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475A -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475A
KR20160091475A KR1020150011116A KR20150011116A KR20160091475A KR 20160091475 A KR20160091475 A KR 20160091475A KR 1020150011116 A KR1020150011116 A KR 1020150011116A KR 20150011116 A KR20150011116 A KR 20150011116A KR 20160091475 A KR20160091475 A KR 2016009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nsion member
steel bar
tendon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865B1 (ko
Inventor
최성모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8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이나 훼손없이 상향으로 굽힘변위량을 인가시킬 수 있고, 정착지점에서 긴장재의 배치 방향성이 자동 조절되고, 보의 규격에 대응하기 용이하도록 한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은, 서로 대향된 H형강 보에 지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처짐을 긴장재로 제어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상향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채움골 2개소에 볼트로 접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강봉 지지판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이 데크플레이트의 상향지점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긴장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스스로 방향이 조절되어 긴장재를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브라켓이 조립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는 양단이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긴장재지점용 강봉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승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Tendon fixing system of long span fire resistance deck strained a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장스팬 내화 데크플레이트의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이나 훼손없이 상향으로 굽힘변위량을 인가시킬 수 있고, 긴장재의 배치 방향성이 자동 조절되고, 보의 규격에 대응하기 용이하도록 한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 위에 슬래브를 타설하고, 슬래브와 H형강 보는 보 상부플랜지 위에 설치된 전단 연결재(쉬어 스터드)에 의해 일체화하는 철골 합성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H형강 보위에 슬래브가 걸쳐지기 때문에 보를 포함한 바닥시스템 전체의 높이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건축물의 제한된 높이 이내에서 최대한의 용적율을 끌어 낼 수 있는 슬림 플로어(Slim Floor) 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슬림 플로어 공법은 슬래브를 철골보 내에 삽입하여 시공하는 합성바닥판 공법의 총칭이다. 철골보는 하부 플팬지의 폭이 상부 플랜지의 폭에 비해 큰 비대칭 H형강 보를 사용하여 보의 단면효율을 높이고, 보의 춤을 기존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어 바닥판 전체의 높이를 기존의 합성보에 비해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철골보의 웨브에 슬래브를 삽입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층고를 줄일 수 있고 바닥판과 보의 일체성 향상, 내화피복 불필요, 층고 절감으로 인한 외장재의 절감 등 많은 장점이 있는 공법이다.
그런데 슬래브에 적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시공시 작업자 또는 자재 중량물이 데크플레이트상에 작용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는 처짐량이 커져 장스팬의 구현을 어렵게 한다. 또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동바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작은 보를 중간에 설치해야 함으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37326호(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내화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보와 보 사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중간부에 연결되어 데크플레이트 보다 상방에 위치한 보에 양 단부가 연장되도록 와이어로프를 정착시키고, 상기 보와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와이어로프를 경유하여 보에 분산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내화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며, 상기 슬래브콘크리트에는 와이어로프의 일 단부를 보에 고정정착시키고, 타 단부를 보에 긴장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포스트테션 방식 또는 프리텐션 방식으로 도입되도록 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단부가 보의 하부플랜지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각 단부가 보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고정정착 또는 긴장정착되도록 하여, 데크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와이어로프를 경유하여 보에 분산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와이어로프에 접촉하여 지점으로 작용하는 와이어로프 지지구가 데크플레이트에 직접 연결되어져 있어 긴장 정착시 데크플레이트가 찢겨져 나가는 파손이 발생되어 긴장력을 제대로 부여하기 어렵다. 또한, 와이어로프는 정착 지점에서 방향이 꺾이게 되어 긴장방향이 일치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긴장 작업성이 떨어진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37326호(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내화공법)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이나 훼손없이 상향으로 굽힘변위량을 인가시킬 수 있고, 정착지점에서 긴장재의 배치 방향성이 자동 조절되고, 보의 규격에 대응하기 용이하도록 한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은,
서로 대향된 H형강 보에 지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처짐을 긴장재로 제어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상향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채움골 2개소에 볼트로 접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강봉 지지판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이 데크플레이트의 상향지점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긴장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스스로 방향이 조절되어 긴장재를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브라켓이 조립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는 양단이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긴장재지점용 강봉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승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은,
