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713A -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 Google Patents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713A
KR20160091713A KR1020150012178A KR20150012178A KR20160091713A KR 20160091713 A KR20160091713 A KR 20160091713A KR 1020150012178 A KR1020150012178 A KR 1020150012178A KR 20150012178 A KR20150012178 A KR 20150012178A KR 20160091713 A KR20160091713 A KR 2016009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light
bar
soli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용
Original Assignee
박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용 filed Critical 박희용
Priority to KR102015001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713A/ko
Publication of KR2016009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외관이 깔끔하고 간판의 후광 시인성이 우수한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빛이 투과하는 재질의 베이스; 전방에 전방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감싸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의 입체형상을 유지하는 입체바; 상기 입체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가 위치한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장착판의 전면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후방개구부의 크기보다 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입체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는 후측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및 후측광판에는 각각 피스가 삽입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상기 베이스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는 상기 전방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후측광판은 상기 입체바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피스에 의해 직결되며, 상기 입체바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측광판의 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측광판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Solid signboard with back-lighting effect}
본 발명은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외관이 깔끔하고 간판의 후광 시인성이 우수한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는 업소의 상호 등을 홍보하기 위한 간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간판으로는 평면적으로 형성된 간판의 전면에 다수의 광고문구 또는 그림을 인쇄하고, 그 내부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광고면이 잘 보이도록 하는 평면 간판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문자 형태를 이루도록 입체적으로 절곡시켜 건물의 벽면에 직접 앵커볼트로 결합시키는 입체 문자 간판이 있다.
한편, 입체 문자 간판은 입체적으로 광고 문자를 표현하고, 입체 문자 내에 엘이디(LED) 또는 네온 등을 설치함에 따라 광고효과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입체 문자 간판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484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은, 문자 형상을 이루는 반투명한 수지 재질의 하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10)와 동일한 문자 형상을 이루는 금속판재의 연결관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몸체(10)에는 설치홈(13)이 형성되어 엘이디(50)가 설치되고, 하부 몸체(10)와 연결관체(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면에 끼움부(12)가 형성되어 연결관체(20)의 하부에 삽입된다.
또한, 하부 몸체(10)에는 간판의 후광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측면에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은 하부 몸체(10)에 돌출부(11)와 끼움부(12)를 형성함으로써, 간판의 후광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하부 몸체(10)와 연결관체(20)의 결합을 견고히 하였다.
이러한 입체 간판의 경우 하부 몸체(10)가 건물의 벽면이나 구조물에 장착되어 연결관체(20) 및 기타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부(12)를 형성할 수밖에 없지만, 끼움부(12)나 돌출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 몸체(10)의 추가적인 가공작업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하부 몸체(10)의 부피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간판의 하중이 증가하여 간판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간판 자체에 더 큰 하중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하부 몸체(10)와 끼움부(12)가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도 3과 같이 하부 몸체(10)와 끼움부(12)가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끼움부(12)를 연결관체(20)의 하부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하부 몸체(10)를 끼움부(12)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 경우, 하부 몸체(10)를 단순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지만, 두꺼운 끼움부(12)를 별도의 구성으로 추가하여야 하며, 실질적으로 도 2의 하부 몸체(10)와 차이가 없다.
만약 끼움부(12)를 얇게 형성할 경우, 끼움부(12)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피스결합이나 실리콘결합 등과 같은 일반적인 결합방법으로는 연결관체(20)에 고정시키기 어렵고 결합력도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하부 몸체(10) 상단에 특정 모양의 클립을 함께 결합시켜 연결관체(60)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걸림구조에 걸리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이 역시 결합력이 떨어지고, 결합구조가 복잡해지며 간판의 견고성 및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하부 몸체(10)의 두께를 얇게 하여 부피 및 중량을 줄인다 하더라도 간판으로서 부적합하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제10-1304449호에는 다른 형태의 입체 간판인 후광 기능을 겸비한 일체형 채널 간판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의 일체형 채널 간판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일체형 채널 간판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조광패널의 테두리부 전체를 둘러 덮도록 된 레터프레임과, 상기 조광패널과 동일한 형태로써 상기 레터프레임의 후단부 마감을 위한 베이스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패널은 후광효과 구현을 위한 발광 빛의 외부 발산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패널은 본 발명의 베이스와는 차이가 있고, 본 발명의 후측광판과 더욱 유사하다.
이러한 종래의 베이스패널은 레터프레임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레터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단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베이스패널은 수용단에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만큼 두껍게 형성되고,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후광의 시인성이 좋지 않다.
