜 준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을 감싸 질벽(B)을 R1의 직경으로 조여준다. 이 때,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를 형성하는 형상기억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는 체온 36.5℃ 보다 높은 37℃ 이상으로 설정되게 형성된다.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에 시술된 상태에서 성관계를 하는 경우 피시술자의 흥분상태에 따라 체온이 상승되거나, 성관계에 의한 마찰열에 의해 질벽(B)의 온도가 상승된다. 질벽(B)의 온도가 유리전이온도를 넘게 되면, 형상기억폴리머는 직경 R3의 초기형상(400)으로 복귀하고자 한다. 이에 의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직경이 점차 줄어들면서 질벽(B)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수축력(f)을 인가하여 조여주게 된다.
따라서, 성관계시 체온이 높아질 수록 형상기억폴리머의 직경도 점차 줄어들게 되면서 성관계시의 성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성관계가 끝나고 체온이 유리전이온도 보다 낮아지게 되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다시 R1의 직경으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100a)는 질벽(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시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질벽(B)의 여러 부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성관계시 만족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 100a')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임플란트본체(110)가 형상기억폴리머에 의해서 전체가 형성되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100a')는 유리전이온도와 초기형상의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형상기억폴리머, 또는 형상기억합금과 형상기억폴리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은 형상기억폴리머와 동일하게 형상기억효과를 이용하는 소재이다. 형상기억합금은 유리전이온도에 도달하면 초기형상으로 복귀되는 성질을 갖는다. 형상기억합금은 Ti-Ni 합금, Ti-Ni-Cu 합금, Ti-Ni-Fe 합금, Cu-Zn-Al 합금, Cu-Al-Ni 합금, Cu-Au-Zn 합금 등 다양하게 구비된다. Ti-Ni 합금은 심장용 스텐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형상기억합금은 금속들의 조성비에 따라 다양한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에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은 체온에 가까운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조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는 형상기억합금(111)이 배치되고, 형상기억합금(111)의 주변을 형상기억폴리머(113)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100a')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는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가 배치되고,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의 주변을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면의 형상은 원형 뿐만 아니라 비원형인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배치되는 형상기억합금(111) 또는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와 외부에 배치되는 형상기억폴리머(113)과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는 유리전이온도와 초기형상의 직경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형상기억합금(111)과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는 유리전이온도가 체온보다 조금높게 설정되고, 형상기억폴리머(113)와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은 이 보다 조금 더 높게 유리전이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형상기억합금(111)과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는 유리전이온도는 37℃로 설정되고, 형상기억폴리머(113)와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는 조금 더 높은 39℃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111)과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는 초기형상(200)이 도 6에 도시된 R3의 직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형상기억폴리머(113)와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는 초기형상(400)이 R3 보다 직경이 더 작은 R4의 직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 100a')가 느슨해진 질벽(B')에 시술되면, 평상시에는 질벽(B)이 R1의 상태로 유지되고, 성관계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면 형상기억합금(111)과 제1형상기억폴리머(111a)가 먼저 유리전이온도에 도달해 R3의 직경의 초기형상(200)으로 변화되기 위해 가압력(f)을 질벽(B)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질벽(B")도 점차 직경이 수축된다.
성관계가 진행되면서 체온이 더욱 상승하게 되면 형상기억폴리머(113)와 제2형상기억폴리머(113a)가 유리전이온도로 도달되면서 R4의 직경의 초기형상(400)으로 변화되기 위해 더 큰 가압력을 질벽(B")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피시술자는 성관계시에 체온의 변화에 따라 질벽(B")의 조여짐이 점차 커지게 되어 본인은 물론이고 성관계 상대방도 성감을 크게 느끼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를 도시한 사시도와 시술상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원형으로 형성된데 반해 또 다른 실시예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일정길이(L)를 갖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길이는 피시술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단(120')와 타단(130') 사이의 임플란트본체(110')의 길이(L)가 길수록 질벽(B)을 감싸는 면적은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벽(B)에 시술되었을 때 질벽(B)을 일정 부분이 아닌 전체 영역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질벽(B) 전체로 탄성적인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어 성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를 시술하는 시술도구(300)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는 손잡이(310)와 반원형태의 삽입니들(320)이 형성된 시술도구(300)를 이용해 질벽(B)에 삽입될 수 있다. 시술자는 질벽에 삽입니들(320)이 삽입될 수 있게 작은 크기로 절개구멍을 형성하고, 절개구멍으로 삽입니들(320)을 삽입하여 삽입니들(320)을 회전시키며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 외부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삽입니들(320)의 단부에는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삽입되는 삽입공(330)이 형성된다.
시술자는 종래와 달리 실을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도구(300)를 이용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를 삽입하는 것으로 시술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양단(120,130)에 구슬과 같은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는 질성형용 임플란트(100)로부터 외부로 툭튀어나온 턱을 형성하여 상기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질벽(B)의 피하층에 이식되어 있을 때, 피하층에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드의 단면적이 질성형용 임플란트(10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 10 내지 도12에는 양단에 비드가 형성된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일단(120)에는 일단(120)의 단면적보다 큰 일단비드(160)가 구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130)에는 타단(130)의 단면적보다 큰 타단비드(150)가 구슬으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는 양단(120,13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단(120) 또는 타단(13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가 일단(120)에 형성되든 타단(130)에 형성되든 질벽(B)의 피하층에 삽입될 때에는 지스팟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성감을 극대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드(150,160)는 상기 양단(120,130)에 각각 분리되고 결합되도록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구조라 함은, 상기 비드(150,160)의 내측에 끼움홈이 있어서 상기 양단(120,130)에 끼움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타단비드(150)의 내측에 나사선 형태의 타단비드결합홈(151)이 있고, 상기 타단(130)의 외측면에 나사산 형태의 타단결합돌기(131)가 있어서 나사결합 또는 돌림결합할 수도 있다. 결합구조의 예시는 위에서 개시한 바에 제한되지는 않고, 물리적으로 두개의 물체가 결합하고 분리될 수 있는 구조라면 채용될 수 있다. 이렇게 비드가 분리되고 결합되게 함으로써 시술시에는 비드가 분리된 상태에서 질벽(B)의 피하층에 삽입하고, 삽입의 위치조정이 끝나고 난 이후에 비드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삽입시술 및 제거시술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드(150,160)는 질성형용 임플란트(100)가 스프링과 같이 복수회 나선형으로 권취된 경우에도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비드는 질벽(B)내에 이식되었을 때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비드(160)가 질내부에 삽입된 물체와 질벽을 사이에 두고 있게 되므로, 질벽(B)이 더욱 자극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단비드(160)는 지스팟이 위치한 곳에 위치하도록 시술하여야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로써 여성의 성적 만족도가 향상되고, 간접적으로는 남성의 성적 만족도까지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질내부를 개곡선의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으므로 질벽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폴리머를 이용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므로 성관계시 체온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성적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질벽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시술될 수도 있어 질벽의 일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질벽 근육 전체를 보완할 수 있어 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성형용 임플란트는 개구가 형성된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종래 실에 의해 매듭을 형성하던 과정이 생략되어 시술과정이 간단하고 시술시간도 짧아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이 없으므로 실이 풀려 재수술할 우려도 없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가 질벽을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거과정도 간단할 수 있다.
또한,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단부에 비드가 형성되어 성행위시 질벽에 대한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어 성적 만족도 향상에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질성형용 임플란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질성형용 임플란트 110 : 임플란트본체
120 : 일단 121 : 일단결합돌기
130 : 타단 131 : 타단결합돌기
140 : 개구
150 : 타단비드 151 : 타단비드결합홈
160 : 일단비드 161 : 일단비드결합홈