상기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정착판;
상기 상부 정착판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상부 정착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걸림판과;
상기 상부 정착판과 하부 걸림판의 후단을 연결하는 볼트 체결수단과;
상기 상부 정착판의 상면에 대향되게 입설된 한 쌍의 정착수직판과;
상기 정착수직판에 연결되어 있는 정착블록 지지판과;
상기 정착판과 걸림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수단에 결합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블록 지지판은 양단이 상기 정착수직판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긴장재의 긴장 배치 방향을 따라 입설 각도가 자동 조절된 후, 힌지핀은 상기 정착수직판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는 판형을 곡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제작하여 된 것으로, 둘레에 긴장재지점용 강봉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강봉 삽입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는 C형, 스파이럴형, ㄷ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서로 대향된 보에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배치한 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보에 긴장재 정착브라켓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와;
긴장재를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콘크리트 채움골에 늘어지게 배치한 후, 긴장재의 위로 긴장재지점용 강봉을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콘크리트 채움골에 설치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에 끼워넣는 단계; 및
상기 긴장재의 양단을 긴장재 정착브라켓의 정착블록 지지판측에 삽입시켜 놓고, 긴장재를 긴장시킨 후 웨지를 사용하여 정착블록 지지판 배면에 접합된 정착블록에 고정 정착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장스팬 내화 데크플레이트의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따르면, 긴장재지점용 강봉이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단면 벽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강봉 지지판을 매개로 힘을 전달하게 되어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단면 벽(측판)이 찢기거나 파손되는 일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긴장재 정착브라켓은 정착수직판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의 긴장 방향에 따라 정착지점에서 스스로 방향을 잡기 때문에 긴장재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긴장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긴장재 정착브라켓은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보의 규격이 변하여 발생되는 상부 플랜지 두께의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데크플레이트 단부측 요부확대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K-K선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a에서 긴장재의 긴장상태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봉연결용 걸쇠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장스팬 내화 데크플레이트의 긴장재 정착시스템은 테크플레이트 본체(10)에 상향지점요소로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에 긴장재(40)의 지지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2개소에 장착된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22,22)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22와 22)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이 설치된다.
강봉 지지판(20,20)은 볼트로 테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 측판부(101)에 접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다.
강봉연결용 걸쇠(22)는 판형을 곡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제작하여 된 것으로, 둘레에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강봉 삽입구(22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강봉연결용 걸쇠(22)는 도 5의 (가),(나),(다)와 같이 스파이럴형, C형, ㄷ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양단이 걸침되어 있는 H형강 보(5)에는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이 장착된다.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긴장재(40)의 단부를 H형강 보(5)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에 조립 결합되게 되어 있다.
도 1b 및 도 4와 같이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정착판(31)과, 상부 정착판(3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상부 정착판(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걸림판(32)과, 상부 정착판(31)과 하부 걸림판(32)의 후단을 연결하는 볼트 체결수단(33)과, 상부 정착판(31)의 상면에 대향되게 입설된 한 쌍의 정착수직판(34,34)과, 정착수직판(34,34)에 연결되어 있는 정착블록 지지판(35)과, 정착판(31)과 걸림판(32)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수단(33)의 볼트에 조립되어 있는 스페이서(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정착블록 지지판(35)은 양단이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힌지핀(36)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긴장재(40)의 긴장후 입설 각도가 자동 조정된 후 용접으로 접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긴장재(40)는 양단이 긴장재 정착브라켓(30)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설치된다. 긴장재(40)는 강선, 강연서, 강봉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플레이트의 긴장재 정착시스템을 적용한 장스팬 내화 데크플레이트의 시공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데크플레이트 본체 설치
먼저, 도 1a와 같이 철골 기둥(도시안됨)에 서로 대향된 보(5와 5)가 설치된 상태에서,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양 단부가 지지되게 배치된다. 이때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양 단부는 각 보(5)의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올려져 걸침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데크플레이트 본체(10)는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보(5)에 고정된다.