간판의 후광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용단에 삽입되지 않은 베이스패널의 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면, 먼저 설명한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과 같이 레터프레임의 수용단에 삽입되는 부분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가공단계를 거쳐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간판 전체의 부피 및 무게가 더욱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간판을 지탱하기 위하여 베이스패널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됨으로써, 레터프레임과 베이스패널의 결합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하고 간판의 후광 시인성이 우수한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빛이 투과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전방에 전방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감싸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의 입체형상을 유지하는 금속판 재질의 입체바; 상기 입체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가 위치한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장착판의 전면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후방개구부의 크기보다 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입체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는 후측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및 후측광판에는 각각 피스가 삽입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상기 베이스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는 상기 전방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후측광판은 상기 입체바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피스에 의해 직결되며, 상기 입체바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측광판의 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측광판의 두께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입체바와 밀착되는 상기 후측광판의 정면에는 상기 입체바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상기 입체바의 전방에 탈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방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전방개구부를 덮고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는 전면판과, 상기 입체바와 동일한 금속판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전면판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전면판과 결합하고 상기 입체바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후측광판과 입체바를 직접 결합시키지 않고 체결부재에 의해 후측광판이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하여 후측광판이 입체바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을 줄이면서도 후측광판과 입체바의 결합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가 입체바의 내부에서 베이스와 후측광판을 결합시켜 체결부재가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간판 외관이 깔끔하고,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후측광판을 통해 입체바의 후방으로 투과되는 빛의 시인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입체바가 밀착되는 후측광판의 정면에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입체바와 후측광판 사이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입체바의 전방에 결합된 커버의 분리가 가능하여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입체 문자 간판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형태의 입체 문자 간판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일체형 채널 간판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하 입체 간판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 베이스(200), 장착판(210), 광원(300) 및 후측광판(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바디(100)는 문자, 문양, 기호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간판이 장착되는 건물의 외벽이나 구조물의 일면인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바(110)와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입체바(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베이스(200)가 장착되고, 전방에 전방개구부(111)가 형성되며, 후방에 후방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입체바(110)의 내부에는 장착판(210)이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입체바(110)는 갈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며, 바디(100)의 측면을 이루어 바디(100)가 돌출되는 길이를 결정하고, 바디(100)를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입체바(110)는 일종의 압출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체바(110)는 휨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커버(120)는 입체바(110)의 전방에 탈착되도록 결합되어 전방개구부(111)를 덮는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는 전방개구부(111)를 덮는 전면판(121)과, 전면판(121)의 둘레를 감싸도록 전면판(121)과 결합하고 입체바(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측면부(122)로 이루어진다. 측면부(122)는 용접, 타카 등의 결합방법으로 전면판(121)과 결합한다. 전면판(121)은 빛이 투과하는 소재로 제작되어 간판의 전방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도 있고, 빛이 투과하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어 간판의 전방으로 빛이 투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측면부(122)는 입체바(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전면판(121)과 함께 커버(120)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바디(1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120)를 입체바(1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켜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입체바(110)와 커버(12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바디(100)는 커버(12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바디(100)의 전방을 개방시켜 놓을 수도 있다.
베이스(200)는 바디(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바디(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0)는 특정 문자, 문양, 기호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체바(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됨으로써, 입체바(110)가 베이스(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평면 형상의 베이스(200)의 둘레를 입체바(110)가 감싸도록 밀착되어 베이스(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입체바(110)와 베이스(200)를 결합시켜 입체바(110)를 문자, 문양, 기호 등의 특정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은 등록특허공보 제10-1046676호를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200)와 입체바(110)는 용접, 타카 등의 결합방법으로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200)는 빛이 투과하는 소재로 제작된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200)는 갈바철판,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아크릴판,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200)에는 후측광판(40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체결부재(B)가 삽입되는 체결공(20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200)와 입체바(110)에 핀을 박아 결합시키는 타카 결합방법으로 베이스(200)와 입체바(110)를 쉽고 빠르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베이스(200)를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광원(300)은 LED이며,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310)과,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320)으로 이루어진다.
장착판(210)은 입체바(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베이스(2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후 양면에 제1광원(310)과 제2광원(320)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는 장착판(210)과 후측광판(400)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부재(B)에 의해 베이스(200)에 후측광판(4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장착판(2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을 투과하여 바디(100)의 후방으로 후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후측광판(400)은 후방개구부(112)의 크기보다 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100)의 후방에 밀착된다. 그리고 후측광판(400)은 바디(100)의 측면으로부터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아크릴판 등으로 제작되어 제1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한다. 구체적으로 후측광판(400)은 체결부재(B)에 의해 베이스(200)에 결합되어 입체바(110)의 후방에 밀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B)에 의해 후측광판(400)이 베이스(20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후측광판(400)에는 베이스(20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01)이 형성된다. 즉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에는 각각 체결부재(B)가 삽입되도록 베이스(200)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201,401)이 형성된다. 후측광판(400)에 형성되는 체결공(401)의 지름은 체결부재(B)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체바(110)와 밀착되는 후측광판(400)의 정면에는 입체바(11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체바(110)의 후방 단부와 후측광판(400)의 배면 사이의 거리는 후측광판(400)의 두께보다 짧으며, 입체바(110)와 후측광판(400) 사이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410)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B)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을 결합시킬 수 있는 긴 형태의 피스이다. 이러한 피스는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이 이격된 거리 및 후측광판(400)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피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판 형상의 베이스(200) 및 후측광판(400)의 외형을 재단한다. 즉 간판의 형상에 따라 문자, 문양, 기호 등의 형상으로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의 외형을 재단한다. 이때, 후측광판(400)은 베이스(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되고, 베이스(200)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된다.
