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118A -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118A
KR20160092118A KR1020150012202A KR20150012202A KR20160092118A KR 20160092118 A KR20160092118 A KR 20160092118A KR 1020150012202 A KR1020150012202 A KR 1020150012202A KR 20150012202 A KR20150012202 A KR 20150012202A KR 20160092118 A KR20160092118 A KR 2016009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micro
sterilization
steriliz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후
조성인
황현승
곽유리나
정수
박성민
손대식
Original Assignee
전창후
손대식
황현승
정수
곽유리나
조성인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후, 손대식, 황현승, 정수, 곽유리나, 조성인, 박성민 filed Critical 전창후
Priority to KR102015001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118A/ko
Publication of KR2016009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94Gaseous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새싹채소종자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살균장치는 오존이 생성되는 오존생성기; 및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마이크로오존버블이 저장되는 살균조;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생성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살균조에 저장하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Description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Sterilization method and disinfection system using micro ozone bubbles}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새싹채소종자를 살균처리 하여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싹채소라 불리는 브로콜리, 무, 상추, 메밀, 알팔파 등은 웰빙 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양질의 비타민 및 섬유소를 공급한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새싹채소종자는 대부분 일정시간 물에 불리거나 물이 잘 배수되는 용기에 넣고 용수를 공급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소독, 불리기, 암실 발아, 광량제어에 의한 발육등 폐쇄된 환경과 생육환경의 통제를 통해 재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새싹채소의 경우, 종자 침종에서 수확 후 소비까지 유통기간이 7일 정도밖에 되지않아 종자의 미생물 오염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현재 차염소산나트륨, 염소수, 오존수, 전해수 등의 화학적 소독제를 이용해 새싹채소종자를 소독하고 있으나 약품 농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진한 농도로 소독할 경우 냄새가 나는 등의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기존에 시판중인 대부분의 가정용 새싹채소는 생육과정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고 외부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형태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새싹채소종자의 소독 및 세척에 대한 절차가 없기 때문에 식중독균에 오염된 새싹채소를 섭취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4-0086573 A KR 10-1055690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새싹채소종자를 살균력이 뛰어난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소독 및 살균함으로써 새싹채소의 재배 과정 중에 발생하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안전한 새싹채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은 새싹채소종자의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오존이 생성되는 오존생성기; 및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마이크로오존버블이 저장되는 살균조;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생성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살균조에 저장하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살균조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의 오존농도는 4mg/ℓ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살균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살균장치에는 타이머가 더 구비되어 새싹채소종자가 살균되는 시간이 30분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의하면,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새싹채소종자를 살균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해 10분간 살균과정을 진행할 경우, 새싹채소종자에 일반적인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30분간의 살균과정을 진행하여도 발아율의 감소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살균과정 진행 후 재배일이 경과 하여도 일반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오존버블의 오존농도를 높게 유지하도록 하여 살균력을 높이고, 살균처리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장치의 계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는 오존생성기(10), 펌프(20), 살균조(30) 및 분사노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존생성기(10)는 무성방전·용액의 전기분해등을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물로부터 산소를 생성 분리하여 오존발생율(변환율)20%이상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오존생성기로써 상기 오존생성기는 당업자에게 있어 일반적인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펌프(20)는 50마이크로 이하의 버블로 머리카락의 1/2직경 이하의 버블사이즈를 통칭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생산하는 장치로써, 상기 오존생성기(10)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오존은 산소에서보다 물에서 용해가 잘 이루어지므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 상기 펌프(20)를 이용하여 오존을 미세기포화 함으로써 산화력을 높이고 안전한 오존을 생성하여 소독 및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살균조(30)는 상기 오존생성기(10)와 상기 펌프(20)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오존버블이 저장되는 곳으로, 상기 펌프(20)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조(30)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살균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조(30)의 일측과 상기 오존생성기(10)가 연결되어 상기 오존생성기(10)가 오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오존생성기(10)에서 오존이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40)은 상기 펌프(2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0)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40)은 상기 살균조(30)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조(30)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40)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오존버블이 상기 살균조(30)내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새싹채소종자에 직접 분사하여 새싹채소종자의 소독 및 살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에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새싹채소종자가 살균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살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타이머에 의해 살균되는 시간은 3~30분으로 하여 살균을 효율적으로 하면서, 장시간의 살균으로 인해 발아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표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은 오존수 및 마이크로오존버블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OW: 오존수
MOBW: 마이크로오존버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오존수와 마이크로오존버블의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와 농도차이를 살펴보면 일반 오존수의 경우 2분이 경과하면서 오존의 농도가 가파르게 상승하여 4분~10분 사이에 오존의 농도가 최대가 되며 이때 오존수의 오존농도는 약 3~4mg/ℓ가 되고 10분이 경과한 후에는 오존농도가 점점 감소하여 3mg/ℓ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마이크로오존버블은 1분이 경과하면 오존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오존농도가 5mg/ℓ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10분이 경과한 뒤에 오존농도가 감소하지만 일반적인 오존수 보다는 높은 오존농도를 가지게 된다.
즉, 마이크로오존버블은 짧은 시간 내에 오존이 물에 녹아 오존농도가 일반 오존수에 훨씬 진하며 빠른시간 내에 많은 양의 오존이 물에 녹도록 하여 일반적인 오존수에 비해 훨씬 높은 농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살균장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은 이용하여 새싹채소를 소독 및 살균함으로써, 일반적인 오존수에 비해 훨씬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오존수의 오존농도는 4~6mg/ℓ를 유지하도록 하여 살균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는 알팔파 종자의 마이크로버블 오존 처리 시간에 따른 미생물 수의 변화와 발아율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팔파 종자를 마이크로오존버블로 10분이상 처리할 경우, 일반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는 짧은 시간동안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종자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 및 살균을 실행할 때 종자의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오존버블로 30분이상 처리하여도 발아율이 92.7%로 초기의 94.7%와 비슷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새싹채소종자를 살균할 경우, 살균 후 30분까지는 미생물을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발아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지만, 살균되는 시간이 30분 이상일 경우, 새싹채소종자의 발아율 감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시간은 30분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장치의 일측에 타이머(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마이크로오존버블로 새싹채소종자를 살균할 때 살균되는 시간이 30분 이하로 설정되도록 하였다.
표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지시된 표의 우측방향에 기재된 것은 5일이 경과 한 후 종자의 미생물 수를 나타낸 것으로, 표 2에서 나타나듯이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할 경우 5일이 지나도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살균을 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율을 유지하면서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새싹채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오존생성기 20 :펌프
30 : 분사노즐 40 : 살균조