긴장재 정착 브라켓 설치
그 다음, 각 보(5)에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을 조립 설치한다.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보(5)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이때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의 설치 위치는 긴장재(40)가 배치될 위치로서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의 연장된 부분이 된다.
이때 상부 정착판(31)을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하부 걸림판(32)을 보(5)의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밀착시킨 후 볼트 체결수단(33)으로 고정한다. 이때 스페이서(37)가 정착판(31)과 걸림판(32)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수단(33)의 볼트에 조립된다.
이같이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상부 정착판(31)과 하부 걸림판(32)이 볼트 체결수단(33)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보(5)의 상부플랜지의 두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긴장재 배치 및 정착준비
그 다음, 긴장재(40)를 설치한다.
먼저 긴장재(40)를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에 늘어지게 배치한 후, 긴장재(40) 위로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을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에 설치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22와 22)에 끼워넣는다.
이후, 긴장재(40)의 양단을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의 정착블록 지지판(35)측에 삽입시켜 놓고, 정착블록(60) 및 웨지(62)를 긴장재(40)의 단부측에 조립한다. 이때 정착블록(60)은 정착블록 지지판(35)의 배면에 위치된다.
긴장재 긴장정착 및 정착수직판의 고정
그 다음, 유압잭(도시안됨)을 사용하여 긴장재(40)를 긴장시킨 후 웨지(62)를 사용하여 정착블록(60)에 고정 정착시킨다.
이때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의 정착수직판(34,34)이 힌지핀(36)으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40)의 긴장 방향에 따라 스스로 방향을 잡아 정착블록 지지판(35)이 정착지점에서 긴장재(40)와 직각을 유지하게 되고, 긴장재(40)는 발생된 긴장력에 의해 2개소의 긴장재지점용 강봉(24)에 접촉된 후 강봉(24)을 도 4와 같이 상향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올리리게 된다.
이에 의해 데크플레이트 본체(10)는 양단에서 일정한 캠버각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상향으로 솟아오른 일정량의 변위량을 갖게 된다. 이때 변위량은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길이(ℓ)에 대해 ℓ/200~ℓ/250 만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래브 시공 완료 후 데크플레이트 본체(10)가 받게 될 하중은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을 통해 긴장재(40)에 전달되고, 긴장재(40)에 전달된 힘은 보(5)에 전달되어 처짐이 방지되는 메카니즘을 갖게 된다.
이후에 정착수직판(34,34)의 힌지핀(36)을 용접으로 접합시켜 정착수직판(34,34)에 일체화시킨다.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그 다음, 도 4와 같이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상면에 콘크리트(200)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의 타설된 상면의 높이는 보(5)의 상면 플랜지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타설 콘크리트는 보(5), 긴장재(40) 및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작용되는 슬래브의 하중은 미리 인가되어진 긴장재(40)의 장력으로 대항하므로 데크플레이트 본체(10)기 처짐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같이 본 시스템은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이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단면 벽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강봉 지지판(20)을 매개로 힘을 전달하게 되어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단면 벽(측판)이 찢기거나 파손되는 일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정착수직판(34,34)이 힌지핀(36)으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40)의 긴장 방향에 따라 스스로 방향을 잡기 때문에 긴장재(40)의 시공성이 향상되고 긴장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보(5)의 규격이 변하여 발생되는 상부 플랜지 두께의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강봉 지지판
22: 강봉연결용 걸쇠
24: 긴장재 지점용 강봉
30: 긴장재 정착브라켓
31: 상부 정착판
32: 하부 걸림판
34: 정착수직판
35: 정착블록 지지판
36: 힌지핀
37: 스페이서

Claims (6)

  1. 서로 대향된 H형강 보(5와 5)에 지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처짐을 긴장재(40)로 제어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상향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채움골(12) 2개소에 볼트로 접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22,22)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22와 22)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이 데크플레이트의 상향지점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긴장재(4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스스로 방향이 조절되어 긴장재(40)를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이 조립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40)는 양단이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30)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승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정착판(31)과;
    상기 상부 정착판(3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상부 정착판(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걸림판(32)과;
    상기 상부 정착판(31)과 하부 걸림판(32)의 후단을 연결하는 볼트 체결수단(33)과;
