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398A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398A
KR20160092398A KR1020150012975A KR20150012975A KR20160092398A KR 20160092398 A KR20160092398 A KR 20160092398A KR 1020150012975 A KR1020150012975 A KR 1020150012975A KR 20150012975 A KR20150012975 A KR 20150012975A KR 20160092398 A KR20160092398 A KR 2016009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data line
emitting device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209B1 (ko
Inventor
이수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2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1L51/503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01L2021/60277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involving the use of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과,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들을 각각 출력하는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를 구비하는 단위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단위화소부에서 각각 3열씩 배치되며,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스캔 라인은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서 박형, 플렉서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반해, 현재 상용화된 주요 디스플레이는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LCD의 경우에 빠르지 않은 반응 시간과, 플렉서블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AMOLED의 경우에 수명이 짧고, 양산 수율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플렉서블의 정도가 약하다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는 단위화소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조합하여 화소의 색상을 구현한다. 이 경우에, 단위화소에서 빛의 밝기를 향상키는 연결배선의 구조가 착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단위 화소로 구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학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다중주사가 가능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캔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과,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들을 각각 출력하는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를 구비하는 단위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단위화소부에서 각각 3열씩 배치되며,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스캔 라인은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데이터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캔 라인과 평행한 수평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에는 빛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3열의 데이터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들은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상에서 상기 제2데이터 라인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 라인에 구비되는 수평부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스캔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는 상기 제2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3열의 스캔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화소부에는 상기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는 제1반도체 발광소자, 제2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도체 발광소자, 제2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는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3열의 스캔 라인을 따라 복수의 단위화소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에는 각각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가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색 출력부 및 녹색 출력부는 각각, 반도체 발광소자;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다른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스캔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는 각각,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이 단위화소부에서 각각 3열씩 배치됨에 따라, 3열 주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밝기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들이 스캔 라인들과 평행한 수평부를 구비함에 따라, 고정세임에도 불구하고 단위화소부에 데이터 라인들을 3열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배선 연결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배선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 배선구조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도 단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3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제1전극(120), 전도성 접착층(130), 제2전극(1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판(1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제1전극(1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절연층(160)은 제1전극(120)이 위치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60)에는 보조전극(17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된 상태가 하나의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상기 기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전극(170)은 제1전극(120)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절연층(160)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170)은 닷(dot) 형태이며, 절연층(160)을 관통하는 전극홀(171)에 의하여 제1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171)은 비아 홀에 도전물질이 채워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층(160)의 일면에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160)과 전도성 접착층(130)의 사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거나, 절연층(160)이 없이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절연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접착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에서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접착층(130)은 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로서, 전도성 접착층(1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으로는 전기적 상호 연결을 허용하나, 수평적인 X-Y 방향으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Z축 전도층으로 명명될 수 있다(다만, 이하 '전도성 접착층'이라 한다).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 전도매질(anisotropic conductive medium)이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분만 이방성 전도매질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가해지거나 UV 경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매질은 예를 들어, 도전볼이나 전도성 입자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부분만 도전볼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폴리머 재질의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열 및 압력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접착되는 상대물의 높이차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전기적 연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 코어에 전도성 물질이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전도성 물질이 변형되어(눌러 붙어서)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도성 물질이 Z축 방향으로 절연성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도성 물질은 뽀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배열 이방성 전도성 필름(fixed array ACF)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성 베이스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며, 도전볼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의 바닥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전볼과 함께 변형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도전볼이 랜덤하게 혼입된 형태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층에 도전볼이 배치되는 형태(double-ACF) 등이 모두 가능하다.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와 도전볼의 결합형태로서, 절연성 및 접착성의 베이스 물질에 도전볼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은 전도성 particle 혹은 nano 입자를 함유한 형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전극(140)은 보조전극(170)과 이격하여 절연층(160)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하는 절연층(160) 상에 배치된다.