Claims (3)

  1.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이용하여 새싹채소종자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오존이 생성되는 오존생성기; 및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마이크로오존버블이 저장되는 살균조;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에서 생성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살균조에 저장하도록 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의 오존농도는 4~6mg/ℓ를 유지하도록 하여 살균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에는 타이머가 더 구비되어 새싹채소종자가 살균되는 시간이 3~30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KR1020150012202A 2015-01-26 2015-01-26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KR20160092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2A KR20160092118A (ko) 2015-01-26 2015-01-26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2A KR20160092118A (ko) 2015-01-26 2015-01-26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18A true KR20160092118A (ko) 2016-08-04

Family

ID=5670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202A KR20160092118A (ko) 2015-01-26 2015-01-26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1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90B1 (ko) 2009-08-27 2011-08-11 한국식품연구원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및 살균장치
KR20140086573A (ko) 2012-12-28 2014-07-08 주의탁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90B1 (ko) 2009-08-27 2011-08-11 한국식품연구원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및 살균장치
KR20140086573A (ko) 2012-12-28 2014-07-08 주의탁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6280B (zh) 热等离子体和非热等离子体活化水反应器系统
US5824243A (en) Water ozonating system
EP2636310A1 (en) Method for sterilizing fruits and vegetables
JP6122139B2 (ja) 超微細気泡含有微酸性次亜塩素酸水溶液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2015216872A (ja) 植物栽培補助装置、水耕栽培装置、水耕栽培プラント及び植物栽培補助方法
JP2008183502A (ja) ナノバブルによる水処理装置及びナノバブルによる水処理方法
JP6214855B2 (ja) 微細気泡含有の微酸性次亜塩素酸水、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100480859B1 (ko) 오존 및 TiO₂광촉매를 이용한 농산물 살균처리장치
KR20020077993A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CN103341190A (zh) 一种杀菌装置
KR20150005010A (ko) 염소와 오존을 포함하는 살균수 처리장치
JP2017148793A (ja) 水素水供給装置及び水素水生成方法
KR20160092118A (ko)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사용한 새싹채소 종자 살균장치를 이용한 살균법
JP5030089B2 (ja) 除菌または除粒子による洗浄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20100095272A (ko) 인체에 무해한 의료 기기의 살균이나 곡물 야채의 살균 세척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액의 제조 방법
JPWO2020122258A1 (ja) ラジカル水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ラジカル水
JP2006280212A (ja) 水産系使用水の処理方法
KR101341837B1 (ko) 종자 소독장치
KR101254551B1 (ko) 양의 압력제어형 가압수조와 부압에서 양의 압력까지 제어가 가능한 수조가 결합된 플라즈마 수족관 살균기
KR200328761Y1 (ko) 오존 및 TiO₂광촉매를 이용한 농산물 살균처리장치
JP2007000118A (ja) 魚類飼育水の殺菌装置
KR20220092076A (ko) 아쿠아 플라즈마 공법을 이용하여 유해균을 억제하는 수경재배 장치
Thonglek et al. Ultra-Fine Bubble Generators for Advanced Versatile Applications to Agriculture, Aquaculture and Food Safety
KR20240008465A (ko) 시래기 제조방법
KR100419670B1 (ko) 해수의 무충·무균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