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431A -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431A
KR20160091431A KR1020167019632A KR20167019632A KR20160091431A KR 20160091431 A KR20160091431 A KR 20160091431A KR 1020167019632 A KR1020167019632 A KR 1020167019632A KR 20167019632 A KR20167019632 A KR 20167019632A KR 20160091431 A KR20160091431 A KR 2016009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ceiver
audio
information identify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찰스 허레인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09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신기/재생 디바이스가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콘텐츠와 함께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튜닝 명령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재생될 콘텐츠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는 수신기 내에서 튜닝 시간을 감소시키는 수신기/재생 디바이스의 디코더의 즉각적인 초기화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정보의 제공은 디코더가 상기 콘텐츠 내의 오디오 및 비디오 종류를 식별하도록 복수의 콘텐츠 패킷을 분석할 필요를 제거한다.

Description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TUNING IN RECEIVER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1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205959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미국 특허청에 2007년 4월 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921714호와 관련되고, 여기에 참고로 그 내용이 포함되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란 동일 제목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92171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PCT로 2007년 6월 13일자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07/013949로서 출원된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수신기에서의 튜닝 시간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셋톱 박스와 같은 수신기의 튜닝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셋톱 박스(STB)와 같은 수신기가 공동 소유 출원에 기재된 표준 실시간 스트림 프로토콜(RTSP) 재지정 또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DGCP) 세션 설명 프로토콜 튜닝 페이로드를 사용하여 새로운 스트림에 튜닝될 때, STB는 그 새로운 스트림의 재생을 시작하기 위해 유한한 시간의 지연 시간을 취한다. 다시 말해, 현재의 시스템에서 STB에 제공되는 데이터는 필수적이지만 STB가 가능한 한 신속하게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되는 RTSP 프로파일이 전송 스트림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이 포함되는 MPEG2 전송 스트림인 경우 특히 문제가 된다. 이것은 디코더를 정확하게 구성하기 위해 착신 스트림의 버퍼링과 정보의 자동 검출의 공통적 실시를 유도한다. 이러한 버퍼링은 오디오와 비디오가 재생되기 전에 지연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신기가 수신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일 실시예에서 수 초에서 몇 분의 일 초 정도로 감소시키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가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재생될 콘텐츠와 함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되, 해당 콘텐츠의 수신기가 상기 콘텐츠를 각각의 식별 정보 없이 수신된 콘텐츠에 비해 감소된 지연을 가지고 재생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튜닝 명령의 일부로서 수신기/재생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재생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가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가 각각의 식별 정보 없이 수신된 콘텐츠에 비해 감소된 지연을 가지고 수신기/재생 디바이스에 의해 재생될 수 있도록, 디코더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 데이터 팩으로 수신기/재생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체 상에 기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식별하는 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신기/재생 디바이스가 각각의 식별 정보가 없는 콘텐츠에 비해 감소된 지연을 가지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은 하기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매 광고 네트워크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데이터의 수신 및 분석을 위한 종래 기술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의 튜닝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개념의 예시를 목적으로 하고, 반드시 본 발명을 예시하는 유일한 가능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도면에 공통적인 동일한 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수신기가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매 광고 네트워크 환경과 셋톱 박스와 관련하여 주로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취급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종류의 수신기를 갖는 실제적으로 임의의 콘텐츠 배포 환경에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들이 인지할 것이고 본 발명의 교시를 