이후,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체결공(201,401)을 형성한다. 즉 체결부재(B)를 이용하여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B)가 삽입되는 체결공(201,401)을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에 각각 뚫는다.
이와 같이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을 제작한 후, 베이스(200)의 둘레에 입체바(110)를 감아 바디(100)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다. 입체바(110)는 휨 변형되는 금속판이며, 베이스(200)의 둘레 길이에 맞춰 자른 후, 베이스(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베이스(200)에 장착한다. 입체바(110)와 베이스(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타카 등의 결합방법으로 상호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입체바(110)에 의해 바디(100)가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측광판(400)을 입체바(110)의 후방에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B)를 베이스(200)와 후측광판(40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01,401)에 삽입하여 후측광판(400)을 베이스(200)에 고정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전방개구부(111)을 통해 체결부재(B)를 베이스(20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01)에 삽입한 후, 후측광판(40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40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후측광판(400)과 베이스(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후측광판(400)은 피스와 나사결합으로 직결됨으로써 너트가 필요하지 않고 입체바(110)와 별도의 결합 없이 입체바(110)의 후방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후측광판(400)을 고정한 후에는 입체바(110)의 내부에 광원(300)이 장착되어 있는 장착판(200)을 삽입하고, 입체바(110)의 전방에 커버(120)를 결합하여 전방개구부(111)를 덮는다.
본 발명인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바디, 110 : 입체바, 111 : 전방개구부, 112 : 후방개구부, 120 : 커버, 121 : 전면판, 122 : 측면부,
200 : 베이스, 201 : 체결공, 210 : 장착판,
300 : 광원, 310 : 제1광원, 320 : 제2광원,
400 : 후측광판, 401 : 체결공, 410 : 안착부,

Claims (3)

  1. 빛이 투과하는 재질의 베이스;
    전방에 전방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후방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감싸 상기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의 입체형상을 유지하는 입체바;
    상기 입체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가 위치한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
    상기 장착판의 전면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후방개구부의 크기보다 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체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입체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과한 빛이 투과하는 후측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및 후측광판에는 각각 피스가 삽입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상기 베이스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는 상기 전방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후측광판은 상기 입체바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피스에 의해 직결되며,
    상기 입체바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측광판의 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후측광판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체바와 밀착되는 상기 후측광판의 정면에는 상기 입체바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체바의 전방에 탈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방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기 전방개구부를 덮고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전면판과 결합하고 상기 입체바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KR1020150012178A 2015-01-26 2015-01-26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KR20160091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78A KR20160091713A (ko) 2015-01-26 2015-01-26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78A KR20160091713A (ko) 2015-01-26 2015-01-26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13A true KR20160091713A (ko) 2016-08-03

Family

ID=5670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178A KR20160091713A (ko) 2015-01-26 2015-01-26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8056A1 (de) * 2018-09-19 2020-03-26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Leuchtreklameanordnung und leuchtrekl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8056A1 (de) * 2018-09-19 2020-03-26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Leuchtreklameanordnung und leuchtreklame
RU2758300C1 (ru) * 2018-09-19 2021-10-28 Елкамет Кунстштоффтекник Гмбх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ветовой рекламы и световой короб
US11295639B2 (en) 2018-09-19 2022-04-0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Luminous advertisement assembly and luminous advertis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266B1 (ko)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JP2017224413A (ja) 発光エンブレム
KR101203267B1 (ko) 문자채널
JP5973215B2 (ja) 標識体
KR101786173B1 (ko) 베젤면이 노출되지 않는 광고대
KR200490797Y1 (ko) 간판 문자 및 이를 갖는 입체 간판
KR20160091713A (ko) 후광 구현이 가능한 입체 간판
KR10211634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로고 조립체
KR200457643Y1 (ko) 보조발광체를 갖춘 발광사인물
KR20090116882A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KR101041976B1 (ko) 광고용 간판
KR101400106B1 (ko) 광고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76466B1 (ko) 엘이디 광고장치
KR101791735B1 (ko) 라운드형 조명용 광고판
JP6003829B2 (ja) 車両用照明装置の取付構造
KR200394691Y1 (ko)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KR20150003929U (ko) 간판 문자 및 이를 갖는 입체 간판
KR20120032696A (ko) 채널 간판
KR200454554Y1 (ko) 3d 채널 사인
KR20160066890A (ko) 채널문자 설치 구조체
KR101304449B1 (ko) 후광 기능을 겸비한 일체형 채널사인
JP2014180936A (ja) 乗物用の室内照明装置
KR101076464B1 (ko) 광고장치 제조방법
KR10155803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190030341A (ko) 도광판 기능과 광고인쇄가 가능한 인쇄시트를 사용하는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