절연층(160)에 보조전극(170)과 제2전극(14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플립 칩 형태로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제1전극(120) 및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156), p형 전극(1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55), p형 반도체층(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54), 활성층(1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53) 및 n형 반도체층(153) 상에서 p형 전극(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p형 전극(156)은 보조전극(170)과 전도성 접착층(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n형 전극(152)은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조전극(17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보조전극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좌우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p형 전극들이 하나의 보조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 및 압력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130)의 내부로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압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p형 전극(156)과 보조전극(170) 사이의 부분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n형 전극(152)과 제2전극(140) 사이의 부분에서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압입이 없어 전도성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3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사이 및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제2전극(140) 사이를 상호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까지 형성시킨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발광 소자 어레이(array)를 구성하며, 발광 소자 어레이에는 형광체층(180)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단위 화소를 구성하며, 제1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120)은 복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이 플립 칩 형태로 접속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판에 성장시킨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사이에 격벽(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층(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1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1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
형광체층(18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형광체층(1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광체층(1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181) 또는 녹색 형광체(182)가 될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1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20)의 각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1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제2전극(1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1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을 비롯한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각각 단위 화소(sub-pixel)를 이루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R, G, B)가 교대로 배치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루며, 이를 통하여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는 황색 형광체층이 개별 소자마다 구비된 백색 발광 소자(W)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 화소를 이루기 위하여,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 소자(UV)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UV)까지 전영역에 사용가능하며, 자외선(UV)이 상부 형광체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사용가능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전도성 접착층(130) 상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단위 화소로 이용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기 위한 충분한 밝기가 나타난다. 따라서, 단위 화소의 크기가 한 변이 600㎛, 나머지 한변이 300㎛인 직사각형 화소인 경우를 예로 들면, 반도체 발광 소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HD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된 절연층(160) 상에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다. 제1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되어 하나의 기판(또는 배선기판)을 형성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제1전극(120),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제1전극(120)과 제2전극(14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기판(110) 및 절연층(160)은 각각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절연층(160)이 위치된 기판에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도포될 수 있다.
다음에,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들의 위치에 대응하고,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위치된 제2기판(112)을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에, 제2기판(112)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성장시키는 성장 기판으로서, 사파이어(spire) 기판 또는 실리콘(silicon) 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웨이퍼(wafer) 단위로 형성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룰 수 있는 간격 및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을 열압착한다. 예를 들어,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ACF press head 를 적용하여 열압착될 수 있다. 상기 열압착에 의하여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본딩(bonding)된다. 열압착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특성에 의해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의 사이의 부분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전극들과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 사이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2기판(112)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LLO) 또는 화학적 리프트 오프법(Chemical Lift-off, CLO)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들(15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필요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결합된 배선기판 상을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일면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적색 형광체 또는 녹색 형광체가 상기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면에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 예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직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변형예 또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210), 제1전극(220), 전도성 접착층(230), 제2전극(2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포함한다.
기판(210)은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제1전극(220)은 기판(210) 상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230)은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기판(210)상에 형성된다.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2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도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23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기판(210) 상에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제1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1전극(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부분적으로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는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부분(231)과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부분(232)으로 구획된다.