통해 주지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의 기능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는 물론,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시, 상기 기능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함축적으로는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저장을 위한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예는 물론, 본 발명의 원리, 측면 및 실시예들을 언급하는 모든 설명은 그것의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미래에 개발될 등가물(예, 구조에 무관하게 동일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임의의 요소)은 물론 현재 알려진 등가물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당업자들은 여기에 제시된 블록도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성분 및/또는 회로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 도식, 상태 천이 도식, 의사 코드(pseudocode) 및 유사물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내에 실제로 나타낼 수 있고 그에 따라 명백하게 제시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표현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은 예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버(110), 튜닝/디코딩 수단(예시적으로 셋톱 박스(STBs))(1201-120n)과 각각의 셋톱 박스(1201-120n)에 대한 각각의 디스플레이(1301-130n)와 같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및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예시적으로 스피커 시스템)(1351-135n)와 같은 기타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의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셋톱 박스(1201-120n) 각각이 예시적으로 단일인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셋톱 박스(1201-120n) 각각은 단일 개수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에서는 튜닝/디코딩 수단이 예시적으로 셋톱 박스(120)로서 표현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튜닝/디코딩 수단은 디스플레이(130)에 통합된 튜닝/디코딩 회로와 같은 대안적인 튜닝/디코딩 수단이나 독립형의 튜닝/디코딩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은 소매 광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의 일 측면에 따라 소매 광고를 제공하는 소매 광고 네트워크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의 광고 네트워크(200)에서, 광고 네트워크(200)와 서버 시스템(100)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뉴스 및 점포내(in-store) 세팅에서의 유사한 소비자 정보 콘텐츠와 함께, 카탈로그, 분류, 프리젠테이션 및 음악 기록, 홈 비디오, 제품 선전, 광고 콘텐츠 및 기타 동종 콘텐츠의 사용 추적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채용한다. 콘텐츠는 본 시스템의 경우 해당 포맷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압축 또는 비압축 비디오와 오디오 스트립 포맷(예, MPEG2, MPEG4/MPEG4 Part 10/AVC-H.264, VC-1, Windows Media 등)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포내 광고 네트워크(200)와 콘텐츠 배포/서버 시스템(100)의 다양한 요소들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환경을 이용하는 32-비트 운용 시스템(예, MS-WindowsTM 또는 X-WindowsTM 운용 시스템)과 고성능 연산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네트워크(200)는 분산형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일 실시예의 경우 위성(또는 다른 방법, 예컨대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넷, 일련의 마이크로파 링크 또는 유사 메커니즘)과 점포내 망을 통해 중앙 집중화된 콘텐츠 관리 및 배포 제어를 제공한다.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소매 광고 네트워크(200)와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용 콘텐츠는 광고주(202), 레코딩 회사(204), 영화 스튜디오(206) 또는 기타 콘텐츠 제공자(208)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광고주(202)는 제품 제조자, 서비스 제공자, 제조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표하는 광고 회사 또는 기타 존재일 수 있다. 광고주(202)로부터의 광고 콘텐츠는 상업광고, "정보 광고(info-mercials)", 제품 정보와 제품 전시 등을 포함하는 시청각 콘텐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코딩 회사(204)는 기록 라벨, 음악 발행자, 라이센싱/발행의 실체(예, BMI 또는 ASCAP), 개별 아티스트 또는 기타 음악 관련 콘텐츠의 소스일 수 있다. 레코딩 회사(204)는 음악 클립(기록된 음악의 단편 세그먼트), 음악 비디오 클립 등과 같은 시청각 콘텐츠를 제공한다. 영화 스튜디오(206)는 영화 스튜디오, 영화 제작사, 홍보 담당자 또는 영화 산업에 관련된 기타 소스일 수 있다. 영화 스튜디오(106)는 영화 클립, 미리 녹화된 남성 및 여성 배우와의 인터뷰, 영화 리뷰, "배후 장면" 프리젠테이션, 및 유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머지 콘텐츠 제공자(208)는 예컨대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을 통해 배포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시청각 콘텐츠의 임의의 다른 제공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예컨대 전통적인 기록 매체(테이프, CD, 비디오 등)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센터(NMC)(210)를 통해 얻어진다. NMC(210)에 제공되는 콘텐츠는 예컨대, 해당 콘텐츠를 로컬 사이트(예, 특정 점포 내에서)로 배포 및 디스플레이하는 로컬 배포 시스템(100)으로 배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컴파일된다.
