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69A -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069A
KR20160091069A KR1020150011261A KR20150011261A KR20160091069A KR 20160091069 A KR20160091069 A KR 20160091069A KR 1020150011261 A KR1020150011261 A KR 1020150011261A KR 20150011261 A KR20150011261 A KR 20150011261A KR 20160091069 A KR20160091069 A KR 2016009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interactive program
shape information
user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029B1 (ko
Inventor
최재성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여 복합 공정을 유기적으로 동작시키고, 복합 공정과 공구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공구 추천 및 가공 조건을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로그래밍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을 선택받고,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으면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확인하며,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정 유형을 등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THE COMBINED PROCESS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TERACTIVE PROGRAM IN COMPUTER NUMARICAL CONTROL MACHINE TOOLS}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절삭 가공을 위한 공작기계의 수치제어(NC: NUMARICAL CONTROL)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치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치제어(NC)를 한층 더욱 발전시킨 컴퓨터 수치제어(CNC: COMPUTER NUMARICAL CONTROL)가 적용된 공작기계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수치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므로 숙련된 NC 프로그래머가 요구되며, NC 프로그래머는 가공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을 하여야 한다. 현재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 가공 프로그램 작성은 CNC에서 제공되는 편집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MDI(Manual Data Input) 조작 패널(Panel)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반적인 가공 프로그램을 작성 시에 형상 정보와 가공 조건 값에 대한 명령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므로 여러가지 공정을 입력해야 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공작기계에서 홀을 가공할 경우에는 단일 공정으로 홀을 생성하지 않고 동일한 중심 좌표를 공유하는 여러 가지 공정을 통해서 홀을 생성한다. 또한, 태핑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탭의 중심점을 맞춰주는 센터 드릴링 가공이 선행되고, 그 이후에 드릴링 가공 및 태핑 가공이 이어져서 결과적으로 탭 형상이 완성된다. 즉, 임의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공정의 개수에 비례하여 수치 제어(NC)코드의 프로그래밍이 복잡해진다.
이때, 여러가지 공정에 대해서 각각의 공정별로 일일이 형상 정보와 가공 조건 값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복합 형상을 가지는 특수 공구를 사용하거나, 대화형 프로그램과 같은 자동 수치제어(NC)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은 입력한 형상 정보에 맞는 공구가 공구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에는 공구가 추천되지 않아 세부적인 공구의 파라미터 및 가공 조건 등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는 여러 개의 복합 공정이 항상 이어져 있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 공정 사이에 다른 공정을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는 추가된 복합 공정 사이에 다른 공정을 넣거나, 공정의 순서를 변경하려면 복합 공정이 아닌 단일 공정들로 다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가공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 내용을 개선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여러가지 복합 공정을 등록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여 복합 공정을 유기적으로 동작시키고, 복합 공정과 공구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공구 추천 및 가공 조건을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로그래밍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을 선택받고,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으면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확인하며,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정 유형을 등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확인된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여 복합 공정간에 유기적으로 동작시키고, 복합 공정과 공구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공구 추천 및 가공 조건 등을 계산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로그래밍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하면 공정 유형과 연관된 부분 공정들이 자동으로 대화형 프로그램에 추가되며,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여러 가지 부분 공정에 대해 각각 일일이 수정할 필요 없이 하나를 수정하면 다른 부분 공정도 같이 수정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C 코드 작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사용자 조작 화면을 통해서 가공공정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불가능했던 공정 사이에 다른 공정을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순서 변경과 같은 수정을 마우스나 조작 키를 사용하여 쉽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정 유형을 추가할 경우에 공정 유형의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기반으로 이전에 추가되어야 하는 부분 공정들에서 필요한 공구를 공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가공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작업 내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종래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NC 프로그램 작성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가공 유형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공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복합 공정 내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하는 공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공정 유형을 추가하기 위한 알림창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복합 공정이 등록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기등록된 복합 공정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기등록된 복합 공정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한 후에 공정 순서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공유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공작기계용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단순히 추가 등록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 공정간에 유기적으로 동작시키고, 자동적으로 공구 추천 및 계산된 가공 조건을 제공받아 NC 코드 프로그래밍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종래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NC 프로그램 작성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가공 유형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공정의 예시도이다.