    상기 상부 정착판(31)의 상면에 대향되게 입설된 한 쌍의 정착수직판(34,34)과;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연결되어 있는 정착블록 지지판(35)과;
    상기 정착판(31)과 걸림판(32)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수단(33)에 결합된 스페이서(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블록 지지판(35)은 양단이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힌지핀(36)으로 연결되어 긴장재(40)의 긴장 배치 방향을 따라 입설 각도가 자동 조절된 후, 힌지핀(36)은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22)는 판형을 곡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제작하여 된 것으로, 둘레에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강봉 삽입구(22a)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22)는 C형, 스파이럴형, ㄷ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6. 서로 대향된 보(5와 5)에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배치한 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보(5와 5)에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와;
    긴장재(40)를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에 늘어지게 배치한 후, 긴장재(40)의 위로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을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콘크리트 채움골(12)에 설치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22와 22)에 끼워넣는 단계; 및
    상기 긴장재(40)의 양단을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의 정착블록 지지판(35)측에 삽입시켜 놓고, 긴장재(40)를 긴장시킨 후 웨지(62)를 사용하여 정착블록 지지판(35) 배면에 접합된 정착블록(60)에 고정 정착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150011116A 2015-01-23 2015-01-23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64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16A KR101646865B1 (ko) 2015-01-23 2015-01-23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16A KR101646865B1 (ko) 2015-01-23 2015-01-23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75A true KR20160091475A (ko) 2016-08-03
KR101646865B1 KR101646865B1 (ko) 2016-08-09

Family

ID=5670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16A KR101646865B1 (ko) 2015-01-23 2015-01-23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541A (zh) * 2019-11-26 2020-04-17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控预应力植筋连接梁柱装置
KR102430436B1 (ko) * 2022-01-20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96B1 (ko) * 2018-06-25 2019-10-24 구연진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29A (ja) * 1994-04-11 1995-10-27 Sato Kogyosho:Kk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の緊張材曲げ具
KR101011376B1 (ko) * 2008-12-10 2011-0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KR101093185B1 (ko) * 2011-01-03 2011-12-13 김성규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1337326B1 (ko) 2012-11-23 201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내화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29A (ja) * 1994-04-11 1995-10-27 Sato Kogyosho:Kk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の緊張材曲げ具
KR101011376B1 (ko) * 2008-12-10 2011-0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KR101093185B1 (ko) * 2011-01-03 2011-12-13 김성규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1337326B1 (ko) 2012-11-23 201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내화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541A (zh) * 2019-11-26 2020-04-17 东北林业大学 一种可调控预应力植筋连接梁柱装置
KR102430436B1 (ko) * 2022-01-20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865B1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48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작된 강합성보
WO2010047096A1 (ja)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KR101974884B1 (ko) 정착브라켓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각 보강장치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646865B1 (ko)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JP2007538177A (ja) 床構造体
KR101820871B1 (ko)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165207B1 (ko) 폐쇄형 철골 합성보 및 이 폐쇄형 철골 합성보 간 연결방법
KR101501198B1 (ko) 에이피씨 거더
KR101911731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46866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740598B1 (ko) 강성 증대와 전단연결 기능을 구비한 할로우캡빔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거더
KR20180126939A (ko) 충진강관을 복부부재로 사용하고, 강선으로 긴장하여 연결하는 합성거더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20030094195A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20100002502A (ko) 프리스트레스트 웨브 골형강판 합성보
WO2022109657A1 (en) Concrete structure coupler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