NMC(210)는 수신된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그것을 디지털화된 데이터 파일(222)의 형태로 네트워크 오퍼레이션 센터(NOC)(220)로 제공한다. 데이터 파일(222)은 디지털화된 콘텐츠로 지칭될 수 있지만 스트리밍 오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또는 기타 관련 정보일 수도 있다. NMC(210)에 의해 컴파일되어 수신되는 콘텐츠는 상업 광고, 범퍼, 그래픽,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파일은 독창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명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NMC(210)는 점포 위치와 같은 특정 사이트를 타겟으로 하여 예정된 방식 또는 주문식으로 한 곳 이상의 점포로 전달되는 배포 팩을 형성한다. 상기 배포 팩은 사용시 (사이트의 시스템이 처음으로 초기화(이 경우 사이트의 초기 콘텐츠의 기초를 형성하게 됨)되지 않는다면) 이미 현장에 존재하는 기존의 콘텐츠를 대체하거나 증강시키도록 의도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파일은 채용된 소정 종류의 스트리밍 압축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되어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NOC(220)는 유닛으로서 모니터링 및/또는 제어될 특별한 그룹의 서버를 정하기 위해 소매 네트워크 매니저(RNM)(22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여기에 참조로 그 내용이 포함되고 양자 모두 "디바이스 그룹 제어"라는 제목을 가지는, 2007년 4월 4일자로 미국 특허청에 출원된 공동 소유 특허 가출원 제 60/921714호와 미국을 지정국으로 선택하고 PCT로 2007년 6월 13일자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07/013949호에 기재된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DGCP)에 따라 RNM(224)에 의해 그룹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자체에 속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많은 그룹에 속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명령 또는 요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는 그룹으로의 목표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룹의 각 서버는 그것으로서 동일한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행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원하는 많은 그룹의 멤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나 웹 구성 페이지와 같은 구성 파일이나 기타 처리(transaction) 등의 외부 수단에 의해 그룹의 멤버가 되거나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소정의 우편 번호 내에 있는 모든 점포, 소정의 표준 시간대 내에 있는 모든 점포, 특정 주 내의 모든 점포, 특정 지역 내의 모든 점포, 인구 통계학적 특성 등과 같은 공통점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시스템의 그룹은 소정의 유닛으로서 특유의 식별자로 할당된 후 알려지고, 모니터링되고 제어될 수 있다.
도 2의 소매 광고 네트워크(200)에 있어서, NOC(220)는 디지털화된 데이터 파일(222)을 통신 네트워크(225)를 통해 상업적 판매 아웃렛(230)에서 각각의 관련 서버/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각각의 서버(100)는 서버가 착신 메시지(예, NOC(220)로부터의 메시지)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그룹 식별자 유닛(102)을 포함하여 해당 서버가 상기 메시지가 적용되는 타겟 그룹에 속하는 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225)는 여러 기술 중 임의의 하나의 기술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225)는 디지털화된 데이터 파일(222)을 예컨대 상업적 판매 아웃렛(230)의 적용 가능한 서버 시스템(100)으로 배포하는 위성 링크(위성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콘텐츠를 다양한 위치로 동시에 멀티캐스팅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가 배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여 시청각 콘텐츠를 상업적 판매 아웃렛(230)으로 배포하고 그로부터 피드백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임대 라인, 마이크로파 네트워크 또는 기타 그러한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225)의 실시를 위한 다른 기술과 구성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로컬 레벨(예, 점포 내)에서,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의 서버(110)는 콘텐츠(예, 배포 팩)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그것들을 점포 내에서 셋톱 박스(120), 디스플레이(130) 및 스피커 시스템(135)과 같은 여러 수신기로 배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에서, 콘텐츠는 스트리밍을 위해 수신 및 구성된다. 스트리밍은 함께 또는 협력 작동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스트리밍 콘텐츠는 판매 아웃렛(230)(예, 점포)에 걸쳐 여러 다른 위치나 제품에 대해 구성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셋톱 박스(120)와 디스플레이(130)와 다양한 스피커 시스템(135)은 판매 아웃렛(230)을 통해 특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셋톱 박스와 디스플레이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위치된 제품에 속하는 콘텐츠와 방송 오디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각기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의 서버(110)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점포를 통해 다양한 수신기로 전해지는 문자,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의 여러 가지 다른 스트림(예, 콘텐츠 채널)을 형성한다. 