종래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NC 프로그램 작성방법을 설명하자면, 우선 최종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여러가지 공정을 계획하고, 각각의 공정을 순서를 고려하여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추가한다. 공정을 선택할 때에 각각의 공정별로 형상 정보와 가공 조건을 입력하며, 추가해야 하는 공정의 개수만큼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고, 시뮬레이션이나 NC 코드를 확인하여 수정 여부를 결정한다.
즉,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은 임의의 공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은 단계 S1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공정을 선택받는다.
상기 단계 S1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공정을 선택받으면, 단계 S2에서 상기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단계 S2에서 사용자로부터 형상 정보를 입력받으면, 단계 S3에서 상기 공정에 대응되는 공정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정에 대응되는 공정 조건을 입력받는다.
단계 S4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공정 이외에 추가되어야 할 공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첨부된 도 2의 (a)와 같이 도시된 태핑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공정을 선택받으면, 태핑 형상을 만들기 이전에 첨부된 도 2의 (b)와 같은 센터드릴링, 드릴링과 같은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추가되어야 할 공정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에서 추가되어야 할 공정이 있다고 확인하면 단계 S1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 S4에서 추가되어야 할 공정이 없다고 확인하면 단계 S5로 진행하여 작성된 NC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단계 S6에서는 상술한 단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NC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또는 NC 코드를 통해 NC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상기 단계 S6에서 NC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2로 진행하고, 단계 S6에서 NC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면 NC 프로그램 작성 과정을 종료한다. 예컨대,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중심좌표를 가지는 3가지 공정(센터드릴링, 드릴링, 태핑)에 대한 NC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단계를 3번 반복하여 3가지 공정에 포함된 각 공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작성된 NC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3가지 공정 모두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의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프로세서(310), 입력부(320), 표시부(330),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요소들의 전체 동작은 시스템의 프로세서(310)를 통해 제어된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을 선택받고,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임의의 공정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공정 유형과 연관되는 부분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공정을 입력받아 대화형 프로그램의 저장부(350)에 등록시켜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저장부(350)에 등록된 복합 공정을 표시부(330)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공정 유형은 예컨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터드릴링, 드릴링, 태핑 등과 같은 하나의 공정을 의미하며, 부분 공정은 상기 공정 유형에 따른 공정 형상을 가공하기 위해 선행되거나 후행되어야 할 공정을 의미하고, 복합 공정은 상기 공정 유형과 상기 부분 공정을 모두 포함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표시부(330)는 사용자가 입력부(320)를 통해 공정 유형을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부(3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330)는 사용자가 공정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유형 선택 화면,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을 추가/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추가/삭제 화면, 공정 유형의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 변경 화면 및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 공유 화면 등을 제공한다. 즉, 표시부(3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삭제하고, 공정 유형의 순서를 변경하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330)는 첨부된 도 6과 같은 알림창을 표시하여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공정 유형의 추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일의 공정 유형뿐만 아니라, 공정 유형과 연관된 부분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공정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입력부(320)를 통해 선택된 공정 유형의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저장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저장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형상 정보,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과 연관된 파라미터, 매크로 NC 코드를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시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3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선택된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상기 공정 유형과 연계시켜 저장하며,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되는 부분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공정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320)를 통해 첨부된 도 2의 (a)와 같이 도시된 태핑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공정 유형을 선택하면, 공정 유형인 태핑 공정과 연관된 부분 공정인 첨부된 도 2의 (b)와 같은 센터드릴링, 드릴링과 같은 부분 공정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부분 공정은 임의의 공정 유형을 공정하기 위해 선행 또는 후행되어야 하는 공정으로, 상기 공정 유형과 연계되어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 기계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으면,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저장부(350)를 통해 확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을 