Claims (7)

  1. 여성의 질벽의 피하층에 이식되고 질벽을 감싸는 개곡선 형태로 형성된 임플란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는 나선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길이방향으로 복수회 나선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질 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일단 또는 타단에,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는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의 일단 또는 타단과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형상기억폴리머(Shape Memory Polymers)로 형성되고,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체온 보다 높은 온도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본체는 중심에 형상기억합금(Shaped Memory Alloy)이 구비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외부를 상기 형상기억폴리머가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20150013651A 2015-01-28 2015-01-28 질성형용 임플란트 KR10169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51A KR101698322B1 (ko) 2015-01-28 2015-01-28 질성형용 임플란트
PCT/KR2016/000940 WO2016122227A1 (ko) 2015-01-28 2016-01-28 질성형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51A KR101698322B1 (ko) 2015-01-28 2015-01-28 질성형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98A true KR20160092798A (ko) 2016-08-05
KR101698322B1 KR101698322B1 (ko) 2017-01-20

Family

ID=5654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51A KR101698322B1 (ko) 2015-01-28 2015-01-28 질성형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8322B1 (ko)
WO (1) WO2016122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61138A1 (en) * 2016-12-13 2018-06-14 Ernesto Andrade Vaginal b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17B1 (ko) * 2008-06-03 2009-02-18 구태훈 질성형용 임플란트
US20110105832A1 (en) * 2001-08-31 2011-05-05 Ams Research Corporation Surgical Articles for Placing an Implant about a Tubular Tissue Structure and Methods
KR20130027342A (ko)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질성형용 임플란트
KR20130058490A (ko) * 2011-11-25 2013-06-0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나선형 의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429A1 (en) * 2004-02-23 2005-08-25 Poppas Dix P. Vaginal rejuven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5832A1 (en) * 2001-08-31 2011-05-05 Ams Research Corporation Surgical Articles for Placing an Implant about a Tubular Tissue Structure and Methods
KR100883917B1 (ko) * 2008-06-03 2009-02-18 구태훈 질성형용 임플란트
KR20130027342A (ko)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질성형용 임플란트
KR20130058490A (ko) * 2011-11-25 2013-06-0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나선형 의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322B1 (ko) 2017-01-20
WO2016122227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093B1 (ko) 전립선 요도를 위한 절개 이식물
US8876863B2 (en) Endovascular closure device
EP1659992B1 (en) Prosthetic valve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devices
EP2566386B1 (en) Devices for control of blood pressure
JP7038384B2 (ja) 改善された陰茎機能のためのプロステーシス
KR20020075869A (ko) 생명체의 도관에서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기위한 인공삽입물
JP2000514336A (ja) 外科用移植物およびそのための送達システム
EP3193738B1 (en) Bio-absorbable wound closure device
CN107126306B (zh) 胃导流器及其支架
US11376410B2 (en) Bodily implant with a tubing connector
US20230329868A1 (en) Penile implant
KR101698322B1 (ko) 질성형용 임플란트
JP7216712B2 (ja) 尿失禁治療のための尿道プラグおよびシステム
JPWO2008053630A1 (ja) 乳房用プロテーゼおよびこのような乳房用プロテーゼを用いた豊胸術
US20140121583A1 (en) Bartholin Gland Drainage Cathet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637555B1 (ko) 질성형용 임플란트
ES2727125T3 (es) Dispositivos para fijar dispositivos médicos dentro de una anatomía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EP338643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blood flow through a vein
US20170202702A1 (en) Fallopian Tube Occluding Device, Delivery Catheter and Method
RU2543296C1 (ru) Фаллоэндопротез
RU2543283C1 (ru) Фаллоэндопротез
RU2383314C2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ни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