또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접착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층(230)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제1전극(220)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까지 구현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수직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사이에는, 제1전극(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전극(240)이 위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256), p형 전극(256)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255), p형 반도체층(2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54), 활성층(254)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53) 및 n형 반도체층(253) 상에 형성된 n형 전극(2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p형 전극(256)은 제1전극(220)과 전도성 접착층(2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n형 전극(252)은 후술하는 제2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일면에는 형광체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광체층(2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281) 및 녹색 형광체(282) 일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2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2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의 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전극(240)은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과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2전극(240)에서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전극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전극은 오믹(ohmic) 접촉을 위한 오믹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은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오믹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형성된 기판(210) 상에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절연층이 형성된 후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제2전극(240)은 투명 절연층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또는 투명 절연층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반도체 발광 소자(250) 상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한다면, ITO 물질은 n형 반도체층과는 접착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킴으로써,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투명한 재료 선택에 구속되지 않고, n형 반도체층과 접착성이 좋은 전도성 물질을 수평 전극으로 사용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2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접착층(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 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2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2전극(240)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바로 위치된 경우, 격벽(290)은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및 제2전극(240)의 사이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제2전극(240)을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HD 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2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는 제1전극(120, 220) 및 제2전극(140, 240, 이상 도 3a 및 도 8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1전극(120, 220)은 데이터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제2전극(140, 240)은 스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스캔 라인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에서 하나의 라인은 단일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캔 라인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라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발광하여 특정색을 구현하는 단위화소부에서는 하나의 스캔 라인과 3열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된다. 이러한 배선 연결구조에서는 하나의 스캔 라인이 활성화되고 나머지는 꺼진 상태에서, 3열의 데이터 라인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단위화소부내에서 해당 셀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형 매트릭스 구조에서는 하나의 스캔 라인이 활성화되어 발광될 때 나머지 라인은 구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한 라인이 단위시간당 발광하는 빛의 밝기가 제한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선 연결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배선 연결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배선 연결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배선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0,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및 도 12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10), 제1전극(1020), 전도성 접착층(1030), 제2전극(10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를 포함한다.
기판(1010)은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절연층(1060)은 기판(10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060)에는 보조전극(107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1010)에 절연층(1060)이 적층된 상태가 하나의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0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상기 기판(10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전극(1020) 및 제2 전극(1040)은 각각 복수의 전극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1020)은 절연층(1060) 상에서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0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1020a, 1020b, 1020c)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2전극(1040)은 보조전극(1070)과 연결되며, 비아 홀을 통하여 기판(1010)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1010) 상에서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1040)은 제1전극(10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전극(1040)은 게이트 전극(스캔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스캔 라인들(1040a, 1040b, 1040c)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1020a, 1020b, 1020c)과 복수의 스캔 라인들(1040a, 1040b, 1040c)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보조전극(1070)은 제2전극(1040)과 반도체 발광 소자(10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절연층(1060) 상에 위치하고, 제2전극(104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1070)은 닷(dot) 형태이며, 절연층(1060)을 관통하는 전극홀(1071)에 의하여 제2전극(1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1071)은 비아 홀에 도전물질이 채워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층(1060)의 일면에는 전도성 접착층(1030)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1060)과 전도성 접착층(1030)의 사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거나, 절연층(1060)이 없이 전도성 접착층(1030)이 기판(1010)상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전도성 접착층(1030)이 기판(101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전도성 접착층(1030)이 절연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0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도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103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기판(1010) 상에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10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가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전극(1040)은 보조전극(1070)을 경유하여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와 연결된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로서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를 도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형태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예시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1056), p형 전극(10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055), p형 반도체층(10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054), 활성층(10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053) 및 n형 반도체층(1053) 상에서 p형 전극(10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0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n형 전극(1052)은 보조전극(1070)과 전도성 접착층(10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p형 전극(1056)은 제1전극(10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1020a, 1020b, 1020c)은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반도체 발광소자의 p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스캔 라인들(1040a, 1040b, 1040c)은 스캔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반도체 발광소자의 n형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과 형광체층이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하는 출력부들(1091, 1092, 1093)을 구비하는 단위화소부(1090)를 형성한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단위화소부(109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들을 각각 출력하는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부들의 각각이 서브화소(sub-pixel)를 형성하며, 3개의 서브화소가 하나의 단위화소부(1090)를 이루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위화소부(1090)내에는, 청색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가 적어도 3개 배치되며, 이 중에서 2개에는 청색 광을 적색 광 및 녹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081) 및 녹색 형광체(1082)가 각각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색 출력부(1091) 및 녹색 출력부(1092)가 각각 구현된다.