스트림은 라디오 주파수 분배로 변조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의 개별 채널이거나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 캐스트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플로우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들 스트림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동일한 로직 세트 하에서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발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의 서버(110)와 같은 본 발명의 서버는 여기에 참조로 그 내용이 포함되고 양자 모두 "디바이스 그룹 제어"라는 제목을 가지는, 2007년 4월 4일자로 미국 특허청에 출원된 공동 소유 특허 가출원 제60/921714호와 미국을 지정국으로 선택하고 PCT로 2007년 6월 13일자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US07/013949호에 기재된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자체에 속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많은 그룹에 속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명령, 요청 또는 콘텐츠의 통신은 하나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그룹으로의 목표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룹의 각 디바이스는 그것으로서 동일한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행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원하는 많은 그룹의 멤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나 웹 구성 페이지와 같은 구성 파일이나 기타 처리(transaction) 등의 외부 수단에 의해 그룹의 멤버가 되거나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그룹 멤버쉽을 미리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에서, 스톡 DGCP 페이로드(payload)는 DESCRIBE 응답이 행하는 실시간 스트림 프로토콜(RTSP)과 유사한 포맷을 사용하여 세션 설명 프로토콜(SDP) 데이터 블록을 셋톱 박스(STB)로 전달한다. SDP는 IETF(http://tools.ietf.org/html/rfc2327)에 의해 정해진다.
이러한 데이터 블록은 다음의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설명되는 데이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블록은 다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pat00003
예컨대 MPEG2 전송 스트림을 사용하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소실 정보는 중요하다. 일 통신예에서, 비디오 코덱은 MPEG2일 수 있으나, 다른 통신예에서, 비디오 코덱은 H.264(MPEG4 part 10)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코덱은 MPEG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Dolby AC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STB 또는 스피커와 같은 수신기와 통신시 가능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나 그 이상이 튜닝 명령의 일부로서 수신기에 전달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정보를 수신기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스트림에 튜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수신기와 통신을 위해 세션 설명 프로토콜(SDP) 확장이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SDP를 사용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하는 미디어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진 DGCP 페이로드는 비트 필드로 정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시스템 구조에서 현재의 기술은 전송 스트림을 획득하고 예컨대 MPEG 전송 스트림과 같은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기 시작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과 코덱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1/2 초 내지 수 초가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전의 기술에 비해 튜닝 시간을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을 넘어서는 장점을 보여주기 위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종래 기술의 흐름도를 먼저 아래에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튜닝 향상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데이터의 수신 및 분석을 위한 종래 기술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300)은 302 단계에서 시작하여, RTSP 또는 DGCP를 사용하여 스트림을 식별하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SDP) 블록을 수신한다. 이러한 SDP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5
상기 방법(300)은 304 단계로 진행한다.
304 단계에서, SDP 블록을 분석하여 RTP 세션이 전달될 IP 주소와 포트를 결정한다. 상기의 예에서 IP 주소는 233.192.0.101 포트 49162로서 분석된다. 상기 방법(300)은 306 단계로 진행한다.
306 단계에서, SDP 블록을 분석하여 RTP 페이로드 종류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 페이로드 종류는 MPEG2 전송 스트림인 RTP/AVT type 33으로 분석된다. 상기 방법(300)은 308 단계로 진행한다.
308 단계에서, 수신 소켓이 개방되고 패킷이 RTP 스트림으로부터 수신되기 시작한다. 상기 방법은 310 단계로 진행한다.