선택받으면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들을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공정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유형 선택 화면에서 '태핑'이라는 공정 유형을 선택하면, '태핑'이라는 공정 유형과 연관된 부분 공정인 센터드릴링과 드릴링이 자동으로 등록되어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된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입력받으면, 저장부(350)로부터 상기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추출하여 표시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에 대한 수정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와 같이 각각의 공정에 대해 가공 조건을 일일이 수정할 필요 없이,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 중 하나를 수정하면 수정된 가공 조건을 기반으로 나머지 다른 공정의 가공 조건도 같이 수정되어 NC 프로그램 작성이 편리하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가공 조건을 근거로 생성된 NC 코드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을 수정할 수 있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은 공정 추가/삭제 화면에서 입력부(320)를 통해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추가 또는 삭제 명령에 따른 공정 유형의 순서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NC 코드를 기초로 가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태핑 순서로 가공되는 복합공정이 등록된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임의의 공정 추가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8과 같은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하는 화면을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도 8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내경홈 공정 유형을 선택받아 드릴링 공정과 태핑 공정 사이에 내경홈 공정 유형을 추가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명령에 따른 공정 유형의 순서인 도 9와 같은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내경홈 4.태핑의 순서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NC 코드를 기초로 가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기등록된 복합 공정에 임의의 공정이 추가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임의의 공정의 공정 순서 변경 명령을 입력받으면,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복합공정이 등록된 화면에서 임의의 공정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공정 순서 변경 명령은 대화형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인 마우스나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임의의 공정 유형의 위치를 옮기어 공정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정보 공유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0)를 통해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공유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부분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와 연동시켜 NC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태핑 순서로 가공되는 복합공정이 등록된 화면에서 드릴링 공정과 태핑 공정 사이에 내경홈 공정을 추가하면,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340)는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내경홈 4.태핑의 순서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태핑 순서로 가공되는 복합공정은 내경홈 공정을 추가함에 따라 연속하게 존재하지 않지만 여전히 복합 공정에 포함된 각 공정 유형에 대응하는 형상 정보들이 서로 공유되기 때문에 1.센터드릴링 2.드릴링 3.태핑 중 하나를 수정해도 다른 공정의 형상 정보가 연동되어 작동하고, 입력된 순서대로 NC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일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단계 S41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10에서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이 선택되면, 단계 S42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해당 공정 유형에 대한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때,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다.
단계 S43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선택된 공정 유형과 연관된 부분 공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상기 공정 유형과 연계시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단계 S430에서 상기 선택된 공정 유형과 연관된 부분 공정이 확인되면, 단계 S44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단계 S420에서 입력된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단계 S430에서 확인된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을 변환한다. 이와 같이,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는 단계 S420에서 공정 유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을 입력한 이후에 종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와 같이 상기 확인된 부분 공정에 대한 가공 조건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에 대한 수정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공정에 대해 가공 조건을 일일이 수정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프로그래밍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단계 S420에서 입력된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 및 상기 단계 S440에서 획득된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자동 생성한다.
단계 S46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단계 S450에서 자동 생성된 NC 코드를 기반으로 NC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작성된 NC 프로그램을 기초로 가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단계 S47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70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상기 단계 S460에서의 가공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470에서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NC 프로그램 작성 과정을 종료하며, 상기 단계 S470에서 상기 공정 유형의 가공 조건 또는 부분 공정의 가공 조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복합 공정 등록 장치는 단계 S42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다시 입력받을 수 있다.