또한, 청색 출력부(1093)에는 청색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단위화소부(1090)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전극(1040)의 각 스캔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스캔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캔 라인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제1전극(1020), 데이터라인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화소부(1090)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 소자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출력부들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형광체층(1080)의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형광체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형광체 도트 사이에 갭을 만들고, 흑색 물질이 상기 갭을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블랙 매트릭스(BM)는 외광반사를 흡수함과 동시에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BM)는, 형광체층(1080)이 적층된 방향인 제2전극(1040)을 따라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서 다중 주사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스캔 라인(1040a, 1040b, 1040c)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1020a, 1020b, 1020c)은 단위화소부(1090)에서 각각 3열씩 배치되며, 상기 단위화소부(1090)에 배치되는 3열의 스캔 라인(1040a, 1040b, 1040c)은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3열의 스캔 라인(1040a, 1040b, 1040c)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스캔 라인(1040a), 제2스캔 라인(1040b) 및 제3스캔 라인(1040c)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3열의 스캔 라인(1040a, 1040b, 1040c)을 따라 복수의 단위화소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스캔 라인(1040a), 제2스캔 라인(1040b) 및 제3스캔 라인(1040c)에는 각각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가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제1스캔 라인(1040a)에는 적색 출력부(1091)만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스캔 라인(1040b)에는 녹색 출력부(1092)만이 차례로 배치되며, 상기 제3스캔 라인(1040c)에는 청색 출력부(1093)만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화소부(1090)에 배치되는 3열의 데이터 라인(1020a, 1020b, 1020c)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1020a), 제2데이터 라인(1020b) 및 제3데이터 라인(1020c)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위화소부(1090)에는 상기 제1스캔 라인(1040a), 제2스캔 라인(1040b) 및 제3스캔 라인(1040c)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는 제1반도체 발광소자(1050a), 제2반도체 발광소자(1050b)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1050c)가 배치된다. 하나의 단위화소부(1090)에 구비되는 상기 제1반도체 발광소자(1050a), 제2반도체 발광소자(1050b)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1050c)는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제2데이터 라인(1020b) 및 제3데이터 라인(1020c)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세로 전극은 스캔 라인이며 세개의 서브화소(sub-pixel)의 스캔 라인은 모두 Scan1, Scan2, Scan3 등으로 공통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발광 개구율의 증가를 위하여 스캔 라인은 서브화소(sub-pixel)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Scan1이 활성화될 때, Data 1~27까지 3열을 동시에 선택적 주사 및 발광이 가능하게 되며, Scan1을 활성화하는 시간을 단위시간 T라고 하면, 한 화면을 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3T가 된다. 만약, Scan1이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면, 한 화면을 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총 9T가 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화면을 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저감되며, 이에 따라 밝기가 3배로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 의하면, 데이터 라인들은 단위화소부내의 각 서브화소에서 면적이 보다 증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서브화소에서 데이터 라인이 발광물질(반도체 발광소자)와 접합할 때 접합의 용이성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합면적을 도시된 바와 같이 넓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에 의하면, 상기 단위화소부(1090)에 배치되는 3열의 데이터 라인(1020a, 1020b, 1020c)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캔 라인(1040)과 평행한 수평부(1094)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부(1094)에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50)가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스캔 라인과 수직한 방향, 즉 상기 데이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수평부(1094)에 수직한 방향이 되며, 따라서, 상기 데이터 라인에서 상기 수평부(1094)를 제외한 부분은 수직부(1095)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의 수평부들(1094a, 1094c)은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상에서 상기 제2데이터 라인(1020b)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의 수평부들(1094a, 1094c)은 단위화소부 당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의 수평부들(1094a, 1094c)은 3개의 반도체 발광소자간의 거리를 피치로 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의 수평부(1094a)와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의 수평부(1094c)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데이터 라인(1020b)에 구비되는 수평부(1094b)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스캔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들(1095a,1095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제2데이터 라인(1020b)은 상기 수평부(1094b)와 수직한 방향을 따라 요철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데이터 라인(1020a)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1020c)의 수평부(1094a, 1094c)는 상기 제2데이터 라인(1020b)의 수평부(1094b)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이 단위화소부내의 각 서브화소에서 면적이 보다 증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단위화소부내에 3열의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어도 고정세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 배선구조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을 비롯한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구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R, G, B)에서 제2도전형 반도체와 제2도전형 전극이 공유되며, 이를 통하여 하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서브 화소들이 하나의 단위화소부(109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가 독자적으로 R, G, B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형광체층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도, 대비비(Contrast)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색 출력부(1091), 녹색 출력부(1092) 및 청색 출력부(1093)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3b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는 황색 형광체층이 구비된 백색 출력부(W)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백색 출력부(W)는 백색광을 출력하는 구조이며, 백색 