310 단계에서, 상기 방법은 해상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타입의 스트림 내 MPEG 사인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패킷을 분석하기를 기다린다. 일단 코덱의 세부 내용이 알려지면, 방법(300)은 312 단계로 진행한다.
312 단계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 칩(들)을 초기화하여 디코딩을 시작한다. 상기 방법(300)은 314 단계로 진행한다.
314 단계에서, 수집된 패킷을 재생하기 시작한다. 이들 패킷은 최초 수신시부터 버퍼링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시기 중에, 디코더 칩은 압축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해당 디코딩된 스트림을 디스플레이와 스피커와 같은 재생 디바이스로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및 비디오로 변환시킨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방법(300)에서, SDP 수신시부터 비디오가 보이고 오디오가 들릴 때까지의 지연은 디코더 칩의 초기화에 필요한 데이터의 획득을 위해 얼마나 많은 MPEG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야 하는지에 따라 수분의 1초로부터 수 초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의 튜닝을 향상시키는 방법(40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400)은 402 단계에서 시작하여, RTSP 또는 DGCP를 사용하여 스트림을 식별하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SDP) 블록을 수신한다. 이러한 SDP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상기 설명되고 제시된 예의 SDP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데이터가 앞에 제공되어 디코더 칩의 즉각적인 초기화를 허용한다. 상기 방법(400)은 404 단계로 진행한다.
404 단계에서, SDP 블록을 분석하여 RTP 세션이 전달될 IP 주소와 포트를 결정한다. 상기의 예에서 IP 주소는 233.192.0.101이고 포트는 49162이다. 상기 방법(400)은 406 단계로 진행한다.
406 단계에서, SDP 블록을 분석하여 RTP 페이로드 종류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 MPEG2 전송 스트림인 RTP/AVT 종류는 33이다. 상기 방법(400)은 408 단계로 진행한다.
408 단계에서, SDP 블록을 분석하여 세부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코덱 정보는 디코더 칩의 즉각적인 초기화를 가능케 하고, 이는 수신기에서 튜닝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수신기가 해상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타입의 스트림 내 MPEG 사인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패킷을 분석하기를 기다리는 종래 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DP 블록을 분석하여 세부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이는 디코더 칩의 즉각적인 초기화를 가능케 한다. 세부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SDP 블록을 분석한 후, 방법(400)은 410 단계로 진행한다.
410 단계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 칩(들)을 초기화하여 디코딩을 시작한다. 상기 방법(400)은 412 단계로 진행한다.
412 단계에서, 수신 소켓이 개방되고 패킷이 RTP 스트림으로부터 수신되기 시작한다. 상기 방법은 414 단계로 진행한다.
414 단계에서, 미디어 패킷이 도달되면서 재생된다. 디코더 칩은 압축된 비트 스트림을 디스플레이와 스피커와 같은 재생 디바이스로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 및 비디오로서 디코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DP 수신시부터 비디오가 보이고 오디오가 들릴 때까지의 지연은 적어도 MPEG 전송 스트림의 분석 대기가 없으므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방법(300)에 비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예,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 식별을 위해 수신기/재생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는 도 1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00)의 서버(110)와 같은 콘텐츠 서버 및/또는 도 2의 소매 광고 네트워크(200)의 NOC(220) 및/또는 NMC(210)로부터 수신기/재생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포될 콘텐츠의 식별 정보는 본 발명의 서버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될 수 있고 콘텐츠에 전달되거나 및/또는 수신기에 대한 튜닝 명령의 일부로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의 다양한 운영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고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가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한정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됨)가 설명되었지만, 전술한 교시의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들에 의해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 내에 있는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추가의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Claims (8)

  1.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텐츠와 함께, 수신될 데이터 스트림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기에 제공하여, 상기 수신기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시작할 수 있게 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튜닝 명령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튜닝 명령은 디코더를 이용하여 복수의 패킷을 분석하고 오디오 및 비디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코덱 파라미터들을 검출하지 않고도 상기 수신기가 상기 디코더를 초기화하도록 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제공하는 것은 세션 설명 프로토콜 데이터 팩(session description protocol data pack)에서 이루어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들은, 수신기 내에서의 튜닝 시간을 감소시키는 디코더의 초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 전달되는 방법.