도시된 각 단계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은, 종래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의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310 : 프로세서 320 : 입력부
330 : 표시부 340 :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
350 : 저장부

Claims (10)

  1.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공정 유형을 선택받고,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으면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확인하며,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정 유형을 등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공정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유형 선택 화면, 상기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을 추가/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추가/삭제 화면, 상기 공정 유형의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 변경 화면 및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 공유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추가/삭제 화면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 유형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따른 공정 유형의 순서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NC 코드를 기초로 가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 공유 화면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대화형 프로그램 제어부는 상기 형상 정보를 상기 부분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와 연동시켜 NC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장치.
  6.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공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가공 조건을 상기 확인된 부분 공정에 대응하는 가공 조건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가공 조건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공정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정 유형을 등록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공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유형에 임의의 공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명령에 따른 공정 유형의 순서에 근거하여 NC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유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형상 정보를 상기 부분 공정에 대응되는 형상 정보와 연동시켜 NC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공구 정보 및 가공 조건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을 등록하는 방법.
KR1020150011261A 2015-01-23 2015-01-23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235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61A KR102357029B1 (ko) 2015-01-23 2015-01-23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61A KR102357029B1 (ko) 2015-01-23 2015-01-23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69A true KR20160091069A (ko) 2016-08-02
KR102357029B1 KR102357029B1 (ko) 2022-02-03

Family

ID=5670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261A KR102357029B1 (ko) 2015-01-23 2015-01-23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056A (ko) * 2020-01-10 2021-07-21 구안다 인터내셔널 머쉬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철골구조물의 절단각 가공 계획 방법
KR20220102006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퍼씨엠 Cnc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23063060A1 (ja) * 2021-10-14 2023-04-20 西部電機株式会社 加工処理装置及び加工条件設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810A (ja) * 1998-01-06 1999-07-21 Okuma Corp Nc情報編集装置
JP2003058215A (ja) * 2001-08-09 2003-02-28 Mori Seiki Co Ltd 類似加工データ検索装置及び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KR20120085420A (ko) * 2011-01-24 2012-08-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810A (ja) * 1998-01-06 1999-07-21 Okuma Corp Nc情報編集装置
JP2003058215A (ja) * 2001-08-09 2003-02-28 Mori Seiki Co Ltd 類似加工データ検索装置及び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KR20120085420A (ko) * 2011-01-24 2012-08-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056A (ko) * 2020-01-10 2021-07-21 구안다 인터내셔널 머쉬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철골구조물의 절단각 가공 계획 방법
KR20220102006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퍼씨엠 Cnc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23063060A1 (ja) * 2021-10-14 2023-04-20 西部電機株式会社 加工処理装置及び加工条件設定方法
JP2023059124A (ja) * 2021-10-14 2023-04-26 西部電機株式会社 加工処理装置及び加工条件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29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742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program
US95578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utting shape using interactive program in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N101489718A (zh) 数控装置
JP6351738B2 (ja) 工作機械の制御装置
KR101889631B1 (ko)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CN105431790B (zh) 编程装置
KR20160091069A (ko)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US20190303517A1 (en) Simulation device
WO2018193503A1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
CN110815231A (zh) 机器人控制方法和装置
KR2013008432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확인 방법
CN111993419B (zh) 基于pdps的机器人离线制作方法及其装置、计算机终端设备
US56086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the task of retrieving and accessing a segment of a numerical control (NC) program
US7580769B2 (en) Tool operator instructions system and method
KR102335505B1 (ko) 가공 프로그램 자동 생성 장치 및 가공 프로그램 자동 생성 방법
US20160292237A1 (en) Numerical controller with ambiguous search function in program
KR20120120782A (ko) 공작기계용 파트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7409828B2 (ja) 数値制御装置
KR102004978B1 (ko) 튜토리얼 기능이 구비된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68864A (ko) Nc 프로그램 전송 장치
US20230333534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WO2023152899A1 (ja) プログラム、設定装置及び表示方法
JP6407481B1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
KR20150132977A (ko) Hmi 시스템의 프로젝트 화면 생성방법
KR20150090543A (ko) 공작기계의 nc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