출력부(W)의 상면에는 인광물질(Phosphor)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 화소를 이루기 위하여, 백색 출력부(W) 상에 적색 형광체층(1081), 녹색 형광체층(1082), 및 청색 형광체층(10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출력부(W)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앞서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백색 출력부(W)들 각각은 복수의 제1도전형 전극, 제1도전형 반도체층들을 구비하고, 단일의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도, 대비비(Contrast)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는 형광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10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BM)는 적색 형광체층(1081), 녹색 형광체층(1082), 및 청색 형광체층(1083)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3c를 참조하면,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출력부(UV) 상에 적색 형광체층(1081), 녹색 형광체층(1082), 및 청색 형광체층(1083)이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UV)까지 전 영역에 사용가능하며, 자외선(UV)이 상부 형광체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사용가능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도, 대비비(Contrast) 향상 및 외광 반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형광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열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BM)는 적색 형광체층(1081), 녹색 형광체층(1082), 및 청색 형광체층(1083)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스캔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들을 각각 출력하는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를 구비하는 단위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단위화소부에서 각각 3열씩 배치되며,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스캔 라인은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데이터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캔 라인과 평행한 수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빛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열의 데이터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들은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3데이터 라인상에서 상기 제2데이터 라인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열의 데이터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데이터 라인에 구비되는 수평부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스캔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열의 데이터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는 상기 제2데이터 라인의 수평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열의 스캔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화소부에는 상기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스캔 구동 신호가 동시에 가해지는 제1반도체 발광소자, 제2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소부에 배치되는 3열의 데이터 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반도체 발광소자, 제2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3반도체 발광소자는 각각 상기 제1데이터 라인, 제2데이터 라인 및 제3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열의 스캔 라인을 따라 복수의 단위화소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스캔 라인, 제2스캔 라인 및 제3스캔 라인에는 각각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가 반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출력부 및 녹색 출력부는 각각,
    반도체 발광소자;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다른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스캔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출력부, 녹색 출력부 및 청색 출력부는 각각,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12975A 2015-01-27 2015-01-27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6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975A KR101761209B1 (ko) 2015-01-27 2015-01-27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975A KR101761209B1 (ko) 2015-01-27 2015-01-27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398A true KR20160092398A (ko) 2016-08-04
KR101761209B1 KR101761209B1 (ko) 2017-07-25

Family

ID=5670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975A KR101761209B1 (ko) 2015-01-27 2015-01-27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477A1 (ko) * 2016-09-22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3767A (ko) *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18B1 (ko) 2017-11-15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9763B1 (fr) * 2005-08-12 2007-09-21 Thales Sa Afficheur matriciel a affichage sequentiel des couleurs et procede d'adress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477A1 (ko) * 2016-09-22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02756B2 (en) 2016-09-22 2021-01-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93767A (ko) *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209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43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88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7085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6687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1684601B (zh) 利用半导体发光元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81378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96471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816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246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7086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3437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146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9819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36148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209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2052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3071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674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655091A (zh) 使用半导体发光元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462881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3757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35335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17298A1 (en)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30002836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8944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