  4.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텐츠와 함께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디코더를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디코더를 이용하여 복수의 패킷을 분석하고 코덱 파라미터들을 검출하지 않고도 상기 디코더를 초기화하도록 하고,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 데이터 팩으로 전달됨 -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세션 설명 프로토콜 데이터 팩으로 재생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디바이스 그룹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생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정보는 튜닝 명령의 일부로서 수신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소켓(receiving socket)을 개방(open)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가 수신될 때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19632A 2009-01-26 2009-07-10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91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595909P 2009-01-26 2009-01-26
US61/205,959 2009-01-26
PCT/US2009/004039 WO2010085232A1 (en) 2009-01-26 2009-07-10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tuning in receiv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37A Division KR20110124251A (ko) 2009-01-26 2009-07-10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31A true KR20160091431A (ko) 2016-08-02

Family

ID=411196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37A KR20110124251A (ko) 2009-01-26 2009-07-10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167019632A KR20160091431A (ko) 2009-01-26 2009-07-10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37A KR20110124251A (ko) 2009-01-26 2009-07-10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79733A1 (ko)
EP (1) EP2382771A1 (ko)
JP (1) JP2012516106A (ko)
KR (2) KR20110124251A (ko)
CN (1) CN102293008B (ko)
BR (1) BRPI0924138A2 (ko)
CA (1) CA2750341C (ko)
MX (1) MX2011007905A (ko)
WO (1) WO2010085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7298B (zh) * 2011-03-02 2015-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3d格式描述信息的获取方法和装置
US20130279882A1 (en) 2012-04-23 2013-10-24 Apple Inc. Coding of Video and Audio with Initialization Frag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05C (zh) * 1998-12-15 2003-05-28 国家科学技术委员会高技术研究发展中心 并行解码的数字信源解码器
US20040181813A1 (en) * 2003-02-13 2004-09-16 Takaaki Ota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channel change within a digital system
US7720983B2 (en) * 2004-05-03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Fast startup for streaming media
EP1758400A3 (en) * 2005-08-25 2008-07-30 Samsung Electronics Co.,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US7720096B2 (en) * 2005-10-13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RTP payload format for VC-1
JP4754939B2 (ja) * 2005-11-01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7826536B2 (en) * 2005-12-29 2010-11-02 Nokia Corporation Tune in time reduction
JP2007201875A (ja) * 2006-01-27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動画像通信システム
US7861267B2 (en) * 2007-07-05 2010-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TV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24138A2 (pt) 2016-02-10
CA2750341C (en) 2018-08-14
CA2750341A1 (en) 2010-07-29
WO2010085232A1 (en) 2010-07-29
CN102293008A (zh) 2011-12-21
US20110279733A1 (en) 2011-11-17
CN102293008B (zh) 2016-11-09
EP2382771A1 (en) 2011-11-02
KR20110124251A (ko) 2011-11-16
MX2011007905A (es) 2011-10-12
JP2012516106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0461B (zh) 一种多台播放终端同步播放系统及播放方法
US20130174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dentity/presence of a mobile device user for control and interaction in content distribution
US20100131633A1 (en) Device group control
US20140181243A1 (en) Server-based content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347019A1 (en) Method for image playback verification
CN102474517A (zh) 转换移动装置媒体内容的方法
US857264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grouping and content distribution
US201002574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essage services for control and interaction in content distribution
KR20160091431A (ko) 수신기에서의 튜닝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257763B (zh) 用于在带宽约束网络上监视和控制服务器系统的系统和方法
US201102356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network switch multicast functionality
WO201203665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ing a time to media presentation in receivers
JP2015215620A (ja) コンテンツ配信における制御とインタラクションのためのモバイル機器ユーザの識別情報/存在の特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2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2

Effective date: 2019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